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벨라루스 - 나무위키

벨라루스

최근 수정 시각:
51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96574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 (AS7524) ITEC Hankyu Hanshin Co.,Ltd.
토론 역사
분류
벨라루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A] 1.1 1.2 1.3 1.4 1.5 1.6 1.7 일부 지역만 동유럽에 속해 있는 국가 또는 넓은 의미로 동유럽으로도 분류되는 국가.
(주로 아시아에 분포, 캅카스서아시아중앙아시아 등 다른 지역으로 분류될 때도 있다.











대한민국 외교부 지정 여행금지 지역
[ 펼치기 · 접기 ]
여권법에 의한 여행금지 국가
이 국가들은 영주(永住えいじゅう), 취재ㆍ보도, 긴급한 인도적 사유, 공무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목적의 여행으로서 외교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 받아야 예외적 여권사용 허가를 받고 방문ㆍ체류를 허가할 수 있다.
2004.4.9 ~
2024.7.31
2006.12.29 ~
2024.7.31
2007.7.21 ~
2024.7.31
2011.6.28 ~
2024.7.31
2011.8.20 ~
2024.7.31
2014.8.4 ~
2024.7.31
2022.2.13 ~
2024.7.31
2023.4.29 ~
2024.7.31
2024.5.1 ~
2024.7.31

일부 지역이 여행금지로 지정된 국가
2015.12.1 ~
2024.7.31
2022.3.8 ~
2024.7.31
2022.3.8 ~
2024.7.31
2023.4.15 ~
2024.7.31
2023.4.15 ~
2024.7.31
2023.8.1 ~
2024.7.31
2023.11.25 ~
2024.7.31
2024.2.1 ~
2024.7.31


윗첨자1: 2007. 8. 7 부터 입국시 처벌 도입.
윗첨자2: 러시아가 실효지배 중인 도네츠크루간스크, 크림반도(세바스토폴, 크림 공화국)도 포함됨.
윗첨자3: 이집트와 영토 분쟁지역인 와디 하이파 돌출지할라이브 지역도 포함됨.
윗첨자4: 민다나오 지역(잠보앙가, 술루 군도, 바실란, 타위타위 군도)만 금지.
윗첨자5: 로스토프·벨고로드·보로네시·쿠르스크·브랸스크 지역 내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30km 구간만 금지.
윗첨자6: 브레스트·고멜 지역 내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30km 구간만 금지.
윗첨자7: 아제르바이잔과의 접경 30km 구간만 금지.
윗첨자8: 아르메니아와의 접경 5km 구간만 금지.
윗첨자9: 가자 지구만 금지.
윗첨자10: 샨주 북부, 샨주 동부, 까야주, 라카인주만 금지.
윗첨자11: 골든트라이앵글 경제특구만 금지.

대한민국 외교부 지정 출국권고 지역
[ 펼치기 · 접기 ]
다음 지역들은 출국 권고가 내려진 지역입니다.
해당 지역에 계신 분들은 긴급한 용무가 아니면 출국할 것을 권장하며,
이 지역에 여행을 예정하고 계신 분들은 여행취소하거나, 연기하시길 바랍니다.
(기준일: 2024.05.01)

자세한 정보는 외교부 해외안전포털을 참고
동북아시아
[ 상세 내용 ]
북미
해당 없음
중남미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전 지역
전 지역 - 2019.12.03
볼리비아 여행경보 2022.0...
태양의 섬
2019.05.08
자메이카 여행경보 2022.0...
킹스턴, 세인트앤드류, 세인트캐서린
2022년 08월 22일
콜롬비아 여행경보 2020.0...
베네수엘라 국경지역 20km, 뚜마코 시, 바예델카우카주(깔리 시 제외), 아라우카주, 카우카주, 안티오키아주 일부, 초코주 일부, 카케타주 일부
2017.08.22
파나마 여행경보 2024.02...
콜롬비아 국경지역 40Km 지역
2024년 2월 23일
페루 여행경보 2023.05....
아푸리막 주 : 안다우아이라스, 친체로스 지역
아야쿠초 주 : 라 마르, 우안타 지역
우앙카벨리카 주 : 츄르캄파, 타야카하 지역
쿠스코 주 : 라 콘벤시온 지역
후닌 주 : 사티포, 우안카요, 콘셉시온 지역
2017.2.22
서남아시아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방글라데시 여행경보 2020....
동남부 치타공 힐 트랙스 지역
2011.08.04
인도 여행경보 2020.01....
카슈미르, 카르길 시
2017.11.15
파키스탄 여행경보 2022.0...
여행자제 지역(이슬라마바드, 페이살라바드, 라왈핀디, 라호르, 훈자, 길깃, 스카루드)을 제외한 전지역
2022년 8월 22일
동남아시아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말레이시아 여행경보 2020....
사바 주 동부 도서, 동부 해안 지역
도서 지역 : 2013.11.25
해안 지역 : 2015.11.23
미얀마 여행경보 2024.05...
しゅう 북부, 샨しゅう 동부, 까야しゅう, 라카인しゅう를 제외한 전 지역
2024년 05월 01일
태국 여행경보 2020.01....
나라티왓 주, 파타니 주, 얄라 주, 송클라 주 남부 말레이시아 국경지역
2009년 이전
필리핀 여행경보 2024.02...
팔라완섬 아볼란, 나라, 케손 이남 , 민다나오섬(제외: 다바오/카가얀데오로/시아르가오, 잠보앙가)
2024년 2월 23일
중동·북아프리카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전 지역
2023.10.19
모로코 여행경보 2020.01...
2017.02.22
모리타니아 여행경보 2020....
누악쇼트, 누아디부를 제외한 전 지역
2010.12.06
사우디아라비아 여행경보 202...
사우디-예멘 국경 인근 180km 지역 (슈케이크(Shuqaiq), 아브하(Abha), 카미스 무샤이트(Khamis Mushait) 포함)
국경 인근 80km 지정일 : 2017.04.21
국경 인근 180km으로 확대 지정일 : 2019.07.03
알제리 여행경보 2020.01...
카빌리 지역 6개주 산악지역 (부메르데스, 부아라, 티지 우주, 베자이아, 보르즈부아레리즈, 지젤), 국경지역(튀니지(테베사, 엘웨드 동부, 오아글라 동부) 국경지역(튀니지(테베사, 엘웨드 동부, 오아글라 동부), 리비아(일리지 동부), 니제르ㆍ말리ㆍ모리타니(타만라셋 남부, 아드라르 남서부, 틴두프 남서부))
2016.07.29
이란 여행경보 2020.01....
시스탄발루체스탄 주, 튀르키예ㆍ이라크 국경지역, 페르시아만 연안 3개 주(후제스탄, 부셰르, 호르모즈건(Hormozgan)
2019.12.03
이스라엘 여행경보 2023.1...
가자지구를 제외한 전 지역
2023년 10월 19일
이집트 여행경보 2023.08...
중•북부 시나이 반도(1단계(다합•샴엘셰이크 지역, 카이로 등 나일강 유역 도시 지역, 마르트루~지중해 유역),2단계(서부 사막, 시나이 반도 남부 일부지역(성캐더린•타바)) 지역 제외), 리비아 국경으로부터 30km까지(국경도시 Salloum을 포함)
2023년 8월 4일
튀니지 여행경보 2023.03...
알제리 접경지역 (까세린 주 샴비산 일대) 리비아 접경지역 (크사르 길랜 이남 사막지역 전역)
2015.01.27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나이지리아 여행경보 2020....
니제르델타 부근 8개 주 (에도/ 아남브라/ 델타/이모/ 아비아/ 바이엘사/ 리버스/ 아콰이봄) 및 아다마와/ 보르노/ 요베/ 바우치/ 카노/ 잠파라/ 플래토/ 나사라와/ 아부자/ 타라바/ 소코토/ 카치나/ 지가와/ 곰베 주
2019.06.13
전 지역
2019년 12월 3일
전 지역
2023년 8월 2일
전 지역
2012.04.06
모잠비크 여행경보 2020.0...
카보 델가도 주
2019.01.02
베냉 여행경보 2020.01....
북부 부르키나파소 접경지역 (Pendjari 국립공원 및 W 국립공원)
2019.05.13
부룬디 여행경보 2020.01...
부줌부라 제외 전 지역
2019.12.03
부르키나파소 여행경보 2022...
와가두구, 보보디울라소 제외 전역
2020.09.15
에리트레아 여행경보 2023....
에티오피아·수단·지부티 국경 25km 이내
2023년 3월 7일
에티오피아 여행경보 2023....
티그라이 주, 소말리 주, 베니샹굴-구무즈 주, 감벨라 주, 오로미아 주 일부 (East Welega, West Welega, Kelam Welega, Guji, Borena 지역), 암하라 주에서 티그라이주 30km 접경지역, 수단&에리트리아, 케냐&남수단 국경 10km 접경지역, 아파르주에서 티그라이주 10km 접경지역
2023년 8월 4일
전 지역
2012.12.21
지부티 여행경보 2022.08...
에리트레아•에티오피아•소말리아 국경 10km 이내 접경지역
2022년 8월 22일
전 지역
2013.02.20
카메룬 여행경보 2020.01...
노르드 주(NORD), 아다모와 주(ADAMAOUA)지역, 암바조니아(북서부 주, 남서부 주), 최북부 주 (엑스트림므-노르드(EXTREME-NORD)지역)
2018.08.27
케냐 여행경보 2022
케냐‧소말리아 국경 100km 이내 모든 지역, 나이로비 북부 이스트레이, 가리사
2016년 6월 29일
코트디부아르 여행경보 2022...
소라이베리아ㆍ기니와 국경을 접한 서부 지역 (Denguele주, Montagnes주, Bafing주), 초로고(Tchologo) 및 붕카니(Bounkani) 주(しゅう)
2021년 4월 23일
콩고민주공화국 여행경보 202...
남수단ㆍ중앙아프리카공화국과의 국경 50km 이내 지역, (바우엘레주, 오트우엘레주, 이투리주, 북키부주, 남키부주, 마니에마주, 카사이주, 카사이오리앙탈주, 카사이상트랄주) きゅう 카탕가주 북부 지역(일부: 오트로마미주,루알라바주, 오트카탕가주)
2018.08.27
탄자니아 여행경보 2022.0...
음트와라(Mtwara) 주(しゅう)
2020년 11월 9일
러시아·중앙아시아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러시아 여행경보 2023.02...
북캅카스 지역 : 체첸, 다게스탄, 세베로오세티야(북오세티아), 카바르디노발카르(카바르티노-발카리야 공화국), 잉귀쉬(잉구세티아),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까라차이-체르케스), 아디게이(아디게야), 로스토프, 벨고로드, 보로네시, 쿠르스크, 브랸스크 주, 오룔 주 일부(샤블르키노, 드미트롭스크, 사스코보, 크로믜, 트로스나 5개 지역)
2023년 2월 15일
타지키스탄 여행경보 2020....
아프가니스탄 국경 지역
2011.08.04
유럽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벨라루스 여행경보 2022.0...
브레스트·고멜 지역 내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30km를 제외한 전 지역
2022.03.01
나고르노-카라바흐 및 인근 7개 지역(아그담(Aghdam), 피줄리(Fizuli), 자브라일(Jabrayil), 장길란(Zanglian), 구바들리(Guabadly), 라친(Lachin), 켈바자르(Kelbajar)), 나흐치반 아르메니아 접경지역
2023년 4월 15일
조지아 여행경보 2020.01...
남오세티아, 압하지아
2019.02.27
코소보 여행경보 2020.01...
미트로비차 북부
2011.08.04
키프로스 여행경보 2022.1...
파마구스타 내 바로샤 지역
2022년 11월 29일
터키 여행경보 2020.01....
가지안테프, 디야르바커, 마르딘, 반, 바트만, 비트리스, 빙골, 산리우르파, 시르낙, 시르트, 엘라지, 킬리스, 툰셀리, 하카리, 시리아의 국경 10km 이내 지역(히타이)
2010년 이전
오세아니아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푸아뉴기니 여행경보 2020...
서던 하일랜즈 주, 헬라 주
2018.08.27
벨라루스 국기
벨라루스 국장
국기
국장
상징
우리는 벨라루스인(Мы, беларусы)
홍부리황새
역사
벨로루시 SSR 건국 1920년 7월 31일
소련으로부터 독립 선언 1990년 7월 27일
벨라루스 공화국 수립 1991년 8월 25일
지리
하위 행정 구역
[ 펼치기 · 접기 ]
일반
6주[4] 118군[5]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인구
9,455,037명(2024년) | 세계 96위
인구
밀도
46명/km²(2019년) | 세계 121위
출산율
세계은행 자료 1.40명(2020년)[6] CIA 자료 1.51명(2022년)[7] | 세계 208위
공용어
종교
국교 없음(정교분리)
정교회 48.3%, 무종교 41.1%, 가톨릭 7.1%, 기타 3.5%(2011)
군대
주둔군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민주주의 지수
1.99점, 권위주의 (2023년)
(167개국 중 151위)
정부
요인
알렉산드르 루카셴코[논란][9]
(Аляксандр Лукашэнка)
총리
라만 할로우찬카
(Раман Галоўчанка)
상원
의장
나탈랴 카차나바
(Наталля Качанава)
하원
의장
울라지미르 안드레이찬카
(Уладзімір Андрэйчанка)
경제
[ 펼치기 · 접기 ]
전체
GDP
544억$ (2018년 기준)
1인당 GDP
6,477$ (2019년 추정치)
전체
GDP
1,950억$ (2019년 추정치)
1인당 GDP
20,820$ (2019년 추정치)
$1,710억 / 세계 76위(2020년)
수출
$419억(2019년)
수입
$317억(2019년)
$73억(2020년 9월)
신용 등급
통화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연호
시간대
UTC+3(FET)
도량형
외교
[ 펼치기 · 접기 ]
국제연합 가입
수교현황
교민현황
1,356명
무사증입국
한국인 → 벨라루스 : 30일
벨라루스인 → 한국 : 비자 필요
주한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45길 51 (한남동)
주벨라루스
220002 Minsk, Storozhovskaya 10
.by
112, BY, BLR
+375
여행경보
출국권고
여행금지 지정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A]
여행금지
브레스트·호멜 지역 내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30km 구간[A]
위치
external/upload....

1. 개요2. 상징
2.1. 국호2.2. 국기2.3. 국가2.4. 국장2.5. 기타
3. 역사
3.1. 2020년 벨라루스 시위
4. 자연
4.1.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5. 행정구역6. 정치
6.1. 군사
7. 외교8. 사법9. 사회
9.1. 주민9.2. 인권 탄압
10. 경제11. 문화
11.1. 언어11.2. 예술11.3. 종교11.4. 스포츠
12. 여행 정보
12.1. 항공편
13. 출신 인물14.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동유럽에 위치한 내륙국으로 러시아, 우크라이나, 폴란드, 리투아니아, 라트비아경계를 이루고 있는 국가다. 수도·최대도시는 민스크(Мінск, Minsk)다.

2. 상징[편집]

2.1. 국호[편집]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벨라루스/국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국기[편집]

벨라루스 국기(1995–201...
벨라루스 국기
구 벨라루스 국기(1995 ~ 2012)
현 벨라루스 국기(2012 ~)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
벨라루스 국기(1918, 19...
벨로루시 SSR 시절 국기
(1951 ~ 1991)[14]
소련 해체 직후 사용하던 백적백기
(1991 ~ 1995)

현행 국기는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시절 깃발에서 낫과 망치 문양을 빼고 루치니크(ручнік)[15]라 불리는 전통자수문양의 적백 색상을 반전시킨 것이다. 이 복잡한 전통문양 때문에 종종 그리기 어려운 국기 순위에 올라오기도 하지만 투르크메니스탄 국기 도안에 비하면 그나마 간단한 편이다. 재미있는 사실은 해당 국기의 문양을 만든 마트로나 마르케비치(Матрона Маркевіч, 1886 ~ 1957)는 부농이라는 이유로 재산몰수를 당하고 1937년 당시에 집단농장에 가입하라는 요구를 거절했다가 남편이 사형되는 등 스탈린 치하에서 한바탕 고생을 했던 사람이었다. 자신이 만든 문양이 지역기로 채택되는것을 보았지만 남편이 인민의 적이라는 이유가 붙여져서 처형당한데다가 스탈린의 악행이 본격적으로 조명되기 시작했을때는 병석에 있었다가 사망했기 때문에 직접 자신이 문양의 고안자라고 자랑하지는 못했다고 한다.

벨라루스 인민공화국나치 독일의 괴뢰국 벨라루스 중앙 라다 시절, 그리고 소련 해체 직후의 벨라루스 공화국에서는 러시아 제국 빌나현 글루보코예(흘리보카예) 태생 리투아니아 귀족이자 벨라루스 민족주의자이자 사회주의자인 클라우지 두시두셰우스키(Клаўдзій Дуж-Душэўскі, 1891 ~ 1959)에 의해 고안된 것으로 추정되는 백적백 패턴 깃발을 사용했는데, 백적백 깃발은 역사적으로 리투아니아 대공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등 벨라루스를 포함한 국가의 깃발에서 백색과 적색을 따와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19 ~ 20세기 전환기에 역사적으로 몇년 동안 벨라루스의 공식 깃발이었지만, 1995년에 국민투표에서 대다수의 벨라루스 시민들이 소련 시절의 국기를 복원하는 투표를 하였고 그 결과로 폐기되었다. 당시의 명분은 '백적백 깃발은 나치 부역자의 상징이다' 라는 것이었는데, 이는 백적백 깃발의 고유한 역사성은 무시하고 나치 부역자의 상징이라는 사실만을 부각시켜 투표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사용된 명분이었다.백적백 깃발의 상징 관련자료

그 이유는 1995년 국민투표는 알렉산드르 루카셴코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시기로, 루카셴카는 소련 시대에 대한 향수를 국기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으며, 그는 1년 후 실시한 국민투표에서 승리한 후 2023년 지금까지 독재 정치를 하고 있다(서구 국가들은 당시 투표결과를 인정하지 않았다). 알렉산드르 루카셴코는 벨라루스의 민주주의 운동을 자신의 권력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이 백적백 깃발은 현재 야당과 루카셴코의 독재에 대한 적극적 반대의 상징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브례먀 방송에서도 볼수있다.


1995년, 민스크 국회의사당의 삼색기를 내리고 새 국기로 교체할 당시의 영상이다. 이 때 국장도 같이 소련 시절 국장과 유사한 형태로 교체하였다.

2.3. 국가[편집]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우리는 벨라루스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가나 국기
God Bless Our Homeland Ghana
가봉 국기
La Concorde
가이아나 국기
Dear land of Guyana, of rivers and plains
감비아 국기
For the Gambia our homeland
과테말라 국기
Himno Nacional de Guatemala
그리스 국기
Ύμνος εις τたうηいーたνにゅー Ελευθερίαν
기니 국기
Liberté
기니비사우 국기
Esta É a Nossa Pátria Bem Amada
나미비아 국기
Namibia, Land of the Brave
나이지리아 국기
Arise Oh Compatriots, Nigeria’s Call Obey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
National Anthem of South Africa
Nasionale lied van Suid-Afrika
네덜란드 국기
Het Wilhelmus
노르웨이 국기
Ja, vi elsker dette landet
뉴질랜드 국기
God Defend New Zealand
대한민국 국기
애국가
덴마크 국기
Der er et yndigt land
독일 국기
Deutschlandlied
동티모르 국기
Pátria
라오스 국기
ເພງຊາດລາວ
라트비아 국기
Dievs, svētī Latviju!
러시아 국기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имн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레바논 국기
النشيد الوطني اللبناني
레소토 국기
Lesōthō Fatše La Bo-Ntat'a Rōna
루마니아 국기
Deşteaptă-te române!
룩셈부르크 국기
Ons Heemecht
르완다 국기
Rwanda nziza
리비아 국기
ليبيا ليبيا ليبيا
리투아니아 국기
Tautiška giesmė
리히텐슈타인 국기
Oben am jungen Rhein
마셜 제도 국기
Forever Marshall Islands
말레이시아 국기
Negaraku
멕시코 국기
Himno Nacional Mexicano
모나코 국기
Hymne Monégasque
모로코 국기
النشيد الشريف
모리타니 국기
نشيد وطني موريتاني
몬테네그로 국기
Oj, Svijetla Majska Zoro
Ој, свијетла мајска зоро
몰도바 국기
Limba noastră
몰디브 국기
ޤައުމީ ސަލާމް
몰타 국기
L-Innu Malti
몽골 국기
Монгол улсын төрийн дуулал
미국 국기
The Star Spangled Banner
미얀마 국기
ကမ္ဘာမကြေ
바티칸 국기
Hymnus Pontificius
방글라데시 국기
“আমার সোনার বাংলা
베네수엘라 국기
Gloria al bravo pueblo
베트남 국기
Tiến quân ca
벨기에 국기
La Brabançonne
De Brabançonne
벨라루스 국기
Дзяржаўны гімн Рэспублікі Беларусь
벨리즈 국기
Land of the Free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
Државна химна Босне и Херцеговине
Državna himna Bosne i Hercegovine
보츠와나 국기
Fatshe leno la rona
볼리비아 국기
Himno Nacional de Bolivia
부탄 국기
འབྲུག་ཙན་དན་
북마케도니아 국기
Денес Над Македонија
북한 국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