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포물선 - 나무위키

포물선

최근 수정 시각:
12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96574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 (AS7524) ITEC Hankyu Hanshin Co.,Ltd.
토론역사
[ 펼치기 · 접기 ]
공통
종류
성질
기타
기타
1. 개요2. 포물선의 방정식
2.1. 유도
3. 포물선과 직선
3.1. 포물선의 초점을 지나는 직선3.2. 위치 관계3.3. 포물선의 접선
3.3.1. 포물선 위의 점에서의 접선3.3.2. 특정한 기울기의 접선
3.4. 포물선과 직선의 성질
3.4.1. 준선 위의 한 점에서 그은 접선3.4.2. 포물선의 접선에 생기는 마름모3.4.3. 포물선의 광학적 성질
4. 기타5. 어원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ほうものせん / parabola

기하학에서 나오는 도형의 일종으로, 평면상의 어떤 직선과의 거리와 정점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같은 점들의 집합으로 정의한다.

위에서 나온 "어떤 직선"은 준선(じゅんせん)이라 하며, "정점"은 초점(こげてん)이라 부른다.

2. 포물선의 방정식[편집]

아래는 하위 문단의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 포물선 y2=4px\boldsymbol{y^2=4px}
    • 그래프
      나무 포물선 1
    • 조건: FP=PH\overline{\mathrm{FP}}=\overline{\mathrm{PH}}
    • 초점의 좌표: F(p,0)\mathrm{F}( p,\,0)
    • 준선의 방정식: x=p x=-p
    • 포물선 위의 점 (x1,y1)(x_{1},\,y_{1})을 지나는 접선의 방정식: yy1=2p(x+x1)\displaystyle yy_{1}=2p(x+x_{1})
    • 특정한 기울기 mm의 접선의 방정식: y=mx+pm\displaystyle y=mx+\frac{p}{m}
  • 포물선 x2=4py\boldsymbol{x^2=4py}
    • 그래프
      나무 포물선 2
    • 조건: FP=PH\overline{\mathrm{FP}}=\overline{\mathrm{PH}}
    • 초점의 좌표: F(0,p)\mathrm{F}( 0,\,p)
    • 준선의 방정식: y=p y=-p
    • 포물선 위의 점 (x1,y1)(x_{1},\,y_{1})을 지나는 접선의 방정식: xx1=2p(y+y1)\displaystyle xx_{1}=2p(y+y_{1})
    • 특정한 기울기 mm의 접선의 방정식: y=mxm2p\displaystyle y=mx-m^{2}p
[1] 준선이 x=p \boldsymbol{x=-p} 이고 초점이 F(p,0) \mathbf{F}\boldsymbol{(p,\,0)}

나무 포물선 1

포물선의 정의에 따라 FP=PH\overline{\mathrm{FP}}=\overline{\mathrm{PH}}를 만족시켜야 한다. 이때, H(p,y)\mathrm{H}(-p,\,y), P(x,y)\mathrm{P}(x,\,y)임을 이용하면,

(xp)2+y2=x+p\displaystyle \sqrt{(x-p)^{2}+y^{2}}=|x+p|

양변을 제곱하면,

(xp)2+y2=(x+p)2\displaystyle (x-p)^{2}+y^{2}=(x+p)^{2}

위 식을 정리함으로써 포물선의 방정식을 얻는다.

y2=4px\displaystyle y^{2}=4px


[2] 준선이 y=p \boldsymbol{y=-p} 이고 초점이 F(0,p) \mathbf{F}\boldsymbol{(0,\,p)}

나무 포물선 2

포물선의 정의에 따라 FP=PH\overline{\mathrm{FP}}=\overline{\mathrm{PH}}를 만족시켜야 한다. 이때, H(x,p)\mathrm{H}(x,\,-p), P(x,y)\mathrm{P}(x,\,y)임을 이용하면,

x2+(yp)2=y+p\displaystyle \sqrt{x^{2}+(y-p)^{2}}=|y+p|

양변을 제곱하면,

x2+(yp)2=(y+p)2\displaystyle x^{2}+(y-p)^{2}=(y+p)^{2}

위 식을 정리함으로써 포물선의 방정식을 얻는다.

x2=4py\displaystyle x^{2}=4py

그런데 이 형태는 이차함수이므로 결국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포물선임이 여기서도 증명된 것이다.

초점이 (x0,y0)(x_{0},\,y_{0})인 포물선은 xx축으로 x0x_{0}, yy축으로 y0y_{0}만큼 평행이동하여 그린다. 이때, 접선이나 준선 또한 모두 평행이동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준선이 xx축과 수직이면 방정식의 일반형은

y2+Ay+Bx+C=0\displaystyle y^{2}+Ay+Bx+C=0

꼴이며, yy축과 수직이면

x2+Ax+By+C=0\displaystyle x^{2}+Ax+By+C=0

꼴이다. 이때, ACA \sim C는 상수이다.

3. 포물선과 직선[편집]

3.1. 포물선의 초점을 지나는 직선[편집]

나무 포물선 렌즈공식
위 그림과 같이 포물선 y2=4pxy^2=4px 위의 두 점 R\rm R, S\rm S와 초점이 한 직선 위에 있다고 하자. 또, R\rm R, S\rm S에서 해당 포물선의 준선 ll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P\rm P, Q\rm Q라 하자. RFa\overline{\rm RF} \equiv a, FSb\overline{\rm FS} \equiv b라 하고, F(p,0){\rm F}(p,\,0)이라 하면

1p=1a+1b\displaystyle \frac{1}{p}=\frac{1}{a}+\frac{1}{b}

가 성립한다. 다만 위 그림에서는 b>ab>a인 경우만 나타내었지만 위 식은 b<ab<a일 때도 성립한다.

증명은 사다리꼴 PRSQ\rm PRSQ를 사용하여 한다. 꼭짓점 R\rm R에서 QS\overline{\rm QS}에 내린 수선의 발H\rm H라 하고, 이 수선이 xx축과 만나는 점을 G\rm G라 하자. 이때, 두 직각삼각형 RGF\rm RGF, RHS\rm RHS는 닮음비가 RF:RS\overline{\rm RF}:\overline{\rm RS}인 닮은 삼각형이고, 포물선의 성질에 의하여 FS=QS=b\overline{\rm FS}=\overline{\rm QS}=b이므로 HS=ba\overline{\rm HS}=b-a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GFba=aa+bGF=a(ba)a+b\displaystyle \begin{aligned} \frac{\overline{\rm GF}}{b-a}=\frac{a}{a+b} \quad \to \quad \overline{\rm GF}=\frac{a(b-a)}{a+b} \end{aligned}

이에 TF=TG+GF\overline{\rm TF}=\overline{\rm TG}+\overline{\rm GF}임을 이용하면,
TF=a+a(ba)a+b=2aba+b\displaystyle \begin{aligned}\overline{\rm TF} &=a+\frac{a(b-a)}{a+b} \\&=\frac{2ab}{a+b} \end{aligned}

한편, 포물선의 정의에 따라 TO=OF\overline{\rm TO}=\overline{\rm OF}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OF=TF2=aba+b=(1a+1b)1\displaystyle \begin{aligned} \overline{\rm OF}&=\frac{\overline{\rm TF} }{2}\\&=\frac{ab}{a+b} \\&=\left( \frac{1}{a}+\frac{1}{b} \right)^{-1} \end{aligned}

여기서 T\rm T는 준선과 xx축의 교점이다. 그런데 OF=p\overline{\rm OF}=p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1p=1a+1b\displaystyle \frac{1}{p}=\frac{1}{a}+\frac{1}{b}

3.2. 위치 관계[편집]

  1. 우선 직선의 방정식을 한 변수에 대하여 정리한다.
  2. 1에서 정리한 직선을 포물선의 방정식에 대입하고 적절히 이항하여 이차방정식을 만든다.
  3. 2에서 나온 이차방정식에 판별식 DD를 적용한다.
판별식의 부호에 따라 포물선과 직선의 위치 관계가 달라진다.
  • D>0\boldsymbol{D>0}: 포물선과 직선은 두 점에서 만난다.
  • D=0\boldsymbol{D=0}: 포물선과 직선은 접한다(즉, 포물선과 직선은 한 점에서 만난다).
  • D<0\boldsymbol{D<0}: 포물선과 직선은 만나지 않는다.

나무 포물선 직선과 위치 관계

3.3. 포물선의 접선[편집]

3.3.1. 포물선 위의 점에서의 접선[편집]

포물선 위의 점 (x1,y1)(x_{1},\,y_{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음함수의 미분법으로 구할 수 있다.

[1] 준선이 x=p \boldsymbol{x=-p} 이고 초점이 F(p,0) \mathbf{F}\boldsymbol{(p,\,0)}
먼저 접선의 기울기는 다음과 같다.

2ydydx=4pdydx=2py\displaystyle 2y \frac{dy}{dx}=4p \,\to\, \frac{dy}{dx}=\frac{2p}{y}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식을 정리하여 구할 수 있다.

yy1=2py1(xx1)yy12p(x+x1)=y124px1=0yy1=2p(x+x1)\begin{aligned}\displaystyle y-y_{1}&=\frac{2p}{y_{1}}(x-x_{1})\\\displaystyle yy_{1}-2p(x+x_{1})&=y_{1}^{2}-4px_{1}\\&=0\\ \\ \therefore\displaystyle yy_{1}&=2p(x+x_{1})\end{aligned}


[2] 준선이 y=p \boldsymbol{y=-p} 이고 초점이 F(0,p) \mathbf{F}\boldsymbol{(0,\,p)}
먼저 접선의 기울기는 다음과 같다.

2x=4pdydxdydx=x2p\displaystyle 2x=4p \frac{dy}{dx} \,\to\, \frac{dy}{dx}=\frac{x}{2p}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식을 정리하여 구할 수 있다.

yy1=x12p(xx1)2p(y+y1)=x1xx12+4py1=0xx1=2p(y+y1)\begin{aligned}\displaystyle y-y_{1}&=\frac{x_{1}}{2p}(x-x_{1})\\2p(y+y_{1})&=x_{1}x-x_{1}^{2}+4py_{1}\\&=0\\\\\therefore\displaystyle xx_{1}&=2p(y+y_{1})\end{aligned}

3.3.2. 특정한 기울기의 접선[편집]

우선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을 y=mx+ny=mx+n이라 하고 포물선의 방정식에 대입하여, xx에 관한 이차방정식을 만들고 이 이차방정식이 중근을 가질 때 포물선과 직선은 접한다는 것을 이용하면 된다. 즉, 해당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이 0이어야 한다.

[1] 준선이 x=p \boldsymbol{x=-p} 이고 초점이 F(p,0) \mathbf{F}\boldsymbol{(p,\,0)}

n=pmy=mx+pm\begin{aligned}n=\dfrac{p}m \,\to\, y=mx+\dfrac{p}m\end{aligned}


[2] 준선이 y=p \boldsymbol{y=-p} 이고 초점이 F(0,p) \mathbf{F}\boldsymbol{(0,\,p)}

n=m2py=mxm2p\begin{aligned}n=-m^2p \,\to\, y=mx-m^2p\end{aligned}

3.4. 포물선과 직선의 성질[편집]

3.4.1. 준선 위의 한 점에서 그은 접선[편집]

포물선 준선 접선 수정

위 그림과 같이 준선 ll 위의 한 점 P(p,k){\rm P}(-p,\,k)(단, kk는 상수)에서 포물선 y2=4pxy^2=4px에 그은 두 접선을 고려해보자. 포물선의 접선 기울기를 mm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y=mx+pmy=mx+\dfrac{p}m

이고, 이 직선이 P(p,k){\rm P}(-p,\,k)를 지나므로

k=mp+pmk=-mp+\dfrac{p}m

이다. 이때, 위 방정식을 mm에 대하여 정리하면

pm2kmp=0pm^2-km-p=0

이고, 이 방정식의 두 근이 결국 각 접선의 기울기가 된다. 한편,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을 m1m_1, m2m_2라 하면,

m1m2=pp=1m_1m_2=\dfrac{-p}p=-1

각 접선의 기울기의 곱이 1-1이므로 포물선의 준선 위의 한 점에서 그은 포물선의 두 접선은 직교한다.

또한, 접선의 접점 A\rm A, B\rm B와 포물선의 초점 F\rm F는 한 직선 위에 있다.

접점의 좌표는 포물선의 방정식과 접선의 방정식을 아래와 같이 연립하면 구할 수 있다.

(mx+pm)2=4px\displaystyle \left( mx+\frac{p}{m} \right)^{2}=4px

따라서 두 접점은

A(pm12,2pm1),B(pm22,2pm2)\displaystyle {\rm A}\left( \frac{p}{m_{1}^{2}}, \, \frac{2p}{m_{1}} \right), \qquad {\rm B}\left( \frac{p}{m_{2}^{2}}, \, \frac{2p}{m_{2}} \right)

따라서 AB\overline{\rm AB}의 방정식은

y2pm1=2pm22pm1pm22pm12(xpm12)\displaystyle y-\frac{2p}{m_{1}}=\frac{\dfrac{2p}{m_{2}}-\dfrac{2p}{m_{1}} }{\dfrac{p}{m_{2}^{2}}-\dfrac{p}{m_{1}^{2}} }\left( x-\frac{p}{m_{1}^{2}} \right)

이고, 이 방정식의 xx절편을 XX라 하면 m1m2=1m_1m_2=-1이므로

X=p(m12+m1m2+1)m12=p\displaystyle X=\frac{p(m_{1}^{2}+m_{1}m_{2}+1)}{m_{1}^{2}}=p

가 되어 초점 F(p,0){\rm F}(p, \,0)을 지난다.

3.4.2. 포물선의 접선에 생기는 마름모[편집]

나무 포물선 마름모

위 그림과 같이 포물선 y2=4pxy^2=4px와 초점 F\rm F와 포물선 위의 임의의 점 R\rm R를 지나는 직선을 FR\rm FR라 하고, 점 R\rm R에서 준선 ll에 내린 수선의 발을 P\rm P라 하자. 또한, 접선과 xx축의 교점을 Q\rm Q라 하자. 이때, 결정되는 사각형 PRFQ\rm PRFQ의 종류를 결정해보자.

R(x1,y1){\rm R}(x_{1},\,y_{1}), F(p,0){\rm F}(p,\,0)이라 하면, PT=p\overline{\rm PT}=p이고 포물선의 정의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PR=RF=x1+p\displaystyle \overline{\rm PR}=\overline{\rm RF}=x_{1}+p

한편, R(x1,y1){\rm R}(x_{1},\,y_{1})을 지나는 접선의 방정식은 yy1=2p(x+x1)yy_{1}=2p(x+x_{1})이므로 xx절편인 Q(x1,0){\rm Q}(-x_{1},\,0)이고, 이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PR=FQ=x1+p\displaystyle \overline{\rm PR}=\overline{\rm FQ}=x_{1}+p

그런데 PRFQ\overline{\rm PR} \parallel \overline{\rm FQ} 이므로 사각형 PRFQ\rm PRFQ평행사변형이며, PR=RF\overline{\rm PR}=\overline{\rm RF}이므로 마름모이기도 하다.

따라서 PRFQ\rm PRFQ의 대각선 PF\overline{\rm PF}, RQ\overline{\rm RQ}는 마름모의 성질에 따라 직교한다. 또한 두 대각선의 교점 S\rm SP(p,y1){\rm P}(-p,\,y_{1}), R(x1,y1){\rm R}(x_{1},\,y_{1}), F(p,0){\rm F}(p,\,0), Q(x1,0){\rm Q}(-x_{1},\,0)을 고려해보면, yy축 위에 있다.

이상에서 삼각형 PRF\rm PRFPR=RF\overline{\rm PR}=\overline{\rm RF}이등변삼각형이고, 마름모의 대각선은 다른 하나를 수직이등분하고, 이등변 삼각형의 밑변에 대한 수직이등분선은 밑변의 양 끝 각이 아닌 한 각을 이등분하므로 PRS=FRS\angle {\rm PRS}=\angle {\rm FRS}이다. 또한, PRFQ\overline{\rm PR} \parallel \overline{\rm FQ} 에서 엇각으로 PRS=RQF\angle {\rm PRS}=\angle {\rm RQF}가 된다.

3.4.3. 포물선의 광학적 성질[편집]

나무 포물선 광학 수정

위 그림과 같이 위 문단과 거의 같은 상황에서 RF\overline{\rm RF}의 연장선과 그 위에 있는 점 M\rm M, PR\overline{\rm PR}의 연장선과 그 위에 있는 점 N\rm N, 접선 QR\rm QR 위의 점 U\rm U를 고려하자.

사각형 PRFQ\rm PRFQ가 마름모인 것은 위 문단에서 증명했고, PRQ=FRQ\angle {\rm PRQ}=\angle {\rm FRQ}인 것도 증명했다. 따라서 맞꼭지각으로 MRU=URN\angle {\rm MRU}=\angle {\rm URN}임도 자동적으로 나오게 된다.

이것의 성질을 광학에 빗대어보자. 만약 NR\rm N \to \rm R로 광선이 들어왔다면, NRU=FRQ\angle {\rm NRU}=\angle {\rm FRQ}이므로 입사각과 반사각[1]은 같게 되어 반사 법칙에 의해 광선은 RF\rm R \to \rm F 즉, 초점으로 향하게 된다. 또, 광선이 MR\rm M \to \rm R로 들어왔다면, MRU=PRQ\angle {\rm MRU}=\angle {\rm PRQ}이므로 입사각과 반사각은 같아져 RP\rm R \to \rm P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이 두 결과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포물선의 내부에서 평행하게 입사한 빛은 모두 초점으로 모인다.
    • 역으로 초점에서 방사한 빛은 모두 평행하게 반사된다.
  • 포물선 외부에서 초점을 향하게 입사한 빛은 평행하게 반사된다.
아래의 그림은 위 결과를 표현한 것이다.

나무 포물선 광학 2 New

안테나(일명 파라볼라 안테나) 등이 위 성질을 이용하는 물건이다.

4. 기타[편집]

  • 물리학에서 행성과 항성, 전자와 핵이 속박된 상황 등 중심력장에서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포물선 운동을 하게 된다.
  • 또한, 지표면 근처의 균일한 중력장 등에서 물체를 비스듬히 던지면 포물선 운동을 하게 된다. 이는 역제곱법칙을 만족하는 보존적 벡터장 하에서의 한 궤도인 타원 운동의 근사적인 기술이다.
  • 얼핏 보면 비슷해 보이지만 현수선과는 다르다.[비교]
  • 여성의 긴 생머리를 위로 볼록한 포물선에 비유하기도 한다.

5. 어원[편집]

  • 한자어
    • 抛物線ほうぶつせんほう는 던지다, もの은 물체, せん은 곡선을 의미한다. 중국의 이선란(よしらん)과 선교사 알렉산더 와일리(Alexander Wylie)가 쓴 책 「대미적습급(だいほろせきじつきゅう)」 (1859년) 에서 유래하였다.##
  • 영문
    • parabola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아폴로니우스가 원뿔곡선을 분류하며 붙인 이름으로, 절단면이 원뿔면에 평행인 것에 '적절하다'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παραβάλλω에서 유래했다.

6. 관련 문서[편집]

[1] 다만, 해당 각들이 입사각 혹은 반사각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는 입사각 혹은 반사각은 접선에 수직이면서 접점을 지나는 직선과 광선이 이루는 각으로 측정되기 때문이다. 해당 각들이 같으면 입사각 혹은 반사각은 같을 수밖에 없다.(위 그림에서 추론해보라.)[비교] namu 이차함수 현수선 비교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