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오일러 삼각형 정리 - 나무위키

오일러 삼각형 정리

최근 수정 시각:
2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96574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 (AS7524) ITEC Hankyu Hanshin Co.,Ltd.
토론역사
[ 펼치기 · 접기 ]
공통
종류
성질
기타
기타
1. 개요2. 보조 정리: 멘션의 정리
2.1. 방심과의 관계
3. 증명
3.1. 외심과 내심 사이의 거리3.2. 외심과 방심 사이의 거리
4. 기타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Euler's triangle theorem

1765년 레온하르트 오일러(Leonhard Euler, 1707-1783)가 발견한 삼각형의 외심내심 혹은 외심과 방심 사이의 거리에 관한 공식이다.

한 삼각형의 외접원, 내접원, 방접원의 반지름을 각각 RR, rr, rr'이라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 외심과 내심 사이의 거리: R22Rr\sqrt{R^{2}-2Rr}
  • 외심과 방심 사이의 거리: R2+2Rr\sqrt{R^{2}+2Rr'}

이 정리 자체가 직접적으로 쓰이는 경우는 생각보다 많지 않으나, 증명 과정의 다양한 이론들이 삼각형과 원이 나오는 기하 문제에서 제법 많이 다루어지는 것들이라 보통 한 번쯤 배우고 넘어간다.

2. 보조 정리: 멘션의 정리[편집]


namu 맨션정리 1 NEW ...

그림과 같이 삼각형 ABC\rm ABC의 외심 O\rm O, 내심 I\rm I이고, 직선 BI\rm BI가 외접원과 만나는 점을 R\rm R라고 하자.

내심의 성질에 의하여 ABI=CBI=x\angle {\rm ABI}=\angle {\rm CBI}=x, BAI=CAI=y\angle {\rm BAI}=\angle {\rm CAI}=y, BCI=ACI=z\angle {\rm BCI}=\angle {\rm ACI}=z라 놓을 수 있다. CIR\angle{\rm CIR}BIC\angle{\rm BIC}의 외각이므로 x+zx+z, ABR=ACR=x\angle{\rm ABR}=\angle{\rm ACR}=x(호 AR\rm AR에 대한 원주각) 따라서 삼각형 RIC\rm RIC에서 RIC=RCI=x+z\angle{\rm RIC}=\angle{\rm RCI}=x+z 즉, 삼각형 RIC\rm RICIR=RC\overline{\rm IR}=\overline{\rm RC}이등변삼각형이다. 동일한 방법으로 삼각형 RAI\rm RAIIR=AR\overline{\rm IR}=\overline{\rm AR}인 이등변삼각형임을 증명할 수 있다.

RC=IR=AR\displaystyle \begin{aligned} \therefore \overline{\rm RC}=\overline{\rm IR}=\overline{\rm AR} \end{aligned}

이 결과는 내심과 삼각형의 두 꼭짓점을 연결한 삼각형의 외심이 두 꼭짓점을 제외한 한 꼭짓점과 내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외접원과 만나는 점에 있음을 알려준다.

2.1. 방심과의 관계[편집]


namu 맨션정리 2 NEW

방심과 내심의 성질에 의하여 두 점은 B\angle \rm B의 이등분선 위에 있으므로 그림과 같이 위 과정에서 선분 BI\rm BI를 연장하여 B\rm B에 대한 방심 O\rm O'과 만나도록 하자. 위에서 다뤘던 맨션 정리에서

RC=IR=AR\displaystyle \begin{aligned} \overline{\rm RC}=\overline{\rm IR}=\overline{\rm AR} \end{aligned}

이고, 내심과 방심의 성질에 의하여 BCI=ACI\angle {\rm BCI}=\angle {\rm ACI}, ACO=HCO\angle {\rm ACO'}=\angle {\rm HCO'}이므로 ICO=90°\angle {\rm ICO'}=90\degree이다. 따라서 삼각형 ICO\rm ICO'직각삼각형이고, RC=IR\displaystyle \overline{\rm RC}=\overline{\rm IR} 이므로 점 R\rm R는 해당 삼각형의 외심이며, 결과적으로 RC=IR=OR\displaystyle \overline{\rm RC}=\overline{\rm IR}=\overline{\rm O'R} 이다.

RC=IR=AR=OR\displaystyle \begin{aligned} \therefore \overline{\rm RC}=\overline{\rm IR}=\overline{\rm AR}=\overline{\rm O'R} \end{aligned}

3. 증명[편집]

3.1. 외심과 내심 사이의 거리[편집]

namu 오일러 삼각형 정리 ...

그림과 같이 삼각형 ABC\rm ABC의 외심과 내심을 각각 O\rm O, I\rm I라 하고, 외접원과 내접원의 반지름은 각각 RR, rr, 직선 IO\rm IO가 외접원과 만나는 두 점을 P\rm P, Q\rm Q, 직선 BI\rm BI가 외접원과 만나는 점을 R\rm R, OI=d\overline{\rm OI}=d라 하자. 방멱 정리에 의하여

BIIR=PIIQ=(R+d)(Rd)=R2d2\displaystyle \begin{aligned} \overline{\rm BI} \cdot \overline{\rm IR}&=\overline{\rm PI} \cdot \overline{\rm IQ} \\&=(R+d)(R-d) \\&=R^{2}-d^{2} \end{aligned}


한편, 맨션 정리에 의하여 IR=AR\overline{\rm IR}=\overline{\rm AR}, 내심의 성질에 따라 IBC=ABI\angle{\rm IBC}=\angle{\rm ABI}, ABI=ASR\angle{\rm ABI}=\angle{\rm ASR}(호 AR\rm AR에 대한 원주각)이다. 점 I\rm I에서 변 BC\rm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rm H라 하면 RAS=90°\angle{\rm RAS}=90\degree(지름에 대한 원주각), IHB=90°\angle{\rm IHB}=90\degree, ABI=ASR\angle{\rm ABI}=\angle{\rm ASR}이므로 RSAIBH\triangle{\rm RSA} \sim \triangle{\rm IBH} (AA\rm AA닮음)이다.
AR:SR=IR:SR=IH:BI    BIIR=SRIH\displaystyle \begin{aligned} \overline{\rm AR} : \overline{\rm SR} =\overline{\rm IR} : \overline{\rm SR} =\overline{\rm IH} : \overline{\rm BI} \; \Leftrightarrow \; \overline{\rm BI} \cdot \overline{\rm IR}=\overline{\rm SR} \cdot \overline{\rm IH} \end{aligned}
SR=2R\overline{\rm SR}=2R, IH=r\overline{\rm IH}=r임을 이용하면, SRIH=2Rr\overline{\rm SR} \cdot \overline{\rm IH}=2Rr

R2d2=2Rr    d=R22Rr\displaystyle \therefore R^{2}-d^{2}=2Rr \; \Rightarrow \; d=\sqrt{R^2-2Rr}

결과를 변형하면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1Rd+1R+d=1r\displaystyle \frac{1}{R-d}+\frac{1}{R+d}=\frac{1}{r}

두 점 간의 거리는 음일 수 없으므로,

d=R22Rr=R(R2r)\displaystyle d=\sqrt{R^2-2Rr}=\sqrt{R(R-2r)}

에 의하여 모든 삼각형에서 R2rR \geq 2r이다. 단, 등호는 정삼각형일 때에 성립한다. 정삼각형은 외심, 내심, 수심, 무게중심이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상의 결과에서 음수에 대한 방멱을 허용한다면, 외접원에 대한 내심의 방멱은 2Rr -2Rr 로 표현할 수 있다.

3.2. 외심과 방심 사이의 거리[편집]

namu 오일러 삼각형 정리 ...

그림과 같이 삼각형 ABC\rm ABC의 외심과 방심을 각각 O\rm O, O\rm O'이라 하고, 외접원과 방접원의 반지름은 각각 RR, rr', 직선 OO\rm OO'이 외접원과 만나는 두 점을 P\rm P, Q\rm Q, 직선 BO\rm BO'이 외접원과 만나는 점을 R\rm R, OO=d\overline{\rm OO'}=d라 하자. 방멱 정리에 의하여

OROB=OQOP=(dR)(d+R)=d2R2\displaystyle \begin{aligned} \overline{\rm O'R} \cdot \overline{\rm O'B}&=\overline{\rm O'Q} \cdot \overline{\rm O'P} \\&=(d-R)(d+R) \\&=d^{2}-R^{2} \end{aligned}

위에서 다뤘던 맨션 정리에 의하여 OR=RC\overline{\rm O'R}=\overline{\rm RC}, 점 O\rm O'에서 변 BC\rm BC의 연장선상에 내린 수선의 발을 H\rm H라 하면 OHB=90°\angle{\rm O'HB}=90\degree, SRC=90°\angle{\rm SRC}=90\degree(지름에 대한 원주각), OBC=RSC\angle{\rm O'BC}=\angle{\rm RSC}(호 RC\rm RC에 대한 원주각)이므로 OBHCSR\triangle{\rm O'BH} \sim \triangle{\rm CSR} (AA\rm AA닮음)이다.
OH:OB=RC:SC=OR:SC    OROB=OHSC\displaystyle \begin{aligned} \overline{\rm O'H} : \overline{\rm O'B} =\overline{\rm RC} : \overline{\rm SC} =\overline{\rm O'R} : \overline{\rm SC} \; \Leftrightarrow \; \overline{\rm O'R} \cdot \overline{\rm O'B}=\overline{\rm O'H} \cdot \overline{\rm SC} \end{aligned}
SC=2R\overline{\rm SC}=2R, OH=r\overline{\rm O'H}=r'임을 이용하면, OHSC=2Rr\overline{\rm O'H} \cdot \overline{\rm SC}=2Rr

d2R2=2Rr    d=R2+2Rr\displaystyle \therefore d^{2}-R^{2}=2Rr' \; \Rightarrow \; d=\sqrt{R^2+2Rr'}

결과를 변형하면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1dR1d+R=1r\displaystyle \frac{1}{d-R}-\frac{1}{d+R}=\frac{1}{r'}


이상의 결과에서 외접원에 대한 방심의 방멱은 2Rr 2Rr' 으로 표현할 수 있다.

4. 기타[편집]

5. 관련 문서[편집]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