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夏 - 나무위키

なつ

최근 수정 시각:
8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96574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 (AS7524) ITEC Hankyu Hanshin Co.,Ltd.
토론역사
なつ
여름 하
부수
나머지 획수
, 7획
총 획수
10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カ, (ゲ)
일본어 훈독
なつ
-
표준 중국어
xià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7. 여담

1. 개요[편집]

なつ'여름 하'라는 한자로, '여름'을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여름
xià
haa6
ha
hhia (T3)[ぶん] / hho (T3)[しろ]
음독
カ, (ゲ)
훈독
なつ
hạ

유니코드에는 U+590F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ㄒㄧㄚˋ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MUHE(一山ひとやまちくすい)로 입력한다.

다음과 같은 이체자들이 있다. : 昰[3], 夓, 𠀼, 𠌘, 𠍺, 𡔰 등등. 일부 웹환경에서는 글자가 제대로 출력되지 않을 수 있으니 유의할 것.

external/upload.... external/upload.... external/upload.... external/upload....

なつ는 머리혈(ぺーじ)과 느리게걸을 쇠(夊)부가 합쳐진 형상인데 원래는 머리를 두 손을 나타내는 うす(절구 구)가 감싸는 형태였다.(夓) 이 원래 형태에 대한 해석으로는, 우두머리(ぺーじ)[4]가 무릎을 꿇고(夊) 두 손을 모아 비는(うす) 것으로 해석한다. 물론 여느 상형자들이 그렇듯이 정확한 해석은 사람마다 견해가 갈린다. 어떤 곳에서는 화려한 복식을 한 사람이 손발을 흔들어 춤을 추는 것을 형상화한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후에 うす가 빠져 현재의 글자 형태로 정착 되었다.

원래 이 글자는 하(なつ)나라를 가리키는 데에 쓰였고, 하나라 이외에도 중화(中華ちゅうか), 화하(はななつ)을 일컫는 데 쓰였다. 그러나 이후에 '여름'이라는 뜻으로 가차되었다.

본래 이 글자는 다음자(音字おんじ)로, '하나라', '중화'의 의미를 지닐 땐 상성, '여름'이라는 뜻일 때는 거성으로 구별하여 읽으나, 현재 표준중국어에서는 にごじょうへん[5]로 인하여 성조 구분이 사라지고 전부 거성으로 읽는다.

한때 なつふゆ(겨울 동)이 갑골문에서 발견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고대 중국에는 여름과 겨울이 없고 오직 봄과 가을 계절만 존재했다고 추측하기도 했으나 지금은 원형이 다 파악된 상태여서 설득력을 잃었다. 다만 여름과 겨울의 뜻은 후대에 가차된 것이라, 적어도 상나라 초기에는 봄과 가을만으로 계절을 구분한 것으로 보인다.[6]

3. 용례[편집]

하(성씨) 참조.

일본에서는 인명으로 많이 쓴다. 훈독(なつ)이 여성스러워서인지 여성의 이름에 많이 쓰는 편. 한국에서도 항렬자에 자주 나온다.

3.3.1. 실존 인물[편집]

3.3.2. 가상 인물[편집]

4. 유의자[편집]

  • (여름 하, 이 시)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 えのき(개오동나무 가)
  • 𤧶(옥 경)
  • 𥧜[⿱あななつ](품을 복)
  • 𩡘[⿰こうなつ](향기 복)[7]
  • 𣣺[⿰なつかけ](목쉴 사)
  • しゃがれ(잠길 사, 아 아, 먹을 하)
  • 𢟜[⿱なつしん](근심 우)[8]
  • 𤹉[⿸疒夏](문간방 하)
  • 𧈄[⿺とらなつ]/𠌘[⿰亻夏](여름 하)
  • /(큰집 하)
  • 𦥍[⿰いたりなつ](경)
  • 𥻴[⿺なつまい](화)
  • 𡏘[⿰なつ]
  • 𡺷[⿰やまなつ]
  • 𡙣[⿱だいなつ]
  • 𭔆[⿱宀夏]
  • 𭕥[⿸しかばねなつ]
  • 𡕵[⿰なつ兮]
  • 𭐲[⿰なつばん]
  • 𭡲[⿰扌夏]
  • 𭱣[⿰氵夏]
  • 𤌤[⿰なつ](하)
  • 𢥭[⿰なつ]
  • 𥔹[⿰いしなつ]
  • 𱵡[⿰しめせなつ]
  • 𥜂[⿰⿱匕示なつ]
  • 𥫏[⿺竟夏]
  • 𧏡[⿰むしなつ]
  • 𱽅[⿰⿱ふね𧾷なつ]
  • 𲁲[⿰げんなつ]
  • 𮢩[⿰きむなつ]
  • 𪄂[⿰なつとり]
  • 𮬆[⿰さかななつ]

7. 여담[편집]

  • なつ를 세 개 합치면 𡖃[⿱なつなつなつ](여름 하)가 된다.
[ぶん] 문독[しろ] 백독[3] 흥선대원군의 본명인 이하응의 하가 바로 이 한자를 쓴다.[4] 관을 쓴 사람, 즉 우두머리라는 뜻이다.[5] 성모가 전탁음(유성 파열음)인 상성의 성조가 거성으로 바뀜[6] 춘추라는 단어가 이 흔적일 수도 있다.[7] (향기 복)의 동자[8] (근심 우)의 동자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