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기로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기로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숙종 45년(1719) 기로소에서 열린 기로회를 그린 전 국보 제325호 기사계첩의 일부

기로소(耆老しょ)는 조선시대에 관직에서 물러난 문신(ぶんしん)들을 예우하기 위해 설치한 관청으로, 국가 원로 예우를 위한 명예 기구이다.

정식 명칭은 치사기로소(致仕ちし耆老しょ)이며, 왕과 조정 원로의 친목, 연회 등을 주관하였다. 영조 때 수직관(まもりじきかん) 2명과 서리(胥吏) 2명, 고직(くらしょく) 1명, 사령(使令しれい) 44명, 군사(ぐん) 1명을 두었는데, 수직관은 승문원성균관에서 7품 이하의 관원을 차출하였다.

역사

[편집]

이후 조선에서는 1394년, 태조의 나이가 60세를 넘자 기사(耆社)라는 관청을 설치한 때부터 시작되었다. 즉, 문신(ぶんしん)과 무신(武臣ぶしん)을 가리지 않고 70세 내외의 2 품관 이상 관료를 선발하여 기사(耆社)의 명단에 이름을 올리고 임금 스스로도 여기에 이름을 올렸으며, 전토(田土たど)와 염전(鹽田えんでん), 어전(りょう), 노비를 하사하고 군신(君臣くんしん)이 함께 어울려 연회를 베풀며 즐기는 데에서 비롯되었다. 태종 즉위 초에 이것을 본격적으로 제도화하여 전함재추소(ぜん銜宰くるるしょ)라고 하다가 1428년(세종 10년)에 치사기로소(致仕ちし耆老しょ)로 개칭하였다.

조선 중기 이후에는 기로소에 들어갈 수 있는 자격에 제한을 두어 정경(せいきょう, 정2품 판서급)으로 70세 이상 된 문신으로 제한하였고 숙종 때에는 이들을 기로 당상(耆老堂上どうじょう)이라 하였다. 군신(君臣くんしん)이 함께 참여하는 기로소의 특성상 조정 관청 서열에서는 기로소가 으뜸을 차지하였다. 기로소가 맡은 일은 임금의 탄일과 정조(せいあさ, 설날), 동지, 그리고 나라에 경사가 있거나 왕이 행차할 때, 모여서 하례(れい)를 행하거나 중요한 국사(國事こくじ)의 논의에 참여하여 왕의 자문에 응하기도 하였다. 1719년, 숙종이 60살이 되었을 때 자신이 기로소에 들어가면서 경내에 영수각(れいことぶきかく)을 짓고 영수각 내에 어첩(牒)을 봉안하였다.

기로소에 들어가면 녹명안(ろく名案めいあん)에 이름이 기록되었는데 조선 초중기의 기록은 모두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그 후에 다시 편찬한 《기로소제목록후(耆老しょ題目だいもくろく)》에 의하면 여기에 들어온 왕은 태조, 숙종, 영조, 고종 등이며, 최고령자는 현종 때의 윤경(いん絅)으로 98세, 그 다음으로 숙종 때 97세의 이구원(ひさげん), 96세의 민형남(閔馨おとこ) 등이 있었다.

청사

[편집]

기로소 청사는 경복궁 광화문 앞 대로인 육조거리의 끄트머리, 즉 현재 서울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 3번 출구 자리에 있었다. 이순신 장군 동상과 교보문고 사이의 중간 지점이다.

주요 건물

[편집]
  • 기영관(耆英かん) : 기로소 본청 건물 (남향)
  • 영수각(れいことぶきかく) : 어첩(じょう, 왕의 글) 보관 건물 (기영관 동쪽 소재)
  • 대문(大門おおもん) : 기로소 정문 (기영관 남쪽 소재)

관련 문화재

[편집]

같이 보기

[편집]
  1. 해당 계첩은 당시 기로연에 참여한 신하 중 홍만조에게 전해진 것으로 후손들이 함까지 보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