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국립국악원 : 네이버 지식백과
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립국악원 1,464건

제공처 정보

국립국악원 국립국악원 http://www.gugak.go.kr
  • 사물놀이는 사물, 꽹과리 · 장구 · 북 · 징의 네 가지 악기 놀이[연주]라는 의미이다. 사물놀이는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대규모 구성의 풍물놀이를 1978년 무대예술로 각색한 것이다. 사물놀이는 사물(よんぶつ), 꽹과리 · 장구 · 북 · 징의 네 가지 악기 놀이[연주]라는 의미이다. 사물놀이는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대규모 구성의 풍물놀이를 1978년 무대예술로 각색한 것이다. 풍물놀이가 대규모의 놀이를 동반하여 야외 공연의 활동성을 강조하였다면 사물놀이는 악기 연주 자체에서 느낄 수 있는 감동을 강조한 공연형태라 할 수 있다. 다양한 장단을 연주하며 긴장과 이완의 주기적인 흐름 속에서 기경결해(시작, 진행, 절정, 마무리)의 전개방식으로써 진행한다.

  • 국악기 중 현악기. 두 줄로 된 찰현악기로, 깡깡이, 앵금 등의 이름으로도 불렸다. 해금은 두 줄로 된 찰현악기로, 깡깡이, 앵금 등의 이름으로도 불렸다. 해금은 통, 복판, 입죽(줏대, 기둥대)과 활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작은 울림통에 세로로 대를 세우고 울림통과 대를 2개의 줄로 연결하였다. 공명통은 대나무를 주로 쓰는데, 대의 뿌리 부분을 있는 그대로 다듬은 원통을 상품으로 친다. 양쪽으로 뚫린 공명통의 한쪽 입구는 열어두고 한쪽 입구는 얇게 다듬은 오동나무 복판을 붙여 막는다. 대나무로 만든 활대에는 말총활을 달고 활에 송진을 먹인다. 오른손은 활대로 중현과 유현의 사이에서 각 줄을 문질러 소리를 내고 왼손은 두 줄을 한꺼번에 감아 잡고 쥐거나 떼면서 음높이를 조절한다. 해금은 고려시대에 우리나라에 들어온 후 궁중음악과 민속음악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연주되고 있다. 관현합주에 해금이 편성될 때, 지속음을 내면서 관악기의 선율을 따라 연주하므로 비사비죽(いとたけ)...

  • 국악기 중 관악기. 대나무 관대에 겹서를 끼워 입에 물고 세로로 부는 악기로 향피리, 당피리, 세피리로 분류된다. 피리는 지공(손가락으로 막고 여는 구멍)이 뒷면에 1개, 앞면에 7개가 있다. 대나무 관대에 대나무를 얇게 깍아서 만든 겹서[ふく簧(복황)]를 끼워 입에 물고 세로로 부는 관악기로서 한자로는 필률(觱篥)이라고 쓴다. 피리는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중국과 우리나라, 일본에 전래되었다. 피리는 제례악, 궁중음악, 민간풍류, 민속음악 등 여러 장르의 음악에서 주선율을 담당한다. 피리는 음색변화가 다양하고 표현력이 넓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향피리, 당피리, 세피리로 분류된다. 향피리와 세피리는 시누대로 만들고, 당피리는 시누대보다 굵은 황죽(ちく)이나 오죽(烏竹くろちく)을 쓴다. 향피리와 세피리는 구조나 제작법은 서로 같은데, 향피리는 궁중음악, 민속 합주 등에 사용되고, 가는 세피리는 줄풍류 연주와 가곡의 반주에 사용된다. 음량이 큰 당피리는 당악 계열의 궁중음악과...

  • 국악기 중 현악기. 가야국의 가실왕이 만들었다고 하여 ‘가야고’라고도 한다. 가야금은 김부식이 지은 『삼국사기』에 의하면 가야국의 가실왕이 만들었다고 하며, ‘가야고’라고도 한다. 가야금의 울림통은 오동나무이고 12개의 현은 명주실로 만든다. 현을 지탱하는 나무괘는 기러기발처럼 생겼다고 해서 안족(かりあし)이라 부른다. 가야금은 맨 손가락으로 타는데 왼손은 안족 뒤편 줄 위에 놓고 줄을 흔들고 누르며 오른손은 줄을 뜯거나 밀고 퉁겨서 소리 낸다. 원래 전해오는 가야금은 풍류가야금(일명 법금(ほうきん))이라 불러 민속악에 사용하는 산조가야금과 구별한다. 풍류가야금의 끝부분은 양의 귀 같이 삐죽 나와 있다고 해서 양이두(ひつじみみあたま)라고 하고 산조가야금의 끝부분은 새의 꼬리 같다 하여 봉미(おおとり)라고 한다. 이 외에 1950년대에 쇠줄을 사용하여 만들기 시작한 철 가야금, 17, 18, 21, 25현 등의 개량 악기들이 있다.

  • 국악기 중 관악기. 호적, 날라리, 쇄납, 새납이라고도 한다. 태평소는 세로로 부는 관악기로 지공(손가락으로 막고 여는 구멍)이 뒤에 1개, 앞에 7개가 있으며 호적, 날나리, 쇄납, 새납이라고도 한다. 특히 쇄납 혹은 새납이라는 이름은 중동지역의 관악기 "스루나이"에서 왔으며, 고려시대에 우리나라에 소개되어 연주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태평소는 몸통 부분인 관대와 서(reed), 동구, 동팔랑으로 이루어져 있다. 관대는 나무 속을 파내어 만드는데 단단한 대추나무로 만든다. 서는 갈대를 얇게 가공하여 쓴다. 겹서를 관대에 끼울 때는 금속제동구를 사용하는데 안쪽이 뚫려 있어야 공명이 잘되어 좋은 소리를 낸다. 태평소는 종묘제례악 정대업, 취타, 굿, 불교의식인 재(とき) 등에서 폭넓게 연주된다.

  • 국악기 중 관악기. 흔히 쇠붙이로 만든 긴 대롱을 입으로 불어 소리 내는 악기이다. 나발은 쇠붙이로 만든 긴 원추형의 관악기이다. 한자로는 나팔(喇叭)이라고 쓰지만, 센 소리를 피해 나발이라고 한다. 『악학궤범』에 나발은 없고 대신 대각(大角おおすみ)이 있다. 나발은 지공(손가락으로 막고 여는 구멍)이 없어 배음에 의한 몇 음을 낼 수 있으나 한 음을 길게 부는 것이 보통이다. 현재 나발은 장구, 북, 징, 태평소, 나발, 자바라 등과 함께 대취타에 편성되고 일부 지역에서는 농악에도 쓰인다.

  • 국악기 중 관악기. 궁중음악과 정악에 사용되는 정악대금과 산조나 민속무용 반주에 사용되는 산조대금이 있다. 대금은 본래 신라 삼죽(三竹みたけ)의 하나로, 젓대라고도 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횡적이다. 대나무관에 취구(입김을 불어 놓는 구멍) 1개, 청공(얇은 갈대 속막을 붙이는 구멍) 1개, 지공(손가락으로 막고 여는 구멍) 6개가 있으며 지공 아래에는 음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칠성공으로 이루어져 있다. 청공에는 갈대 속에서 채취한 청(きよし)을 붙인다. 청의 울림은 다이내믹, 음색깔의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대금의 유연하면서도 장쾌한 음색에 더욱 강한 호소력과 흥을 부여한다. 대금에는 정악대금과 산조대금이 있는데, 정악대금은 글자 그대로 궁중음악과 정악에 사용되고 산조대금은 대금 산조나 민속무용 반주 등에 사용된다. 편종이나 편경처럼 고정음을 가진 악기가 편성되지 않은 합주곡을 연주하기에 앞서 악기들이 대금에 음을 맞춘다. 『삼국사기』 악지에 "악기를 불면 적군이 물러가고...

  • 국악기 중 타악기. 허리가 가늘고 잘록한 통의 양쪽에 가죽을 붙인 악기이다. 장구는 허리 부분이 가늘다 하여 일명 "세요고"라 부르기도 하였다. 『악학궤범』에는 『문헌통고』를 인용하여 이렇게 설명되어 있다. "갈고, 장구, 요고는 한나라와 위나라에서 사용되었다. 요고의 통은 큰 것은 질그릇으로, 작은 것은 나무로 만든다. 머리는 모두 넓고 허리는 가늘다. 오른쪽은 채로 치고 왼쪽은 손으로 친다. 후세에는 이것을 장구라고 하였다." 우리나라에는 고려시대에 송나라로부터 수입되어 조정의 당악에 쓰이고, 그 뒤 오늘날까지 정악뿐만 아니라 민속악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장구는 오른손에 대쪽으로 만든 가는 채를 가지고 그 채편을 치며, 왼손으로는 맨손이나 궁글채를 들고 북편을 치는데, 양편을 동시에 치는 것은 "쌍"이라 하고, 채로 채편만 치는 것을 "편", 왼손으로 북편만 치는 것을 "고", 그리고 채로 잠시 치고 굴리는 소리를 내는 것은 "요"라고 한다.

  • 풍류음악의 대표적인 기악곡으로 ‘현악영산회상’, ‘평조회상’, ‘관악영산회상’ 등 세 종류의 영산회상이 있다. 풍류음악의 대표적인 기악곡으로 ‘현악영산회상’, ‘평조회상’, ‘관악영산회상’ 등 세 종류의 영산회상이 있다. 조선 후기 선비들의 교양음악으로 연주되던 풍류음악 가운데 대표적인 곡으로 현악영산회상(絃樂げんがく靈山かいしょう) · 평조회상(たいら調ちょうかいしょう) · 관악영산회상(かんらく靈山かいしょう) 등 세 갈래의 악곡이 있다. ‘현악영산회상’에서 나머지 두 갈래의 영산회상이 변조(變調へんちょう), 혹은 이조(移調いちょう)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악기편성 · 악곡구성 · 음악의 쓰임 등에서 차이가 있다. ‘현악영산회상’은 ‘거문고회상’이라고도 하는데, 거문고 등 현악기가 중심이 되며, 선비들이 풍류방에서 즐긴 풍류음악(줄풍류)이고, 이 곡을 4도 낮게 이조한 곡이 ‘평조회상’이다. ‘평조회상’의 “평조”란 말은 “낮은 조”라는 뜻이다. 관악영산회상은 향피리 중심의 관악기가 중심(대풍류)이...

  • 국악기 중 현악기. 궁중음악과 정악에 사용되는 정악아쟁과 산조나 민속음악에 쓰이는 산조아쟁이 있다. 아쟁은 가야금이나 거문고 같이 악기를 무릎에 올려놓고 연주하는 것이 아니라 받침대를 놓고 머리 부분을 비스듬하게 걸친 채로 바로 앉아 활대로 줄을 그어 연주한다. 아쟁은 저음 악기이기 때문에 관현악이나 관악 합주에 주로 편성된다. 이 악기는 합주의 전체 음량을 크게 하고 웅장하게 하는 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쟁의 현은 원래 7줄이었으나 요즈음은 음역을 늘이기 위해 8~9줄을 사용하고 있다. 개나리 나무의 껍질을 벗겨 만든 활대에 송진을 묻혀 줄을 문질러 소리 내는데 가야금보다 굵은 줄이므로 거친 저음이 나온다. 개나리 나무는 속이 비어 있어 현을 공명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각 줄을 고이는 부분 즉 현침(絃枕, bridge)이 가야금이나 거문고는 악기 위쪽에 하나뿐이지만 아쟁은 줄을 매는 아래쪽에 또 하나의 현침을 가지고 있다. 이는 줄의...

  • 남도민요. 진도에서 발생한 아리랑으로, 전형적인 전라도 음악 토리(육자배기 토리)로 되어있다. 대표적인 남도 민요이다. 진도아리랑은 전라도의 아리랑이다. 그래서 전형적인 전라도의 음악 토리(육자배기 토리)로 되어 있다. 떠는 음, 평으로 내는 음, 꺾는 음이라는 세부분의 음을 뼈대로 하여 음계가 구성되고 발성법이나 가사 발음법도 그런 음들을 잘 표현하도록 발달하였다. 장단은 세마치 장단이지만 조금 빨리 부를 때에는 중모리장단에 맞추어 부른다.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 아리아리랑 쓰리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 아리랑 응응으응 아라리가 났네 (1) 문경 새재는 웬 고갠가 구부야 구부구부가 눈물이 난다 (2) 만경창파에 두둥둥 뜬 배 어기여차 어야디여라 노를 저어라 (3) 만나니 반가우나 이별을 어이해 이별이 되랴거든 왜 만났던고 (4) 노다 가세 놀다나 가세 저 달이 떴다 지도록 놀다 가세 (5) 치어다 보니 만학은 천봉 내려 굽어보니 백사지로구나 (6) 님이 죽어서 극락을 가면...

  • 국악기 중 타악기. 호랑이를 본뜬 모양의 등줄기에 톱날처럼 생긴 톱니가 있는 악기이다. 어는 나무를 엎드린 호랑이의 모습으로 깎아 만든 악기이다. 호랑이의 등에는 등줄기를 따라 꼬리 부분까지 27개 톱니를 길게 박아 놓았다. 둥근 대나무 끝을 아홉 갈래로 쪼갠 채로 호랑이의 머리를 세 번 치고는 나무 톱을 꼬리 쪽으로 한 번 훑어 내린다. 이러기를 세 번 함으로써 음악의 끝을 장식한다. 어를 치고 나면 박을 세 번 울려 음악을 완전히 끝낼 수 있다. 의식음악을 연주할 때 축은 음악의 시작을 알리므로 동쪽에 놓았지만 어는 음악의 끝을 알리므로 서쪽에 놓는다. 또 축은 동쪽을 상징하는 악기이므로 푸른 색깔이지만 어는 서쪽을 상징하기 때문에 대개 흰칠을 하고 검정으로 긴 얼룩무늬를 그린다. 우리나라의 악기는 앉아서 연주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어와 축은 방대 위에 올려놓으므로 서서 연주한다. 어는 축과 함께 고려 대성아악에 편성되어 들어온 이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 현재까지 전해지는 판소리 다섯 마당 가운데 한 곡. 성춘향과 이몽룡의 신분을 뛰어 넘은 사랑을 그린 판소리다. 판소리 춘향가는 남원 퇴기 월매의 딸 성춘향과 남원 부사의 아들 이몽룡의 신분을 뛰어 넘은 사랑노래다. 단오날 우연히 만나 사랑에 빠진 춘향과 이몽룡이 백년가약을 맺었다가 이몽룡 아버지의 근무지 이동으로 이별을 하게 되고, 고을에 새로 부임한 신임사또가 춘향에게 수청들 것을 요구하자 죽음을 불사하고 이를 거절하여 옥고를 치른다. 이때 과거에 급제하여 어사가 된 이몽룡이 나타나 죽음 직전의 춘향을 구하고 사랑의 승리를 거둔다는 줄거리로, 현전 판소리 다섯 마당 중에서 음악적으로나 문학적으로 가장 빼어난 작품으로 꼽힌다. 춘향가 중 유명한 대목은 다음과 같다. -적성가(赤城あかぎ) : 이몽룡이 광한루에 구경 왔다가 사면 경치를 보며 사나이의 부푼 마음과 뜻을 한가하게 노래하는 장면으로 느린 진양장단에 화평하고 꿋꿋한 우조 선율로 부른다. -천자(せん)풀이...

  • 국악기 중 관악기. 대금과 같이 가로로 부는 악기로 관악기 중 가장 높은 음역의 소리를 낸다. 소금은 본래 신라 삼죽(三竹みたけ)의 하나로, 조선 중기까지 대금, 중금과 함께 전승되어 온 대금과 같이 가로로 부는 악기이다. 중금보다 약간 작으며 지공(손가락으로 막고 여는 구멍)이 6개이다. 소금은 관악기 중 가장 높은 음역의 소리를 낸다. 화려한 음빛깔과 풍부한 장식음으로 수제천과 같은 궁중 관악합주 및 관현악 합주에 편성되며 민속음악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고려사』 악지에는 구멍이 일곱 개로 소개되었다. 『악학궤범』에는 “대금이 취공 1개, 청공 1개, 지공 6개, 칠성공이 5개인데, 다른 관악기도 이와 같다”라고 되어 있을 뿐 중금이나 소금의 구조에 대해서는 별다른 설명이 없다. 조선 후기에는 형태가 비슷한 소금과 당적이 한 악기로 두 악기의 용도를 충족시키되 일반적으로 당적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현재는 소금이라는 명칭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소금에는 중금과...

  • 국악기 중 관악기. 세로로 부는 악기로서 길이가 짧다는 뜻으로 지공이 뒤에 1개, 앞에 4개가 있다. 단소는 세로로 부는 관악기의 하나이다. 길이가 짧은 종적이란 뜻으로 지공(손가락으로 막고 여는 구멍)이 뒤에 1개, 앞에 4개가 있다. 맑고 청아한 음색으로, 거문고, 가야금, 세피리, 대금, 해금, 장구, 양금과 함께 줄풍류에 주로 편성된다. 생황과 단소의 이중주는 생소병주라고 하며, 이 밖에 양금 단소 병주, 독주 악기로도 즐겨 연주된다. 악기의 구조나 지법으로 볼 때 대체로 조선 중기 이후에 퉁소의 변형으로 생겨난 것으로 본다. 단소의 명인이었던 추산(秋山あきやま) 전용선(1884-1964) 등은 취구(입김을 불어 놓는 구멍)가 작아 요성의 폭이 좁은 악기의 한계를 극복하고 단소 산조를 짜서 연주하였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