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逆 - 나무위키

ぎゃく

최근 수정 시각:
3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96574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 (AS7524) ITEC Hankyu Hanshin Co.,Ltd.
토론역사
ぎゃく
거스릴 역
부수
나머지 획수
, 6획
총 획수
10획
중학교
ぎゃく
일본어 음독
ギャク, ゲキ
일본어 훈독
さか, さか-らう,
あらかじ-め, むか-える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7. 여담

1. 개요[편집]

ぎゃく'거스릴 역'이라는 한자로, '거스르다'를 뜻한다. '거스를 역'이라고도 한다.[1]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거스르다
ngia̍k
ngà̤
gia̍k[4], ge̍k[5]
음독
ギャク, ゲキ
훈독
さか, さか-らう,
あらかじ-め, むか-える
nghịch

유니코드에는 U+9006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うらない廿山つづやま(YTU)으로 입력한다.

이 글자는 屰(거스를 역)과 동자(どう)이다. 屰은 두 팔과 두 다리를 벌리고 서 있는 사람, 즉 だい(큰 대)를 거꾸로 뒤집은 모습을 본떠서 만든 글자이다. ぎゃく갑골문 때부터 등장하는데, 屰의 형태로 등장하는가 하면, 밑에 발의 모양을 본뜬 とめ(그칠 지)가 더해진 형태, 옆에 (조금걸을 척)이 더해진 형태, 그리고 とめ와 彳이 모두 더해진 형태가 전부 등장한다. 이중에서 屰+彳+とめ의 형태만 끝까지 살아남았으며, 彳과 とめ가 합쳐져 (쉬엄쉬엄갈 착), 나아가 ⻍의 형태가 되면서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본래 뜻은 '맞이하다', '거스르다'이다. むかい(맞을 영)과 뜻이 똑같으며 발음도 비슷해 서로 동계어(cognate)로 본다. 그러나 현재 ぎゃく은 '거스르다', '반대하다'라는 뜻으로만 쓰인다. '맞이하다'라는 뜻을 나타낼 때는 むかい을 쓴다. '맞이하다'의 뜻으로 ぎゃく을 쓰는 거의 유일한 현대 용례는 (맞을 요)를 쓰는 요격(邀擊ようげき), むかい을 쓰는 영격(迎擊げいげき)과 유의어인 역격(ぎゃくげき)이 있다. 또 '사전에, 미리'라는 뜻도 가지고 있으나 현재는 쓰이지 않는다.

회송 등에 쓰이는 おく(보낼 송)의 신자체와 모양이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글자다.

3. 용례[편집]

  • 음독
    • 오음: ギャク 한음: ゲキ
      • ぎゃっきょう (逆境ぎゃっきょう) 표내
      • ぎゃくじょう (逆上ぎゃくじょう) 표내
      • ぎゃくてん (逆転ぎゃくてん) 표내
      • じゅんぎゃく (順逆じゅんぎゃく) 표내
      • げきりん (逆鱗げきりん)
  • 훈독

역린이란 뜻의 逆鱗げきりん(げきりん) 외에는 음독으로 ぎゃく라고 읽는다.

4. 유의자[편집]


ぎゃく逆流ぎゃくりゅう(역류)와 같이 물리적 위치의 거스름을 뜻하며, こばめぎゃく(거역), 反逆はんぎゃく/叛逆はんぎゃく(반역)처럼 권력이나 규범의 거스름을 뜻한다. 逆行ぎゃっこう(역행)과 같이 물리적 위치의 거스름[6]과, 대상의 상태가 과거로 회귀한다는 추상적 의미의 '거스름'[7]을 동시에 뜻하기도 한다. さかのぼ溯及そきゅう(소급)과 같이 시간의 거스름, さかのぼりゅう(소류)와 같이 물리적 위치의 거스름을 뜻한다. もと는 패륜(もとりん), くだりもと(행패)와 같이 규범, 도덕의 거스름을 뜻한다. 이렇게 볼 때 さかのぼ는 현대 한국어에서 규범을 거스른다는 의미로 쓰이는 예가 없다.

5. 상대자[편집]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7. 여담[편집]

  • 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비망록에 ほとばしつとむ이라고 흘려 쓴 메모를 남겼는데, 이를 한때 ぎゃくにん(역임)이라고 해석했었으나, 서울대 성낙인 총장이 選任せんにん(선임)이라고 해명했다. 기사
  • '역겹다'나 '역하다'에서의 '역'도 ぎゃく이다. 토가 '거슬러' 올라온다는 데서 ぎゃく이 쓰인 것이다.
[1] 한국어문회에서는 '거스릴 역'이라는 훈음을 배정했는데, '거스리다'라는 단어가 없기 때문에 이는 잘못이다. '거스르다'가 올바르며, 따라서 '거스를 역'이라고 해야 한다.[ぶん] 문독[しろ] 백독[4] 취안저우[5] 장저우, 주류 대만어 등[6] 단순히 거꾸로 이동한다는 의미[7] '시대에 역행하다' 따위[8] ひね(베풀 진)의 고자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