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진종 (조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진종 (조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효장세자에서 넘어옴)

진종
眞宗しんしゅう
조선국 추존왕
대한제국 추존황제
진종의 능인 영릉
진종의 능인 영릉
조선국 왕세자
재위 1725년 2월 25일 ~ 1728년 11월 16일 (음력)
전임 왕세자 윤 (경종)
후임 왕세자 선 (사도세자)
이름
이행(緈)
별호 효장세자(孝章たかあき世子せいし)
묘호 진종(眞宗しんしゅう)
시호 온량예명철문효장소황제
(溫良おんりょう明哲めいてつ文孝ふみたかあきらあきら皇帝こうてい)
능호 영릉(ながりょう)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봉일천리 3-6
군호 경의군(敬義たかよしくん)
신상정보
출생일 1719년 2월 15일(1719-02-15) (음력)
출생지 조선 한성부 순화방 창의궁
사망일 1728년 11월 16일(1728-11-16)(9세) (음력)
사망지 조선 한성부 창경궁 진수당
부친 영조
모친 정빈 이씨
배우자 효순왕후 조씨
자녀 정조 (양자)

진종(眞宗しんしゅう, 1719년 3월 24일(음력 2월 15일) ~ 1728년 12월 5일(음력 11월 16일))은 조선왕세자이자 추존왕이며, 대한제국추존 황제이다. 영조의 장자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정빈 이씨이다. 사후 태어난 이복동생 사도세자의 차남 세손 산이 아버지 영조에 의해 사후양자로 지명되면서 승통세자의 호를 받고, 영조의 유언대로 사후 왕으로 추존되었다. 는 행(緈), 아명은 만복(萬福ばんぷく), 자는 성경(ひじりたかし)이며 본관은 전주(ぜんしゅう)이다. 효장세자(孝章たかあき世子せいし)로도 잘 알려져 있다. 양자 정조가 즉위하면서 진종온량예명철문효장대왕(眞宗しんしゅう溫良おんりょう明哲めいてつ文孝ふみたかあきら大王だいおう)으로 추존되었다. 청나라에서 내린 시호는 각민왕(つとむ愍王)이며 대한제국 때 황제로 추존되어 진종소황제(眞宗しんしゅうあきら皇帝こうてい)가 되었다.

1724년 경의군(敬義たかよしくん)에 봉해지고 부왕 즉위 후 1725년 세자(世子せいし)에 책봉되었으나 10세의 나이에 경복궁 자선당(ぜんどう)에서 요절하였다. 사후 효장(孝章たかあき)의 시호를 받아 효장세자(孝章たかあき世子せいし)라 불렸고, 영조는 승통세자(うけたまわみつる世子せいし)라는 호를 내렸다. 숙종의 첫 손자이자, 그의 생전에 태어난 유일한 손자이기도 하다.

생애

[편집]

탄생과 가계

[편집]

1719년(숙종 45년) 2월 15일, 한성부 북부 순화방(順化じゅんかぼう)의 창의궁(あきらみや)에서 숙종의 넷째 아들인 왕자 연잉군(영조)과 첩실 이씨(정빈 이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이름은 행(緈)이며 아명은 만복(萬福ばんぷく)이다.

숙종의 첫 손자이자, 숙종 생전에 태어난 유일한 손자이기도 했는데 인현왕후의 오빠인 민진원의 저서 《단암만록(たんいわお漫錄)》에 의하면 숙종은 첫 손자를 썩 내켜하지 않았다.

 

연령군(のべよわいくん)은 사람됨이 온유하고 영민하여
임금(숙종)의 사랑을 받은 것이 연잉군보다 지나쳤다.
연잉군(のべ礽君, 영조)은 자주 임금의 질책을 받았고
또 생모(숙빈 최씨)의 상()중에 있으면서 아들을 낳았기 때문에
행검이 없다고 책망하여 임금을 알현하지 못하게 한 것이
몇 개월이나 되었다.
정유년(1717년) 이이명(頤命)이 독대(どくたい)했을 때
임금의 뜻은 대개 연령군에게 있었다고 한다.
— 《단암만록》, 민진원

어머니 이씨(정빈 이씨)는 증 좌찬성 이후철과 김해 김씨의 딸로, 동궁전 나인으로 있다가 연잉군의 첩이 되었고, 1721년(경종 1년) 연잉군이 왕세제에 책봉되면서 소훈에 봉해졌으나 같은해 11월 사망하였다.

1724년(영조 즉위년) 아버지 영조가 즉위하자 경의군(敬義たかよしくん)에 봉해졌으며, 1725년(영조 1년) 2월 25일 왕세자에 책봉되었으며, 3월 20일에 창덕궁 인정전에서 책봉례를 행하였다.[1]

세자 책봉 이후

[편집]

1725년(영조 1년) 5월 부스럼을 앓았다.[2] 이후 부스럼이 낫자 영조는 세자의 환후가 회복된 것을 기뻐하며 종묘에 고하고 사령을 반포하여 대역죄와 강상죄 이하의 잡범들을 사면하고 관리들의 관직을 한등급씩 높여주었다.[3]

1727년(영조 3년) 문묘에 알성한 뒤 태학에 입학하였다. 1727년(영조 3년) 3월 3일, 왕명으로 대제학 이의현(むべあらわ)을 세자빈객을 삼고, 3월 9일 경연에서 입학례를 올렸다. 9월 9일 인정전에서 관례를 행하였으며 9월 29일 조문명(ちょうぶんいのち)의 딸 조씨(효순왕후)와 가례를 올렸다. 그해 11월 세자빈 조씨가 홍역을 앓게 되어 경춘전으로 거처를 옮겼다.

최후

[편집]

1728년(영조 4년) 11월 16일, 창경궁 진수당에서 열병과 안질환 등의 합병증으로 훙서하였다.[4] 영조는 친히 그의 임종을 지켰다 하는데, 그는 병석에 누워서도 마지막까지 효를 다하고 가지 못함을 애통해하였다 한다.

 

밤 3경(三更さんこう) 1점(いちてん)에 왕세자가 창경궁의 진수당(すすむおさむどう)에서 훙서(薨逝)하였다.
이날 종묘(宗廟そうびょう)와 사직(社稷しゃしょく)에서 두 번째 기도를 거행하였는데,
밤에 병이 더욱 심해져 해시()에 훙서하였다.
임금이 영의정 이광좌(ひかり), 병조 판서 조문명(ちょうぶんいのち) 등에게 슬피 곡하며 말하기를,
"종묘사직을 장차 어찌할 것인가?" 하고, 한참 만에 곡을 그쳤다.
— 《영조실록》 20권,
영조 4년(1728년 청 옹정(雍正) 6년) 11월 16일 (임술)

사후

[편집]

1728년 12월 2일, 당상관들이 회의하여 시호로 장효(そうこう), 효장(孝章たかあき), 장헌(あきらけんじ) 셋을 추천했고, 영조는 모든 행동 중에서 효가 으뜸이라는 점을 들어 '효장'을 골랐다.

세자빈 조씨(효순왕후)는 세자의 사후 현빈(けん嬪)으로 봉해졌다. 세자가 죽고 23년 후인 1751년(영조 27년) 11월 14일, 창덕궁 건극당(けんごくとう)의 동실인 의춘헌(むべはるのき)에서 승하하였으며 이듬해에 효장세자의 묘 왼쪽에 안장되었다.

능묘

[편집]

시신은 한성부 연희궁 근처 북아현에 매장되었다가, 이후 1729년(영조 5년) 현재의 위치인 경기도 파주군 조리동(じょうさとほら), 을좌(おつすわ) 신향(からしむこう), 순릉 왼쪽 산언덕에 예장하였다. 이후 왕으로 추존되어 영릉(ながりょう)의 능호를 받고 왕릉으로 격상되었으며, 파주군 조리면공릉순릉과 함께 파주 삼릉을 구성하는 능 가운데 하나이다. 효장세자의 첫 무덤이 있던 곳은 이후 능안리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5]

독살 의혹

[편집]

1729년(영조 5년) 3월 9일, 궁인 순정(じゅんせい) 등 궁녀 여럿이 세자와 옹주들에게 독을 쓰고 저주했던 사실이 발각되어 영조의 친국을 받고 처참되었다.[6] 궁녀 박순정, 김순혜가 궐밖의 무당 태자 등과 접선, 무당은 과부 이세정으로부터 건네받은 사람의 뼛가루를 창경궁의 양화당, 동궁, 빈궁의 침실 등에 묻었고, 예전부터 그것을 음식에 타서 왕세자와 네 명의 옹주에게 먹였다는 것이다. 이 유골들은 대현산(현, 서울 성동구 금호동)의 여러 무덤에서 채취했거나, 길가에 거적으로 말아놓은 개가 뜯어 먹다만 시체, 혹은 불에 탄 사람의 해골이라 한다.

묘호 및 시호

[편집]

1776년 1월 27일 영조의 특명으로 승통세자(うけたまわみつる世子せいし)의 호칭을 받았다.

1776년(정조 즉위년) 효장세자의 승통을 이은 양자 정조가 즉위하면서 진종(眞宗しんしゅう)으로 추존되었다. 시호는 온량예명철문효장(眞宗しんしゅう溫良おんりょう明哲めいてつ文孝ふみたかあきら)이며, 1908년(융희 2년), 대한제국 순종에 의해 소황제(あきら皇帝こうてい)로 추존되었다.

가족 관계

[편집]
출생 사망
조선의 추존 국왕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
진종 소황제
眞宗しんしゅう あきら皇帝こうてい
1719년 3월 24일 (음력 2월 15일)
조선 조선 한성부 순화방 창의궁 사제
1728년 12월 5일 (음력 11월 26일) (9세)
조선 조선 한성부 창경궁 진수당

부모

[편집]
생몰년 본관 부모 비고
영조대왕
えい大王だいおう
1694년 - 1776년 전주 숙종대왕
肅宗大王だいおう
숙빈 최씨
よしちぇ
제21대 국왕
법모 정성왕후 서씨
さだ聖王せいおうきさき じょ
1692년 - 1757년 대구 달성부원군 서종제
いたる城府じょうふいんくん じょはじめ
잠성부부인 이씨
城府じょうふ夫人ふじん
정빈 이씨
やすし
1694년 - 1721년 함양 이후철
あきら
김해 김씨
きむうみ きん

왕비

[편집]
시호 본관 생몰년 부모 별칭 비고
추존 왕비
추존 황후
효순소황후 조씨
こうじゅんあきらすめらぎ きさきちょう
효순왕후
こうじゅんおうきさき
풍양 1715년 - 1751년 풍릉부원군 조문명
ゆたかりょういんくん ちょうぶんいのち
완흥부부인 전주 이씨
かんおき夫人ふじん
효순현빈
こうじゅんけん
조선의 추존 왕후
대한제국의 추존 황후

왕자

[편집]
이름 생몰년 친부모 배우자 비고
양자 정조 선황제
せい せん皇帝こうてい
정조대왕
せい大王だいおう

1752년 - 1800년 장조의황제
そう皇帝こうてい
헌경의황후
けんじけい皇后こうごう ひろし
효의선황후 김씨
こう懿宣皇后こうごう きん
효의왕후
こう懿王きさき
제22대 국왕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영조실록》 4권, 영조 1년(1725년 청 옹정(雍正) 3년) 3월 20일 (무오)
    왕세자의 책봉례를 행하고 반교하다
  2. 영조실록》 6권, 영조 1년(1725년 청 옹정(雍正) 3년) 5월 24일 (신유)
    왕세자의 부스럼으로 의관을 숙직시키다
  3. 영조실록》 6권, 영조 1년(1725년 청 옹정(雍正) 3년) 6월 13일 (기묘)
    동궁의 환후가 회복되자 종묘에 고하고 사령한 교서의 내용
  4. 영조실록》 20권, 영조 4년(1728년 청 옹정(雍正) 6년) 11월 16일 (임술)
    왕세자가 창경궁에서 훙서하다
  5. "조선 초 3대 천도지의 하나였던 안산(鞍山くらやま)과 이궁(離宮りきゅう) 연희궁 터" 프레시안 2012.08.30.
  6. 영조실록》 25권, 영조 6년(1730년 청 옹정(雍正) 8년) 3월 9일 (정축)
    세자와 옹주를 매흉한 궁인들을 인정문에서 친국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