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조(兵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다. 육조 가운데 국방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고려 성종 이전에는 병관이라는 명칭을 썼고, 고려 성종 이후로는 병부라는 명칭으로 바꿨다. 그러다가 원나라 간섭기에는 군부사로 바뀌었고 병조로 바뀌었다가 선부로 통합되었다. 공민왕 때 병부로 환원되었다가 군부사, 총부로 다시 바뀌었으며 공양왕 때 비로소 병조로 개칭되었다. 작전계획, 병기의 생산관리, 무관의 인사권 등 국방을 총괄하여 담당했으며, 수레와 말 등의 교통수단, 봉화와 역참 등의 통신수단, 궁궐 경비 등도 담당하였다. 지금의 국방부에 해당한다.
1894년(고종 31년)에 갑오개혁이 시행되자 군무아문(軍務衙門)으로 개편되었고, 이듬해 군부(軍部)로 다시 개칭 및 개편되었다.[1]
고대 주나라에서 대사마(大司馬)으로 불렀다하여 옛스럽게 별칭으로 부르기도 하였다.[2]하관(夏官), 기조(騎曹)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