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보스니아 왕가 : 네이버 지식백과
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제공처 정보

보스니아 왕가

정근재 인문과교양

  • 저자 정근재 박사

    한국외국어대 러시아어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하고, 세르비아 베오그라드대학에서 세르비아어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베오그라드대학 동양학과에서 한국어 강좌를 진행했으며 현재 한국외국어대 세르비아 및 크로아티아어과에서 강의하고 있다. 『세르비아 역사』 및 『보스니아 종교문화사』 등 역서가 있으며, <보스니아 보고밀교의 기원과 그 성격, 그리고 발전 과정> 등의 논문이 있다.

  • 제공처 인문과교양

  • [요약] 코트로마니치 왕가는 13세기부터 1463년 오스만제국에 의해 함락당할 때까지 보스니아를 통치한 왕가이다. 왕가의 군주들은 보고밀교, 로마 가톨릭, 그리고 세르비아 정교를 이용하면서 자신들의 실익을 극대화시키려 하였으며, 트브르트코 1세는 자신을 세르비아와 보스니아의 왕으로 선포까지 하였다. 하지만 왕가의 마지막 왕이었던 스트예판 토마쉐비치는 거침없이 진격해 오는 오스만제국을 물리치지 못하였으며, 이로써 코트로마니치 왕가는 종말을 고하고 보스니아는 오스만제국의 한 영토로 편입되었다. [코트로마니치 왕가의 혈통] 코트로마니치 왕가는 약 1250년부터 1463년까지 보스니아를 통치하던 통치 가문이었다. 그들 코트로마니치 왕가는 처음에는 반, 이후에는 왕의 칭호로 보스니아를 통치했으며, 1459년 이후에는 세르비아에서와 마찬가지로 데스포트라는 칭호를 사용하였다. 코트로마니치 왕가의 혈통과 기원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초기...

  • 트브르트코 1세는 헝가리 라요시 1세의 봉신으로 보스니아를 통치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는 중세 보스니아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반이자 왕이 되었다. 그의 통치 시절 보스니아는 정치적 안정을 이루고 문화적으로 발전을 거듭하였으며, 남슬라브 국가들 중에서 최초로 금화를 발행하기도 하였다. 그는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몬테네그로 및 달마티아 지역 등을 정벌하여 가장 넓은 영토를 소유하였다. 말년에는 자신을 ‘신의 가호에 따른 세르비아·보스니아·연안·훔·달마티아·크로아티아·도니 크라이·서안·우소라·솔리의 왕 스테판 트브르트코’라고 칭하였다. 트브르트코 1세 시절 중세 보스니아는 최전성기를 보냈다. [출생 및 가계(家系かけい)] 트브르트코 1세는 1338년경 블라디슬라브와 옐레나 슈비치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블라디슬라브는 보스니아의 반 스트예판 2세의 동생이자 역시 보스니아의 반이었던 스트예판 1세의 아들이었다. 즉 트브르트코 1세는 큰아버지였던...

  • 스트예판 토마쉐비치는 세르비아의 마지막 데스포트였으며 보스니아의 마지막 왕이었다. 그는 세르비아의 데스포트로서 아무런 저항도 없이 스메데레보를 오스만에게 양도함으로써 유럽 각국으로부터 기독교를 배신한 배반자라는 비난을 받아야 했다. 하지만 왕으로 즉위한 이후에는 로마 교황의 후원을 받아 보스니아를 오스만으로부터 지키려고 끝까지 노력했다. 하지만 그의 노력은 성과를 내지 못했으며, 결국에는 제대로 전투도 해보지 않고 투항함으로써 보스니아는 멸망하게 되었다. 스트예판 토마쉐비치는 메흐메드 2세 정복자에게 결국 처형을 당함으로써 생을 마감했다. [출생] 스트예판 토마쉐비치는 스트예판 토마쉬를 아버지로, 보고밀교도였던 보야차를 어머니로 하여 1438년경 태어났다. 스트예판 토마쉬와 보야차 사이에는 스트예판 토마쉐비치를 포함하여 3남 2녀의 자녀가 있었다. 스트예판 토마쉬는 보스니아의 왕으로 즉위한 이후 귀족 가문 출신이 아닌 보야차와 1445년...

  • 스트예판 2세 코트로마니치는 보스니아 역사상 가장 중요하고 의미있는 반(бан) 중 한 명이다. 스트예판 2세의 아버지는 보스니아의 반 스트예판 1세였으며, 어머니는 세르비아 드라구틴의 딸 옐리자베타 공주였다. 스트예판 2세의 통치 기간 중 보스니아는 당시까지 가졌던 영토 중 가장 넓은 영토를 차지할 수 있었다. 스트예판 2세는 현명한 국내 통치와 훌륭한 외교 관계를 통해 트브르트코 1세가 보스니아를 남슬라브 국가들 중 가장 강력한 국가로 성장시킬 수 있는 토대를 만들었다. 스트예판 2세는 1353년 사망하여 프란치스코 수도회의 한 수도원에 묻혔다. [출생과 반 즉위 이전의 생활] 스트예판 2세는 보스니아의 반(бан)이었던 아버지 스트예판 1세와 세르비아 드라구틴의 딸이었던 어머니 옐리자베타 사이에서 큰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출생 연도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1292년 정도일 것으로 역사학자들은 추정하고 있다. 스트예판 2세의 이름이 기록에서 언급되는 것은...

  • 프리예즈다 1세는 보스니아 반(бан)으로 이름이 후세에 전해져 오는 최초의 코트로마니치 가 출신의 군주였다. 프리예즈다는 헝가리 왕 벨라 4세의 후원하에 보스니아 반에 즉위했다. 그는 아들 스트예판을 세르비아 왕 드라구틴의 딸 옐리사베타와 결혼시킴으로써 인근 국가 통치 가문들과 인척 관계를 맺을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보스니아를 안정적으로 통치할 수 있는 기반을 닦았다. [집권] 프리예즈다가 보스니아의 반에 즉위할 당시 보스니아는 누가 반에 오를지를 놓고 혼란이 지속되었다. 프리예즈다의 전임자인 니노슬라브는 직계 아들들과 많은 친척들을 두고 있었는데, 그들은 니노슬라브의 반의 지위를 차지하기 위해 투쟁을 했다. 한편, 보스니아 반을 자기 세력으로 옹립하려는 여러 세력들도 나타났다. 하나는 보고밀교 세력이었으며 또 하나는 헝가리 세력이었다. 보고밀교도들은 자신들을 지지하는 사람을 옹립하려고 했으며, 헝가리 세력은 자신들의 영향권에 있는 사람을...

  • 스트예판 토마쉬의 보스니아는 혼란스럽고 불운한 시절을 보내야 했다. 토마쉬는 자신이 갑자기 보스니아의 왕이 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에 보스니아를 통치할 준비가 덜 된 상태였다. 그는 통치 시절 내내 오스만의 공격과 지배로부터 벗어날 생각을 했으나 결국 오스만의 지배는 현실로 다가왔다. 대체로 헝가리에 의존적인 정책을 시행하였으며 교황으로부터 원조를 얻기 위해 보고밀교의 추방에도 앞장섰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은 가장 든든한 후원자였던 장인 스트예판 북치치 코사차와의 갈등을 불러일으켰다. [출생과 왕위 등극] 스트예판 토마쉬는 보스니아왕 스트예판 오스토야의 혼외아들로 1412년경 태어났으나 그의 어머니가 누가였는지는 정확한 기록이 없다. 단지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귀족의 딸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스트예판 토마쉬는 자신이 보스니아의 왕이 될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는 트브르트코 2세의 뒤를 이어 보스니아의 군주로...

  • 보스니아 귀족들의 지지를 받아 보스니아의 왕으로 선출된 트브르트코 2세의 통치는 제1기 통치와 제2기 통치로 나뉜다. 제1기 통치 시절 트브르트코 2세는 헝가리 왕 지기스문트의 미움을 사 공격을 받았으며 결국은 지기스문트의 포로가 되어 권좌에서 축출되었다. 1421년부터 시작된 제2기 통치 시절에는 지기스문트와 연합하여 대외 정책을 시행했다. 하지만 발칸반도에서 나날이 세력을 확장한 오스만 튀르크의 침략을 받게 되었다. [출생] 트브르트코 2세는 보스니아 왕 트브르트코 1세의 아들이다. 하지만 그의 어머니가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어떤 사학자들은 그가 트브르트코 1세의 혼외자식이라고 하는 반면 또 다른 사학자들은 그가 트브르트코 1세와 도로테야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합법적인 아들이라고 주장한다. 만약 그가 도로테야와의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가정한다면 트브르트코 1세가 도로테야와 결혼한 1374년에서 트브르트코 2세가 처음으로...

  • 스트예판 1세 코트로마니치는 세르비아의 왕이자 마츠바 지역의 군주였던 드라구틴의 딸 옐리사베타와 결혼함으로써 인근 국가의 통치 가문들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 그는 이를 바탕으로 헝가리 왕위계승 다툼에 뛰어들었다. 하지만 크로아티아의 믈라덴 슈비치의 침략으로 보스니아의 일부를 상실하고 말았다. [결혼 관계] 옐리사베타와 스트예판 1세의 결혼은 세르비아 드라구틴보다는 보스니아의 스트예판 1세 코트로마니치에 훨씬 의미가 깊은 일이었다. 이 결혼으로 스트예판 1세는 장모 카탈리나(헝가리 왕 벨라 4세의 딸)를 통해 헝가리 왕가뿐만이 아니라 나폴리 왕가와도 인척 관계를 맺을 수 있었다. 처이모, 즉 벨라 4세의 다른 딸, 마리야가 나폴리 왕 카를로 2세와 결혼했기 때문이었다. 스트예판 1세는 이 결혼으로 크로아티아의 슈비치 가와도 인척 관계를 맺게 되었다. 드라구틴의 딸이자 스트예판 1세의 처제였던 우로쉬짜(우르사)가 크로아티아의 강력한 반(бан)이었던 파블레...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