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가죽신
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분류 정치/경제/생업 > 디지털리소스실 > 거래/물품 > 거래물품 3D
가죽신 본문 이미지 1

원천자료

가죽신 본문 이미지 2

고증자료

• 명 칭 : 가죽신
• 시 대 : 조선 후기(19세기)
• 설 명 : 생가죽을 기름에 절여서 만든 것으로 진 땅에서 신는 신의 하나로 유혜(あぶら鞋)라고도 하고, 징을 박았다 하여 '징신'이라고도 한다.

진신은 삼국시대 이래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형태를 보면 남자의 진신은 태사혜 모양과 같고, 여자의 것은 당혜나 운혜와 같은 모양이다.

만드는 법은 생가죽을 기름에 절여 여러 겹 겹쳐서 바닥을 만들고 신등의 가장자리는 역시 가죽으로 백비를 쳐서 안으로 감쳤으며, 바느질법은 청올치실로 견고한 박음질법을 쓰고 있다. 밑창에는 쇠붙이로 징을 촘촘히 박았다. 징은 지름 0.7cm 정도의 원형돌기로 만들어 밑창의 둘레에 촘촘히 박고, 앞바닥 가운데와 뒤꿈치 중간에는 세로 1cm, 가로 2cm 정도의 반원형이나 사분원 모양의 얇은 쇠붙이 징을 박아 방침이 잘 되어 신의 수명을 길게 하며, 진흙이 달라붙는 것을 막았다.

※ 자료참조 :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3D

출처: 문화원형백과

출처

제공처 정보

  • 출처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문화콘텐츠산업 기반조성을 위하여 한국콘텐츠진흥원 주도하에 10여 년(2002~2010) 동안 추진되어 온 ‘문화원형 디지털 콘텐츠화 사업’의 산출물(문화원형 DB 콘텐츠)입니다. 2022년 국립중앙도서관으로 이관되어 관리되고 있습니다.

    * 저작권자의 ‘2차적 저작물 작성 허용’ 자료로, 별도의 허락 없이 출처 표시 후 비영리 목적으로 자유롭게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