(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천명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천명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누루하치에서 넘어옴)

천명제
天命てんめいみかど
후금 한
재위 1616년 2월 17일 ~ 1626년 9월 30일
즉위식 천명(天命てんめい) 원년 1월 1일
(1616년 2월 17일)
전임 (초대)
후임 숭덕제
섭정 동오 호호리(1616~1617)
구왈갸 피옹돈(1617~1618)
건주여진 추장
재위 1583년 ~ 1616년
전임
이름
누르하치(만주어: ᠨᡠᡵᡥᠠᠴᡳ Nurhaci)
한국 한자: つとむなんじ哈赤
한국 한자: いしゆみ哈奇
한국 한자: いしゆみなんじ哈齊
한국 한자: やつ哈赤
누르가치(만주어: ᠨᡠᡵᡤᠠᠴᡳ Nurgaci)
한국 한자: ろうおつあか
한국 한자: ろうおつあか
한국 한자: ろうあか
한국 한자: やつあか
별호 노추(やつ酋)
만주(滿まんじゅう)
묘호 태조(ふとし, 만주어: ᡨᠠᡳ᠌ᡯᡠ Taidzu)
시호 승천광운성덕신공조기립극인효무황제
(ふとしうけたまわてんこううん聖德せいとく神功じんぐうはじめりつごく仁孝にんこうたけし皇帝こうてい)
승천광운성덕신공조기립극인효예무홍문정업고황제
(うけたまわてんこううん聖德せいとく神功じんぐうはじめりつごく仁孝にんこう睿武弘文こうぶんじょうぎょうだか皇帝こうてい)
승천광운성덕신공조기립극인효예무단의홍문정업고황제
(うけたまわてんこううん聖德せいとく神功じんぐうはじめりつごく仁孝にんこう睿武はしあつし弘文こうぶんじょうぎょうだか皇帝こうてい)
승천광운성덕신공조기입극인효예무단의흠안홍문정업고황제
(うけたまわてんこううん聖德せいとく神功じんぐうはじめりつごく仁孝にんこう睿武はしあつし欽安弘文こうぶんじょうぎょうだか皇帝こうてい)
연호 천명(天命てんめい, 만주어: ᠠᠪᡴᠠᡳ
ᡶᡠᠯᡳᠩᡤᠠ
Abka-i Fulingga
)
칸호 암바 겅기연 한(だい英明えいめいあせ, 만주어: ᠠᠮᠪᠠ
ᡤᡝᠩᡤᡳᠶᡝᠨ
ᡥᠠᠨ
Amba Genggiyen Han)
수러 겅기연 한(さと英明えいめいあせ, 만주어: ᠰᡠᡵᡝ
ᡤᡝᠩᡤᡳᠶᡝᠨ
ᡥᠠᠨ
Sure Genggiyen Han)
압카이 풀링가 아이신 구룬 한(天命てんめいきんこくあせ, 만주어: ᠠᠪᡴᠠᡳ
ᡶᡠᠯᡳᠩᡤᠠ
ᠠᡳᠰᡳᠨ
ᡤᡠᡵᡠᠨ
ᡥᠠᠨ
Abkai Fulingga Aisin Gurun Han)
신상정보
출생일 가정(よしみやすし) 35년 4월 8일
(1559년 5월 14일)
출생지 건주여진 숙수후부
사망일 천명(天命てんめい) 11년 8월 11일
(1626년 9월 30일)
사망지 후금 묵던
왕조 후금
가문 아이신기오로 할라
부친 아이신기오로 탁시
모친 히타라 어머치
배우자
자녀 본문 참조
기타 친인척 아이신기오로 슈르가치
아이신기오로 야르가치
아이신기오로 무르가치
아이신기오로 바야라
종교 샤머니즘

천명제(天命てんめいみかど, 1559년 5월 14일(음력 4월 8일) ~ 1626년 9월 30일(음력 8월 11일))는 청나라의 전신인 후금의 초대 칸으로, 청나라의 실질적인 창업 군주로 간주된다.

건주여진 출신으로 여진 종족들간의 패권투쟁에서 승리하여 1616년 자신을 으로 선포하고 이후 후금을 건국했다. 휘는 아이신기오로 누르하치(만주어: ᠠᡳ᠌ᠰᡳᠨ
ᡤᡳᡠ᠋ᡵᠣ
ᠨᡠᡵᡤᠠᠴᡳ
Aisin Gioro Nurgaci)[1], 묘호는 태조(ふとし, 만주어: ᡨᠠᡳᡯᡠ Taidzu)이고, 연호는 천명(天命てんめい, 만주어: ᠠᠪᡴᠠᡳ
ᡶᡠᠯᡳᠩᡤᠠ
Abkai Fulingga, 몽골어: ᠲᠡᠭᠷᠢ ᠶᠢᠨ
ᠪᠣᠰᠣᠭᠲᠣ
Tengri-yin Bošugtu)이라고 부른다. 첫번째 시호는 승천광운성덕신공조기립극인효무황제 (ふとしうけたまわてんこううん聖德せいとく神功じんぐうはじめりつごく仁孝にんこうたけし皇帝こうてい)으로, 줄여서 타이주 호롱고 한(ふとしたけ皇帝こうてい, 만주어: ᡨᠠᡳᡯᡠ
ᡥᠣᡵᠣᠩᡤᠣ
ᡥᠠᠨ
Taidzu Horonggo Han), 네번째 시호는 승천광운성덕신공조기입극인효예무단의흠안홍문정업고황제(うけたまわてんこううん聖德せいとく神功じんぐうはじめりつごく仁孝にんこう睿武はしあつし欽安弘文こうぶんじょうぎょうだか皇帝こうてい)으로, 줄여서 고황제(ふとしだか皇帝こうてい, 만주어: ᡩᡝᡵᡤᡳ
ᡥᡡᠸᠠᠩᡩᡳ
Taidzu Dergi Hūwangdi)이다. 별호로는 태조한조종(ふとしあせ祖宗そそう, 만주어: ᡨᠠᡳᡯᡠ
ᡥᠠᠨ
ᠮᠠᡶᠠ
Taidzu Han Mafa)이 있다.[2] 생전 도장에 새겨진 칭호는 압카이 풀링가 아이신 구룬 한(만주어: ᠠᠪᡴᠠᡳ
ᡶᡠᠯᡳᠩᡤᠠ
ᠠᡳᠰᡳᠨ
ᡤᡠᡵᡠᠨ
ᡥᠠᠨ
Abkai Fulingga Aisin Gurun Han)이다.[3][4][5]

이름

[편집]

누르하치(한국 한자: ろうおつあか 노을가적, 중국어 정체자: つとむなんじ哈赤、やつ哈赤, 간체자: つとむ尔哈あかやつ儿哈あか, 병음: Nǔ’ěrhāchì · Nú’érhāchì, 만주어: ᠨᡠᡵᡤᠠᠴᡳ Nurgaci)의 이름은 지금까지 누르하치·누르카치누하치 등의 독법이 있지만, 누르가치가 올바른 명칭이다.[6] 그의 이름은 만주어로 멧돼지 가죽이라는 뜻을 가진 누허치(やつひとし, 만주어: ᠨᡠᡥᡝᠴᡳ Nuheci)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추정하기도 한다.[7]

생애

[편집]

누르가치는 1559년 5월 14일에 태어났다. 사료로 고증할 수 있는 그의 모친은 아구(阿古あこ, 만주어: ᠠᡤᡠ Agu) 도독의 딸이며, 성은 히타라(とう腊, 만주어: ᡭᡳᡨᠠᡵᠠ Hitara)[8], 이름은 어머치(がくきよしひとし, 만주어: ᡝᠮᡝᠴᡳ Emeci)인 그녀는 탁시와의 사이에서 3남 1녀를 낳았다. 첫째가 누르가치, 셋째 아들이 슈르가치, 넷째 아들이 야르가치(みやびしか哈齊, 만주어: ᠶᠠᡵᡤᠠᠴᡳ Yargaci)다. 딸은 정확한 이름이 남아있지 않다.[9] 누르가치의 집안은 건주여진의 숙수후부(かつ滸部, 만주어: ᠰᡠᡴᠰᡠᡥᡠ
ᠠᡳᠮᠠᠨ
Suksuhu Aiman)에 속했다.[10]

누르가치는 당시 요동을 지배하였던 고려인 출신 요동총병관(遼東りゃおとんそうへいかん) 이성량(しげるはり)의 지배와 후원을 받고 있었다. 요동에서 개원(開原かいはら) 동부에 이르는 지역에 살던 해서여진(うみ西にしおんなしん)을 통합하여 하다국(Hada gurun, 哈達こく)을 설립하고, 여진몽골의 지도자들은 물론 명나라요동총병 이성량과도 밀접한 정치적 경제적 관계를 맺었던[11] 완 한(만주어: ᠸᠠᠨ
ᡥᠠᠨ
Wan Han)의 족녀[12] 하다나라 컨저(哈達ひしげ こんあきら, 만주어: ᡥᠠᡩᠠ
ᠨᠠᡵᠠ
ᡴᡝᠨᠵᡝ
Hada Nara Kenje)의 학대를 받아 18세의 나이에 퉁갸씨와의 결혼과 동시에 동생 슈르가치 등과 함께 분가했다. 탁시는 분가하는 누르가치에게 노비 남성 6명, 여성 5명, 마 2기, 소 4마리를 지급했다. 누르가치는 처가인 퉁갸 가문으로 가서 직접 인삼을 채취하여 명나라 상인들에 파는 등 빈곤하게 살아간다. 6년 뒤, 조부 교창아와 부 탁시가 구러산성 공방전에서 명군의 오인으로 살해되자 본성 허투아라로 귀환했다.

여진 통일과 후금 건국

[편집]

16세기 말기, 누르가치가 정복하기 직전의 여진 제부는 현재 중국 둥베이러시아 연해주를 포괄하는 광활한 지역에서, 초기적 형태의 국가들을 이루거나 부족 혹은 씨족 단위로 흩어져 거주하고 있었다. 명나라는 여진의 지역에 일종의 행정구획인 위소(まもるしょ)를 200여 개를 설치하고, 여진의 여러 부족장을 그 수장으로 임명하여 간접적으로 통제했다. 이때 명이 설치한 여진위소는 종족, 인구수 등 모든 면에서 명나라 내지의 위소와는 전혀 다른 전통적 여진부락에 불과하며 여진 종족들의 부락에 위소의 이름을 형식적으로 붙인 것에 불과하였다.[13]

건주여진은 압록강의 북쪽으로 후너허 강 상류부터 퉁갸 강에 걸쳐 거주했으며, 숙수후(만주어: ᠰᡠᡴᠰᡠᡥᡠ Suksuhu)·후너허(渾河, 만주어: ᡥᡠᠨᡝᡥᡝ Hunehe왕기얀(かんがお, 만주어: ᠸᠠᠩᡤᡳᠶᠨ Wanggiyan동고(ただし鄂, 만주어: ᡩᠣᠩᡤᠣ
Donggo)·저천(あきらひね, 만주어: ᠵᡝᠴᡝᠨ Jecen)의 5개의 부() 혹은 아이만(aiman)으로 나뉘어 있었다. 건주 5부는 각각은 본래 별개로 세워진 독립 세력이며, 각각의 집단 사이의 혈연적·종족적 결합관계는 확인되지 않는다.[14] 이외에 백두산 일대의 너연(訥殷, 만주어: ᠩᡝᠶᡝᠨ Neyen)·주셔리(しゅしゃさと, 만주어: ᡷᡠᡧᡝᡵᡳ Jušeri얄루 기양(かもみどりこう, 만주어: ᠶᠠᠯᡠ
ᡤᡳᠶᠠᠩ
Yalu Giyang)의 세 아이만도 건주여진의 일부로 분류되기도 하였다.[15]

숙수후부 출신의 누르가치의 조부와 부친이 아타이를 공격하던 명군에게 살해 당한 뒤 이성량은 그를 위무하기 위한 작업에 나섰다. 우선 그에게 칙서를 수여하고 말을 하사했다. 그에게 지휘 직위를 주도록 명나라 조정에 건의했을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이성량과는 달리 요동 관원들은 니칸 와이란에게 더 많은 호의를 베풀었다. 이런 행동은 누르가치의 불만을 샀다.[9]

당시 건주여진에는 여러 막강한 세력이 있었다. 숙수후부, 후너허부, 왕야부, 동오부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부족은 명 조정에서 니칸 와이란을 지지하는 것을 보고 누르가치와 가까이 하지 않았다. 심지어 같은 닝구타 일족인 기오창가의 여러 형제들 세력조차 니칸 와이란에게 귀순해 의지했다.[9]

누르가치 역시 명 조정에 드러내놓고 강하게 나갈 수는 없었다. 그는 도리 없이 몰래 니칸 와이란에게 불만이 있거나 원한이 있는 건주의 작은 부족의 수령들과 긴밀한 연계를 취했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갸무후성의 주인 가하샨(만주어: ᡤᠠᡥᠠᡧᠠᠨ Gahašan), 사르후성의 주인 구와라(만주어: ᡤᡡᠸᠠᡵᠠ Gūwara)와 그 아우 노미나(만주어: ᠨᠣᠮᡳᠨᠠ Nomina) 등이었다. 그들은 너 나 할 것 없이 서로 힘을 모아 니칸 와이란을 타도하는 대열이 동참하기로 하늘에 맹세했다고 한다.[9]

다른 한편, 누르가치는 명나라 조정에 "내 조부와 부친의 죽음은 사실 니칸 와이란의 사주에 의한 것아다. 그를 사로잡아 나에게 넘겨줘야 비로소 마음이 편하겠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명 조정은 당연히 그에게 회답하지 않았고, 누르가치는 부조의 복수를 위한 군대를 일으키는 빌미로 얼마 후 니칸 와이란에게 전쟁을 선포했다.[9]

누르가치의 세력은 크지 않았는데 건주의 각 부족에서 그를 지지한 사람은 100명에 불과했다. 그의 부친도 그이기 고작 갑옷 13벌의 미미한 유산만 물려줬다. 그러나 누르가치는 이런 열악한 상황이고 불구하고 1583년 5월에 니칸 와이란이 성주인 투런(만주어: ᡨᡠᡵᡝᠨ Turen)이라는 성으로 진공을 개시했다. 출병 당시에 노미나가 니칸 와이란과 내통해 출정 시기를 누설했다. 이로 인해 니칸 와이란은 누르가치의 예봉을 피해 피신을 할 수 있었다. 하지만 투런성은 누르가치에게 점령당하는 운명을 피하지 못했다. 25세의 누르가치가 감히 명나라 군다에 지원하는 건주의 주인 니칸 와이란을 패퇴시킨 것은 대사건이었다. 그의 지위는 급작스럽게 부상하게 됐다.[9]

누르가치는 계책을 세워 노미나의 세력을 제거한 다음 노미나가 공격할 것을 제의한 바르다이(ともえなんじたち, 만주어: ᠪᠠᡵᡩᠠᡳ Bardai)성까지 함락했다.[9]

누르가치가 투런성과 사르후성을 얻은 뒤로 숙수후 부민은 대부분 누르가치의 부족으로 편입됐다. 그는 새로이 복속시킨 이들을 아주 잘 대해주었으며 그들이 편안하게 살면서 평소에는 자신의 직업에 종사하게 했다. 그러나 누르가치의 일족은 이에 대해 불만을 품었고 그의 1대조, 2대조, 3대조, 6대조의 자손들이 종묘사직에서 맹세한 다음 누르가치를 모살하려고 했다. 누르가치의 시위와 매부 가하샨이 이로 인해 목숨을 잃었다.[9]

그는 가하샨의 복수를 위해 마르둔(만주어: ᠮᠠᡵᡩᡠᠨ Mardun) 성채에서 격전 끝에 대승을 거두었다. 그는 이듬해 동오부를 합병하는 데 성공했다.[9]

1585년 2월, 누르가치는 또다시 건주의 작은 부족인 저천부의 자이퍈(만주어: ᠵᠠᡳᡶᡳᠶᠠᠨ Jaifiyan)성을 목표로 출병에 나섰다가 철군하는 과정에서 태란강에 이르렀을 때 자이퍈과 바르다이 등의 성주가 규합한 400여 명의 병력을 격파하여 자이퍈성의 주인 너신(만주어: ᠨᡝᠰᡳᠨ Nesin)과 또 다른 우두머리인 바무니(만주어: ᠪᠠᠮᡠᠨᡳ Bamuni)가 화살에 맞아 죽었다. 누르가치는 돌아와서 병마를 정돈하고 군비의 확충이 적극 나선 뒤 4월 저천부를 재정벌한다. 저천부는 이에 누르가치를 습격하기로 했다. 토모호(만주어: ᡨᠣᠮᠣᡥᠣ Tomoho), 장갸(만주어: ᠵᠠᠩᡤᡳᠶᠠ Janggiya), 바르다이, 철아호(撤兒), 자이퍈의 성주가 800여 명의 병사를 규합해 총공격을 감행했지만 누르가치는 어린 동생 무르가치와 부하를 이끌고 그들을 패퇴시켰다. 1년 후 토모호성을 함락했고, 1587년에는 용맹한 장수 어이두로 하여금 바르다이성을 공격해 저천부를 합병했다.[9]

숙수후부와 동오부를 겸병하고 저천부를 멸망한 누르가치는 1586년 7월, 니칸 와이란이 은거한 오르혼(만주어: ᠣᡵᡥᠣᠨ Orhon)성을 공격했다. 이때 니칸 와이란은 도주하고 니칸 와이란의 향병 40인이 누르가치에게 30여 군데 창상을 입히는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누르가치는 40기를 보내 명나라의 요동도사(遼東りゃおとん)로 도주하던 니칸 와이란을 추격하도록 했고, 니칸 와이란은 명나라의 요동변장의 수비대의 수수방관으로 자이사에게 참수당한 채로 누르가치에게 받쳐졌다. 누르가치는 이로써 자신의 미래 사업을 위한 공고한 기초를 닦았다. 명나라 군대가 누르가치로 하여금 니칸 와이란을 죽이도록 방치한건 누르가치라는 존재를 인정한 까닭이었다. 이에 건주여진의 대부분의 부족이 앞다퉈 그에게 귀순하기 시작했다. 수완(만주어: ᠰᡠᠸᠠᠨ Suwan)의 우두머리 솔고(만주어: ᠰᠣᠯᡤᠣ Solgo), 동오 우두머리의 손자 호호리(만주어: ᡥᠣᡥᠣᡵᡳ Hohori), 야르구(만주어: ᠶᠠᡵᡤᡡ Yargū) 촌장 후르한(만주어: ᡥᡡᡵᡥᠠᠨ Hūrhan) 등이 모두 1588년에 무리를 이끌고 귀순한 인물이다. 같은 해 9월 누르가치는 군대를 이끌고 숙수후강과 동오부 사이의 파저강 상류의 작은 부락인 완안성을 공격하여 왕야부를 병합했다.[16] 건주여진에 대한 누르가치의 통일 사업은 이로써 완전히 끝나게 됐고[9] 이듬해 명 조정은 누르가치를 도독첨사로 임명했다.[17]

1593년, 해서여진 여허의 국주 부자이나림불루, 하다의 국주 멍거불루, 울라의 국주 만타이의 동생 부잔타이, 호이파의 국주 바인다리, 코르친 몽골의 옹가대와 망구스 그리고 밍간, 주셔리(만주어: ᡷᡠᡧᡝᡵᡳ Jušeri)의 우두머리 율렁거(만주어: ᠶᡠᠯᡝᠩᡤᡝ Yulengge), 너연(만주어: ᠩᡝᠶᡝᠨ Neyen)의 우두머리 서오원(만주어: ᠰᡝᠣᠸᡝᠨ Seowen) 및 석시(만주어: ᠰᡝᡴᠰᡳ Seksi)와 화친하고 9부 연합군을 결성하여 건주여진을 공격하였으나[18] 누르가치가 강을 따라 난 길이 좁고 험한 구러 산에서 매복하고 여러 장애물을 설치하여 적들을 유인한 탓에 연합군은 구러 전투에서 크게 패하였고, 이 과정에서 부자이는 낙마한 뒤 건주병 우탄에 의해 전사했다.[19][20] 1595년 누르가치는 명 조정으로부터 임기 3년의 용호장군(龍虎りゅうこ將軍しょうぐん)의 직첩을 받아냈으며, 1596년 조선을 상대로 여진국건주위관속이인주(おんなしんこくけんしゅうまもるかんたばえびすじんおも)를 자칭했다.

1599년, 누르가치는 어르더니(만주어: ᡝᡵᡩᡝᠨᡳ Erdeni) 박시와 까까이(만주어: ᡤ᠋ᠠᡤ᠋ᠠᡳ G'aG'ai) 자르구치에게 명하여 몽골 문자를 개량한 주션 문자(이때는 일부 자음과 모음 옆에 점을 찍어 구분하는 체계가 아직 발달하지 않은 무권점자圈點けんてん였음)를 창제하게 했고, 10월 말에는 하다가 명의 중재하에 예허와 동맹을 맺고 하다로 파병된 건주의 지원군을 몰살하고 그 장수를 사로잡자 슈르가치와 함께 하다를 공격하여 25일에 하다성을 함락하고 국주 멍거부루를 생포한 뒤 하다부민을 모두 건주여진으로 사민했다.[21]

1606년, 내칼카 바야우드의 엉거더르 타이지와 그가 인솔한 5위의 사신이 누르가치에게 쿤두런 한(만주어: ᡴᡠᠨᡩᡠᠯᡝᠨ
ᡥᠠᠨ
Kundulen Han, 몽골어: ᠭᠦ‍ᠠᠳᠡᠯᠠᠨ
ᠬᠠᠠᠠᠨᠨ
Kündelen Qa'an)이라는 존호를 올렸다.

1607년 9월에 호이파(てるはつ, Hoifa)부를, 1613년에는 울라(がらすひしげ, Ula)부를 병합했다. 둥베이연해주 지역에 산재해 있던 독립국간의 패권투쟁에서 승리한 누르가치는 1616년 정월, 허투 아라에서 팔기 버일러와 여덟 암반(만주어: ᠠᠮᠪᠠᠨ Amban)에게 가난하여 고통받을 여러 나라를 돌보라는 천명을 받았다는 명분으로 겅기연 한(英明えいめいあせ, 만주어: ᡤᡝᠩᡤᡳᠶᡝᠨ
ᡥᠠᠨ
Genggiyen Han)으로 추대됐다. 그 사이에 삼대정은 거의 해결되었고, 명나라는 누르가치에 위기감을 느끼기 시작했고, 해서여진의 강력한 여허부를 지지함으로써 누르가치의 대항마로 삼으려 했다.

1618년 4월, 누르가치는 "7가지 큰 원한(칠대한)"이라는 격문을 발표하고 명나라에 선전포고를 했다. 이 문서에는 명나라가 여허에 가담하여 여진국을 공격한 것, 조부 기오창가와 아버지 탁시가 명군에게 사살당한 것 등이 적혀 있다.

이 무렵, 누르가치는 사위인 엉거더리 타이지와 사하랸에게 금나라 황제들의 전례를 언급한 것을 계기로 아골타천조제의 거란을 공격한 것과 자신의 대명전쟁을 동일시 하고, 금나라의 황제를 '우리'라고 부르는 등 금나라와의 동질성을 강조하면서 자신의 나라도 '아이신 구룬'(금나라)으로 부르기 시작했다.

사르후 전투

[편집]

1619년 3월 명나라는 여허부(赫部)와 조선에 원군을 요청하여 47만에 이르는 여진 토벌군을 결성하고 이듬해 무순에서 가까운 사르후(薩爾滸, Sarhū)에서 10만여 명이라 칭하는 만주의 군대과 격돌했다.[22] 수적으로 불리한 여진이었지만, 공을 탐한 명나라 장군 두송이 후속 부대를 기다리지 않고 성급하게 공격을 했기 때문에 각개 격파할 수 있었다(사르후 전투). 강홍립이 이끄는 조선군도 부차 전투에서 포위되어 김응하가 전사하고, 곧 항복하게 된다. 사르후에서 명군에 큰 타격을 준 누르하치는 후원자를 잃은 예허부를 습격하여, 복속함으로써 흑룡강 일대의 야인여진들을 제외한 여진족을 통일했다.

영원성 전투

[편집]

1621년(천명 4년), 기세가 오른 누르가치는 심양, 요양을 잇따라 함락시켰고 1625년 요양 옆의 심양으로 천도했다. 이 때 금의 세력권은 요동 전역에 미쳤다. 1626년(천명 9년), 연전연승하던 누르가치는 명나라의 본토를 공격하기 위해 산해관을 함락시키려고 했다. 그런데 그 앞에 있는 영원성[23]에서 장군 원숭환이 포르투갈에서 수입한 홍이포를 대량으로 거취하고 금군을 맞이했다. 홍이포의 위력에 금군은 패배하고, 퇴각했다. 영원성 전투로 정신적으로 충격을 받았다.

사망

[편집]

영원성 전투 이후 누르가치는 몽골의 칼카 원정을 떠났고, 또 코르친과 동맹을 맺었다. 그렇기에 근대의 역사학자들도 누르가치가 영원성 전투에서 전사했다는 주장을 하나같이 믿지 못할 견해로 본다. 영원성 전투에서 포탄으로 인해 사망한 것은 누르가치의 아들이나 비왕으로 기록될 뿐이다. 원숭환은 "누르가치가 영원의 패전을 수치로 여겨 이로 인한 화로 종기가 생겼다"고 말한 바 있다. 팽손이 또한 《산중문견록》에 "건주국한의 등에 종기가 생겼다"라고 기록했다. 따라서 누르가치의 사망은 종기가 돋는 피부병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같은 맥락에서 청하에서 온천욕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종기가 발병한 원인이 영원성 전투에서의 포격에 의해 다친 옛 상처가 재발한 것일 가능성이 있다.[9] 누르가치는 후계자로 지명하지 않고 팔기버이러들이 공동으로 협의하여 국가를 통치하라는 말을 유언으로 남기고 사망했다. 누르가치의 8남 홍 타이지는 자신과 함께 후금의 최고 권력자였던 다이샨, 아민, 망굴타이의 양해를 받아 의 지위를 계승했다.[24] 누르가치는 복릉(ぶくりょう, 만주어: ᡥᡡᡨᡠᡵᡳᠩᡤᠠ
ᠮᡠᠩᡤᠠᠨ
Hūturingga Munggan)에 안장됐다.

가족

[편집]

조부모와 부모

[편집]
  • 조부: 경조 익황제(けい つばさ皇帝こうてい) 각창안(さとしあきらやす)
  • 조모: 익황후(つばさ皇后こうごう)
  • 부친: 현조 선황제(あらわ せん皇帝こうてい) 탑극세(とうかつ)
  • 모친: 선황후(せん皇后こうごう) 희탑랍씨(とう臘氏)

정후

[편집]

정실

[편집]
봉호 시호 이름(성씨) 재위년도 생몰년도 국구(장인, 장모) 별칭 비고
적복진
(嫡福すすむ)

원비
(もと)
동가 합합납찰청/퉁기야 하하나자칭
(佟佳 哈哈おさめ扎靑)
1560년 ~ 1592년 동가 탑본파안
(佟佳 とうほんともえ晏)
[25]
계복진
(つぎぶくすすむ)

계비
(つぎ)
부찰 곤대/푸차 군다이
(とみ察 袞代)
1616년 ~ 1620년 ? ~ 1620년 부찰 망새두제호
(とみ察 莽塞もりしょ祜)
[26]

황후(추존)

[편집]
봉호 시호 이름(성씨) 재위년도 생몰년도 국구(장인/장모) 별칭 비고
대복진
(大福だいふくすすむ)

대비
(だい)
효자고황후
(こう慈高皇后こうごう)
엽혁나랍 맹고저저/예허나라 멍고저저
(赫那ひしげ はじめかたあねあね)
(추존) 1575년 ~ 1603년 엽혁나랍 양길노
(赫那ひしげ 楊吉砮)
[27] [28]
대복진
(大福だいふくすすむ)

대비
(だい)
효열무황후
(こうれつたけ皇后こうごう)
오랍나랍 아파해/울라나라 아바하이
(がらす喇那ひしげ おもねともえ)
(1620년 ~ 1626년)
<대비>
1590년 ~ 1626년 오라나랍 만태
(がらす喇那ひしげ 滿まんやすし)
도도호
(みやこまもる)
[29]

측실(후궁)

[편집]

측비(측복진)

[편집]
봉호 이름(성씨) 생몰년도 별칭 비고
태비(ふとし) 보르지기트 하오샨/박이제길특 호선
(ひろしなんじずみきちとく ひろしぜん)
? ~ 1655년 [30]
측비(がわ) 이르건기오로 라이/이이근각라 뢰
(なんじさとし よりゆき)
측비(がわ) 예허나라 추오치/엽혁나랍 작기
(赫納喇 綽奇)
효자고황후의 동생.
측비(がわ) 보르지기트 씨
(ひろしなんじずみきちとく)
? ~ 1643년
측비(がわ) 합달납라 아민철철/하다나라 아민저저
(哈達おさめおもねさとあきらあきら)

서비(서복진)

[편집]
봉호 이름(성씨) 생몰년도 별칭 비고
서비(庶妃) 조가 씨
(ちょうけい)
서비(庶妃) 니오후루 씨
(ひも祜祿)
1566년 ~ ?
서비(庶妃) 가목호각라 진가
(よしみきよし瑚覺 しん哥)
서비(庶妃) 시린기오로 씨
(西林にしばやしさとし)
? ~ 1646년
서비(庶妃) 이르건기오로 씨
(なんじさとし)
서비(庶妃) 아제근 / 아지건
(おもねすみ)
? ~ 1626년 천명제 사후 순장됨.
낙비(らく) 이혜하
(めぐみかすみ)
회족 출신.
서비(庶妃) 덕인택 / 더인저
(とくいんさわ)
? ~ 1626년 천명제 사후 순장됨.

황자

[편집]
- 봉호 시호 이름 별칭 생몰년도 생모 자식 비고
장남 다라광략패륵
(ひろりゃくかい勒)
아이신기오로 추연
(あいしんさとし 褚英
/애신각라 저영)
[31] 1580년 ~ 1615년 원비
동가 씨
3남 1녀 [32]
차남 화석예친왕
(かずせきれい親王しんのう)
열(れつ) 아이신기오로 다이샨
(あいしんさとし だいぜん
/애신각라 대선)
[33] 1583년 ~ 1648년 원비
동가 씨
8남
3남 진국공
(鎭國こう)
근민(つとむさとし) 아이신기오로 아바이
(あいしんさとし おもねはい
/애신각라 아배)
[34] 1585년 ~ 1648년 서비
조가씨
7남
4남 삼등진국장군
(さんとう鎭國將軍しょうぐん)
극결(かつきよし) 아이신기오로 탕구다이
(あいしんさとし 古代こだい
/애신각라 탕고대)
[35] 1585년 ~ 1640년 서비
뉴호록 씨
2남 [36]
5남 이혁패륵
(やめかわかい勒)
아이신기오로 망굴타이
(あいしんさとし 莽古しかやすし
/애신각라 망고이태)
[37] 1587년 ~ 1633년 계비
부찰 씨
9남 [38]
6남 보국공
(輔國こう)
각후(愨厚) 아이신기오로 타바이
(あいしんさとし とうはい
/애신각라 탑배)
[39] 1589년 ~ 1639년 서비
뉴호록 씨
8남
7남 화석요여친왕
(かずせきにょうあまり親王しんのう)
민(さとし) 아이신기오로 아바타이
(あいしんさとし おもねともえやすし
/애신각라 아파태)
[40] 1589년 ~ 1646년 측비
이이근각라 씨
5남 4녀
8남 패륵(かい勒) 아이신기오로 홍타이지
(あいしんさとし すめらぎ太極たいきょく
/애신각라 황태극)
1592년 ~ 1643년 효자고황후
엽혁나랍씨
11남 14녀 제2대 황제 숭덕제(たかしとくみかど).
9남 진국공
(鎭國こう)
각희(つとむ僖) 아이신기오로 바부타이
(あいしんさとし ともみぬのやすし
/애신각라 파포태)
[41] 1592년 ~ 1655년 서비
가목호각라씨
3남
10남 이혁패륵
(やめかわかい勒)
아이신기오로 더걸러이
(あいしんさとし いさおかくるい
/애신각라 덕격류)
[42] 1592년 ~ 1635년 계비
부찰 씨
3남 [38]
11남 이혁진국장군
(やめかわ鎭國將軍しょうぐん)
아이신기오로 바부하이
(あいしんさとし ともみぬのかい
/애신각라 파포해)
[43] 1596년 ~ 1643년 서비
가목호각라 씨
1남 [38]
12남 이혁영친왕
(やめかわえい親王しんのう)
아이신기오로 아지거
(あいしんさとし おもねすみかく
/애신각라 아제격)
[44] 1605년 ~ 1651년 효열무황후
오랍나랍 씨
12남 [38]
13남 보국공
(輔國こう)
개직(かいじき) 아이신기오로 라임부
(あいしんさとし よりゆき慕布
/애신각라 뇌모포)
[45] 1611년 ~ 1646년 서비
서림각라 씨
1남
14남 화석예친왕
(かずせき睿親おう)
충(ただし) 아이신기오로 도르곤
(あいしんさとし なんじ
/애신각라 다이곤)
[46] 1612년 ~ 1650년 효열무황후
오랍나랍 씨
1녀 [47]
15남 화석예친왕
(かずせき親王しんのう)
통(つう) 아이신기오로 도도
(あいしんさとし
/애신각라 다탁)
[48] 1614년 ~ 1649년 효열무황후
오랍나랍 씨
8남
16남 홍대자
(べにたい)
아이신기오로 피양구
(あいしんさとし あげはて
/애신각라 비양과)
1620년 ~ 1640년 4남 2녀

황녀

[편집]
- 봉호 이름 생몰년도 생모 부마 별칭 비고
장녀 단장고륜공주
(はしそうかたりん公主こうしゅ)
눈철
(嫩哲)
1578년 ~ 1652년 원비 동가 씨 삼등용근온순공
(さんとういさむつとむ溫順おんじゅんこう)
동고 호호리
(ただしなんかずあや)
[49]
차녀 화석공주
(かずせき公主こうしゅ)
안철
(かおあきら)
1587년 ~ 1646년 측비 이이근각라 씨 바투로이라거
(ともえ魯伊ひしげ喀)

삼등자
(さんとう)
구어라라 다르한
(かくからま いたるなんじかん)
[50]
3녀 공주(公主こうしゅ) 망고제
(莽古ずみ)
1590년 ~ 1635년 계비 부찰 씨 하다나라 우르구다이
(哈達ひしげ なんじ古代こだい)

다라군왕
(ぐんおう)
박이제길특 쇄락목두릉
(ひろしなんじずみきちとく 瑣諾もり棱)
[51] [52]
4녀 화석공주
(かずせき公主こうしゅ)
목고십
(きよし什)
1595년 ~ 서비 가목호각라 씨 울라버일러
(がらす喇貝勒)
울라나라 부잔타이
(がらすひしげひしげ ぬのうらないやすし)

일등홍의공
(一等いっとう弘毅こうきおおやけ)
니오후루 어이두
(ぼたん祜祿 がくまた)

삼등과의공
(さんとうはてあつしおおやけ)
니오후루 툴거
(ぼたん祜祿 なんじかく)
5녀 화석공주
(かずせき公主こうしゅ)
1597년 ~ 1613년 서비 가목호각라 씨 니오후루 다치
(ぼたん祜祿 たちけい)
[53]
6녀 화석공주
(かずせき公主こうしゅ)
1600년 ~ 1646년 서비 가목호각라 씨 삼등백
(さん等伯とうはく)
여허나라 수나
(赫那ひしげ おさむ)
[54]
7녀 향군품급
(鄕君ひんきゅう)
1604년 ~ 1685년 측비 이이근각라 씨 나라 어차이
(おさめ喇 鄂札)
요절함.
8녀 화석공주
(かずせき公主こうしゅ)
송고도
(まついにしえ)
1612년 ~ 1646년 측비 엽혁나랍 씨 일등민양공
(一等いっとうさとじょうおおやけ)
보르지기트 구르보시
(ひろしなんじずみきちとく なんじぬの什)
[55] 요절함.

※수강태비를 제외한 비()는 실제로 봉작된 위호가 아닌 사칭(しょう)으로, 후금(後金あときん)의 명부(いのちおっと) 위호인 복진(계복진·측복진·서복진)을 청(きよし) 개국 후 정비된 후비(后妃こうひ) 제도에 맞춘 것이다.[56] 원비는 원배(もとはい·はつはい)임을 강조하기 위한 사칭(しょう)으로, 숭덕제의 원배 뉴호록 씨 역시 마찬가지다.

기년과 연호

[편집]
연호 사용기간 년수 비고
천명(天命てんめい) 1616년 1626년 11년

천명제가 등장한 작품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김득황, 《만주족의 언어》, 대지문화사, 1995
  2. 《han i araha jakūn gūsai manjusai mūkun hala be uheri ejehe bithe sioi》 mini taidzu han mafa taidzung han mafa abkai hese be ambarme alifi, dergi oci.
  3. まなぶさとし(1973), 42면에는, 「這裏所説しょせつてき篆文ばんしるし後金あときん天命てんめい皇帝こうていしるし事實じじつじょうあるよし當時とうじ朝鮮ちょうせんてき通事つうじばらけいこうむいにしえがく通事つうじいん此其しょ解釋かいしゃくてき後金あときん天命てんめい皇帝こうてい七個字似乎頗有問題。よし於近すう年來ねんらいざい本所ほんじょないかくだいざん䈕中曾得せいふとしふとし宗時むねときてききゅう䈕上、なおそんゆう此壹早期そうきてき滿まんぶん印璽いんじ、其滿ぶん abkai fulingga aisin gurun han i doron なな、而其字義じぎおうため天命てんめいきんこくあせしるしなみ後金あときん天命てんめい皇帝こうてい七個字之篆文番字印也。而此いちろう滿まんぶんしるしあるもと是淸これきよじん最早もはやてきいち印璽いんじ」이라는 지적이 있다.
  4. 淸史きよしてんだいいちさつふとしふとしそう、99
  5. 광해군일기》 11년 1619년 4월 19일 기사에서는 누르하치[やつ酋]의 칭호를 후금천명황제(後金あときん天命てんめい皇帝こうてい)로 번역했다.
  6. 김득황, 《만주족의 언어》, 대지문화사, 1995
  7. 阎崇ねん (2006). 《つとむ尔哈あか传·せい说清あさだいいちみかど》. 北京ぺきん出版しゅっぱんしゃ. 2권 머릿말쪽. ISBN 9787200016598. 
  8. 키타라(만주어: ᠺᡳᡨᠠᡵᠠ Kitara)라고도 한다. 《taidzu dergi hvwangdi i ben gi bithe》, hafumbuha hūwangheo kitara hala.
  9. ちんとしさき (2003년 6월 1일). 《つとむなんじ哈齊寫眞しゃしん》. 遠流おんるてい出版しゅっぱんしゃ新書しんしょかい訊. ISBN 9789573248750. 
  10. 이훈. 《만주족 이야기》. 너머북스. 29~30쪽. ISBN 9788994606514. 
  11. Crossley, Pamela Kyle (2002), 《A Translucent Mirror: History and Identity in Qing Imperial Ide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9–40쪽, ISBN 0-520-23424-3 
  12. 《만주실록》, jai fujin i hala nara. gebu kenje. hadai gurun i wan han i gaifi ujihe uksun i sargan jui.
  13. 남의현(2009), 《중국의명대 동북강역 연구성과와 문제점 분석》, 인문과학 연구.
  14. 石橋いしばしたかしゆう (2000). 《だいきよし帝国ていこく》. 講談社こうだんしゃ. ISBN 978-4062581745. 
  15. 이훈. 《만주족 이야기》. 너머북스. ISBN 9788994606514. 
  16. かしわとう おもへん, 2006, 『桓仁けんしゅうおんなこころざし』, 桓因けんしゅうおんなこころざし編纂へんさんかい, 155쪽.
  17. かみはじめあきら皇帝こうてい實錄じつろく》. 1630. はじめいのちけんしゅうえびす酋都指揮しきやつ哈赤ためとく僉事 
  18. 滿州まんしゅう實錄じつろく》. 1779. 癸巳きしねん きゅうがつ赫國ぬしぬのときおさめりんぬの祿ろく 哈達國主こくしゅこうむかくぬの祿ろく がらすひしげこくぬのうらないたい滿まんたいおとうと也】 てるはつ國主こくしゅはいおんたちまいる 嫩河こうむなんじ沁國ぬしおきなおもね岱莽あかりやす すずはく 勒察 たましゃまいるぬしひろし楞額 訥殷おもさがせ穩塞かつ什 九國兵馬會聚一處分三路而來 
  19. 선조실록》 189권, 만력 33년 7월 16일 무자 2번째 기사, ○平安へいあんへい使成允しげことぶんはせけい: "滿まんうら僉使ひろしゆうはせほう: ‘よりどころ使ごとやくかん, 歸順きじゅんえびすじんしょ, ぜんさがせといそくけんしゅう まもるえびすじん, あるある不知ふち, 而北はんえびす, 擄於ろう酋來しゃ 曰:『ゆるがせゆたか酋名おっとしゃたくいにしえ, あるしょうおっとしゃかんいにしえ, あるたんしょうたくいにしえかんいにしえ, 【たくかんおと, えびす人傳ひとづて, ある相似そうじ而然。】 としよんじゅう, からだちゅうめん暫縛, 悍勇無雙むそうあずかろうしょう酋、さととう, 尋常じんじょうどおり使つかいこうこのみ, 而以じょつましか而, たくあずかさと, ところきょ地方ちほうややちか, りょう酋原ためよんすん兄弟きょうだい, さいためおやあつ今次こんじ潼關とし, そくため來報らいほう于老酋, ろう酋使其手信人のぶと, 往問接戰せっせんがたとめ, 俘獲多寡たか, 而時かいほど。』」 僉使, 於癸年間ねんかん, はじめ聞鍾城有しろありゆるがせぞくへん, 入寇にゅうこう, 殆無やすしとし。 僉使よくともゆるがせあつし、如許、けんしゅうまもるさん酋, れんあずかいや, 訪問ほうもん於胡じん, 頗得其詳。 いまこれしょ聞, また如此則夫のりおしゃたくいにしえためゆるがせゆたか酋, ため分明ふんみょうだい槪前しょ聞, 如許酋 さとゆるがせゆたか酋 たくいにしえとう, 往在癸巳きし年間ねんかん, あいあずかはかりごと曰:「ろう赤本あかほん以無めいつねえびす之子ゆきこ崛起ため酋長しゅうちょう, ごう倂諸, 其勢ややいたり强大きょうだい我輩わがはいせき威名いめい, 羞與ため。」 不意ふいごうへいらいおさむろう酋, 於蕩めつさいろう酋得諜大おどろき, さき使精兵せいびょう, 埋伏まいふくどうはた, また於嶺がけ, しつらえ機械きかい, 以待。 而沿こうかい阻隘, てきへいとくなりれつ, 首尾しゅび如長へび, 而至ろう酋之へい, 所在しょざいいし, 兵馬へいば塡江而死しゃ, 不知ふち其數ぐんおどろきつぶせ, 先鋒せんぽう悉爲ろう酋所。 於是, さとけいおっとしゃ戰死せんしゆるがせ酋 たくいにしえ, またとりこ而來, ろう酋解ばく優待ゆうたい, 拘留こうりゅうじょうちゅう, 作爲さくいしょう酋女むこ。 ろう酋欲ため遠交近攻えんこうきんこうけい, はじめ乃遣かえたくいにしえたく雖以ころせためかん, 而其慙憤しん, ひさ而猶そんいま通信つうしん, じつためがいおや內忌。 さとつう其兄おっとしゃ, 銳意えいい報復ほうふく, いたりこんへいれんゆい。 三酋雖有鼎立之勢, 而其中老ちゅうろう酋, ため危。 いましゃたくふるためしょう酋之むこ, そうどおり締結ていけつ, 其事。 ざい防備ぼうび, 不可ふかしょうゆるがせ。’"
  20. ふとしたけ皇帝こうてい實錄じつろく》. 1636. ふとし曰: 「しか眾無ゆうわが使つかいなんじとういたり苦戰くせんわれりつ險要けんようしょさそえかれせんかれわかとき, われむかえ而敵さそえ而不らいわれとう步行ほこう四面しめん分列ぶんれつ徐徐じょじょ進攻しんこうらいへい部長ぶちょう甚多, ざつらん不一ふいつりょう此烏あい眾, 退すさちぢみまえりょうへい前進ぜんしんしゃ, 必頭也, われとうそく接戰せっせんただしきず其一とうかれへい必走。 わがへい雖少,なみりょくいちせん必勝ひっしょう矣。」 つぎ平明へいめいおこりへいよるくろへい先攻せんこうくろかわじょうしたまたおさむふとしへいいたじん於古勒山險要けんようしょあずかくろかわじょう相對そうたいれい諸王しょおう大臣だいじんとうかくりつ固山こやまへいぶんあたまあずか備。 布陣ふじんやめかんやくいちりょうへいいちひゃく挑戰ちょうせんよる黑見くろみとげおさむじょうおさむへいらいてき滿まんしゅうへいいちせんころせきゅうにんよるくろへいやや退すさゆうぬの戒、 きむたいせき及廓さんかい勒, りょうへいごうおさむいちしょぬの先入せんにゅうしょうま撞倒, ゆう滿まんしゅういちそつめいわれだん】, そくこうまえ而殺, 其兵大敗たいはいよるくろかい勒等ぬの戒被ころせみな痛哭つうこく, 一其同來貝勒等大懼, なみみなきもかく顧其へい四散しさん而走。 あかりやすおちい, 棄鞍赤身あかみからだかたころも驏馬脫出だっしゅつふとしたてへい掩殺, かばね滿まん溝渠こうきょころせいたり哈達こく釵哈寨南われくろうんしょよる結繩けつじょう攔路,ころせはいへい甚眾。 
  21. ふとしたけ皇帝こうてい實錄じつろく》. 1636. ,哈達こくはじめかわぼく鹵與よるくろ國納こくのうりんぼく祿ろくいんすき構兵,ちから不能ふのうてきはじめかわぼく鹵以三子與太祖為質乞援。 ふとしいのちえいこおつよしぶたにんりょうへいせん往助,おさめりんぼく祿ろく聞之,とげれい大明だいめい開原かいはら通事つうじ齎書あずかはじめかわぼく鹵曰: 「なんじ滿まんしゅう來援らいえんはたはさみ贖質つきころせ其兵,如此,なんじ昔日せきじつしょほっおんなわれそくあずかこれためつまこく仍舊和好かずよし。」 はじめかわぼく鹵依ごとやくよる黑人こくじん於開ばられいつま往議。ふとし聞之,きゅうがつはつへいせい哈達。ふとしおとうときび哈奇かい勒曰:「れいわがため先鋒せんぽうためしわかなに?」ふとしいのちりょうへいいちせん前進ぜんしんくだりいたり哈達こく,哈達へい出城でしろこばめこれきび哈奇按兵不戰ふせんむかいふとし曰:「ゆうへい出城でしろむかえてき。」ふとし曰:「此來あにため城中じょうちゅう備耶?」いかかつきび哈奇かい勒曰:「なんじへい向後こうご!」そくよく前進ぜんしんとききび哈奇かい勒兵なお阻路,とげにょうじょう而行,城上じょうかみはつぐん中傷ちゅうしょうしゃ甚多。いたりはつななにちおさむとく其城。ゆう大臣だいじん楊古さとせいとりこはじめかわぼく來報らいほうふとし曰:「勿殺」, 召至ぜん跪見畢,ふとし以己てんぼう及豹褂賜而養。 哈達こく所屬しょぞくしろつき招服,其軍器械きかい民間みんかん財物ざいぶつ父母ちちはは妻子さいし,俱秋毫無はんつきおさむ其國而回。此哈たちこくとげほろびきさきふとしよく以女莽姑ひめあずかはじめかわぼく鹵為つまかえ其國,てきはじめかわぼく鹵私どおり嬪御,またあずかつよしぶた通謀つうぼうよく篡位, こと泄,はたはじめかわぼく鹵、つよしぶたあずかどおりかんおんな俱伏誅。 
  22. 10만여 명이라고 했지만, 실제 수는 그 절반이었다고 한다.
  23. 현재의 흥행성 현성
  24. 이훈. 《만주족 이야기》. 너머북스. 167쪽. ISBN 9788994606514. 
  25. 천명제의 첫 정실부인. 후금 건국 전 사망.
    황후로 추봉하지 않음.
  26. 황후로 추봉하지 않음.
  27. 효자무황후(こう慈武皇后こうごう)
  28. 후금 건국 전에 사망함. 숭덕제 즉위 후에 황후로 추존됨.
  29. 천명제의 정실이나 천명제 사후 순장을 강요 당하여 순장됨.
  30. 황증조수강태비(すめらぎ曾祖そうそことぶきかんふとし)
  31. 홍파도로(ひろしともえ魯)/아이합도토문(おもねしか哈圖土門どもん)/광략태자(こうりゃく太子たいし)
  32. 초봉은 태자이고, 후에 패륵으로 강등.
  33. 고영파도로(えいともえ魯)/대패륵(大貝おおがい勒)
  34. 이등진국장군(とう鎭國將軍しょうぐん)
  35. 삼등매륵장경(三等梅勒章京)
  36. 역모 죄를 지어 종실에 축출당하나 사후에 복원됨.
  37. 다라패륵(かい勒)
  38. 후에 봉호 추탈.
  39. 삼등진국장군(さんとう鎭國將軍しょうぐん)
  40. 다라요여패륵(にょうあまりかい勒)/다라요여군왕(にょうあまりぐんおう)
  41. 일등진국장군(一等いっとう鎭國將軍しょうぐん)/보국공(輔國こう)
  42. 화석패륵(かずせきかい勒)
  43. 진국장군(鎭國將軍しょうぐん)
  44. 다라패륵(かい勒)/다라무영군왕(羅武ラブえいぐんおう)/화석영친왕(かずせきえい親王しんのう)
  45. 봉은장군(たてまつおん將軍しょうぐん)
  46. 황부섭정왕(すめらぎちち攝政せっしょうおう)/성종의황제(なり宗義しゅうぎ皇帝こうてい)
  47. 숭덕제 사후에 순치제의 섭정왕이 되며, 사후 황제로 추존되나 역모로 인하여 추탈됨. 후에 예친왕으로 복원됨.
  48. 다라예군왕(ぐんおう)/화석덕예친왕(碩德せきとく親王しんのう)/보정숙덕예친왕(輔政叔德親王しんのう)
  49. 문철(ぶんあきら)/동과격격(ひがしはてかくかく)/동과공주(ひがしはて公主こうしゅ)
  50. 눈철격격(嫩哲かくかく)/첨하격격(沾河かくかく)/첨하공주(沾河公主こうしゅ)
  51. 합달격격(哈達かくかく)/합달공주(哈達公主こうしゅ)
  52. 역모 혐의로 인하여 폐서인됨.
  53. 격격(かくかく)
  54. 격격(かくかく)
  55. 송국탁(松國まつくにたく)/총고륜(さとしりん)
  56. 清史きよし稿こう.后妃こうひでんじょ》:“ふとしはつおこり草創そうそう闊略,宫闈ゆうごうただし循國俗稱ぞくしょうぶくすすむ’。ぶくすすむ盖‘あつしうたておとじゅつ后妃こうひきさき()にんえんかざりめい當時とうじほんしょう也。”

외부 링크

[편집]
전임
(건국)
제1대 청나라의 황제
1616년 ~ 1626년
후임
숭덕제
전임
(건국)
제1대 후금의 가한
1616년 ~ 1626년
후임
천총 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