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태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완안아골타에서 넘어옴)

금 태조
きむ ふとし
제1대 대금 황제
재위 1115년 1월 28일 ~ 1123년 9월 19일
즉위식 수국(おさむこく) 원년 1월 1일
(1115년 1월 28일)
후임 태종(ふとしむね)
여진족 추장
재위 1113년 ~ 1115년 1월 28일
전임 완안오아속(かんがおがらすみやびたば)
이름
한풍 이름은 완안민(かんがお みん)
여진 이름은 완안아구다(かんがお おもねほね)
묘호 태조(ふとし)
시호 응건흥운소덕정공인명장효대성무원황제
(おういぬいきょううん昭德あきのりていこう仁明にんみょうそうこう大聖たいせいたけもと皇帝こうてい)
존호 대성황제(大聖たいせい皇帝こうてい)
능호 예릉(睿陵)
연호 수국(おさむこく) 1115년 ~ 1116년
천보(てん輔) 1117년 ~ 1123년
신상정보
출생일 함옹(咸雍) 4년 7월 1일
(1068년 8월 1일)
사망일 천보(てん輔) 7년 8월 28일
(1123년 9월 19일)
부친 세조() 완안핵리발(かんがお劾里ばち)
모친 익간황후(つばさ皇后こうごう) 나라씨(拿懶)
배우자 성목황후(ひじりきよし皇后こうごう) 당괄씨(とうくく)
흠헌황후(欽憲皇后こうごう) 흘석렬씨(紇石れつ)
광의황후(ひかり皇后こうごう) 배만씨(裴滿)
선헌황후(せんけんじ皇后こうごう) 복산씨(ぼく)
중국 하얼빈 시내에 있는 완안 구다의 동상.

금 태조(金太きんた, 1068년 8월 1일(음력 7월 1일) ~ 1123년 9월 19일(음력 8월 28일))는 금나라의 초대 황제이다. 금 태조의 여진식 휘는 온얀 아쿠타(かんがお おもねほね, 여진어: wo-on (g)ia-an Akuta)이고, 한식 휘는 왕민(おうみん)이다. 묘호는 태조(ふとし, 여진어: /tai-su/)이고 시호는 응건흥운소덕정공인명장효대성무원황제(おういぬいきょううん昭德あきのりていこう仁明にんみょうそうこう大聖たいせいたけもと皇帝こうてい)이다. 줄여서 태조무원황제(ふとしたけもと皇帝こうてい, (여진어: /tai-su tʃao-xa un xuaŋ-di/) 혹은 무원제(たけもとみかど)이다. 생전 존호는 대성황제(大聖たいせい皇帝こうてい)다.

금사》에 따르면, 여진 문자1119년에 금태조 아쿠타 명에 의하여 완안희우(かんがおまれ于)가 만들었고, 1145년에 반포되었다고 한다.

이름[편집]

그의 성은 완안(かんがお, 여진어: /wo-on (g)ia-an/)[1]이고, 아구다라는 이름은 웨일드 자일스 표기법에 A-ku-ta로 표기되었다.[2] 대체 철자인 Akutta는 아주 적은 수의 책에서 등장한다.[3][4]

생애[편집]

아골타는 완안부의 추장 핵리발의 둘째 아들이었다. 사서에 의하면 핵리발의 시조는 고려 평주에서 살다가 여진으로 이주한 고려인 금준(いましゅん)이라고 한다. 그의 어머니는 나라(拏懶)부의 수장의 딸이었다. 이들은 함경도 근처에서 아시허로 이주하였고 1068년 헤이룽장성 하얼빈시의 아시허(おもね什河) 근처에서 태어났다고 알려져 있다.[5]

그는 그의 여진족내에서 용맹함으로 잘 알려져 있었고, 거란에 적대적인 여진족에 대항하는 수많은 전투에 참전했었다. 1109년, 광범위한 기근이 한창일 때, 아구다는 자신의 군대를 강화하기 위해 다른 여진족으로부터 그의 아버지를 도왔다. 이후 다른 여진족과 전쟁을 벌였고, 완완부의 지휘 아래 모든 생여진 부족들을 통합하는 데 성공했다. 1113년 아구다는 형 오아속의 뒤를 이어 부족의 지도자로 즉위했다.[6]

1114년 초 아구다 거란 영토에 첩자를 파견하고, 부패했다고 여긴 거란 정권에 대한 반란을 준비했다. 그의 조언자는 완안 종한(かんがお宗翰むねもと)과 완안 희윤(かんがおまれいん)이었다.[7]

여진족은 1115년 1월 28일에 스스로 금나라를 세웠고, 황제가 된 아구다는 여세를 몰아 요동 지역의 황룡부(りゅう)를 멸망시켰다. 당시 요나라의 황제인 천조제(てん祚帝) 야율연희(耶律のべ禧)는 자칭 70만의 대군을 편성하여 금나라를 공격했으나 도리어 대패를 당했다.

그는 요나라를 물리치고 요동으로 진출했다. 금나라는 송나라요나라를 공격하자는 동맹을 맺었다(해상의 맹).

1120년 요나라의 수도인 상경 임황부(上京じょうきょう臨潢), 1121년말에는 중경 대정부(中京ちゅうきょうだい定府じょうふ)를 함락했다. 강남에서 일어난 방랍의 난으로 인해 그해에 겨우 북송은 북방에 출병하여 요나라의 천조제가 있는 연경을 공격했다. 송나라 군대는 요군에 연패를 당하고, 성과를 올릴 수 없자 송군의 지휘관 동관은 금에 원군을 요청하고 송나라는 금나라에 조공을 바치는 해상의 맹을 약속한다. 금나라는 장성 이남에 출병하지 않기로 약속하였지만 출병하여 연경을 함락시켰다. 이 결과 맹약대로 연운16주 중 연경 이남의 6주는 송나라에 할양되었지만, 금군은 연운 이북을 약탈하고 연운 16주의 백성들도 금나라로 이주시켰다. 하지만 금나라는 송나라의 이남 6주 또한 정복하였고 한족들을 유린하였다.

그 때문에 이곳에서는 세수를 징수할 수 없는 상태에 빠졌다. 또한 금은 연경 출병의 대가로 은 20만냥, 비단 30만 필, 전 100만관, 군량 20만석을 요구했고, 북송은 이것을 거부할 수 없이 금나라에 조공하였다.

1123년 9월 19일에 병에 걸려서 회령부로 가던 중에 객사했다. 후사는 금 태종이 계승하였다. 이후 금나라는 북송을 유린하여 멸망시킨다

가족 관계[편집]

조부모와 부모[편집]

  • 조부 : 경조(けい) 혜환황제(めぐみ皇帝こうてい) 완안 오고내(かんがお がらす迺)
  • 조모 : 소숙황후(あきら皇后こうごう) 당괄씨(とうくく)
  • 부친 : 세조() 성숙황제(せい皇帝こうてい) 완안 핵리발(かんがお 劾里ばち)
  • 모친 : 익간황후(つばさ皇后こうごう) 나라씨(拿懶)

황후[편집]

봉호 시호 이름(성씨) 별칭 재위년도 생몰년도 국구(장인/장모) 능묘 비고
정실(正室せいしつ) 성목황후(ひじりきよし皇后こうごう) 당괄씨(とうくく) (추존) 영국공(さかえこくおおやけ)
당괄 유속(とうくく とめそく)
[8]
황후(皇后こうごう) 흠헌황후(欽憲皇后こうごう) 흘석렬씨(紇石れつ) [9] ? ~ 1123년 ? ~ 1136년 예릉(睿陵)
비() 광의황후(ひかり皇后こうごう) 배만씨(裴滿) (추존) [10]
덕비(とく) 선헌황후(せんけんじ皇后こうごう) 복산씨(ぼく) (추존) [11]

후궁[편집]

봉호 이름(성씨) 별칭 생몰년도 비고
원비(もと) 오고론씨(がらすいにしえろん)
숭비(たかし) 소씨(しょう) 태비(ふとし) ? ~ 1150년
낭자(むすめ) 독노가(どくやつ)

황자[편집]

- 봉호 시호 이름 생몰년도 생모 별칭 비고
1 양송국왕
(りょうそう國王こくおう)
완안 알본(かんがお 斡本)
완안 종간(かんがお そうみき)
? ~ 1141년 광의황후 배만씨 [12] [13]
2 송왕(そうおう) 환숙(桓肅) 완안 알로보(かんがお 斡魯)
완안 종망(かんがお そうのぞむ)
? ~ 1127년 흠헌황후 흘석렬씨 [14]
3 국왕(國王こくおう) 완안 승과(かんがお なわはて)
완안 종준(かんがお そうたかし)
? ~ 1124년 성목황후 당괄씨 [15]
4 허왕(もとおう) 양목(じょうきよし) 완안 와리타(かんがお なまりさと朶)
완안 종요(かんがお むね堯)
1096년 ~ 1135년 선헌황후 복산씨 [16] [17]
5 심왕(沈王) 충렬(ただしれつ) 완안 올출(かんがお 兀朮)
완안 종필(かんがお むね弼)
? ~ 1148년 원비 오고론씨 [18]
6 연왕(兗王) 완안 와로관(かんがお なまり魯觀)
완안 종준(かんがお むね雋)
? ~ 1139년 흠헌황후 흘석렬씨 [19]
7 풍왕(ゆたかおう) 완안 오열(かんがお がらすれつ)
완안 종조(かんがお むねあさ)
성목황후 당괄씨
8 위왕(まもるおう) 완안 아로(かんがお おもね魯)
완안 종강(かんがお そうつよし)
? ~ 1142년 원비 오고론씨 [20]
9 조왕(曹王) 완안 아로보(かんがお おもね魯補)
완안 종민(かんがお そうさとし)
? ~ 1150년 원비 오고론씨 [21] [22]
10 조왕(ちょうおう) 효도(こう悼) 완안 몰리야(かんがお ぼつ里野さとの)
완안 종걸(かんがお そうすぐる)
? ~ 1127년 성목황후 당괄씨 [23]
11 기왕(おう) 완안 습니렬(かんがお 習泥れつ) 숭비 소씨
12 식왕(いきおう) 완안 영길(かんがお やすしきち) 숭비 소씨
13 심왕(瀋王) 완안 와로(かんがお なまり魯) 흠헌황후 흘석렬씨
14 빈왕(豳王) 완안 와로타(かんがお なまり魯朶) 선헌황후 복산씨
15 거왕(莒王) 완안 연손(かんがお つばめまご) 숭비 소씨
16 업왕(鄴王) 완안 알홀(かんがお 斡忽) 낭자 독노가

황녀[편집]

- 봉호 이름 생몰년도 생모 부마 별칭 비고
1 공주(公主こうしゅ) 완안 올로(かんがお 兀魯) ? ~ 1152년 도단 정가(たん てい哥)
양진충왕(りょうすすむちゅうおう)
도단 공(たん きょう)
2 필국공주(畢國公主こうしゅ) 오고론 와론(がらすいにしえろん なまりろん)
3 공주(公主こうしゅ) 포찰 석가노(がませきやつ)

기년[편집]

태조 원년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11년
서력
(西曆せいれき)
1113년 1114년 1115년 1116년 1117년 1118년 1119년 1120년 1121년 1122년 1123년
간지
(干支えと)
계사(癸巳きし) 갑오(きのえうま) 을미(乙未おとみ) 병신(へいさる) 정유(ちょうとり) 무술(つちのえいぬ) 기해(おのれ) 경자(かのえ) 신축(からしうし) 임인(みずのえとら) 계묘(みずのと)
연호
(年號ねんごう)
- - 수국(おさむこく)
원년
2년 천보(てん輔)
원년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참고 문헌[편집]

각주[편집]

  1. きむ启孮,《おんなぶん辞典じてん》,文物ぶんぶつ出版しゅっぱんしゃ, 1984, 132쪽
  2. And, thus, appears in this form in more old-fashioned literature in English, e.g. Herbert Franke's account in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3. Chi-ming Tung, Jiming Dong, An outline history of China, p. 144
  4. Institute of Linguistics,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The Contemporary Chinese Dictionary: Chinese-English Edition》. ISBN 978-7-5600-3195-8. 
  5. 苏金げん, 论完颜阿こつてき政治せいじ、经济改革かいかく Archived 2020년 10월 20일 - 웨이백 머신, p. 1.
  6. Herbert Franke and Hok-lam Chan, "Studies on the Jurchens and the Chin Dynasty", Variorum Collected Series Studies: CS591, Ashgate, 1997, pp.153-154.
  7. Herbert Franke and Hok-lam Chan, "Studies on the Jurchens and the Chin Dynasty", Variorum Collected Series Studies: CS591, Ashgate, 1997, pp.154.
  8. 금나라 건국 전에 사망.
    희종이 즉위하면서 황후로 추존.
  9. 태황태후(太皇太后たいこうたいこう)/경원궁태후(けい元宮もとみやふとしきさき)
  10. 해릉왕이 즉위하면서 황후로 추존.
  11. 세종이 즉위하면서 황후로 추존.
  12. 요충렬왕(りょうちゅうれつおう)
  13. 금나라 제4대 황제 해릉왕(うみりょうおう)의 아버지.
  14. 위왕(おう)/허왕(もとおう)/진왕(すすむおう)/요연국왕(りょうつばめ國王こくおう)
  15. 금나라 제3대 황제 희종(熙宗)의 아버지.
  16. 노왕(潞王)/기왕(冀王)
  17. 제5대 황제 세종(むね)의 아버지.
  18. 월왕(えつおう)
  19. 진왕(ひねおう)
  20. 기왕(おう)
  21. 촉왕(しょくおう)
  22. 해릉왕의 의해 암살당함.
  23. 월왕(えつおう)

외부 링크[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금 태조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전 대
(초대)
제1대 황제
1115년~1123년
후 대
금 태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