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병아리매듭
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전통 매듭공예

병아리매듭

두벌국화매듭 양쪽에 생쪽매듭을 맺은 형태로 초보자는 조이는 과정에서 혼동하기 쉽다. 조선시대 때는 병아리매듭은 수난을 잘 이긴다 하여 여인네들의 애장품인 은장도 손잡이, 전쟁에 나가는 남자들의 큰칼자루에 사용되었다.

병아리매듭(귀달린 두벌국화매듭)

1. 양쪽 끈목에 고 2개씩 만들 만큼 남기고 생쪽매듭을 맺는다.

병아리매듭(귀달린 두벌국화매듭)

2. 생쪽을 뒤로 보내고 왼손 둘째손가락에 고 2개를 만든다.

병아리매듭(귀달린 두벌국화매듭)

3. 오른쪽 생쪽을 이용해 둘째손가락 사이에 생쪽이 중간에 오게 큰 고를 만든다.

병아리매듭(귀달린 두벌국화매듭)

4. 큰 고로 왼손에 세워진 2개의 고를 감싼다.

병아리매듭(귀달린 두벌국화매듭)

5. 앞에서 뒤로 꼰다.

병아리매듭(귀달린 두벌국화매듭)

6. 왼손에 있는 긴 끈목이 고를 뒤에서 앞으로 통과시킨다.

병아리매듭(귀달린 두벌국화매듭)

7. 밑으로 가서 고를 통과해 다시 앞에서 뒤로 통과시킨다.

병아리매듭(귀달린 두벌국화매듭)

8. 꼰 큰 고의 끈목을 푼 뒤 4∼7 과정을 한 번 더 반복한다.

병아리매듭(귀달린 두벌국화매듭)

9. 처음에 만든 2개의 고 사이를 잘 벌려서 국화매듭과 같이 첫째, 셋째 끈목을 뜬다.

병아리매듭(귀달린 두벌국화매듭)

10. 뒤집어서 국화매듭과 마찬가지로 끈목을 걸고 첫째, 셋째 끈목을 떠 국화판을 완성한다.

병아리매듭(귀달린 두벌국화매듭)

11. 양쪽 귀 2개씩과 생쪽으로 만들어진 귀 부분을 잘 잡아당겨 모양을 다듬는다.

병아리매듭(귀달린 두벌국화매듭)

12. 가운데 바둑판을 먼저 잘 정리한다.

병아리매듭(귀달린 두벌국화매듭)

13. 귀를 당겨주면서 귀달린 생쪽도 조인다.

병아리매듭(귀달린 두벌국화매듭)

14. 완성된 병아리매듭

동의어

귀달린 두벌국화매듭

출처

제공처 정보

전통 매듭공예 입문서. 이 책에서는 매듭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과 매듭 제작 과정을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작품을 통한 기본 매듭을 맺는 법과 응용하기 등을 컬러 화보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자세히보기

  • 지음 임상임

    2007년 현재 광주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동국대학교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가사의 연의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논문으로는 '통도사.송광사 조사도 복식에 관한 연구', '율장에 나타난 법복과 우리나라 법복의 비교복식에 관한 연구', '여법의에 관한 연구 1, 2' 등이 있으며, 주요 저서로 <한국복식사>, <천연염색>, <전통매듭>, <전통복식공예> 등 다수가 있다. 자세히보기

  • 지음 안명숙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