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民 - 나무위키

みん

최근 수정 시각:
4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96574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 (AS7524) ITEC Hankyu Hanshin Co.,Ltd.
토론역사
みん
백성 민
부수
나머지 획수
, 1획
총 획수
5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ミン
일본어 훈독
たみ
-
표준 중국어
mí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民획순
みん의 획순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みん'백성 민'이라는 한자로, '백성', '사람', '나기' 등을 뜻한다.

훈은 '백성'이지만 백성도 한자어이며 풀이하자면 '다스림을 받는 사람' 정도다.

2. 상세[편집]

백성 민 자형 변천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백성
mín
man4
mìn
měng
mìng
bîn
min (T3)
음독
ミン
훈독
たみ
dân
유니코드에선 U+6C11에 배정되어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くち女心おんなごころ(RVP)로 입력한다.

백성이 무릎을 꿇고 앉아있는걸로 보이는 요즘 모습과는 다르게 유래가 상당히 잔인하다. 갑골문에선 (눈 목)과 じゅう(끊을 절)[1]이 살짝 겹쳐진 자다. 그림으로 보면 이해가 쉬운데, 사람의 눈을 형구로 찌르는 모습을 본뜬 한자로서 노예를 의미한다. 고대 상나라 때 전쟁 등에 진 노예를 저항력을 반감시키고 노동력을 유지하도록 한쪽 눈을 실명시킨 데에서 유래했다. 또는 당시 심심하면 자행되던 인신공양을 할 때 눈을 멀게 하고 인신공양을 했는데, 그걸 나타낸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그 뒤 시대가 흘러 동주시대, 그리고 춘추시대에는 인(ひと)과 민(みん)이 구분되었다. 인은 사(), 대부(大夫たいふ) 이상의 신분을 가진 일종의 귀족 계급이며, 민(みん)은 그 이하의 피지배 계층이었다. 그 뒷 시대에는 인(ひと)은 보편적인 인간을 나타내게 되고, 민은 인(ひと)의 범주 내에서 피지배 계층을 가리키게 된다. 많은 부분 이미지가 상승했음에도 '민'에는 아직까지 수동적 존재라는 의미가 강하게 들어있는 편이다.

일본쪽 웹에서는 일반적인 ~현민, 도민이라는 용법에서 파생된것으로 보이는, 특정 비디오 게임이나 애니메이션, 판권물의 팬/유저라는 의미로도 쓰인다. (ex. ブルアカみん, APEXみん )

3. 용례[편집]

  • 공민 (公民こうみん)
  • 교민 (みん)
  • 구민 (區民くみん)
  • 국민 (國民こくみん)
  • 군민 (ぐんみん)
  • 난민 (らんみん/難民なんみん)
  • 농민 (農民のうみん)
  • 대한민국 (大韓民國だいかんみんこく)
  • 도민 (道民どうみん/島民とうみん/都民とみん)
  • 문민 (文民ぶんみん)
  • 민가 (民家みんか)
  • 민간 (民間みんかん)
  • 민국 (みんこく)
  • 민권 (民權みんけん)
  • 민담 (みんたん)
  • 민도 (民度みんど)
  • 민박 (民泊みんぱく)
  • 민방위 (みん防衛ぼうえい)
  • 민법 (民法みんぽう)
  • 민병 (民兵みんぺい)
  • 민생 (民生みんせい)
  • 민사 (民事みんじ)
  • 민속(民俗みんぞく)
    • 민속적 (民俗みんぞくてき)
    • 민속촌 (民俗みんぞくむら)
    • 민속학 (民俗みんぞくがく)
  • 민수기 (みんすう)
  • 민심 (民心みんしん)
  • 민어 (みんぎょ)
  • 민영 (民營みんえい)
  • 민요 (みん擾/みんかま/民謠みんよう/みんにょう)
  • 민용 (みんよう)
  • 민원 (みん怨/みんねがい)
  • 민의 (民意みんい)
  • 민자 (みん)
  • 민정 (民情みんじょう/民政みんせい)
  • 민족 (民族みんぞく)
  • 민주 (民主みんしゅ)
  • 민중 (民衆みんしゅう)
  • 민초(みんくさ)
  • 민통선 (みんすべせん)
  • 민폐(みんへい)
  • 민화 (みん畵/民話みんわ)
  • 민회 (みんかい)
  • 반민특위 (はんみんとく)
  • 빈민 (貧民ひんみん)
  • 상민 (しょうみん/常民じょうみん)
  • 서민 (庶民しょみん)
  • 선민 (選民せんみん)
  • 시민 (市民しみん)
  • 식민 (植民しょくみん)
  • 신민 (しんみん/臣民しんみん)
  • 어민 (漁民ぎょみん)
  • 애민 (あいみん)
  • 우민 (愚民ぐみん)
  • 일민 (一民かずたみ/逸民いつみん)
  • 원어민 (原語げんごみん)
  • 원주민 (原住民げんじゅうみん)
  • 유목민 (遊牧民ゆうぼくみん)
  • 이민 (吏民/移民いみん/さとみん)
  • 이재민 (罹災りさいみん)
  • 인민 (人民じんみん)
  • 자유민주주의 (自由じゆう民主みんしゅ主義しゅぎ)
  • 주민 (おもみん/住民じゅうみん)
    • 주민등록 (住民じゅうみん登錄とうろく)
  • 천민 (天民てんみん/賤民せんみん)
  • 평민 (平民へいみん)
  • 한민 (かんみん/かんみん)
    • 한민족 (かん民族みんぞく/かん民族みんぞく)
  • 훈민정음 (くんみんせいおと)
  • 군주민수 (きみふねみんすい)
  • 경세제민 (經世濟民けいせいさいみん)
  • 소국과민 (小國おぐに寡民)
  • 백의민족 (白衣はくい民族みんぞく)
  • 민족상잔 (民族みんぞくしょうざん)
  • 단일민족 (單一たんいつ民族みんぞく)
  • 배달민족 (ばいたち民族みんぞく)
  • 여민동락 (あずかみんどうらく)
  • みん [mín]
    • 명) 국민
      • 예) 公民こうみん [gōngmín]: 공민
    • 명) 민족, 종족
      • 예) 民族みんぞく [mínzú]: 민족
    • 명) (직업 등의) 종사자
      • 예) 农民 [nóngmín]: 농민
    • 명) 인민, 대중[2]
      • 예) 人民じんみん [rénmín]: 인민
    • 명) 일반인, 민간인
      • 예) 平民へいみん [píngmín]: 평민, 민간인

4. 유의자[편집]

  • (백성 맹)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1] 갑골문에서 じゅう은 열 십이 아니라 자를 절이었다. 열 십은 갑골문에서는 丨모양으로 썼다. 이후 열 십 자가 じゅう, Φふぁい 모양이 되자 혼동을 피하기 위해 じゅう자는 なな자로 변형되고, 이후 자르다는 뜻에서 일곱이라는 뜻으로 가차되었다. 자를 절 자에 なな자가 들어가는 이유가 그것이다. なな자가 일곱을 나타내는 자가 되었으므로 かたな자를 합쳐 원래의 뜻을 나타내 주는 것.[2] 북한의 영향으로 인해 한국에서는 인민과 국민을 동일한 단어처럼 사용하나, 실제로는 다른 단어이다. 국민은 nation, 즉 특정 국가에 속한 사람을 뜻하는 단어이고 인민은 people, 즉 사람 그 자체를 뜻하는 단어이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