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쓰치미카도 천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쓰치미카도 천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츠치미카도 천황
土御門つちみかど 天皇てんのう
제83대 일본 천황
재위 1198년 2월 18일-1210년 12월 12일
전임 고토바 천황
후임 준토쿠 천황
섭정
재상
이름
타메히토 (ためじん)
시호 츠치미카도 (土御門つちみかど)
능호 가네가하라 능 (金原かなはらりょう)
연호 겐큐 (たてひさ)
쇼지 (正治しょうじ)
겐닌 (たてひとし)
겐큐 (元久もとひさ)
겐에이 (たてひさし)
조겐 (うけたまわもと)
신상정보
출생일 1196년 1월 3일
사망일 1231년 11월 6일
왕조 야마토 왕조
부친 고토바 천황
모친 미나모토노 아루코
배우자 후지와라노 레이시

쓰치미카도 천황(土御門天皇つちみかどてんのう, 1196년 1월 3일 - 1231년 11월 6일)은 가마쿠라 시대의 사람으로 제83대 일본 천황이다(재위: 1198년 2월 18일(음 1월 11일) ~ 1210년 12월 12일(음 11월 25일)). 고토바 천황과 그 후궁인 미나모토노 미치치카(みなもととおるおや)의 딸 쇼메이몬인(うけたまわあかりもんいん) 미나모토노 아리코(みなもとざい)의 아들이며, 이름은 다메히토(ためひとし)이다.

약력[편집]

1198년 고토바 천황양위로 4세의 나이에 즉위하였으나 사실상 재위 기간 내내 고토바 상황에 의한 인세이(院政いんせい)가 이어졌다. 온화한 성격의 소유자로, 당시까지 계속되고 있던 막부와 조정의 긴장관계가 풀어질 것을 염려한 고토바 상황의 요구로 1210년 동생인 준토쿠 천황에 양위한 후 퇴위했다.

재위 기간 동안 교토조정에서는 외할아버지인 미나모토노 미치치카가 조정(만도코로; 政所まんどころ)의 장관인 벳토(別當べっとう)의 관직을 맡아 권력을 장악하고 있었고, 가마쿠라에서는 1199년 막부 초대 쇼군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죽은 후 사실상 호조 도키마사(北条ほうじょう時政ときまさ)를 위시한 호조 가문에 의한 고케닌(御家人ごけにん) 정치가 행해지고 있었다.

퇴위 후인 1221년 고토바 상황에 의한 가마쿠라 토벌 시도가 실패하여 막부의 반격을 받은 조큐의 난이 발생하여 고토바 상황은 오키 섬, 준토쿠 상황은 사도(佐渡さわたり)에 유배되는 사건이 발행했다. 쓰치미카도 상황은 사건에 관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처벌 대상은 되지 않았지만, "아버지(고토바인)가 유배되었는데 아들이 교토에 남아 있는 것은 차마 견딜 수 없는 일"이라며 자신도 유배를 청해, 시코쿠도사 국으로 거처를 옮겼다. 이후 시코쿠 동쪽으로 위치상 교토와는 조금 더 가까운 아와로 거처를 다시 옮기게 되었데, 가마쿠라 막부는 고토바인이나 준토쿠 상황에 대한 처우와는 달리 아와의 슈고(守護しゅご) 오가사와라 나가쓰네(小笠原おがさわらちょうけい)에 명하여 쓰치미카도 상황의 거처로 쓸 별궁을 따로 짓게 하는 등 후한 대접을 보였다.

1231년 10월 숨을 거두었다. 당시의 관례에 따라 죽기 직전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다. 화장되어 가네가하라(きむばら)에 묻혔다. 현재 교토부 나가오카쿄시에 있는 가네가하라노 미사사기(金原かなはらりょう)가 그곳이며, 도쿠시마현 나루토시에는 유해를 화장한 곳에 조성한 화장총(火葬かそうづか)이 있다.

불교 종파인 일련종(日蓮宗にちれんしゅう)의 개조인 니치렌은 쓰치미카도 천황의 아들이라는 설이 있으나 정설은 아니다.

가계도[편집]

  • 중궁 : 온메이몬인(かげあかりもんいん) 오오이시미카도(후지와라) 레이시(大炊おおい御門みかど(藤原ふじわら) 麗子れいこ) (1185-1243) - 오오이시미카도 요리자네(大炊おおい御門みかど よりゆき)의 딸
  • 텐지 : 츠치미카도(미나모토노) 토우시(土御門つちみかど(みなもと) 通子みちこ) (?-1221) - 미나모토노 미사무네(みなもと どおりむね)의 딸
    • 황녀 : 하루코(슌시) 여왕(春子はるこ 女王じょおう) (1210-1230)
    • 황녀 : 오기마치인(正親町おおぎまちいん) 카쿠시 내친왕(さとし 内親王ないしんのう) (1213-1285)
    • 제4황자 : 닌죠 법친왕(仁助にすけ 法親王ほうしんのう) (1215-1262)
    • 제5황자 : 세이닌 법친왕(せいじん 法親王ほうしんのう)(1216-1296)
    • 제7황자 : 쿠니히토 친왕(邦仁くにひと 親王しんのう) -(고사가 천황
  • 궁인 : 미사쿠쇼시(美作みさくてのひらさむらい) 타카시나씨(高階たかしな) - 타카나시노 나카스케(高階たかしな なか)의 딸
    • 제1황자 : 토닌 법친왕(みちじん法親王ほうしんのう)(1209-1263)
  • 궁인 : 미나모토씨(源氏げんじ) - 미나모토노 사다미츠(みなもと 貞光さだみつ)의 딸
    • 황녀 : 히데코(슈시) 여왕(秀子ひでこ 女王じょおう)
  • 궁인 : 비쵸노 츠보네(尾張おわりきょく)
    • 제2황자 : 손슈 법친왕(みこともり法親王ほうしんのう) (1210-1260)
  • 궁인 : 미나모토씨(源氏げんじ) - 승려 진에(ひろめぐみ)의 딸
    • 제6황자 : 손쇼 법친왕(みことじょ 法親王ほうしんのう) (1217-1290)
  • 궁인 : 치부쿄노 츠보네(治部じぶきょうきょく) 후지와라씨(藤原ふじわら) - 승려 데이쇼(定勝さだかつ)의 딸
    • 제3황자 : 토엔 법친왕(みちえん 法親王ほうしんのう) (1210-1240)
    • 황녀 : 노부코(신시) 여왕(信子のぶこ 女王じょおう)
  • 궁인 : 다이쿠노 츠보네(大宮おおみやきょく) 미나모토씨(源氏げんじ) - 미나모토노 아리야스(みなもと ゆうみやび)의 딸
    • 황녀 : 센카몬인(せんはなもんいん) 아키코(긴시) 내친왕(曦子 内親王ないしんのう) (1224-1262)
  • 궁인 : 후지와라씨(藤原ふじわら) - 승려 엔요(まどかほまれ)의 딸
    • 제8황자 사이닌 법친왕(さいじん 法親王ほうしんのう) (1227-1295)
  • 궁인 : 쿠나이쿄노츠보네(宮内卿くないきょうきょく) 후지와라씨(藤原ふじわら) - 후지와라노 노리미츠(藤原ふじわら はんこう)의 딸
    • 황녀 : 토모코(치시) 여왕(知子ともこ 女王じょおう)
  • 궁인 : 후지와라씨(藤原ふじわら) - 승려 켄손(けんみこと)의 딸
    • 황자 : 조닌(ぞうじん)
  • 궁인 : 사쿄다이후노 츠보네(左京さきょう大夫たいふきょく) 미나모토씨(源氏げんじ) - 승려 쇼엔(あかしへん)의 딸
    • 황녀 : 쿠도코(쥰시) 내친왕(諄子 内親王ないしんのう)(?-1260)
  • 궁인 : 단바노 츠보네(丹波たんばきょく
    • 황녀 : 고레코(젠시) 여왕(子女しじょおう)
  • 생모불명
    • 황자 : 카이손(ふところみこと)
    • 황자 : 세키에(さびめぐみ)

재위 중의 연호[편집]

쓰치미카도 천황 재위 중 사용된 연호는 다음과 같다.

순서 연호 연호 사용 시작 날짜 연호를 바꾼 날짜
1 겐큐(たてひさ) (즉위: 1198년 1월 11일) 1199년 4월 27일
2 쇼지(正治しょうじ) 1199년 4월 27일 1201년 2월 13일
3 겐닌(たてひとし) 1201년 2월 13일 1204년 2월 20일
4 겐큐(元久もとひさ) 1204년 2월 20일 1206년 4월 27일
5 겐에이(たてひさし) 1206년 4월 27일 1207년 10월 25일
6 조겐(うけたまわもと) 1207년 10월 25일 (퇴위: 1210년 11월 25일)
주(註): 표의 모든 날짜는 음력(かげれき)임.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