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영장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영장산

영장산
靈長れいちょうやま
영장산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영장산
영장산
영장산의 위치
최고점
고도413.5 m (1,357 ft)
좌표북위 37° 23′ 44″ 동경 127° 10′ 06″ / 북위 37.395596° 동경 127.168465°  / 37.395596; 127.168465
지리
위치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영장산(靈長れいちょうさん)은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태평동 사이에 위치하는 작은 산이며 남쪽으로 이어지면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과 중탑동 사이의 매지봉(うめほう, 277m)이라 부르는 큰매지봉과 작은매지봉(274.5m) 그리고 성남시와 광주시의 경계를 이루는 맹산(はじめさん, 413.5m)과 함께 몇갈래 산세를 이루고 있다.

작은 영장산의 주봉은 높이 193.6m의 봉우리로, 남한산성이 위치하는 청량산이 서남쪽으로 뻗어내린 줄기에 위치하는 구릉지 모양의 산이다. 율동공원의 큰 영장산은 큰매지봉과 작은매지봉을 거늘이고 있는 형세로 분당지역 중심의 산세를 형성하고 있다.

조선시대의 각종 고지도에서는 분당지역과 광주시 경계 일대의 산지에 해당하는 맹산과 매지봉을 영장산(靈長れいちょうさん)으로 표기하고 있다. 이 산지는 분당의 중앙공원에 있는 뒷매산으로 이어지는데, 뒷매산을 영장산으로 부르기도 하는 것으로 봐서 영장산 산자락였다는 얘기이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산지들을 합하여 영장산으로 분류한다. 높이는 원래 193.6m이지만 맹산의 높이로 413.5m로 통일한다. 이곳 큰매지봉과 작은매지봉 사이의 골짜기에는 새마을 지도자 중앙연수원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 골짜기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율동의 분당저수지로 이어져 탄천으로 합류하는 분당천을 만든다.[1][2]

영장산의 동쪽으로는 남한산성 도립공원이 위치하는 청량산과 남한산으로 이어지고, 서쪽과 남쪽의 사면으로는 성남의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 산 중턱에는 망경암이 자리하고 있으며 서남쪽의 기슭에는 대한불교조계종의 말사(末寺まつじ)인 봉국사(たてまつくにてら)가 위치하고 있다. 작은 절이지만 조계종의 직할 교구로 고려 현종 19년(1028년) 때 창건됐다. [1]

전해오는 이야기

[편집]

이 산봉우리 명칭의 유래에는 옛날 잘 훈련된 매를 이용하여 이 산 정상에서 매사냥을 한 것에서 매지봉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다른 전설에는 천지가 개벽할 때 세상이 모두 물에 잠겼는데 이 산봉우리에 매 한 마리가 앉을 수 있을 만큼 공간이 남았으므로 매지봉이라 부른다고도 전해진다.

영장산은 최근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데 원래는 ‘매지봉’이나 ‘맹산’이라고 불렀다.

맹산(はじめさん)은 조선시대 세종이 명재상인 맹사성에게 이 산을 하사해 불리게 된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산아래 직동(곧은골)에는 맹사성의 묘와 맹사성이 타고 다녔다는 흑소의 무덤인 흑기총이 있다.[1][2] 본래 영장산은 경기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산 55-16 에 영장산이 존재한다.

본래 영장산은 경기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산 55-16 에 영장산이 존재한다.

즉 성남시 행정구역에 동시에 산 이름이 두개가 존재한다.

최근에 명명된 율동 산자락으로 연결되는 영장산 바로 옆 봉우리가 응달평산인것을 보아

본래 여기평산 민국임시정부에 군자금을 지원한 독립군 한영달 장군의 이름을 붙여 영달평산이 와전되어 응달평산으로 부르게 된것으로 보여집니다.

비운의 한영달 장군은 청주한씨 청연공 한지원의 적장손으로 일제강점기 이승만 전 대통령이 몸담았던

민국 임시정부에 군량미 와 군자금을 지원하셨으며 이시기 화를 당하게 되며

친일파 집단들이 침입해 분당 율동 선산 및 주변 재산을 전부 찬탈하기 위해 강탈한 족보에

적장자로 위조해 100년 넘게 숨어 살아온것이 확인된것으로 보아 의도적으로 누군가 영달평산을

응달평산으로 만들어 두째 봉우리로 만들고 영장산으로 변조한것으로 보여집니다.

산행코스 정보

[편집]

분당 율동공원에 모여 맹산이라 불리는 영장산(해발 413.5m) 산행으로 들어간다. 원래 불곡산과 붙어 있었지만 도로가 관통하는 바람에 떨어졌다. 분당에서 광주로 넘어서는 태재고개 4차선 도로를 건너면 곧바로 영장산 등산로다.

불곡산과 맞닿았지만 산행은 다소 힘든다. 굴곡이 심한데다 벼랑 중턱에 겨우 만든 등산로가 위험해 보인다. 한 줄로 산행을 시작해야 한다. 능선까지만 다다르면 완만해진다. 정상까지는 2시간30분가량이 소요된다. 망덕산 경계까지는 9.5km로 3시간30분가량이 소요된다.

그러나 얕잡아 보는 것은 금물이다. 영장산만의 성깔을 보여주는 곳이 있다. 정상 700m를 남겨 놓고 30여분 정도의 가파른 오르막 코스가 등산 맛을 제대로 느끼게 한다. 정상 남쪽 등산로에 목계단이 설치됐지만 오르기가 쉽지 않다. 반대편 북쪽에는 난간을 잡지 않고는 하행이 어렵다.

영장산 역시 숲이 울창해 등산로 대부분이 그늘로 덮여 있다. 무더운 날씨엔 더위를 식혀준다. 소나무와 참나무 등이 주종이다. 중간 중간에 인위적으로 심은 리기다 소나무 군락이 있다. 쭉쭉 뻗은 모습이 시원해 보인다. 참나무 군락이 많은 편이지만 시드름병에 시달려 시가 치료하느라 죽은 참나무를 벌목해 쌓아 놓은 곳이 눈에 많이 띈다.

숲이 울창하고 생태계 보존이 잘돼 있어 반딧불이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매년 성남시와 성남환경연합 등 시민단체가 맹산반딧불이자연학교와 반딧불이 축제를 개최한다. 맑은 공기 덕에 곤충과 벌레들이 많아 산행에 지장을 주기도 한다. 진달래와 산철쭉이 등산로마다 지천이다.

영장산은 이배재고개를 지나 망덕산과 검단산으로 연결돼 남한산성까지 능선이 이어진다. 닭도리탕과 산성두부를 맛보려면 3시간가량 더 가야 한다. 영장산 서남쪽 기슭 야탑동 공원묘지 쪽으로 내려오면 봉국사다. 조계종의 직할 교구로 고려 현종 19년(1028) 때 창건됐다.

이어 성남시가 조성한 아파트형 공단이 눈에 들어오고 야탑동 아파트단지와 먹자골목이다. 도심 속 산이라 하행길에 도토리묵과 막걸리집이 없다는 것이 흠이다.[2]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성남향토문화대전 Archived 2010년 9월 29일 - 웨이백 머신 일부내용 참조
  2. “성남 불곡·영장산”. 서울신문. 2009년 6월 22일. 2010년 5월 2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