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명종 (고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명종 (고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려 명종에서 넘어옴)

명종
あかりむね
제19대 고려 국왕
재위 1170년 9월 2일 ~ 1197년 9월 23일 (음력)
전임 의종
후임 신종
섭정
무신정권기 집권자
이름
왕호(おう晧)
묘호 명종(あきらむね)
시호 황명광효대왕(すめらぎ明光めいこうこう大王だいおう)
능호 지릉(さとしりょう)
작호 익양공(つばさこう)
신상정보
출생일 1131년 10월 17일(1131-10-17) (음력)
출생지 고려 개경 정궁
사망일 1202년 11월 17일(1202-11-17)(71세) (음력)
사망지 고려 개경 창락궁
부친 인종(ひとしむね)
모친 공예왕후 (きょう睿王きさき)
배우자 의정왕후 김씨
자녀 1남 2녀 (8남 2녀)
강종, 연희궁주, 수안궁주

명종(あきらそう, 1131년 11월 8일 (음력 10월 17일) ~ 1202년 12월 3일 (음력 11월 17일)은 고려 제19대 국왕(재위: 1170년 ~ 1197년)이다.

는 호(晧), 는 지단(これだん), 즉위전의 작호는 익양공(つばさこう)이다. 묘호명종(あきらむね), 시호황명광효대왕(すめらぎ明光めいこうこう大王だいおう), 능호는 지릉(さとしりょう)이다. 인종공예태후 임씨(きょう睿太きさき つとむ)의 셋째 아들이며 의종의 동생이다.

개요

[편집]

1170년(의종 24년), 의종무신정변으로 폐위되자 무신들에 의해 옹립되었다. 재위 기간 내내 크고 작은 반란과 농민봉기가 발생하였으며, 재위 기간 내내 이의방(義方よしえ), 정중부(ていなかおっと), 경대승(慶大けいだいます), 이의민(よし旼)이 차례로 권력을 장악하였으며, 이의민을 제거하고 집권한 최충헌(ちぇただしけんじ)에 의해 폐위되었다.

생애

[편집]

정변과 즉위

[편집]

명종은 1170년 음력 8월 30일무신정변이 일어나 음력 9월의종이 폐위되고 무신들에게 추대되어 즉위하였다. 그러나 실권은 무신 정권의 지도자인 이고, 이의방, 정중부 등에게 있었다.

재위기간 중

[편집]

1173년에 동북면병마사(東北とうほくめん兵馬へいば使) 김보당이 무신 정권 타도와 전(まえ) 임금인 의종의 복위를 천명하며 군사를 일으켰으나, 무신 정권에 의하여 진압되고 의종은 시해되었다.

1179년 정중부의 전횡을 탐탁지 않게 여긴 경대승이 정변을 일으켜 정중부를 죽이고 정권을 장악하였다.

경대승이 죽자, 명종은 경주로 달아난 이의민을 다시 불러들였다. 이의민은 새로운 무신 권력자가 되어 자신의 아들들을 모두 요직에 앉히고 부정부패를 일삼아 갖은 횡포를 부리다가, 나중에 가서는 스스로 임금이 되려는 야심까지 품게 된다.

유폐와 최후

[편집]

1196년 음력 4월, 최충헌이 이의민을 참살하고 정권을 장악하여 최씨 정권 시대가 열리게 된다. 이때 최충헌은 거사의 명분을 얻기 위하여 앞으로의 국정개혁안의 내용을 담은 봉사십조(ふうごとじゅうじょう)를 올리고 명종은 이를 기꺼이 받아들인다.

그러나 최충헌의 난 초기의 혼란기를 기회로 무신 정권을 타도하려 하였으나 1197년에 최충헌 형제가 정변을 일으켜 평량공을 옹립함으로써 폐위를 당하고 창락궁(あきららくみや)에 감금되었다. 유폐된 지 6년 후에 병을 얻어 승하하였으며 능은 장단군 장도면에 위치한 지릉(さとしりょう)이다.

기타

[편집]

재위시기에 남해 금산 정상에 봉수대를 건설한다.[1] 당시 전국의 봉수 경로 5개 가운데 동래에서 개경에 이르는 경로에 속한 최남단에 자리잡고 있어 출발지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1]


가족 관계

[편집]
고려 제19대 국왕 명종 광효대왕
あきらそう 光孝みつたか大王だいおう
출생 사망
1131년 11월 8일 (음력 10월 17일)
고려 고려 개경 정궁
1202년 12월 3일 (음력 11월 17일) (71세)
고려 고려 개경 창락궁


부모

[편집]
생몰년 부모 비고
인종
じんむね
1109년 - 1146년 예종
睿宗
문경태후 이씨
ぶんけいふときさき
제17대 국왕
공예왕후 임씨
きょう睿王きさき つとむ
공예태후
きょう睿太きさき
1109년 - 1183년 임원후
にんもとあつし
진한국대부인 이씨
たつ韓國かんこくだい夫人ふじん


왕후

[편집]
왕후 시호 생몰년 부모 비고
의정왕후 김씨
せいおうきさき きん
광정태후
ひかりやすしふとしきさき
미상 강릉공 왕온
こうりょうこう おうあつし
김씨
きむ
명종 즉위 이전에 사망

왕자[2]

[편집]
이름 생몰년 생모 배우자 비고
1 강종
かんはじめ

1152년 - 1213년 의정왕후 김씨 사평왕후 이씨
おもえひらおうきさき
원덕왕후 유씨
もと德王とくおうきさき やなぎ
제22대 국왕
2 소군 왕선사
しょうくん おうぜんおもえ
[3]
미상 미상
3 소군 왕홍기
しょうきみ おうひろし
[3]
미상 미상
4 소군 왕홍추しょうきみ おうひろしくるる
[3]
미상 미상
5 소군 왕홍규
しょうきみ おうひろしぶんまわし
[3]
미상 미상
6 소군 왕홍균
しょうきみ おうひろしひとし
[3]
미상 미상
7 소군 왕홍각
しょうきみ おうひろしさとし
[3]
미상 미상
8 소군 왕홍이
しょうきみ おうひろし
[3]
미상 미상

왕녀

[편집]
생몰년 생모 배우자 비고
1 연희궁주
のべ禧宮ぬし
미상 의정왕후 김씨 영인후 왕진
やすしじんこう おう
희종성평왕후의 어머니
2 수안궁주
ことぶきやすしみやぬし
미상 의정왕후 김씨 창화후 왕진
あきらこう おうゆう
[4]


명종이 등장하는 작품

[편집]

드라마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남해금산봉수대”. 《남해군여행》. 남해군청. 2020년 10월 23일. 
  2. 폐첩(嬖妾)의 소생으로 왕선사(おうよしおもえ), 왕홍기(おうひろし), 왕홍추(おうひろしくるる), 왕홍규(おうひろしぶんまわし), 왕홍균(おうひろしひとし), 왕홍각(おうひろしさとし), 왕홍이(おうひろし貽) 등이 있었다.
  3. 소군(しょうくん)이란 고려시대 어머니가 궁인이거나 혹은 국왕의 사랑을 받은 첩에서 태어난 왕자들을 출가시켜 승려로 삼은 왕의 서자들을 말한다. 고려사회에서는 이들의 어머니가 천민 출신이기 때문에 승려가 될 수 없었으나, 이들의 정치참여를 제도적으로 막기 위해 출가시켰다.
    • 허흥식,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86, 330·510~511쪽.
    • 채상식, 『고려후기불교사연구』, 일조각, 1991.
    • 황병성, 『고려무인정권기연구』, 신서원, 1998, 285쪽.
    • 김당택, 『고려의 무인정권』, 국학자료원, 1999, 326~327쪽.
  4. 인종의 4녀 영화궁주의 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