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목천 상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목천 상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천 상씨
木川きがわ尙氏
나라한국
관향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
시조상국진(尙國ちん)
집성촌경기도 과천시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내지리
충청남도 보령시 주산면 야룡리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대촌리
강원도 원주시 호저면 옥산리
주요 인물상애, 상달, 상진, 상붕남, 상인첨, 상득용, 상호, 상병헌
인구(2015년)2,272명

목천 상씨(木川きがわ尙氏)는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목천호장(木川きがわ戶長こちょう)을 지낸 상국진(尙國ちん)이다.

12세손 상진(尙震)이 조선 명종조에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라 15년 동안 조선의 재상으로 국정을 총괄하였다.[1]

역사[편집]

시조 상국진(尙國ちん)은 목천호장(木川きがわ戶長こちょう)을 지냈다. 『동국여지승람(東國とうごく輿地よちしょうらん)』과 『목천상씨갑자대동보(木川きがわ尙氏甲子きのえね大同だいどう)』 등에 의하면 그의 선조는 백제 호족으로 왕건(おうけん)이 고려를 개국할 때 목천(木川きがわ) 상왕산(尙王さん)에 웅거하면서 여러 차례 백제 재건운동을 벌이자 왕건이 상(ぞう: 코끼리)이라는 축성(畜姓)으로 고치게 하였다. 시조의 묘는 목천 상왕산 아래 간좌에 있으며 향사일은 음력 10월 3일이다.

상국진의 아들 상득유(尙得儒)가 고려 문종(ぶんむね)조에 최충(ちぇおき)이 세운 구재(きゅうとき)의 대빙재학사(まちとき學士がくし)에 선발되어 향역(鄕役)을 면제받으면서 본래의 상(尙)씨로 환원되었다.

상득유의 아들 상원(尙愿)이 급사(きゅうごと)를 지내며 임지(任地にんち)를 따라 임천(はやしがわ)으로 옮겨 10대를 세거하였다.

9세손 상영부(尙英まこと)는 호군(まもるぐん)을 역임하였고, 충청도 임천(はやしがわ)에서 살고 있을 때 가세(いえぜい)가 풍족하였는데, 채권(さいまき)을 불살라 버리고 말하기를, "나의 후손은 반드시 창성할 것이다." 하였다. 이후 10세손 상효충(尙孝ちゅう)이 수군 우후(水軍すいぐんおそれこう)를 역임하고, 11세손 상보(尙甫)는 안기도 찰방(やす奇道きどう察訪)을 지냈다.

12세손 상진(尙震)이 1519년(중종 14) 문과에 급제하여 1549년(명종 4) 우의정이 되고, 1551년(명종 6) 좌의정을 거쳐 1558년(명종 13) 영의정(りょうせい)에 올라 15년 동안 조선의 재상으로 국정을 총괄하였다.[2]

기원[편집]

상씨(尙氏)는 본래 중국(中國ちゅうごく) 상당(うえとう : 산서성 기령도 노성현)에서 계출(けい)된 성씨(姓氏せいし)로 당(とう)나라 덕종(とくむね) 때 병마사(兵馬へいば使)를 지낸 상가고(尙可)의 후예(後裔こうえい)로 전한다.

1976년 간행된 《병진보(へいたつ)》 서문과 《삼국사기(さん國史こくし)》에 의하면 고구려 서천왕(西川にしかわおう) 때의 국상(くにしょう) 상음우(尙陰とも)의 아들 상루(尙婁)가 271년(서천왕 2) 국상에 임명되어, 294년(봉상왕 3)까지 국상을 역임하는 등 벌족이었으나, 고구려가 목천 지역을 차지한 후 백제의 귀족이 되었다고 한다. 신라 흥덕왕(おき德王とくおう)의 신하로 상예(尙芮)·상완(尙莞)이 있었다고 한다. 《고려사》에 기록된 후백제의 장군 상달(尙達)과 상애(尙哀) 등이 백제 부흥운동에 참여하여 고려에 저항하자 고려 태조는 상(ぞう)씨로 바꾸게 하였다고 한다.

조선 성종 때 간행된 《동국여지승람(東國とうごく輿地よちしょうらん)》에 의하면 고려를 건국할 때 백제 유민들이 목천 상왕산에 웅거하며 백제 재건을 위해 여러 차례에 걸쳐 반기를 들자 태조 왕건(おうけん)은 반란을 꾀한 일족에게 우(うし, 소), 마(うま, 말), 상(ぞう, 코끼리), 돈(ぶた, 돼지), 장(獐, 노루) 등의 축성(畜姓)을 내렸는데 후손들이 뒷날 우(于), 상(尙), 돈(とみ), 장(ちょう)으로 성씨를 회복하였다고 한다. 이 때 상(尙)씨도 상(ぞう)으로 성이 바뀌었으나, 고려 문종 때 상국진의 아들 상득유(尙得儒)가 최충(ちぇおき)이 세운 구재(きゅうとき)의 대빙재학사(まちとき學士がくし)가 되어 향역(鄕役)을 면하면서 본래의 상(尙)씨로 환원되었다.

인물[편집]

  • 상붕남(尙鵬みなみ) : 상진(尙震)의 아들. 중종 때 사관이 되어 우찬성 등 요직을 두루 역임하고, 『중종실록』 편찬에도 참여하였다. 음보(かげ)로 벼슬에 등용되어 판결사(判決はんけつごと)에 이르렀다. 외손자 이기준(耆俊)은 1580년(선조 13)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정자(うけたまわぶんいん正字せいじ)를 지냈다.[5]
  • 상득용(尙得よう) : 영의정 상진(しん)의 후손으로, 무과에 급제하여 수문장(守門すもんすすむ)이 된 뒤 선전관·훈련원판관·화량진첨사(はなはり鎭僉使) 등을 역임하였다. 무인으로서 독서를 즐겨 『육도(ろく韜)』·『손자(孫子まごこ)』·『무자(武子たけこ)』 등 병서에 해박하였고, 경사(けい)에도 밝았으며 천문·주수(籌數)에 두루 능하였다. 말년에는 고향에 돌아가 제자양성에 노력, 우수한 인재를 많이 배출하였다.[6]
  • 상직현(尙稷鉉) : 고종의 호위무관으로 알려져 있으며, 휴대용 해시계인 ‘일영원구’(日影ひかげえんだま)를 제작한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7]

본관[편집]

목천(木川きがわ)은 충청남도 천안시(てんやす) 목천읍 일대의 지명이다. 본래 백제의 대목악군(大木たいぼくたけぐん)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대록군(大麓だいろくぐん)으로 고쳐 금지현(金池かないけけんちょんよし)과 순치현(馴雉けんゆたかとし)을 관할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목주(しゅう)로 개칭했으며, 1018년(현종 9)에 청주의 속현이 되었다. 1172년(명종 2)에 감무를 둠으로써 독립하여 연기현(つばめ岐縣) 감무를 겸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목천현이 되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1895년(고종 32) 목천군으로 개편되었으나 1914년 목천면으로 축소되어 천안군에 편입되었다. 1942년 목천군의 일부였던 갈전면이 병천면으로 개칭되었다. 2002년 목천면이 목천읍으로 승격했다.

분파[편집]

15세손에 이르러 상자산(尙子さん)의 후손은 부여파(扶餘)로, 상자화(尙子はな)의 후손은 원주파(はらしゅう)로, 상자천(尙子賤)의 후손은 풍덕파(豊德ほうとく)로 각각 분파되었다.

과거 급제자[편집]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 15명을 배출하였다.[8]

문과

상진(尙震)

무과

상광택(尙光澤こうたく) 상대용(尙大よう) 상대창(尙大昌だいしょう) 상사주(尙師しゅう) 상선(尙選) 상손(尙遜) 상시창(尙時あきら) 상유주(尙維しゅう) 상인첨(尙仁詹)

생원시

상동규(尙東奎) 상빈주(尙賓しゅう) 상이택(尙履さわ) 상진(尙震)

음관

상우현(尙禹鉉)

항렬자[편집]

15세 16세 17세 18세 19세 20세 21세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자) 詹(첨) しゅう(주) けい(계) さわ(택) ひがし(동) よう(용) 致(치) 鉉(현) みず(수) うえ(식) 炳(병) けい(규) よし(의) 淙(종)
澈(철)
はしら(주)
てこ(정)
熙(희)
れつ(열)
珉(민)
つちかえ(배)
鏞(용)
鎬(호)
かん(한)
えんじ(연)
桓(환)
しゅう(수)

집성촌[편집]

문화재[편집]

  • 성안공 상진 묘역(成安なりやすこう 尙震 墓域ぼいき)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60호. 높이 362cm, 비신 높이 220cm, 너비 106cm, 두께 36cm. 성안은 조선 중기의 재상 상진의 시호로, 이 비는 1566년(명종 21)에 세워졌다. 화강암제 장대석 기단과 네모받침돌 위에 대리석제 비신(いしぶみ)을 얹은 다음, 그 위에 화강암제 첨석(檐石)을 얹었다. 받침돌 4면에는 방형 구획 속에 꽃무늬를 조각하였다. 비문은 손자 상시손(尙蓍まご)의 부탁으로 좌찬성 홍섬(ひろし暹)이 지었고, 글씨는 송설체(松雪まつゆきからだ)에 뛰어났던 여성군(礪城くん) 송인(そうとら)이 썼으며, “成安なりやすこう神道しんとう碑銘ひめい”이란 두전(あたま篆)은 둘째 사위 예문관검열 이제신(わたるしん)이 썼다. 비문에는 중종·인종·명종대에 활약한 상진의 행력과 충후(ただしあつし)하고 전중(てんじゅう)한 그의 품성과 행위에 대해 적혀 있다.

관련 단체[편집]

  • 상문고등학교(尙文高等こうとう學校がっこう) -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상문고 부지는 조선 명종 때 영의정을 지낸 상진(尙震) 정승이 서거하면서 위토로 하사 받은 20여만평의 일부로 목천 상씨 성안공파의 문중 선산이었다. 1968년 서초구 일대가 남서울도시계획에 들어가 도로가 뚫리게 되자 선산을 지키기 위해 목천 상씨 문중에서 성씨인 尙자와 학문을 뜻하는 ぶん자를 합쳐 학교를 건립하였다.

인구[편집]

  • 1985년 499가구 2,054명
  • 2000년 702가구 2,293명
  • 2015년 2,272명 (남 1,144명 + 녀 1,115명)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