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도
최근 수정 시각:
분류
연극에 대한 내용은 여도(연극) 문서 참고하십시오.
|
여도 | ||
과거에는 女島 로 표기했다. 섬의 지형은 서쪽은 낮고 동쪽이 높은 편이다. 최고지점은 여도산(112m)이다. 마을 또한 서쪽을 중심으로 발달하였으며, 섬 동쪽은 10m 정도 되는 높은 벼랑(해식애)이다. 1906년 건설된 등대가 있다.
제정 러시아의 탐험선이 여도 근해를 지나며 니콜스키(Nikolski) 섬이라 명명한 적도 있었다. 덕원군 현면(縣 面 )에 속하다가 1932년 원산부에 편입되었다.
1951년 전략도서 확보 작전의 일환으로 대한민국 해병대 독립 제42중대에 의해 점거되여, 국군과 유엔군에 의해 원산항이 봉쇄되었다. 1952년 7월에는 미 해군 건설단이 비상활주로를 개설하고, 당시 미 제7함대 사령관이던 R. Briscoe 제독의 이름을 딴 비상활주로 "Briscoe Field"를 건설하기도 했다.# 첩보부대 대원들의 대북 (對 北 )침투 및 공작 거점으로도 활용되다가 1953년 7월, 휴전과 함께 철수하였다.
현재 섬에는 북한의 소위 제287 대연합부대(군단급) 소속인 여도방어대가 주둔하고 있다. 2012년과 2014년에 김정은이가 다녀가기도 했다.
제정 러시아의 탐험선이 여도 근해를 지나며 니콜스키(Nikolski) 섬이라 명명한 적도 있었다. 덕원군 현면(
1951년 전략도서 확보 작전의 일환으로 대한민국 해병대 독립 제42중대에 의해 점거되여, 국군과 유엔군에 의해 원산항이 봉쇄되었다. 1952년 7월에는 미 해군 건설단이 비상활주로를 개설하고, 당시 미 제7함대 사령관이던 R. Briscoe 제독의 이름을 딴 비상활주로 "Briscoe Field"를 건설하기도 했다.# 첩보부대 대원들의 대북 (
현재 섬에는 북한의 소위 제287 대연합부대(군단급) 소속인 여도방어대가 주둔하고 있다. 2012년과 2014년에 김정은이가 다녀가기도 했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