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사고전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사고전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고전서》(よん全書ぜんしょ)는 1773년 (건륭 38년) 청 제국건륭제의 명으로 1781년 (건륭 46년)에 편찬 및 완성된 총서이다. 전 3,503부 79,337권에 달한다.

개요

[편집]

전체 구성은 (ずい), (とう) 이래로 황실의 도서관이었던 집현서원(あつまりけん書院しょいん)에서 황실의 장서를 4부(よん) 즉 경(けい) ・ 사(ふみ) ・ 자() ・ 집(しゅう)으로 나누었던 것에서 유래해 분류 정리하였기 때문에 사고전서라고 한다. 사부의 책의 표지는 각각 녹색(경부), 적색(사부), 청색(자부), 회색(집부) 등의 색깔로 구분되어 있다.

광범위한 자료를 망라하고 있으며, 자료의 보존에 막대한 공헌을 했던 반면 청 왕조의 국가 통치에 장해가 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서적들은 금서로 취급해 수록되지 못한 서적도 3천 점에 달한다. 또한 수록되었다고 해도 원서의 내용을 개변하거나 삭제하는 등의 사례도 보이기 있어서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사고전서 편찬 이후에 보다 우수한 텍스트가 발견되어 교감된 서적도 있는데 이런 경우 비록 사고전서본에 개찬이 없더라도 사고전서본 이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서의 해제(解題かいだい)목록으로써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総目提要) 200권이 작성되었다.

중국 국내의 문헌뿐 아니라 한국, 일본, 베트남 등지의 한적들도 수록하고 있으며, 그리스에우클레이데스가 쓴 《기하원본》(幾何きか原本げんぽん)이나 예수회 선교사 사바티노 데 우르시스(Sabatino de Ursis)의 저작도 포함되어 있다.

아편전쟁, 애로호 사건, 태평천국의 난 등으로 소실되기도 하였다. 현존하는 것은 북경도서관 (문진각), 대만에 위치한 국립고궁박물원 (문연각), 간쑤성 도서관 (문소각), 저장성 도서관 (문란원)의 4부가 전한다.

편찬

[편집]
항주 문란각 소장 사고전서(복제품).
사고전서가 소장된 도서관 가운데 하나였던 항주 문란각의 복원 모형.

청 건륭(いぬいたかし) 38년(1773년) 2월 청 조정은 《사고전서》 편찬을 맡을 사고전서관(よん全書ぜんしょかん)을 세우고 총책임자는 건륭제의 제6황자였던 영용(えい瑢)이 맡았으며 내각대학사(うち阁大学士がくし) 우민중(于敏ちゅう)을 총재로 임명하고 대학사 및 6부의 상서와 시랑들이 부총재를 맡았다. 당시 저명한 학자로 칭송이 있던 기윤(きの昀)을 총찬관(そう纂官)으로 삼아서 이 방대한 편찬 사업을 개시하였다. 육석웅(りくすずぐま)、손사의(まごあつし)、대진(戴震)、주영년(しゅう永年えいねん)、소진함(邵晋涵) 등의 학자들도 편찬에 참예하였다. 편찬자 명단에 정식으로 이름을 올린 문인과 학자만 360명 이상에 달했고 초사(しょううつし)를 맡은 인원도 3,600명이나 되었다.

《사고전서》에는 당시 중국 전역에서 모은, 각지에서 유통되고 있던 서적과 청 황실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던 서적 및 《영락대전》(永樂えいらく大典たいてん) 가운데 보존 상태가 양호한 책이 수록되었다. 책을 징수하는 기준은 성학(せいがく, 성리학)의 치법(ほう), 전장(典章てんしょう)을 심사하고 구류백가(きゅうりゅうひゃくいえ)의 말을 명기한 것을 우선으로 하였으며, 족보(ぞく), 척판(尺牘せきとく), 병장(へいさわ), 수언(ことぶきげん), 창수한 시문 등등은 고려 대상에 들지 않았다. 통계에 따르면 《사고전서》 편찬을 위해 징수된 서적으로 밝혀진 것만 13,501종에 달했고 가장 많은 책을 바쳤던 포사공(鲍士きょう), 범번주(范懋ばしら), 왕호숙(ひろし启叔), 마유(うまひろし) 네 사람에게는 특별히 내부(內府)에서 인쇄한 《고금도서집성》(古今ここん图书集成しゅうせい) 1부씩이 하사되었다고 한다.

건륭 49년(1784년) 4부의 전질이 잇따라 완성되었는데, 완성된 전질은 모두 7부였으며, 우선 북경 자금성(むらさき禁城きんじょう)의 문연각(文淵ぶんえんかく), 수도 교외의 원명원(圓明えんめいえん) 문원각(ぶんげんかく), 허투알라 행궁(もりきょうぎょう宫)의 문조각(ぶんさかのぼかく), 승덕(うけたまわとく) 피서산장(避暑ひしょ山莊さんそう)의 문진각(文津ふみつかく)에 나누어 보관하였는데 이들을 아울러 내정사각(内廷ないていよんかく, 또는 북사각きたよんかく)이라고 하였다. 또한 진강(鎮江) 금산사(金山寺きんざんじ)에 문종각(ぶんむねかく),양주(あげしゅう) 대관당(大觀たいかんどう)에 문회각(ぶん匯閣),항주(杭州こうしゅう) 서호행궁(西湖さいこゆき宫) 고산성인사(やませいいんてら)에 문란각(ぶん瀾閣)을 세웠는데 이들을 강절삼각(こうさんかく, 남삼각みなみさんかく이라고도 한다)이라고 불렀으며 이곳에 각기 초본(抄本しょうほん) 1부씩을 소장하였다. 부본(副本ふくほん)은 수도의 한림원(翰林院かんりんいん)에 보존되었는데, 문연각본(文淵ぶんえんかくほん)이 가장 먼저 완성되어 교감이 정밀하고 글자체 또한 깔끔하였다고 한다.

취사선택된 수록

[편집]

《사고전서》에 수록한 책은 경부 66종, 사부 41종, 자부 103종, 집부 175종 4946권으로 서적의 복원, 발굴에 큰 기여를 한 것은 사실이지만 청조의 통치에 있어서 불리한 내용이 기술된 책은 싣지 않았거나 금서를 한 부분도 엿보인다. 병부(兵部ひょうぶ)의 보고에 의하면 건륭 39년부터 건륭 47년 사이에 24번의 분서(焚書ふんしょ)로 538종 1만3862권의 책이 소실되었다고 전한다. 《사고전서》의 편찬으로 많은 수의 서적에 대한 금서, 분서 등의 서적파괴가 발생했다. 《사고전서》의 편찬과정에서 2400여 종의 책과 목판이 불살라졌고, 400종 이상의 책이 공식적 명령에 의해 수정됐다.[1]

건륭 52년(1787년) 건륭제 자신이 몸소 《사고전서》를 열람하다 청 왕조를 헐뜯는 자구를 발견하고 《사고전서》를 다시 대대적으로 교정할 것을 명해서 최종적으로 《제사동이록》(もろどうことろく) 등 11부의 저서가 사고전서에서 삭제되었다. 다만 이들 11부의 저서는 《사고전서》에서 삭제된 뒤에도 여전히 궁중에 남아 있었고 파기되지도 않았으며 이 가운데 9부는 오늘날까지도 전해지고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BOOK책갈피] “빨리 구해오라” 정조가 사신을 닦달하던 책”. 《중앙일보》. 2009년 1월 30일. 2017년 7월 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사고전서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