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경전철
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두산백과

경전철

[ けい電鐵でんてつ ]

요약 지하철도와 버스의 단점을 보완한 대중교통수단.

기존의 지하철도와 같은 중전철(じゅう電鐵でんてつ)과 반대되는 가벼운 전기철도라는 뜻으로, 지하철도와 대중버스의 중간 정도의 수송능력을 갖춘 대중교통수단이다. 유럽·일본 등지에서는 새로운 대중교통수단으로 부상하였다. 경전철 범주에는 소형전철·모노레일·궤도버스·자기부상열차 등이 포함된다.

주로 15~20㎞의 도시구간을 운행한다. 수송능력이 우수하고 건설비·인건비가 적게 드는 것이 장점이다. 수송능력은 시간당 4천~4만 명으로 지하철도와 비슷하며 버스보다 월등히 높다. 무인자동운전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인건비가 지하철도의 50%이며, 특히 고무바퀴로 달리기 때문에 소음진동이 없어 승차감이 좋을 뿐 아니라 노선 주위에서도 민원발생 요인이 적다.

기존 전기철도를 건설하는 데는 ㎞당 1000억 원에 가까운 자금이 들지만 경전철은 건설비용이 ㎞당 400억 원 정도이고, 저렴한 유지운영비와 저공해 환경친화성 등으로 각광받는 신교통수단이다.

수도권 난개발로 빚어지는 교통문제 해결의 최적수단 중 하나로 꼽히고 있는 경전철에 대한 연구는 2000년 현재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 철제차륜형·고무차륜형 경전철 등을 대상으로 경전철 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경전철 서비스는 공항연결수단으로 많이 활용되는데 노르웨이의 오슬로, 홍콩, 미국 유타주(しゅう)의 솔트레이크시티, 일본의 교토 등이 사례이다. 일본 나리타공항[成田空港なりたくうこう] 셔틀노선, 프랑스 오를리공항 노선 등에서 채택한 고무차륜형 경전철은 기존 도시철도에 쓰이는 철제레일 대신 콘크리트나 철판 형태의 평면궤도 위를 일반 자동차와 유사한 고무바퀴로 달리는 차량시스템이다.

철제바퀴에 비해 주행소음과 진동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고 운행속도는 기존 지하철도(80~90㎞/h)보다 다소 떨어지는 60~80㎞/h이다. 철제차륜형 경전철은 서울특별시 도심에서 1960년대 초까지 운행하던 노면전차의 개선된 형태로 트램 카로도 불린다.

한국에서 경전철이 개통된 곳은 김해~부산과 의정부이다. 김해~부산 노선은 2011년 9월 개통되어 김해시 삼계동에서 부산 지하철 2호선 사상역까지 23.9㎞ 구간으로 21개 역을 갖춘 조금 긴 경전철이다. 의정부경전철은 2012년 7월 1일 개통되었다. 수도권에 설치된 첫 경전철로서 11.1km 15개 역을 지난다.

관련이미지 7

의정부경전철

의정부경전철

이미지 갤러리

출처: doopedia.co.kr

1/7

위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출처사이트 게시자에게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두산백과의 저작권은 doopedia(두산백과)에 있습니다.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저작물로 무단 전재 및 복제를 금하고 있습니다. 저작물 이용허락 문의하기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