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원종 (고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원종 (고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려 원종에서 넘어옴)

원종
元宗もとむね
제24대 고려 국왕
재위 1260년 4월 21일 ~ 1274년 6월 18일 (음력)
전임 고종
후임 충렬왕
고려국 왕태자
재위 1235년 1월 20일 ~ 1260년 3월 21일 (음력)
전임 왕태자 철 (고종)
후임 왕태자 거 (충렬왕)
이름
왕식(おうしょく), 왕전(おう倎)
묘호 원종(元宗もとむね)
시호 고려: 순효대왕(じゅんこう大王だいおう)
원: 충경왕(忠敬ちゅうけいおう)
능호 소릉(韶陵)
신상정보
출생일 1219년 3월 19일(1219-03-19) (음력)
출생지 고려 개경 정궁
사망일 1274년 6월 18일(1274-06-18)(55세) (음력)
사망지 고려 개경 제상궁
부친 고종
모친 안혜왕후 유씨
배우자 정순왕후 김씨, 경창궁주 유씨
자녀 4남 2녀
충렬왕, 시양후, 순안공, 익장
경안궁주, 함녕궁주

원종(元宗もとむね, 1219년 4월 5일 (음력 3월 19일) ~ 1274년 7월 23일 (음력 6월 18일)은 고려의 제24대 국왕(재위: 1259년 ~ 1274년)이다.

개요

[편집]

초명은 (倎), 즉위 후에 (うえ)으로 개명하였고, 는 정(ただし), 는 일신(日新にっしん), 묘호는 원종(元宗もとむね), 시호는 순효대왕(じゅんこう大王だいおう)이고,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경(忠敬ちゅうけい), 능호는 소릉(韶陵)이다. 고종안혜태후 유씨의 맏아들이다. 비는 김약선(きむわかさき)의 딸인 정순왕후(せいじゅんおうきさき)이고, 후비는 경창궁주 유씨(けいあきらみやぬし やなぎ)[1]이다.

생애

[편집]

탄생과 태자 책봉

[편집]

1219년(고종 6년) 4월 고종안혜왕후의 장남으로 출생하였으며, 1235년(고종 22년) 봄 정월에 관례를 올리고 태자에 책봉되었다. 1259년(고종 46년) 강화를 맺기 위해 원나라에 갔다가 그해 고종이 죽자 이듬해 귀국하여 즉위하였다.

치세

[편집]

몽고와의 전쟁 종료와 강화

[편집]

1259년 몽고제국의 4대 칸인 몽케가 쓰촨 성에서 부상과 질병 후유증으로 죽자, 몽골은 차기 후계 계승을 두고 그의 아우들인 쿠빌라이아리크 부케가 대립하였고, 당시 태자였던 원종은 쿠빌라이를 지지하였다.

1260년 3월 원종은 신하들과 함께 몽케 칸을 만나러 연경(つばめきょう, 북경)에 갔다가 몽케의 행재소(行在所あんざいしょ)로 가는 길에 경조(きょうちょう)와 동관(潼關)을 지나게 되었다. 여기서 몽케의 사망 소식을 접하고, 당시 몽골의 제후들은 누구를 지지할지 고민하였다.[2] 고려 원종은 이를 듣고 쿠빌라이 지지를 선언, 쿠빌라이의 군사가 강남(江南こうなん)에서 있어 원종은 남쪽으로 방향을 돌려 험한 길을 거쳐서 양주(やなしゅう)를 거쳐 초주(すわえしゅう)의 교외에 도착하니 마침 쿠빌라이 칸은 양양(じょう)에 있다가 군대를 돌려서 북상하고 있었다.[2]

쿠빌라이는 '고려는 만 리나 떨어져 있는 나라이고, 당 태종(から ふとしむね)이 친히 정벌하였으나 굴복시키지 못하였는데 지금 그 나라의 세자가 스스로 나에게 귀부(かえり)해오니 이것은 하늘의 뜻이다.(高麗こうらい萬里ばんりくに, とうふとそうちかしせい不能ふのうふく, こん世子せいし, らいわが, 此天意てんい也.)'라고 하면서 크게 칭찬하고, 함께 개평부(開平かいへい)에 도착하였다.[2] 쿠빌라이는 당 태종도 어쩌지 못한 고구려의 후신이 스스로 귀순하였다며 기뻐하였다. 고려에서 고종(こうはじめ)의 훙서를 부고하니 쿠빌라이 칸은 바로 다루가치 쉬리다이(束里つかざとだい) 등에게 명령하여 세자의 귀국행을 호위하라고 하였다.[2]

쿠빌라이는 그 해에 고종이 죽자 강회선무사(こう宣撫せんぶ使) 조양필(ちょうりょう弼), 섬서선무사(陝西せんせい宣撫せんぶ使) 염희헌(れんまれけん)의 진언을 받아들여, 원종이 왕위에 오를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머지않아 쿠빌라이가 승리하여 5대 칸으로 즉위하고 원 제국을 수립하면서, 쿠빌라이로부터 '몽고는 고려의 풍속을 고치도록 강요하지 않겠다'는 불개토풍(あらためふう)을 약속받았으며 이를 세조구제(舊制きゅうせい)라고 한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옷과 머리에 쓰는 관은 고려의 풍속에 따라 바꿀 필요가 없고
  2. 사신은 오직 원나라 조정이 보내는 것 이외에 모두 금지한다.
  3. 개경환도는 고려 조정에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4. 압록강 둔전과 군대는 가을에 철수한다.
  5. 전에 보낸 다루가치는 모두 철수한다.
  6. 몽고에 자원해 머무른 사람들은 조사하여 돌려보낸다.

관제격하

[편집]

원 세조는 불개토풍을 보장했으나 그 외 황제국에서 사용하는 명칭 모두 격하했다. 원나라 간섭으로 말미암아 원종 이후 왕은 묘호를 사용할 수 없으며 시호 앞 글자에 원나라에 충성한다는 의미에서 '충(ただし)'자를 넣고, 황제가 본인을 지칭하는 1인칭인 ""은 "고" 또는 "과인"으로, 황제를 부르는 칭호인 "폐하"는 "전하"로, 황제 뒤를 이을 아들인 "태자"는 "세자"로, 황제 명령을 담은 글인 "성지"는 "왕지"로 명칭을 격하했다. 이후 충렬왕 때 각종 관청과 관직 명칭도 모두 격하했다.

원의 동녕부 설치

[편집]

1269년(원종 10년) 서북면병마사의 기관(かん)인 최탄(ちぇひろし) 등이 반란을 일으켜 서경을 비롯한 북계(きたかい)의 54성과 자비령(慈悲じひみね) 이북 서해도(西海にしうみみち)의 6성을 들어 원나라에 투항하였다.

1270년(원종 11년) 쿠빌라이는 자비령 이북의 영토를 직속령으로 모두 원나라에 편입하고 서경에 동녕부를 설치한 후, 최탄을 동녕부 총관(摠管)에 임명하였다. 이에 원종은 원나라에 입조하여 자비령 이북 지역의 반환을 요구하였으나 관철되지 않았고, 1275년(충렬왕 1년), 원나라는 동녕부를 동녕총관부로 승격시켰다.

이후 원나라는 1290년 고려의 요구를 받아들여 이 지역을 고려에 반환하고, 동녕부를 요동(遼東りゃおとん)으로 옮겼다.

무신정권의 종언

[편집]

1258년(고종 45년) 최의를 죽이고 최씨정권을 무너뜨린 김준과 유경, 임연은 권력을 장악하였다. 개경환도를 거부하던 김준은 1268년(원종 9년) 12월, 임연과 그의 아들 임유무에 의해 살해당했다.

이후 실권을 잡은 임연1269년(원종 9년) 6월, 삼별초와 육번도방을 인솔하고 원종의 아우인 안경공 창(やすけいこう 淐)을 왕으로 옹립하였다. 이들은 원종을 별궁에 유폐하였다. 태자(충렬왕)가 원나라에 이 사실을 알리자, 같은 해 11월 임연은 원종을 복위시켰다. 이후 원종의 밀명을 받은 송송례, 홍규 등에 의해 무신정권의 마지막 집정자인 임유무가 살해당함으로써, 100년간 지속된 무신정권이 막을 내리고 왕정복구와 개경환도가 이루어졌다.

개경환도

[편집]

고려 내부적으로 개경환도를 반대하던 무신세력이 제거되자, 원나라의 요구조건을 받아들여 1270년(원종 11년) 38년만에 강화도에서 개경으로 환도하였다.

삼별초의 항쟁

[편집]

1270년(원종 11년) 개경으로 환도한 후 삼별초의 해산을 명령하자 배중손(裵仲まご)을 중심으로 왕족 승화후 온(うけたまわほう あつし)을 추대하여 삼별초의 항쟁이 일어났다. 이들은 진도와 제주도로 이동하면서 대몽항쟁을 전개하였으나 1273년(원종 14년) 고려-몽고연합군에 의해 진압되었다.

사망

[편집]

1274년(원종 15년) 6월 18일, 제상궁에서 붕어하였다. 능은 소릉(韶陵)이다.

가족 관계

[편집]
고려 제24대 국왕 원종 순효대왕
元宗もとむね じゅんこう大王だいおう
출생 사망
1219년 4월 5일 (음력 3월 19일)
고려 고려 개경
1274년 7월 23일 (음력 6월 18일) (55세)
고려 고려 개경 제상궁

부모

[편집]
생몰년 부모 비고
고종
こうはじめ
1192년 - 1259년 강종
かんはじめ
원덕왕후 유씨
もと德王とくおうきさき やなぎ
[3]
제23대 국왕
안혜왕후 유씨
あんめぐみおうきさき やなぎ
미상 - 1232년 희종
熙宗
성평왕후 임씨
なりたいらおうきさき つとむ
[4]

왕비

[편집]
시호 본관 생몰년 부모 비고
1 정순왕후 김씨
しずかじゅんおうきさき きん
순경태후
じゅんけいふときさき
경주 1222년 - 1237년 김약선
きむわかさき
우봉 최씨
うしみね ちぇ
[5]
최우의 외손녀
2 경창궁주 유씨
けいあきらみやぬし やなぎ
[주 1] 미상 신안공 왕전
しんやすおおやけ おう
가순궁주
よしみじゅんみやぬし
[6]
  • 고종 31년(1244년) 태자비 책봉
  • 원종 원년(1260년) 왕비 책봉
  • 충렬왕 3년(1277년) 폐위
    [7]

왕자

[편집]
이름 생몰년 생모 배우자 비고
1 충렬왕
ちゅうれつおう

1236년 - 1308년 정순왕후 김씨 제국대장공주
ひとし國大こくだいちょう公主こうしゅ
장목왕후
そうきよしおうきさき
제25대 국왕
2 시양후
はじめこう

미상 - 1266년 경창궁주 유씨 미상
3 순안공
順安じゅんあんおおやけ

미상 경창궁주 유씨 미상
4 주지
住持じゅうじ
익장
えきじょう
[8]
미상 궁인 미상

왕녀

[편집]
생몰년 생모 배우자 비고
1 ▨▨공주
▨▨公主こうしゅ
[9]
1237년 - 미상 정순왕후 김씨 조졸
2 경안궁주
慶安けいあんみやぬし
미상 경창궁주 유씨 제안공 왕숙
ひとしあんこう おうよし
[10]
3 함녕궁주
咸寧みやぬし
미상 경창궁주 유씨 광평공 왕혜
廣平ひろへいおおやけ おう
[11]


대중 문화속에 나타나는 원종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아버지는 신안공(しんやすこう) 왕전(おう佺)이고, 어머니는 희종의 4녀 가순궁주(よしみじゅんみやぬし)이다.
  2. 고려사 권 제25, , 元宗もとむね 元年がんねん 3월
  3. 아버지는 신안후(しんやすこう) 왕성(おう珹)이고, 어머니는 인종의 3녀 창락궁주(あきららくみやぬし)이다.
  4. 아버지는 영인후(やすしじんこう) 왕진(おう稹)이고, 어머니는 명종의 장녀 연희궁주(のべ禧宮ぬし)이다.
  5. 최충헌(ちぇただしけんじ)의 손녀
  6. 희종성평왕후의 4녀이며 안혜왕후의 동생
  7. 고려사》 권28, 세가 권제28, 충렬왕 3년(1277년) 9월 16일 (임인)
    원 황제의 지시에 따라 경창궁주를 폐위시키고 왕종을 유배보내다
    조인규(ちょうひとしぶんまわし)와 인후(しるしこう)가 원(もと)에서 돌아왔는데, 경창궁주(けいあきらみやぬし)를 폐위시켜 서인(庶人)으로 삼고 왕종(おう琮, 순안공)과 종동(おわりどう)을 바닷섬으로 유배 보냈다.
  8. 고려사》 권29, 세가29 충렬왕2, 충렬왕 6년(1280년 1월 23일) (을축)
    덕천사의 주지 익장(えきぞう)이 영춘현(ひさしはるけん)의 현리(けん吏)를 때려죽이고 또 창기(娼妓しょうぎ) 옥진(たましん)과 간통했으므로 바닷섬으로 유배보냈는데 익장은 원종이 총애하던 궁녀의 아들이다.
  9. 《동궁비주시책문》
  10. 신양공 왕전과 고종의 딸 수흥궁주의 아들
  11. 희종의 3남 경원공 왕조의 아들

주해

[편집]
  1. 성을 유씨로 한 근거를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