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부산 충렬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부산 충렬사

(충렬사 (부산)에서 넘어옴)

충렬사
(ただしれつほこら)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유형문화재
충렬사
종목유형문화재 제7호
(1972년 6월 26일 지정)
면적보호구역 25,048m2[1]
수량5동
소유부산광역시
관리충렬사관리사무소
참고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서원
위치
주소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 345 (안락동, 충렬사)
좌표북위 35° 12′ 02.7″ 동경 129° 05′ 46.5″ / 북위 35.200750° 동경 129.096250°  / 35.200750; 129.096250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충렬사 기념탑

충렬사(ただしれつほこら)는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는 송상현을 모신 사당(서원)이다. 1972년 6월 26일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7호로 지욕

  • 선조 38년 (1605) 동래부사 윤훤(いん暄)이 읍성의 남문 안에다 충렬공 송상현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송공사단(そうこうほこらだん)을 세운 것이 충렬사의 시초가 된다.
  • 인조2년 (1624), 선위사(せん慰使) 이민구(さとしもとむ)의 소청(訴請)으로 임금이 충렬사(ただしれつほこら)라는 사액을 내림과 동시에 부산진첨절제사(釜山ぷさん鎭僉節制せっせい使)로 부산진성 싸움에서 전사한 정발이 배향(はいとおる)되었다.
  • 효종3년 (1652), 동래부사 윤문거(いんぶんきょ)가 성내의 충렬사(ただしれつほこら) 사우의 위치가 적합지 않다하여 현재의 자리인 래산(萊山) 아래 안락리로 옮겨 지으면서 규모를 확장하여 서원의 예를 따를 것으로 하여 안락서원(安樂あんらく書院しょいん)으로 불렀다. 이때 서원에 별사(べつほこら)를 지어 첨사 정발과 교수 노개방의 위패를 봉안하려고 하였으나 이루지 못하고 첨사 정발은 안락서원의 사당에 배향되었다.
  • 숙종35년(1709), 동래부사 권이진(けん以鎭)이 성내에 있던 충렬사 옛터에 별사(べつほこら)를 세우고 임란 당시 양산군수 조영규(ちょうえいけい), 동래교수 노개방(ぶたくに)을 병향하고, 유생 문덕겸(文德ふみのりけん)을 이에 배향하였으며, 별사 옆에 별채를 지어 비장(裨將) 송봉수(そうおおとりひさし), 김희수(きむのぞみことぶき), 겸인 신여로(さるなんじ), 향리 송백(そうはく), 부민 김상(きむさち)등 9인의 의사를 추향(ついとおる) 할 것과 별사의 사액을 조정에 탄원하였다.
  • 숙종37년(1711), 충렬사 별사(ただしれつほこら べつほこら)에 사액이 내리고, 별사에 9인의 의사를 추향하였다. 이때 예조참판 김진규(きむ鎭圭)가 조정에서 별사를 폐지하고 위패를 본사(ほんほこら)로 옮길 것을 청하여 임금의 윤허가 있자, 동래부사 권이진(けん以鎭)이 서원에는 문신 위주의 배향이 교육 상 바람직하니 오히려 별사에 무신인 첨사 정발을 모시고 별사에 있는 교수 노개방을 서원에 배향하는 것이 좋겠다는 상소를 올렸다.
  • 숙종 38년(1712) 부사 권이진(けん以鎭)의 상소가 가납되어 6월 22일 첨사 정발을 별사에 모시고 교수 노개방을 안락서원에 부사 송상현의 배향으로 하였다.
  • 영조11년 (1735) 경상감사 민응수(閔應洙)가 서원에 무신인 유응부(兪應まこと;사육신)의 예가 있어 순절한 자에게까지 문무관(文武ぶんぶかん)의 차별을 하는 것은 온당치 않으니 별사를 없애고 9위를 다시 래산서원(萊山書院しょいん;안락서원의 별칭)으로 옮길 것을 상소로 청하였는데, 임금이 이를 가납하면서 이듬해인 1736년 별사를 파하고 충렬사의 이름을 다시 사용토록할 것과 첨사 정발을 병향(なみとおる)토록 하였는데, 이때 순절공신 전 훈도 양조한(りょううしおかん)은 호조정랑, 양통한(はりどおりかん)은 호조좌랑에 각각 증직하고, 24공신에게도 증직하였다. 한편 부사 송상현과 첨사 정발의 첩인 김섬과 애향은 속서이열각(たば庶二れつかく)에, 기왓장을 깨고 싸웠던 두여인은 이촌녀각(二村にむらおんなかく)에 각각 모셨다. (※ 동래부사 윤문거(いんぶんきょ)가 충렬사를 안락서원으로 고쳐 부른 것을 이때 다시 충렬사의 명칭을 사용하라는 조정의 명령은 있었으나, 안락서원(安樂あんらく書院しょいん)을 파하라는 명령이 없었기 때문에 아마 사우(ほこら宇)의 명칭으로 사용될 때는 <충렬사>로 서원의 명칭으로 각각 사용되었다고 짐작된다)
  • 영조48년 (1766) 1월 14일에 행부사직 조엄이 다대첨사 윤흥신(いん興信おきのぶ)의 공적이 징비록을 비롯한 곳곳에 있음에도 동래의 충렬사에 향사되지 않은 것은 부당하다는 사실을 임금에게 호소하였다. 이에 영의정 김치인, 우의정 김상철이 역시 윤흥신의 병향(なみとおる)을 찬동하여 그해 2월 12일에 충렬사에 배향되어 충렬사 사당의 정당에는 부사 송상현과 첨사 정발이 병향(なみとおる)되고 고수 노계방, 첨사 윤흥신, 군수 조영규가 각각 배향(はいとおる) 되었다. 한편 동무에 유생 문덕겸(文德ふみのりけん), 비장(裨將) 송봉수(そうおおとりひさし) · 김희수(きむのぞみことぶき), 서무에 겸인 신여로(さるなんじ), 향리 송백(そうはく), 부민 김상(きむさち)을 각각 종향(したがえとおる)하였다
  • 고종2년 (1865), 대원군이 47개 서원 이외 전국의 모든 서원을 철폐하였으나 안락서원은 철에서 제외되었다.
  • 1976년부터 1978년까지 부산시가 현재의 충렬사를 성역화 사업을 벌렸는데, 이때 충렬사 안락서원 건물을 보존하지 못하는 아쉬움을 남겼으나, 정당(正堂せいどう)에 모두 75위의 위패를 모셨다.
  • 1991년 부산광역시에서 정철, 정린, 문택룡, 박경립, 김호의, 김사위, 박천주, 정호인, 문도명, 이춘상, 이성춘, 송용경, 정언룡 등 13공신을 합향하였고, 이어 1996년 박귀희, 구영취 두 공신과 순절공 이위 등 3위, 2003년 김망내, 2007년 이응원을 다시 합향하여 모두 탈모가 된다
  • 본전(本殿ほんでん) : 89신위(神位しんい)
  • * 수위(首位しゅい) : 3신위(神位しんい)
  • 1 동래부사 송상현(そうぞうけん 1551~1592)
  • 2 부산첨사 정 발(ていはつ 1553~1592)
  • 3 다대첨사 윤흥신(いん興信おきのぶ)
  • 욕설
  • * 배위(はい) : 16신위(神位しんい)
  • * - 서편 : 8신위
  • 1 부산진전투 무명용사
  • 2 다대진전투 무명용사,
  • 3 녹도만호 정 운,
  • 4 동래교수(ひがし敎授きょうじゅ) 노개방(ぶたくに),
  • 5 병조참판 윤흥제(いんきょうはしご),
  • 6 호조정랑 양조한,
  • 7 군자감판관 송봉수,
  • 8 예빈시주부 송백(そうはく)
  • * - 동편 : 8신위
  • 1 동래부전투 무명용사,
  • 2 부산포해전, 무명용사,
  • 3 양산군수 조영규(ちょうえいけい),
  • 4 부사맹 이정헌,
  • 5 호조좌랑 문덕겸,
  • 6 중부참봉 신여로,
  • 7 군자감판관 김희수,
  • 8 중부참봉 김 상
  • * 종위(したがえ) : 70신위
  • *- 서편 : 39위
  • ** 별전공신 24인,
    • 첨사(僉使) 김정서(きむ廷瑞) - 통정대부 병조참의
    • 절충(折衝せっしょう) 정승헌(ていうけたまわけん) - 통정대부 병조참의
    • 정(ただし) 문세휘(ぶんてる) - 통정대부 병조참의
    • 정(ただし) 정 순(てい じゅん) - 통정대부 병조참의
    • 권관(けんかん) 김일개(きむ一介かずすけ) - 통정대부 병조참의
    • 정(ただし) 김일덕(きむ一德かずのり) - 통정대부 병조참의
    • 정(ただし) 송창문(そう昌文まさふみ) - 통정대부 병조참의
    • 정(ただし) 김근우(きむゆう) - 통정대부 병조참의
    • 주부(おも簿) 이언홍(彦弘) - 통정대부 병조참의
    • 절충(折衝せっしょう) 김 달(きむ いたる) - 통정대부 병조참의
    • 정(ただし) 송남생(そうみなみせい) - 통정대부 병조참의
    • 부장(部將ぶしょう) 황보상(すめらぎはじめさち) - 통정대부 병조참의
    • 참봉(さんたてまつ) 오 홍( ひろし) - 통훈대부 장악원정
    • 판관(判官ほうがん) 김 기(きむ 琦) - 어모장군 훈련원정
    • 판관(判官ほうがん) 김 흘(きむ 屹) - 어모장군 훈련원정
    • 겸사복(兼司けんじぼく) 김대의(きむ大義たいぎ) - 어모장군 훈련원정
    • 첨정(僉正) 김 복(きむ ぶく) - 어모장군 훈련원정
    • 판관(判官ほうがん) 이응필(おう弼) - 어모장군 훈련원정
    • 부장(部將ぶしょう) 오춘수(はることぶき) - 사재감첨정
    • 관노(かんやつ) 박인수(ぼくひとしことぶき) - 군자감주부
    • 주부(おも簿) 강개련(きょうかいれん) - 사재감첨정
    • 수문장(守門すもんすすむ) 송계남(そうつぎおとこ) - 사도시첨정
    • 겸사복(兼司けんじぼく) 이 복( ぶく) - 군자감판관
    • 겸사복(兼司けんじぼく) 송의남(そう義男よしお) - 군자감판관
  • 동래부충복 철수
  • 동래부충복 만동
  • = 1991년 9월 10일 합사 선열 (13위)
    • 수문장(守門すもんすすむ) 정 철(ちょう あきら) - 시호는 충절(忠節ちゅうせつ) 병조판서에 증직
    • 부장(部將ぶしょう) 정 린(ちょう 麟) - 시호는 충숙(ちゅう肅) 병조판서에 증직
    • 교생(校生こうせい) 문택룡(文澤ぶんさわりゅう)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ちゅうすうごと)에 증직
    • 훈련원부정(訓練くんれんいんふくせい) 박경립(ほお擎立)
    • 훈련원첨정(訓練くんれんいん僉正) 김호의(きむこう)
    • 만호(まん) 김사위(かねえら)
    • 교생(校生こうせい) 박천추(ぼくたかしくるる) - 판관(判官ほうがん)에 증직
    • 교생(校生こうせい) 정호인(ていこうじん) - 호조좌랑(曹佐ろう)에 증직
    • 주부(おも簿) 문도명(ぶん道明どうみょう)
    • 직장(じきちょう) 정언룡(てい彦龍)
    • 주부(おも簿) 이성춘(しげるはる)
    • 주부(おも簿) 이춘상(はるさち)
    • 별시위(べつさむらいまもる) 송용경(そうりゅうけい) - 주부(おも簿)에 증
  • * - 동편 : 31신위
    • 수영25의용인
  • 1 임진수영의용 김옥개(みずのえたつすい義勇ぎゆう 金玉きんぎょく戒)
  • 2 임진수영의용 정인강(みずのえたつすい營義いさむ ていひとしつよし)
  • 3 임진수영의용 최송엽(みずのえたつすい營義いさむ ちぇ松葉まつば)
  • 4 임진수영의용 최수만(みずのえたつすい營義いさむ ちぇもりまん)
  • 5 임진수영의용 박기수(みずのえたつすい義勇ぎゆう ほおえだじゅ)
  • 6 임진수영의용 김팽량(みずのえたつすい義勇ぎゆう きん彭良)
  • 7 임진수영의용 박응복(みずのえたつすい義勇ぎゆう ほおおうぶく)
  • 8 임진수영의용 심 남(みずのえたつすい義勇ぎゆうみなみ)
  • 9 임진수영의용 김허농(みずのえたつすい義勇ぎゆう きんもとろう)
  • 10 임진수영의용 주난금(みずのえたつすい義勇ぎゆう しゅなんきん)
  • 11 임진수영의용 김종수(みずのえたつすい義勇ぎゆう きんしたがえもり)
  • 12 임진수영의용 김진옥(みずのえたつすい義勇ぎゆう きんちんだま)
  • 13 임진수영의용 신 복(みずのえたつすい義勇ぎゆう からし ぶく)
  • 14 임진수영의용 이희복(みずのえたつすい營義いさむ のぞみぶく)
  • 15 임진수영의용 이한손(みずのえたつすい營義いさむ あせまご)
  • 16 임진수영의용 최한련(みずのえたつすい營義いさむ ちぇあせれん)
  • 17 임진수영의용 최막내(みずのえたつすい營義いさむ ちぇ莫乃)
  • 18 임진수영의용 최밀량(みずのえたつすい營義いさむ ちぇ唜良)
  • 19 임진수영의용 김덕봉(みずのえたつすい營義いさむ きむいさおたてまつ)
  • 20 임진수영의용 김달망(みずのえたつすい義勇ぎゆう きんたちほろび)
  • 21 임진수영의용 이실정(みずのえたつすい營義いさむ じつさだ)
  • 22 임진수영의용 정수원(みずのえたつすい營義いさむ ていひさしもと)
  • 23 임진수영의용 박 재(みずのえたつすい義勇ぎゆう ほお ざい)
  • 24 임진수영의용 이 수(みずのえたつすい營義いさむ ひさし)
  • 25 임진수영의용 이은춘(みずのえたつすい營義いさむ ぎんはる)
  • 부산진충복 용 월(釜山ぷさん鎭忠ぼく りゅうがつ)
  • = 1996년 9월 10일 합사 선열 (3위)
    • 병마절제도위(兵馬へいば節制せっせいじょう) 박귀희(ぼくたかまれ) - 가선대부훈련대장(よしみ ぜん大夫たいふ訓練くんれん大將たいしょう)에 증직
    • 금군(きんぐん) 구영취(さかえわし) - 훈련원첨정(訓練くんれんいん僉正)에 증직
    • 용양위부사과(りゅう驤衛ふくつかさはて) 이위(瑋) - 통정대부좌승지(つうせい大夫たいふ ひだりうけたまわむね) 및 대사헌(だいつかさけん)에 증직
  • = 2003년 4월 24일 합사선열 (1위)
    • 부장(部將ぶしょう) 김망내(かねほろび乃)
  • = 2007년 6월 19일 합사 선열 (1위)
    • 행충찬위부장(行忠ゆきたださんまもる部將ぶしょう) 이응원(おうもと)
  • 의열각(義烈ぎれつかく) : 4신위(神位しんい)
    • 2의녀(よしおんな) : 기왓장으로 왜적에 저항하여 싸웠던 무명의 두 의녀
    • 2열녀(烈女れつじょ) : 송상현공과 정발장군을 따라 순절한 금섬(きむ蟾), 애향(愛香あいか)

소장 문화재

[편집]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부산광역시 고시 제2018-415호, 《부산광역시 지정문화재 보호구역 변경(일부 해제) 지정 고시》, 부산광역시장, 부산시보 제1856호, 2018-12-26

같이 보기

[편집]

참고 자료

[편집]
  • 충렬사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