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정 (시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정 (시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은 동아시아 군주의 칭호에 쓰이는 글자다. 시법에는 한국 한자음이 같은 여섯 가지 한자(ちょう, じょう, ただし, やすし, さだ, せい)가 있다.

ちょう

[편집]

《일주서》 〈시법해〉에서는 술선불극(じゅつぜんかつ), 술의불제(じゅつよし悌), 미이부제(迷而悌)를 일컫는다 했다.

[편집]

이하의 칭호는 시호가 아니다.

  • (そう) 정공 자신(さる)
  • (ひとし) 정공 강급(きょう伋)

じょう

[편집]

《일주서》 〈시법해〉에서는 대려정민(だいおもんばかしずかみん), 안민대려(やすみんだいおもんばか), 안민법고(やす民法みんぽういにしえ), 순행불상(じゅんくだり爽), 순행불이(じゅんぎょう不二ふじ), 추보전과(ついぜん), 인능일중(ひとしのういちしゅ), 사성무공(嗣成武功ぶこう), 천행불상(踐行爽), 심우사정(しん事情じじょう), 덕조순고(德操とくそうじゅんかた), 이로정국(以勞定國さだくに), 극수방가(かつ綏邦), 정정무위(しずかただし無爲むい), 대응자인(だいおう慈仁), 의안중외(よし安中あんなかがい), 진정수도(鎭靜ちんせいもり)을 일컫는다 했다.

묘호

[편집]

[편집]
  • 발해(渤海) 정왕 대원유(大元おおもと瑜)
  • (しゅう) 정왕 희유(ひめ瑜)
  • 전한(前漢ぜんかん) 장사정왕(ちょうすなじょうおう) 유발(りゅうはつ)
  • 남당(みなみとう) 초정왕(すわえじょうおう) 이경천(けい遷)
  • (あきら) 주정왕(しゅうじょうおう) 주숙(しゅ橚)
  • 명(あきら) 당정왕(からじょうおう) 주경(しゅ桱)

[편집]
  • (魯) 정공 희송(ひめそう)
  • (まもる) 정공 희장(ひめ臧)
  • (てい) 정공 희녕(ひめやすし)
  • (すすむ) 정공 희오(ひめうま)
  • 유(りゅう) 정공 희하(ひめなつ)
  • (邾) 정공 조확조(曹貜且)
  • (滕) 정공

[편집]
  • 선위정후(せんじょうこう) 장수

ただし

[편집]

《일주서》 〈시법해〉에서는 내외빈복(內外賓がいひんふく), 대여극취(だいおもんばかかつ就), 내외용정(內外ようじょう), 청백수결(淸白すずしろもりきよし), 도국망사(こく忘死), 내외무회(內外ふところ), 직도불요(直道なおみち不撓ふとう), 정공기위(やすしきょう其位), 기의불특(其儀忒), 정상제숙(せい爽齊肅), 성심격비(誠心せいしんかく), 장이솔하(そう以率), 식사거피(いきよこしま詎詖), 주극극단(おもごくかつはし), 만기취리(まんいく就理), 숙신지궁(よしまき躬), 단형식화(はし型式けいしき), 심무편곡(こころへんきょく), 수도불이(守道もちうつり)을 일컫는다 했다.

묘호

[편집]
  • 조선(朝鮮ちょうせん) 정조(せい) 이성(祘)

[편집]
  • 후한(こうかん) 절향정후(ふし鄕正こう) 조희

やすし

[편집]

《일주서》 〈시법해〉에서는 유덕안중(やわらとくやすしゅ), 공기선언(きょうおのれ善言ぜんげん), 관락영종(ひろしらくれいおわり), 유덕교중(やわらとくきょうしゅ), 유직고종(やわらちょくこうおわり), 허기선언(きょおのれ鮮言), 집희유밀(緝熙なだめみつ), 식전안민(式典しきてんやすみん), 인경선언(じんけい鮮言), 신이처위(まき以處), 정형불요(せいけい擾), 강기숙포(綱紀こうき肅布), 후덕안정(あつとく安貞やすさだ), 율신공간(りつきょう簡), 이덕안중(以德やすしゅ)을 일컫는다 했다.

묘호

[편집]
  • 고려(高麗こうらい) 정종 왕형(おうとおる)

[편집]
  • 전한(前漢ぜんかん) 중산정왕(中山なかやまやすしおう) 유승(りゅうまさる)
  • 전한(前漢ぜんかん) 장사정왕(ちょうすなやすしおう) 오저(ちょ)
  • 북위(きたたかし) 안정정왕(安定あんていやすしおう) 원휴(もときゅう)

[편집]

[편집]
  • 진 정후
  • 전한(前漢ぜんかん) 개정후(盖靖こう) 왕신
  • 전한 귀덕정후 선현전(연제선현전)
  • 전한 평양정후 조줄
  • 북위(きたたかし) 고안정후(かたあんやすしこう) 노민(さとし)

さだ

[편집]

《일주서》 〈시법해〉에서는 청백수절(淸白すずしろもりぶし), 대려극취(だいおもんばかかつ就), 대헌극취(だいけんかつ就), 불은무굴(かくれこごめ), 외내용정(そと內用じょう), 우국망사(憂國ゆうこく忘死), 내외무회(內外ふところ), 충도불요(忠道ちゅうどう擾), 보절양명(ぶしあげめい), 이정중궤(くつ正中せいちゅう饋), 수교난범(まもりきょうなんはん), 유간전일(かそけあいだせんいち), 항덕종일(つねとくしたがえいち), 직도불요(直道なおみち不撓ふとう), 명실불상(名實めいじつ爽), 사군무시(ことくん猜), 덕성정고(德性とくせいただしかた), 솔의호수(りつよしこうおさむ), 덕신정주(とく信正のぶまさしゅう)을 일컫는다 했다.

[편집]

[편집]
  • 괴성정후(蒯城さだこう) 주설
  • 유양정후(洧陽さだこう) 곽가
  • 양곡정후(きょくさだこう) 곽회
  • 진양정후(さだこう) 서선

せい

[편집]

《일주서》 〈시법해〉에서는 유덕고중(やわらとくこうしゅ), 공이선언(きょうやめ鮮言), 관락영종(ひろしらくれいおわり)을 일컫는다 했다.

황제

[편집]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