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복식양식 : 네이버 지식백과
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 컴퓨터, 기술 마니아들의 괴짜스러운 복장이 세련된 것으로 여겨지는 패션 트렌드. 1980년대에 ‘긱(Geek)’은 사회성이 부족하고 기술과 컴퓨터에 사로잡혀 있는 사람들과 관련된 청소년들의 은어였다. 1990년대 초반에는 손님을 끌기 위한 별도의 소규모 공연인 사이드 쇼에 광적인 사람을 의미하기도 하였다. 이후 긱은 대중매체, 대중문화, 기술에 대한 강박에 사로잡혀 있고 소수만이 이해하는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똑똑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지 않는 것에 열정적인 사람을 의미하였다. 1990년대 후반에는 기술과 컴퓨터에 능통한 사람들이 주류에 의해 받아들여졌을 뿐만 아니라 이상화되었다. 이에 처음 새로운 기술과 도구를 받아들인 사람들은 트렌드세터(Trendsetter)가 되었고 긱키(Geeky), 즉 괴짜스러운 것과 힙(Hip), 즉 유행에 밝은 것의 경계가 모호해졌다. 긱 시크는 ‘괴짜’라는 의미의 ‘긱’과 ‘세련된’이라는 의미의 ‘시크’가 합쳐진...

  • 의복을 경우에 알맞게 착용하는 것. 티 ·피 ·오는 시간(time), 장소(place), 상황(occasion)에 따라 패션업계가 마케팅 세분화 전략에 의해 강조한 것이다. 티 ·피 ·오에 의한 분류는 크게 마음편하게 일상생활에서 약식으로 착용할 수 있는 간편한 옷차림의 캐주얼 웨어와 사회인으로서 공식적인 자리에 맞게 착용하는 오피셜 웨어로 나눌 수 있다. 캐주얼 웨어는 ① 홈 웨어:홈 웨어는 편안하게 집에서 착용하는 옷을 말한다. ② 레저 웨어:여가 시간을 위한 복장의 총칭으로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노동시간 이외의 레저타임이 늘어 이 시간을 위한 복장을 레저 웨어라 부르게 되었으며 리조트 웨어, 여행복, 액티브스포츠 웨어 등이 이에 속한다. ③ 캠퍼스 웨어:대학의 교정에서 착용하기에 적합하다. ④ 타운 웨어:거리에서 착용하는 의복이라는 의미로 쇼핑이나 간단한 모임 등에 착용하는 캐주얼한 분위기의 외출복을 의미한다. 오피셜 웨어에는 ① 비즈니스 웨어:사무, 근무시...

  • 단순함과 간결함을 추구하는 예술과 문화적인 흐름. 제2차세계대전을 전후하여 시각 예술 분야에서 출현하여 음악, 건축, 패션, 철학 등 여러 영역으로 확대되어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영어에서 '최소한도의, 최소의, 극미의'라는 뜻의 '미니멀(minimal)'과 '주의'라는 뜻의 '이즘(ism)'을 결합한 미니멀리즘이라는 용어는 1960년대부터 쓰이기 시작했다. 미니멀리즘은 기본적으로 예술적인 기교나 각색을 최소화하고 사물의 근본 즉 본질만을 표현했을 때, 현실과 작품과의 괴리가 최소화되어 진정한 리얼리티가 달성된다는 믿음에 근거하고 있다. 회화와 조각 등 시각 예술 분야에서는 대상의 본질만을 남기고 불필요한 요소들을 제거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 최소한의 색상을 사용해 기하학적인 뼈대만을 표현하는 단순한 형태의 미술작품이 주를 이루었다. 미술이론가이기도 한 도널드 주드(Donald Judd)의 작품이 대표적이다. 음악에서의 미니멀리즘은...

  • 유럽 고대로부터의 기본적인 웃옷. 역사적으로는 고대 서양의 남녀가 입었던 소매가 없는 헐렁한 옷으로, 속옷과 겉옷을 겸했으며, 그리스의 키톤이나 로마의 투니카가 이에 해당되고 그 명칭도 여기서 비롯된 것이다. 튜닉은 원래 피막(皮膜ひまく)이나 곡식의 껍질 등을 뜻하는 말인데, 일반적으로는 몸에 꼭 달라붙게 입는 의복을 지칭하게 되었다. 이로부터 같은 모양의 여성복이나 제복을 뜻하게 되었고, 튜닉 코트 ·튜닉 드레스 등의 호칭이 생겼다. 또한 무희(舞姬まいひめ)가 입는 길이가 짧은 의복, 또는 길이가 약간 긴 군복 등을 지칭하는 일도 있으나, 최근 쓰는 양재용어로는, 일반적으로 중간 길이(7부)의 몸에 딱맞는 상의를 튜닉형이라고 한다.

  • 손목을 덮는 의복 부분의 총칭. 다른 천을 댔건 같은 천으로 만들었건, 또 젖힌 부분이 있건 없건 소맷부리나 소매커버, 장갑의 손목 등을 가리키는 말인데, 때로는 바지단이나 부츠의 단을 말할 때도 있다. 원래 북방계 의복에 특유한 것으로, 발생은 소매가 타이트하게 된 15세기에 시작된다. 그 이후로는 손목을 보호하거나 순전한 장식으로서 사용되었다. 처음에는 보온이 목적이었으므로 특히 여성복에서는 털가죽이 사용되었으나 남성복이나 상류층 복장에서는 장식으로서 더 많이 사용되었으며, 근세 이후에는 더한층 뚜렷해졌다. 전형의 하나는 깔때기 모양의 레이스 커프스에서 볼 수 있다. 르네상스 시대로부터 바로크 시대에 걸친 두껍고 어두운 색의 겉옷에서는 그것이 각별한 장식효과를 나타냈을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한편 셔츠의 커프스에도 러플(ruffle:주름장식)이나 레이스가 사용되었고, 17세기에 이르러 무릎길이의 코트형(かた)이 남자복의 기본형으로 정착되자 겉옷의...

  • 복식용어로 목둘레를 둥근형 ·각형 ·V형 등으로 에워싸는 선. 프랑스어(かたり)로는 앙콜뤼르(encolure)라고 한다. 네크라인의 모양은 얼굴의 형태, 목둘레, 목길이에 따라서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디자인적(まと)인 뜻으로의 깃둘레선과 깃이 없는 의복에서의 목둘레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윤곽선을 말할 때가 많다. 그러므로 네크라인의 스타일은 이를 이루는 주된 선에 의하여 제각기 명칭이 붙여진다. 특히 네크라인은 의복 중에서도 얼굴에 가장 가까워 눈에 잘 띄는 부분이기 때문에 디자인에서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네크라인은 형태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명칭이 구분된다. (1) 카울(cowl) 네크라인:앞주름이 자연스럽게 늘어진 형으로 중세의 가톨릭 수도사들이 입던 두건이 달린 수도복에서 연유된 이름이다. (2) 스퀘어(square) 네크라인:사각형으로 판 네크라인으로 깊게 판 것과 넓게 옆으로 판 것이 있다. (3) 홀터(halter) 네크라인:끈이나 밴드로 목 뒤에서 고정되며, 보통...

  • 미국 서부 개척 시대의 카우보이나 개척자들이 착용한 복장으로, 활동미와 야성적 이미지를 표현하는 패션. 웨스턴 셔츠를 비롯하여 헤어 밴드, 깃털 장식, 웨스턴 타이, 홀치기 염색한 빨간색 밴대너(bandanna) 스카프, 스웨이드로 술 장식을 한 웨스턴 베스트와 자켓, 청바지, 로데오 팬츠 등에서 볼 수 있으며, 콘차 벨트(concha belt:금속 링을 여러 개 이어 벨트 모양으로 만든 것), 브로치, 모자, 부츠 등이 웨스턴 패션에 사용된다. 컬러는 서부 개척사를 연상시키는 황, 청, 포도주색 등을 사용한다. 1981~1982년 랄프 로렌은 아메리카인디언룩을 발표하였고, 1982~1983년에는 미국 서부의 개척 시대를 테마로 한 웨스턴 파이어니어룩이 발표되었는데 에이프런 드레스나 웨스턴 슈트, 웨스턴 셔츠 등 개척자 정신을 담은 모드가 표현되었다. 차밍 웨스턴룩은 웨스턴룩 가운데서도 특히 서부의 가련한 여성복장에서 이미지를 구축한 스타일로 크리스티앙 디오르의 1982년 파리 프레타...

  • 고대 이집트의 복식 스타일 또는 그것을 모티프로 한 패션 스타일. 이집트인들은 기하학적인 감각을 지닌 민족으로서 복식에서도 기하학적인 규칙성을 볼 수 있다. 그들은 주로 직선적인 실루엣과 단순한 색깔의 복식에 화려한 장신구를 걸쳐 조화를 이루었다. 복식의 중요한 재료는 아마(리넨)로 고왕국 시대에는 아마의 자연적인 흰색이 신성시되어 많이 사용되었다. 그밖에 빛나는 금색, 은색과 검은색 계통과 빨강, 노랑, 파랑, 녹색 계열 등도 사용되었다. 상류층은 나일강가에서 자란 아마로 짠 곱고 투명한 모슬린을 주로 입었다. 남녀의 기본적인 옷은 로인 클로스(loin cloth)로서 허리에 두르는 단순한 형태인데 거들이나 벨트로 매어 입었다. 시대나 신분에 따라서 그 길이나 감는 방법은 조금씩 달랐는데 신분이 낮은 사람은 단순히 옆으로 감았고, 왕은 주름이 많았으며 앞에는 금으로 만든 장식을 달았다. 그리고 고관들은 앞에 주름잡은 에이프런을 덧입었다. 이것은...

  • 재킷은 여러 가지로 분류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용도별로는 포멀재킷·인포멀재킷, 또 비지니스용·리조트용·스포츠용 재킷, 소재별로는 레저재킷·니티드재킷, 기장의 장단에 따라서는 쇼트재킷·롱재킷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밖에 특정호칭의 재킷은 다음과 같다. ① 이튼 재킷: 영국의 이튼칼리지의 제복 등에서 유래하며, 접은 깃이 달린 허리길이의 짧은 웃옷을 조끼와 함께 앞을 터 놓은 채로 입는 것이 특색이다. 옷색깔은 파랑이나 빨강이었으나, 1820년 이후 검정이 일반화되었으며, 19세기 말에는 여성복에도 도입되었다. ② 주아브 재킷: 알제리인으로 조직된 프랑스의 경보병(けい步兵ほへい)을 주아브병이라고 하는데, 그들이 착용한 앞을 터 놓고 입는 기장이 짧고 깃 없는 웃옷을 가리킨다. 이 옷은 풍성한 자루 모양의 바지와 함께 입는데, 미국 남북전쟁 때의 의용병도 입었다. 또 19세기 후반의 여성복·어린이 옷에도 도입되었다. ③ 스모킹 재킷(smoking jacket): 지금은 주로...

  • 어깨 또는 진동 둘레에서부터 치마 밑자락까지 세로로 절개선을 넣어서 다트 분량을 조절하여 상반신은 꼭 맞고 스커트는 여유가 있도록 만든 라인. 웨이스트 라인에서 이음선을 볼 수 없으며 단으로 내려가면서 플레어를 넣어 실루엣을 변화시킬 수 있다. 명칭은 영국의 에드워드 7세 왕후 알렉산드라(1844∼1925)가 황태자비(프린세스) 시절에 즐겨 착용한 스타일에서 유래한다. 1860년경 프랑스에서 유제니 황후를 위한 모닝 드레스로 소개된 이래 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까지 계속 유행하였다. 그 뒤 1930년대와 1940년대에 다시 유행하여 지금까지 널리 착용되는 라인의 하나이다. 허리를 가늘어 보이게 하는 동시에 바스트와 힙을 강조하여 밑자락을 넓게 한 스타일이다.

  • 고객을 직접 상대하지 않고 디자이너(쿠튀리에)를 위해 오리지널 디자인을 고안하거나 작품(모델)을 만드는 사람. 모델리스트는 디자이너가 고안한 디자인대로 충실히 실제 작품의 견본을 만든다. 기성복 업체에 오리지널 디자인을 파는 사람도 모델리스트라고 한다. 이브 생 로랑의 경우 모델리스트를 채용하지 않고 자신의 작품을 모두 디자인하는 디자이너로 유명하다. 또한 자신의 디자인을 파는 모델리스트도 겸하고 있다. 피에르 카르댕은 여러 명의 조수, 즉 모델리스트를 고용하고 있다. 모델리스트가 독립하면 독자적인 디자이너(프랑스에서는 쿠튀리에)로 인정받는다. 장 파투, 마르크 보앙, 루시앙 를롱, 피에르 발맹 등 유명한 패션 디자이너 대부분이 모델리스트 출신이다. 오트쿠튀르에서는 모델리스트의 조수역인 사람을 스틸리스트(Styliste:스타일리스트)라고 한다.

  • G.샤넬, J.랑뱅, 장파투의 가르손(남자아이같은 여성)룩이 대표적인 패션 스타일. 루스 웨이스트 드레스, 슈미즈 드레스, 로웨이스트 스커트, 행커치프 헴라인, 스티치 장식, 롱재킷, 로웨이스트, 튜블러 실루엣(컬럼 실루엣, 실린더 실루엣) 등이 특징이며 아르데코의 경향이 보인다. 이밖에도 스포츠룩, 머린룩, 캐주얼 소재의 니트와 저지 등이 모드로 대두된 시대이다. 1920년대의 기본적인 실루엣은 허리에 여유를 둔 직선적인 실루엣으로 스커트 길이가 많이 짧아졌으며 1925년 무렵부터는 벨트를 사용하였다. 이 시기에는 전쟁 후 직업 여성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여성들의 지위가 향상되고 경제적으로 독립하면서 자유로운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되자 보이시한 스타일을 선호하였는데, 이러한 당시의 톱 모드(top mode)를 입는 여성을 플래퍼(flapper:말괄량이)라 하였다. 이 플래퍼들은 자유를 찾아 복장·행동 등에서 관습을 깨뜨리고 유행에 열중하여 빨간 연지에 보브 헤어...

  • 자루처럼 넉넉하고 폭이 넓은 바지. 넓적다리 위가 특히 넓다. 원래는 남자용 옥스퍼드 백스(oxford bags)에서 온 것으로 1970년대에 여성용 바지로 유행했다. 대표적인 것으로 벨 보텀형의 팬츠에 이어 1979년대 중반에 등장한 배기 트라우저스(Baggy trousers)는 웨이스트 라인부터 힙 라인, 바지 끝단에 걸쳐 여유가 있게 디자인되었다. 처음에는 벨 보텀형 팬츠의 힙 라인에서 무릎 부분까지를 여유있게 했지만, 1977년에는 바지 끝단과 허리를 졸라매 마치 몸뻬와 같은 튀르키예풍 바지를 느끼게 하는 스타일도 등장했다. 이러한 배기 룩은 웨이스트나 바지자락을 개더나 터크로 졸라서 개더 스커트, 드롭 숄더, 기모노 슬리브, 돌먼 슬리브, 직선 재단의 몸판을 한 셔츠나 재킷 등을 코디네이트하여 입는다. 원래는 캐주얼 복장에 많이 사용되지만 나중에는 드레시한 복장에도 파급되었다. 새로운 배기 팬츠로 맥아더 팬츠 등의 상품명으로 알려진 소프트아이비풍의 뉴 배기 팬츠는...

  • 양복에서 보호 ·장식의 목적으로 목 주위에 둘려지는 옷깃. 헝겊 ·목 장식 ·목걸이 등도 포함되나, 가장 보편적으로는 양복의 웃옷이나 셔츠 등의 옷깃 부분을 가리킨다. 그러나 엄밀하게 말하면, 본질적으로 구조가 다른 한복과 양복에서는 한국어의 옷깃이 그대로 칼라와 동일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다. 이를테면 테일러드복(ふく)의 젖힌 부분의 앞쪽은 원래 라펠이고 등쪽의 젖힌 부분만이 칼라이기 때문이다. 그것을 통틀어 옷깃이라고 부르는 습관이 생긴 것은 옷깃이라는 한국어의 포괄성 때문이다. 어원은 목을 의미하는 라틴어의 콜라레(collāre)이며, 중세영어에서는 콜러(coler)라 썼는데,이것은 프랑스어의 콜(col)에 한층 더 가깝다. 고대 로마인은 목이나 인후(咽喉いんこう)를 보호할 목적으로 포칼이라는 경포(頸布)를 사용하였다. 또, 색슨인 중에서는 노예의 표시로 철제 고리를 목에 둘렀고, 중세 이후에는 보석 등으로 장식한 띠 모양의 목 장식을 목에 걸었다. 이것들은 모두...

  • 복장의 남녀 차가 없어지는 현상, 또는 남녀를 구별하지 않는 패션. 유니섹스(unisex)라고도 한다. 여성이 남성처럼 옷을 입고, 남성이 화려한 무늬의 옷을 입거나 목걸이를 착용하는 등의 풍조를 가리키며, 진의 세계적인 유행 또한 모노섹스를 대표하고 있다. 외모가 남자냐 여자냐 하는 것은 상관없으며, 남녀의 구별은 복장에 의하는 것이 아니라는 감각이 모노섹스 유행의 배경이 되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