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십육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십육심

(16심에서 넘어옴)

16심(じゅうろくしん, 산스크리트어: ṣoḍaśa-citta, ṣoḍaśa-cittaka, 영어: sixteen mental states[1]), 16찰나의 마음, 열여섯 마음 또는 견도 16심(どうじゅうろくしん) 은 견도 · 수도 · 무학도3도 가운데 견도(どう)의 총 기간에 해당하는 16찰나(じゅうろく刹那せつな)를 말한다. 찰나(刹那せつな)를 (しん: 마음)이라고 한 것은 마음유위법이므로 찰나마다 생멸 · 상속하는데, 원인과 결과의 법칙유전연기환멸연기연기법에 따라 마음은 각 찰나에서 지혜[とし]라는 마음작용(심소법)과 상응하기도 하고 번뇌(煩惱ぼんのう)라는 마음작용(심소법)과 상응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견도는 인내[にん]하는 예비적 수행 즉 범부위(3현위4선근위)의 수행 끝에 마침내 범부마음이 16찰나에 걸쳐 16가지 지혜[とし], 즉 8인(はちにん· 8지(はちさとし)와 상응함으로써 모든 견혹(惑) 즉 모든 이지적인 번뇌들, 달리 말하면, 후천적으로 습득한 그릇된 앎에 의해 일어나는[分別ふんべつおこり] 모든 견해성[]의 번뇌[惑]들을 제거하여 범부의 상태를 벗어나 성인지위에 오르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16심이라고 한다.

참고로, 불교에서 지혜[とし] 즉 (とし)는 (にん· (さとし· (さとし· (かん· (: 여기서는 정견을 말함)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 가운데 (しのべ, 산스크리트어: ksānti, 영어: perseverance)의 산스크리트어 원어 크샨티(ksānti)와 한자어 (にん) 모두의 문자 그대로의 뜻이 인내(忍耐にんたい: 참고 견딤) 또는 인욕(忍辱にんにく: 욕됨을 참음, 자신의 저열한 상태를 참음, 자신의 유루의 상태를 참음)인데, 인내에 의해 나타나는 지혜라는 의미에서, 즉, 무루지혜가 없거나 적은 상태에서(견도의 경우에는, 오직 유루지혜만이 있는 상태에서) 인내하면서 닦아온 수행의 결과로서 마침내 나타나는 또는 계합하게 되는 (견도의 경우에는, 최초의) 무루지혜라는 의미에서 (にん)이라고 한다.[2][3]

16심(じゅうろくしん)은 다음의 분류 또는 체계에 속한다.

4제현관

편집

견도(どう)의 16심(じゅうろくしん) 즉 16찰나는 '언어 · 문자 · 관념 또는 개념의 개입 없이 무루지로써 4성제를 바로[直接ちょくせつ] 면전에서 보는 상태'인 4제현관(四諦したいげんかん)이 일어나는 순간이다.[34][35][36]

4제현관(四諦したいげんかん)은 성제현관(ひじりたいげんかん)이라고도 하는데, 부파불교의 교학에 따르면, 4제현관고제현관(たいげんかん· 집제현관(しゅうたいげんかん· 멸제현관(めつたいげんかん· 도제현관(みちたいげんかん)을 통칭하는 말이다.[34] 엄격히 말하면, 현관(げんかん)은 '진리[たい]를 직접적으로 보고 있는 상태'만을 의미하지만 대승불교6현관 등의 교의에서 보듯이 현관은 '진리[たい]를 직접적으로 보고 있는 상태'를 가능하게 하는 수행도 또한 의미한다.[37] 이하의 내용에서의 현관은 '진리[たい]를 직접적으로 보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고제현관(たいげんかん)은 고제(たい)에 대해 미혹하게 하는 번뇌를 실제로 끊는 지혜고지인(さとしにん)과 그 번뇌가 끊어진 해탈의 상태에서 고제를 직접적으로 면전에서 보고 있는 상태인 고지(さとし)를 통칭한다. 고제현관에는 욕계고제현관'색계 · 무색계'상2계(うえかい)의 고제현관의 2가지가 있다.[38][39]

색계 · 무색계상2계견혹은 그 모두가 한꺼번에 끊어지기 때문에 색계고제현관무색계고제현관으로 2가지가 있는 것이 아니라 '상2계의 고제현관'이라는 1가지만이 있다. 그리고 고지인(さとしにん) 등의 (にん)이라는 지혜[とし]가 현행하는 찰나(刹那せつな)에 그것에 의해 해당 번뇌가 실제로 끊어지고, 이것이 원인이 되어 '무간(あいだ)으로' 즉 '바로 다음 찰나에' 해당 번뇌가 끊어진 상태임을 확정[けつ]하는 고지(さとし) 등의 (さとし)라는 지혜[とし]가 결과로서 현행한다. 말하자면, (さとし)는 해당 번뇌로부터 해탈된 상태 즉 벗어난 상태에서 해당 진리[たい]를 보는 것으로, 번뇌라는 가리개 없이 직접적으로 면전에서 보는 것이므로 현관(げんかん)이라고 한다. 하지만, 번뇌가 끊어지지 않고서는 이것은 불가능하므로 해당 번뇌를 실제로 끊는 (にん)도 현관(げんかん)이라고 한다. 따라서, 1찰나의 (にん)과 1찰나의 (さとし)에 의해 현관이 이루어지므로, 고제현관은 시간의 길이로는 단 2찰나의 아주 짧은 순간이다. 그리고 욕계고제현관이 있고 상2계고제현관이 있으므로 고제현관의 총 시간은 단 4찰나(よん刹那せつな)이다. 이 4찰나를 전통적인 표현으로 4심(よんしん)이라고 한다.[34]

그리고, 이러한 (にん)과 (さとし)와 같은 무간(あいだ)의 인과관계를 가리켜 원인이 되는 전자를 전통적인 용어로 무간인(あいだいん) 또는 무간의 원인이라고 하고, 결과가 되는 후자를 무간과(あいだはて) 또는 무간의 결과라고 한다.[40][41]

한편, 불교에서는 번뇌로부터 해탈(벗어남)하는 수행과정 일반을 (みち) 즉 인과관계 또는 유리(ゆうくつ: 배움, 수행) · 통입(つういれ: 위의 단계로 들어감)의 측면에서 4단계로 나누어서 가행도(行道ぎょうどう· 무간도(間道かんどう· 해탈도(解脫げだつどう· 승진도(かつすすむどう)의 4도(よんみち)로 구분한다. 가행도는 해당하는 번뇌를 끊기 위한 예비 과정으로서의 단계로서 다음 단계인 무간도의 원인이 된다. 무간도가행도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단계이고, 실제로 해당 번뇌끊는 단계이며, 다음 단계인 해탈도무간의 원인이 된다. 해탈도무간도무간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단계이고, 번뇌벗어난 상태에서 해당하는 진리번뇌라는 가리개 없이 바로[直接ちょくせつ] 보는 단계이며, 다음 단계인 승진도의 원인이 되는 단계이다. 승진도해탈도의 결과로서 획득되는 단계이고, 뛰어난 수행으로 해탈 즉 '번뇌로부터 벗어난 상태'를 더욱 견고하고 원만하게 하여 해당 번뇌로부터의 해탈을 완성시키는 단계이다.[19][20][42] 이와 같은 4도(よんみち)의 구분에서 고지인(さとしにん) 등의 (にん)은 무간도에 속하며, 고지(さとし) 등의 (さとし)는 해탈도에 속한다.[18][13]

집제현관 · 멸제현관 · 도제현관고제현관의 경우와 마찬가지인데,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집제현관(しゅうたいげんかん)은 집제(しゅうたい)에 대해 미혹하게 하는 번뇌를 실제로 끊는 지혜집지인(しゅうさとしにん)과 그 번뇌가 끊어진 해탈의 상태에서 집제를 직접적으로 면전에서 보고 있는 상태인 집지(しゅうさとし)를 통칭한다. 집제현관에는 욕계집제현관'색계 · 무색계'상2계(うえかい)의 집제현관의 2가지가 있다. 욕계집제현관에 2찰나, 상2계집제현관에 2찰나가 소요되므로, 집제현관의 총 시간은 4찰나(よん刹那せつな) 즉 4심(よんしん)이다.

멸제현관(めつたいげんかん)은 멸제(めつたい)에 대해 미혹하게 하는 번뇌를 실제로 끊는 지혜멸지인(めつさとしにん)과 그 번뇌가 끊어진 해탈의 상태에서 멸제를 직접적으로 면전에서 보고 있는 상태인 멸지(めつさとし)를 통칭한다. 집제현관에는 욕계멸제현관'색계 · 무색계'상2계(うえかい)의 멸제현관의 2가지가 있다. 욕계멸제현관에 2찰나, 상2계멸제현관에 2찰나가 소요되므로, 멸제현관의 총 시간은 4찰나(よん刹那せつな) 즉 4심(よんしん)이다.

도제현관(みちたいげんかん)은 멸제(みちたい)에 대해 미혹하게 하는 번뇌를 실제로 끊는 지혜도지인(みちさとしにん)과 그 번뇌가 끊어진 해탈의 상태에서 도제를 직접적으로 면전에서 보고 있는 상태인 도지(みちさとし)를 통칭한다. 집제현관에는 욕계도제현관'색계 · 무색계'상2계(うえかい)의 도제현관의 2가지가 있다. 욕계도제현관에 2찰나, 상2계도제현관에 2찰나가 소요되므로, 도제현관의 총 시간은 4찰나(よん刹那せつな) 즉 4심(よんしん)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4제현관(四諦したいげんかん)은 비록 이것이 일어나기 위한 예비 과정은 아주 긴 시간이 들었을지라도 실제로 이것이 이루어지는 시간은 총 16찰나(じゅうろく刹那せつな)라는 아주 짧은 시간이며, 이를 16심(じゅうろくしん)이라고 한다. 또한 고제현관 · 집제현관 · 멸제현관 · 도제현관의 각각에서 2가지 (にん)과 2가지 (さとし)가 있으므로, 4제현관 전체로는 8가지의 (にん)과 8가지의 (さとし)가 있게 되고 이들을 통칭하여 8인8지(はちにんはちさとし) 또는 8인8관(はちにんはちかん)이라고 한다. 부파불교수행론에서 8인8지의 각각에는 별도의 명칭이 부여되어 있으며, 대승불교에서도 그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43][44]

대지도론》 제2권에 따르면, 견도16찰나는 아주 짧은 순간이기 때문에 완전한 깨달음에 도달한 존재인 부처여래지혜가 아니면 16찰나의 변화를 인지하지 못한다. 또한, 《대지도론》 제2권에 따르면, 여래10호 가운데 하나인 명행구족(あきらぎょう具足ぐそく) 또는 명행족(あきらぎょうあし)에서의 '(あきら: 밝음)'에는 견도16찰나의 변화 등도 능히 안다는 의미가 들어있다.[43][44]

16심 (8인8지)

편집

입아비달마론》 하권,[34]대비바사론》 제78권,[37]구사론》 제19권,[35][36]좌선삼매경》 하권[45][46] 등에 따르면, 16심(じゅうろくしん) 즉 8인8지(はちにんはちさとし)의 각각은 아래 목록에 나타난 명칭을 가지며, 또한 아래 목록에 나타난 순서로 현행한다. 즉, 고제현관 · 집제현관 · 멸제현관 · 도제현관의 순서로 진행되어 4제현관(四諦したいげんかん) 즉 성제현관(ひじりたいげんかん)이 완료된다. 즉 견도(どう)가 완료된다.

성문4향4과와 대비시켜보면, 16심 가운데 제1심인 고법지인(ほうさとしにん)이 증득될 때 수행자는 예류향수다원향에 들어가며, 범부지위를 벗어나 성인의 지위에 들게 된다. 그리고 곧이어 15찰나가 순식간에 지나가서 제16심인 도류지(みちるいさとし)를 증득하면 수행자예류과수다원과증득한 상태가 되고, 견도(どう)를 넘어서 그 다음 단계인 수도(修道しゅうどう)를 걸어가게 된다. 예류향예류과 사이에는 단지 15찰나의 간격만이 있을 뿐이므로, 사실상 예류향예류과는 같은 것이라고 볼 수 있고 이런 점에서 '예류과에 올라 성인이 되었다'라는 식으로 표현한다. 그리고 이 때부터 즉 예류과증득한 후부터, 견도에서 증득무루지(さとし) 즉 무루성혜(ひじりとし)를 바탕으로 하여 길을 나아가는 수도(修道しゅうどう)의 과정이 시작되며, 이러한 이유로 수도(修道しゅうどう)를 진정한 성인의 길 즉 진정한 성도(ひじりみち)라고 할 수 있다. 수도(修道しゅうどう)는 대승불교52위보살 수행계위에서 10지(じゅう) 가운데 제2지부터 제10지까지에 해당한다.

아래 목록에서 구역(舊譯きゅうやく)은 구마라습한역한 《대지도론》《좌선삼매경》 등에 나오는 용어이다.[43][44][45][46]

고제현관의 4심 (2인2지)

편집

(1) 고법지인

편집

고법지인(ほうさとししのべ, 산스크리트어: duhkhe dharma-jñāna-ksānti)

(2) 고법지

편집

고법지(ほうさとし, 산스크리트어: duhkhe dharma-jñāna)

(3) 고류지인

편집

고류지인(るいさとししのべ, 산스크리트어: duhkhe 'nvaya-jñāna-ksānti)

(4) 고류지

편집

고류지(るいさとし, 산스크리트어: duhkhe 'nvaya-jñāna)

집제현관의 4심 (2인2지)

편집

(5) 집법지인

편집

집법지인(あつまりほうさとししのべ, 산스크리트어: samudaye-dharma-jñāna-ksānti)

(6) 집법지

편집

집법지(あつまりほうさとし, 산스크리트어: samudaye dharma-jñāna)

(7) 집류지인

편집

집류지인(あつまりるいさとししのべ, 산스크리트어: samudaye 'nvaya-jñāna-ksānti)

(8) 집류지

편집

집류지(あつまりるいさとし, 산스크리트어: samudaye 'nvaya-jñāna)

멸제현관의 4심 (2인2지)

편집

(9) 멸법지인

편집

멸법지인(滅法めっぽうさとししのべ, 산스크리트어: nirodhe dharma-jñāna-ksānti)

(10) 멸법지

편집

멸법지(滅法めっぽうさとし, 산스크리트어: nirodhe dharma-jñāna)

(11) 멸류지인

편집

멸류지인(めつるいさとししのべ, 산스크리트어: nirodhe 'nvaya-jñāna-ksānti)

(12) 멸류지

편집

멸류지(めつるいさとし, 산스크리트어: nirodhe 'nvaya-jñāna)

도제현관의 4심 (2인2지)

편집

(13) 도법지인

편집

도법지인(みちほうさとししのべ, 산스크리트어: mārge dharma-jñāna-ksānti)

(14) 도법지

편집

도법지(みちほうさとし, 산스크리트어: mārge dharma-jñāna)

(15) 도류지인

편집

도류지인(みちるいさとししのべ, 산스크리트어: mārge 'nvaya-jñāna-ksānti)

(16) 도류지

편집

도류지(みちるいさとし, 산스크리트어: mārge 'nvaya-jñāna)

16심과 견도

편집

설일체유부: 16심 견도

편집

경량부: 15심 견도

편집

독자부: 12심 견도

편집

대중부: 1심 견도

편집

유식유가행파: 진견도·상견도

편집

1심 진견도

편집

3심 상견도

편집

16심 상견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DDB, "じゅうろくしん". 2013년 4월 30일에 확인
    "じゅうろくしん:
    Pronunciations: [py] shíliù xīn [wg] shih-liu hsin [hg] 십육심 [mc] sibyuk sim [mr] sibyuk sim [kk] ジュウロクシン [hb] jūroku shin [qn] thập lục tâm
    Basic Meaning: sixteen mental states
    Senses:
    # Comprised of the eight kinds of tolerance はちにん and eight kinds of wisdom はちさとし. (Skt. ṣoḍaśa-citta, ṣoḍaśa-cittaka) 〔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 T 1585.31.50a20〕 [Charles Muller]
    [Dictionary References]
    Bukkyō jiten (Ui) 519
    Bulgyo sajeon 527a
    Bukkyōgo daijiten (Nakamura) 663b
    Fo Guang Dictionary 385
    Ding Fubao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Hirakawa) 0216
    Bukkyō daijiten (Oda) 956-3"
  2. 권오민 2003, 240-247. 인(にん)쪽
    "'인(ksānti)'이란 4제의 진리성에 대한 인가의 뜻으로, 이는 난법에 비해 그 강도가 강할뿐더러, 세제일법 역시 뛰어난 인가이지만 그것이 고제에 국한되는 것임에 반해 이것은 4제 전체에 미치는 것이기 때문에 4제의 진리성을 관찰하는 법 중에서 가장 뛰어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계에 이르게 되면 더 이상 악취에 떨어지는 일이 없다.
    어째서 '인にん'인가? 진리에 대한 인가는 필시 고통을 감내해야 하기 때문에 '인'이다. 진실을 인가하는 일은 세세생생 쌓아온 '자기'와 '자기의 세계'가 파기되는 것이기에 필연적으로 고통이 따른다. 예컨대 암에 걸린 환자가 자신이 암에 걸렸으며, 그리하여 조만간 자신과 자신의 세계를 상실하게 된다는 사실은 인정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거기에는 말할 수 없는 고통이 따른다. 그러나 일단 인정하고부터는 전과 다른 새로운 세계가 열리게 된다. 그것은 우리가 일상에서 모색의 결과로서 내리는 판단 혹은 결단과는 그 유るい가 다르다. 그래서 '인'으로, 이는 6바라밀다의 인욕과 같은 말이다."
  3. 星雲せいうん, "しのぶさとし". 2013년 4월 29일에 확인
    "しのぶさとし:  こころのう安住あんじゅう堪忍かんにん侮辱ぶじょく惱害,しょうためにん;於事理じり決斷けつだん了知りょうちしょうためさとし。此二しゃ小乘しょうじょうゆういいにんためあいだ道之みちゆきかんさとしぞくいんさとしため解脫げだつどうさとしはてなり大乘だいじょうそく主張しゅちょうしのべあずかさとししょうどおり。以義ぶんのりはじめかんためしのべおわりなりめいさとし。〔俱舍ろんまきじゅうさん大乘だいじょう義章よしあきまききゅう〕(まいり閱「にん」2889、「さとし」5009) p2895"
  4. 星雲せいうん, "さんじゅうよんしんだん結成けっせいどう". 2013년 4월 22일에 확인
    "さんじゅうよんしんだん結成けっせいどう:  そくさんじゅう四種剎那之心斷盡煩惱而成就佛道。略稱りゃくしょうさんじゅうよんしん三藏さんぞうきょう菩薩ぼさつ,扶惑じゅんせいれきこうおさむろく梵行,にょうえき有情うじょう最後さいごいたり菩提樹ぼだいじゅ一念いちねん相應そうおうとしはつしんさとし,以八しのべはちさとしきゅう無礙むげ、九解脫頓斷見思習氣而成正覺,しょうさんじゅうよんしんだん結成けっせいどうだい毘婆すなろんとう菩薩ぼさつすわ樹下じゅか以前いぜんさき以有さとしだんじょ八地之修惑,しか以有さとし不能ふのうだんじょ惑及ゆういただき惑,すわ金剛こんごうよくすすむ成道じょうどうおこりさとし,而以さんじゅう四心斷除見惑及有頂地之惑。〔俱舍ろんまきなり唯識ゆいしき論述ろんじゅつまきいちまつ天台てんだい四教儀集註卷中末〕 p519"
  5. 곽철환 2003, "삼십사심(さんじゅうよんしん)". 2013년 4월 22일에 확인
    "삼십사심(さんじゅうよんしん): 팔인(はちにん)·팔지(はちさとし)와 구무간도(きゅう間道かんどう)·구해탈도(きゅう解脫げだつどう)의 마음 작용."
  6. 운허, "さんじゅうよんしんだん結成けっせいどう(삼십사심단결성도)". 2013년 4월 22일에 확인
    "さんじゅうよんしんだん結成けっせいどう(삼십사심단결성도): 소승보살의 성도하는 상태. 보살이 오랜 세월의 수행을 완성하고, 최후에 왕궁에 태어나고, 다음에 산에 들어가 수행하고, 마침내 보리 나무 아래에 이르러 34찰나에 34심(しん)으로써 온갖 번뇌를 끊고 대오철저(大悟徹底たいごてってい)함을 말함."
  7. DDB, "さんじゅうよんしん". 2013년 4월 22일에 확인
    "さんじゅうよんしん:
    Pronunciations: [py] sānshísì xīn [wg] san-shih-ssu-hsin [hg] 삼십사심 [mc] samsipsa sim [mr] samsipsa sim [kk] キンジュウシシン [hb] sanjūshi shin
    Basic Meaning: thirty-four enlightened mental states
    Senses:
    # The sixteen mental states (eight of patience [or recognition] はちにん[ はちみとめ] and eight of wisdom はちさとし) that sever mistaken views 惑, plus the eighteen attitudes (nine of nonobstruction and nine of liberation きゅう無礙むげ, きゅう解脫げだつ) that eliminate mistaken deliberations 思惑おもわく. Ref. 〔訶止かん T 1911.46.27c21–22〕 ; See also: eight kinds of patience/recognition; eight kinds of wisdom はちさとし; nine nonobstructions; nine liberations きゅう解脫げだつじゅうじゅうしんろん〕 [Paul Swanson]
    # [fr] 34 moments de pensée [Paul Swanson]
    # [fr] les 34 opérations de pensée instantanées par lesquelles un bodhisattva de la doctrine des trois corbeilles rompt les dernières imprégnations subsistant des égarements des vues et pensées et accède à l'Eveil; comme c'est le cas ici, l'ensemble de cette ultime phase est appelée 'suppression des noiuds des passions en 34 pensées.' Ces 34 pensées regroupent les 8 kṣānti, et le 8 prajñā, du darśanamārga, qui correspondent aussi aux seize compréhensions des vérités, satya-abhisamaya, plus les neuf 'sans-obstacles' anantarya, et le neuf délivrances, qui suppriment les neuf catégories de passions dans le bhāvanāmārga. [Paul Swanson]
    [Dictionary References]
    Bukkyō jiten (Ui) 360
    Bukkyōgo daijiten (Nakamura) 472b
    Bukkyō daijiten (Mochizuki) (v.1-6)1547c"
  8. 운허, "どう(견도)". 2013년 4월 21일에 확인
    "どう(견도): ↔수도(修道しゅうどう). 견제도(たいどう)라고도 함. 온갖 지식으로 잘못 아는 소견을 여읜 자리. 소승에서는 3현(けん)ㆍ4선근(善根ぜんこん)의 수행을 마치고, 세제일위(だいいち)의 직후 무루()의 지혜를 일으켜 16심(しん)으로써 욕계와 색계ㆍ무색계의 4제(たい)의 이치를 관찰하고, 지식으로 잘못된 소견을 여의어 처음으로 성자(聖者せいじゃ)라 칭하는 위(). 16심 가운데 앞에 15심은 견도(どう), 제16심은 수도(修道しゅうどう)라 한다. 대승 유식종(唯識ゆいしきむね)에서는 5위 중 통달위(通達つうたつ)에 해당, 가행위(ゆき)의 맨 나중인 세제일위의 직후 무루의 지혜를 일으켜 유식(唯識ゆいしき)의 성품인 진여의 이치를 체득하여 후천적으로 일어나는 번뇌장(はん惱障)ㆍ소지장(ところともさわ)의 종자를 끊고, 선천적으로 갖춘 번뇌장의 활동을 아주 눌러버리는 자리. 10지()의 처음인 환희지에 해당. 이 종(むね)은 16심 전체를 견도라 함. ⇒진견도(眞見まみどう)"
  9. 운허, "じゅうろくしん(십륙심)". 2013년 4월 22일에 확인
    "じゅうろくしん(십륙심): 견도위(どう)에서 일어나는 16종 관심(かんしん). 1. 고법지인(ほうさとしにん). 2. 고법지(ほうさとし). 3. 고류지인(るいさとしにん). 4. 고류지. 5. 집법지인(あつまりほうさとしにん). 6. 집법지. 7. 집류지인. 8. 집류지. 9. 멸법지인(滅法めっぽうさとしにん). 10. 멸법지. 11. 멸류지인. 12. 멸류지. 13. 도법지인(みちほうさとしにん). 14. 도법지. 15. 도류지인. 16. 도류지. 한창 혹(惑)을 끊는 지위를 인(にん)이라 하고, 이미 혹을 끊어 마친 지위를 지(さとし)라 함."
  10. 星雲せいうん, "じゅうろくしん". 2013년 4월 22일에 확인
    "じゅうろくしん:  小乘しょうじょう俱舍むねいい觀察かんさつおもえさとる四諦したいじゅうろくぎょう相之あいの進入しんにゅうどう,以無さとしげんかん四諦したい所得しょとくじゅうろくしゅ智慧ちえしょうためじゅうろくしん四諦したいゆびしゅうほろびみちよんしゅ真諦しんたいため佛教ぶっきょうさい基本きほん教義きょうぎじゅうろくぎょうしょうそくざい修習しゅうしゅうかんさとる過程かていちゅうたい四諦各自產生四個方面之理解與觀念。どうため佛教ぶっきょう修行しゅぎょうかいいちしゅいいあきら四諦したい真理しんり修行しゅぎょうかい」。さとし即斷そくだんじょ欲界よくかいいろかい無色むしょくかいとう三界さんがい煩惱ぼんのう,而證とく佛教ぶっきょう真理しんり出世間しゅっせけんさとし智慧ちえげんそく透過とうか禪定ぜんじょうけいげん文字もじとう概念がいねん,而使佛教ぶっきょう真理しんり直接ちょくせつていげん於面まえてき一種いっしゅ認識にんしき方法ほうほう。此類認識にんしき方法ほうほう,於小乘しょうじょう佛教ぶっきょうちゅうとく四諦したい作為さくい認識にんしき對象たいしょうしょうためひじりたいげんかん」,またそく次第しだいかん三界さんがい四諦したいさきえん欲界よくかいたい」而觀,乃生起せいきこれほうしのぶさとし」,其後また生起せいきほうさとし」;えんしょくかい無色むしょくかい而觀生起せいきるいしのぶさとし」、「るいさとし」;じゅん此,しゅうほろびみちとう三諦亦各生四智,のりげんかん四諦したい共成きょうせいじゅうろくしゅ智慧ちえ
     よりどころ俱舍ろんまきじゅう三賢聖品載,此じゅうろくしんそく:(いち)ほうさとしにん(梵 duhkhe dharma-jñāna-ksānti),げんかん欲界よくかいたいだんじょ迷惑めいわくたい惑。()ほうさとし(梵 duhkhe dharma-jñāna),げんかん欲界よくかいたいしるししょうたい。(さん)しゅうほうさとしにん(梵 samudaye-dharma-jñāna-ksānti),げんかん欲界よくかいしゅうたいだんじょ迷惑めいわくしゅうたい惑。(よん)しゅうほうさとし(梵 samudaye dharma-jñāna),げんかん欲界よくかいしゅうたいしるししょうしゅうたい。()滅法めっぽうさとしにん(梵 nirodhe dharma-jñāna-ksānti),げんかん欲界よくかいほろびたいだんじょ迷惑めいわくほろびたい惑。(ろく)滅法めっぽうさとし(梵 nirodhe dharma-jñāna),げんかん欲界よくかいほろびたいしるししょうめつたい。(なな)みちほうさとしにん(梵 mārge dharma-jñāna-ksānti),げんかん欲界よくかいみちたいだんじょ迷惑めいわくどうたい惑。(はち)みちほうさとし(梵 mārge dharma-jñāna),げんかん欲界よくかいみちたいしるししょうどうたい。(きゅう)るいさとしにん(梵 duhkhe 'nvaya-jñāna-ksānti),げんかんじょうかいいろかい無色むしょくかいこれたいだんじょたいたい惑。(じゅう)るいさとし(梵 duhkhe 'nvaya-jñāna),げんかんじょうかいたいしるししょうたい。(じゅういち)しゅうるいさとしにん(梵 Samudaye 'nvaya-jñāna-ksānti),げんかんじょう二界之集諦,だんじょたいしゅうたい惑。(じゅう)しゅうるいさとし(梵 Samudaye 'nvaya-jñāna),げんかんじょう二界之集諦,しるししょうしゅうたい。(じゅうさん)めつるいさとしにん(梵 nirodhe 'nvaya-jñāna-ksānti),げんかんじょうかいほろびたいだんじょたいめつたい惑。(じゅうよん)めつるいさとし(梵 nirodhe 'nvaya-jñāna),げんかんじょうかいほろびたいしるししょうめつたい。(じゅう)みちるいさとしにん(梵 mārge 'nvaya-jñāna-ksānti),げんかんじょうかい上道じょうとうたいだんじょたいみちたい惑。(じゅうろく)みちるいさとし(梵 mārge 'nvaya-jñāna),げんかんじょうかいみちたいしるししょうどうたい
     概括がいかつ而言,げんかん欲界よくかい四諦したいさとししょうためほうさとしげんかんしょくかい無色むしょくかい四諦したいさとししょうためるいさとしまた所謂いわゆるるい」,類似るいじ相似そうじそくいい類似るいじ於先まえてき欲界よくかいほうほうさとしあずかるいさとしふくかくゆうにんあずかさとし」,ごうためはちにんはちさとし」。所謂いわゆるしのべそく以「にん」(にんもと認可にんからいだんじょ煩惱ぼんのう,如「ほうにん」、「るいにん」,ひとしぞく於無間道かんどう所謂いわゆるさとしそく以「さとしらいしるししょう真理しんり,如「ほうさとし」、「るいさとし」,ひとしぞく解脫げだつどう間道かんどうあずか解脫げだつどうみなため修行しゅぎょう佛道ぶつどうもとめとく涅槃ねはん解脫げだつてきよんみちいち上記じょうきいいにんぞく於「間道かんどうしゃぶたいん於此階段かいだんせいしょ於忍もと認可にんか四諦したい,而絲毫不惑體障礙しょうがい間隔かんかくいいさとしぞく於「解脫げだつどうしゃぶたいんすんでやめ了知りょうち四諦したい自然しぜん即斷そくだんじょ惑體而得解脫げだつまたじゅうろくしんなかぜんじゅうしんぞくどう修行しゅぎょうはてあずかりゅうむこうまたたたえじゅう剎那;いちしんそくぞく修道しゅうどうあずかりゅうはて。〔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いちきゅうろく、俱舍ろんまきじゅうざつおもね毘曇しんろんまき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まききゅう〕(まいり閱「どう」3000) p385"
  11. 곽철환 2003, "십육심(じゅうろくしん)". 2013년 4월 22일에 확인
    "십육심(じゅうろくしん): 팔인(はちにん)과 팔지(はちさとし)를 통틀어 일컬음. 팔인은 욕계의 고제(たい)·집제(しゅうたい)·멸제(めつたい)·도제(みちたい)와 색계·무색계의 고제·집제·멸제·도제를 명료하게 주시하여 그것들에 대한 미혹을 끊고 확실하게 인정하는 지혜. 곧, 고법지인(ほうさとしにん)·집법지인(あつまりほうさとしにん)·멸법지인(滅法めっぽうさとしにん)·도법지인(みちほうさとしにん)과 고류지인(るいさとしにん)·집류지인(あつまりるいさとしにん)·멸류지인(めつるいさとしにん)·도류지인(みちるいさとしにん). 팔지는 욕계의 고제(たい)·집제(しゅうたい)·멸제(めつたい)·도제(みちたい)와 색계·무색계의 고제·집제·멸제·도제를 체득한 지혜. 곧, 고법지(ほうさとし)·집법지(あつまりほうさとし)·멸법지(滅法めっぽうさとし)·도법지(みちほうさとし)와 고류지(るいさとし)·집류지(あつまりるいさとし)·멸류지(めつるいさとし)·도류지(みちるいさとし). 설일체유부(せつ一切いっさいゆう)에서는 십육심을 견도(どう)로 간주하지만 경량부(けいりょう)에서는 마지막 도류지를 제외한 십오심(じゅうしん)을 견도, 도류지를 수도(修道しゅうどう)로 분류함."
  12. 운허, "はちにんはちさとし(팔인팔지)". 2013년 4월 22일에 확인
    "はちにんはちさとし(팔인팔지): 견도(どう)에 들어가 4성제(ひじりたい)를 관하여 이룬 무루의 법인법지(ほう忍法にんぽうさとし). 이것을 16심(しん)이라 한다. 유식종에서는 16심을 모두 견도라 하고, 구사종에서는 앞의 15심은 견도, 뒤의 1심을 수도(修道しゅうどう)라 한다. 고법인(ほうにん)ㆍ고법지(ほうさとし)ㆍ고류인(るいにん)ㆍ고류지(ほうさとし)ㆍ집법인(あつまりほうにん)ㆍ집법지(あつまりほうさとし)ㆍ집류인(あつまりるいにん)ㆍ집류지(あつまりるいさとし)ㆍ 멸법인(滅法めっぽうにん)ㆍ멸법지(滅法めっぽうさとし)ㆍ멸류인(めつるいにん)ㆍ멸류지(めつるいさとし)ㆍ도법인(みちほうにん)ㆍ도법지(みちほうさとし)ㆍ도류인(みちるいにん)ㆍ도류지(みちるいさとし)."
  13. 星雲せいうん, "はちにんはちさとし". 2013년 4월 22일에 확인
    "はちにんはちさとし:  いい於「どうかん四諦したい,而生これしのべさとしかくゆうはちしゅまたそくどうじゅうろくしんまたさくはちにんはちかん所謂いわゆるはちにん,其中まえ四者忍可印證欲界之四諦,そくほうしのべあつまりほうしのべ滅法めっぽうしのべみちほうにんとうよんほうにん四者忍可印證色界、無色むしょくかい四諦したいそくるいしのべあつまりるいしのべめつるいしのべみちるいにんとうよんるいにん。以此八忍正斷三界之見惑,ため間道かんどう惑既だん觀照かんしょう分明ふんみょうのりためはちさとしそくほうさとしあつまりほうさとし滅法めっぽうさとしみちほうさとしるいさとしあつまりるいさとしめつるいさとしみちるいさとしとうため解脫げだつどう忍者にんじゃ智之としゆきいん智者ちしゃにんはて。〔ざつおもね毘曇しんろんまき、俱舍ろんまきじゅうさんまきじゅう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まききゅう〕(まいり閱「じゅうろくしん」385、「どう」3000) p283"
  14. DDB, "はちにん". 2013년 4월 30일에 확인
    "はちにん:
    Pronunciations: [py] bārěn [wg] pa-jen [hg] 팔인 [mc] parin [mr] p'arin [kk] ハチニン [hb] hachinin [qn] bát nhẫn
    Basic Meaning: eight kinds of tolerance
    Senses:
    # The eight powers of patient endurance, in the desire-realm and the two realms above it, necessary to acquire the full realization of the truth of the Four Noble Truths 四諦したい. Part of the thirty-four enlightened mental states さんじゅうよんしん; along with the eight kinds of wisdom はちさとし, mental states or attitudes that help one to sever mistaken views, two types for each of the Four Noble Truths. These four give rise to the four kinds of tolerance of dharma よんぽうしのべ, the endurance or patient pursuit that results in their realization. In the realm of form and the formless realm, they are called the four tolerances of type よんるいにん. By contemplation of the truths of the afflictions in the purview of the path of seeing 惑, will cease, and the eight kinds of wisdom are acquired; therefore wisdom results from patient endurance, and the sixteen はちにんはちさとし (or はちにんはちかん), are called the じゅうろくしん, i.e. the sixteen mental states during the stage of the path of seeing どう, when 惑 delusory views are destroyed. The eight are:
    1. the tolerance of the dharma of suffering ほうにん (duhkhe-dharma-jñāna-kṣāntiḥ);
    2. the recognition that arises after realizing the truth of suffering るいにん (duhkhe'nvaya-jñāna-kṣāntiḥ);
    3. the recognition [tolerance] of the truth of the cause of suffering (samudaye-dharma-jñāna-kṣāntiḥ) しゅうほうにん;
    4. the tolerance of kinds of arising; the recognition that arises after realizing the truth of the cause of suffering (samudaye'nvaya-jñāna-kṣāntiḥ) しゅうるいにん;
    5. the tolerance of the dharma of cessation; the recognition of the truth of how to extinguish suffering (nirodhe-dharma-jñāna-kṣāntiḥ) 滅法めっぽうにん;
    6. the tolerance of kinds of cessation; the recognition that arises after realizing the truth of how to extinguish suffering (nirodhe'nvaya-jñāna-kṣāntiḥ) めつるいにん;
    7. the tolerance of the path; the recognition of the truth of the Path (mārge-dharma-jñāna-kṣāntiḥ) みちほうにん;
    8. the tolerance of kinds of the way どうるいにん; the recognition that arises after realizing the truth of the path (mārge'nvaya-jñāna-kṣāntiḥ) みちるいにん
    訶止かん T 1911.46.27c22, 倶舍ろん T 1559.29.265a22〕 [Charles Muller, Paul Swanson]
    [Dictionary References]
    Bulgyo sajeon 904a
    Japanese-English Buddhist Dictionary (Daitō shuppansha) —/106
    Bukkyōgo daijiten (Nakamura) 1105a
    Ding Fubao
    Bukkyō daijiten (Mochizuki) (v.1-6)4222b
    Bukkyō daijiten (Oda) 1412-2"
  15. DDB, "はちさとし". 2013년 4월 30일에 확인
    "はちさとし:
    Pronunciations: [py] bāzhì [wg] pa-chih [hg] 팔 지 [mc] palji [mr] p'alchi [kk] ハッチ [hb] hacchi [qn] bát trí
    Basic Meaning: eight kinds of cognition
    Senses:
    # These, together with the eight tolerances はちにん, constitute the sixteen minds じゅうろくしん. Each one of the tolerances (or causes) precedes an insight with which it is associated. These are experienced in the path of seeing どう. They are:
    1. the cognition of the dharma of suffering ほうさとし;
    2. the cognition of kinds of suffering るいさとし;
    3. the cognition of the dharma of arising しゅうほうさとし;
    4. the cognition of kinds of arising しゅうるいさとし;
    5. the cognition of the dharma of cessation 滅法めっぽうさとし;
    6. the cognition of kinds of cessation めつるいさとし;
    7. the cognition of the Way どうほうさとし;
    8. the cognition of kinds of the way どうるいさとし.
    (Skt. aṣṭa-jñāna, aṣṭau jñānāni) 〔瑜伽ゆがろん T 1579.30.681b19〕 [Charles Muller; source(s): Nakamura, Hirakawa]
    # [fr] des huit sortes de sagesse (savoirs) [Paul Swanson]
    [Dictionary References]
    Bukkyō jiten (Ui) 869
    Bulgyo sajeon 905a
    Bukkyōgo daijiten (Nakamura) 1110b
    Ding Fubao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Hirakawa) 0165
    Bukkyō daijiten (Mochizuki) (v.1-6)3546c,4222b
    Bukkyō daijiten (Oda) 1188-3*1411-1"
  16. 구글 CBETA 검색, "あいだいん". 2013년 4월 29일에 확인.
  17. 구글 CBETA 검색, "あいだはて". 2013년 4월 29일에 확인.
  18. 星雲せいうん, "どう". 2013년 4월 25일에 확인
    "どう:  梵語ぼんご darśana-mārga。また作見さくみたいどうたいため修行しゅぎょうかいあずか修道しゅうどう無學むがく道合みちあいしょうためさんどうそくゆび以無さとしげんかん四諦したいあきら其理修行しゅぎょうかいどう以前いぜんしゃため凡夫ぼんぷにゅうどう以後いごのりため聖者せいじゃ。其次,どうさらたい具體ぐたい事相じそう反覆はんぷく修習しゅうしゅうくらいそく修道しゅうどうあずかみる道合みちあいしょうゆうがくどう相對そうたい於此,無學むがく道又みちまたつくる學位がくい無學むがくはて無學むがくゆびすんでにゅう究極きゅうきょく最高さいこうさとるさかい,而達於已しょがくくらい小乘しょうじょう佛教ぶっきょう,以修さんけんよん善根ぜんこんとう準備じゅんび修行しゅぎょうなな方便ほうべんためはじめしゃ能生のうさとし,而趨いれどう大乘だいじょうそく以初ためいれどうしょう菩薩ぼさつはつためどうだい以上いじょうため修道しゅうどういたりだい十地與佛果方可稱無學道。密教みっきょう以始せいきよし菩提心ぼだいしんくらいしょうためどう。以無智明ともあきしろ判斷はんだん道理どうりしゃしょうためけつ決斷けつだん簡擇),どうためけつこれいち部分ぶぶんしょうためけつぶん
     また悟入ごにゅう涅槃ねはん境界きょうかいあるよくたちいた涅槃ねはんせいみちみな是正ぜせいせい特稱とくしょうどうためせいせいまたいん所有しょゆうせいみちみなれいはなれ煩惱ぼんのうしょうためはなれせいどうれいはなれことせい凡夫ぼんぷなま特稱とくしょうどうためはなれせい道又みちまたしょうせいせいはなれせいせいせい決定けってい決定けってい必趣涅槃ねはん)。どうしょだんまた作見さくみ道斷どうだん見所みどころだん煩惱ぼんのう略稱りゃくしょう惑;修道しゅうどうしょだんまたさく修道しゅうどうだんおさむしょだん煩惱ぼんのう略稱りゃくしょうおさむ惑。
     (いち)ざい一切いっさいゆうげんかんどうしゅうほろびみち四諦之無漏智有二種,そくのうだん惑之間道かんどうさとしあずかあかしだん四諦真理之解脫道智。以其しょ觀察かんさつ對象たいしょうふく可分かぶんためはちにんはち智之としゆきじゅうろくしんそくかん欲界よくかいたい所得しょとくほうさとしにん間道かんどうさとし)、ほうさとし解脫げだつどうさとし),かんしょくかい無色むしょくかいたい所得しょとくるいさとししのべるいさとしかん欲界よくかいしゅうたい所得しょとくあつまりほうさとししのべあつまりほうさとしかんじょう二界集諦所得之集類智忍、あつまりるいさとしかん欲界よくかいめつたい所得しょとく滅法めっぽうさとししのべ滅法めっぽうさとしかんじょう二界滅諦所得之滅類智忍、めつるいさとしかん欲界よくかいどうたい所得しょとくみちほうさとししのべみちほうさとしかんじょう二界道諦所得之道類智忍、みちるいさとし。以此じゅうろくしん(剎那)げんかんたいしょうためひじりたいげんかん。其中以前いぜんじゅうしんぞく於見どう特稱とくしょうどうじゅうしんどうるいさとしやめいちかんへん四諦したいほうぞく修道しゅうどう範圍はんい(如表)。たい於三界九地之修惑,修道しゅうどうかく分上ぶんじょう上品じょうひん上中かみなかひん乃至ないし下下しもじも品等ひんとうきゅうひんごうためはちじゅういちひん,乃指だんおさむ惑之修道しゅうどう過程かていたい於次だいあかししゃ而言,どうためあずかりゅうむこう於第じゅうろくしんみちるいさとしあかしはつはてあずかりゅうはて);しかたいことせい凡夫ぼんぷ超越ちょうえつしょうしゃ而言,彼等かれら世俗せぞくさとしおさむゆうこれろくぎょうかんぎょうやめだんじょおさむ惑之いち部分ぶぶん應其おうご程度ていど於第じゅうろく心證しんしょうとくはつはてだいはていちらいはて),あるだいさんはてかえはて)。修道しゅうどうのりゆび以上いじょうはて乃至ないし阿羅漢あらかんむこうあいだ階段かいだん
     無學むがくどうそくあかしとく阿羅漢あらかんはて其能りょく高低こうてい可分かぶん退すさほう乃至ないし退すさほうとうななしゅ阿羅漢あらかん,此外さいどくさとしふつあるとし解脫げだつ、俱解脫げだつしゃしょうためきゅう無學むがくさいしゃ無學むがくひと完成かんせい無學むがくせい乃至ないし無學むがくせいじょうとうはちひじりどう,以及無學むがく解脫げだつ無學むがくせいさとしとうじゅうしゅほうじゅう無學むがくささえ)。また鈍根どんこんしゃ於見どうしょうためずい信行のぶゆき,於修道しゅうどうたたえ為信ためのぶかい,於無がくどうしょうため解脫げだつ利根りこんしゃ於見どう修道しゅうどう無學むがく道則みちのりぶん別稱べっしょうためずいほうぎょういたり不時ふじ解脫げだつ
     ()けいりょうあるなりろん,以八忍八智之十六心全屬見道,主張しゅちょうじゅうろくしんどうまたさくじゅうろくしんたいこれせつ。而犢みとめためごと一諦皆具有法智、ほうしのべるいさとしさんしん主張しゅちょうじゅうしん道之みちゆきせついたり於第じゅうさんしんのりゆび最後さいごみちるいさとし於前剎那さいぞくおこりしゃある於一剎那さいさいかん所有しょゆう四諦したいしんだいじゅうさんしん以後いごため修道しゅうどう。此外,だい部立ぶだてひたぶるげんかんせつそく於一剎那間遍觀四諦,あるだていちひたすらげんかんせつさき總括そうかつ而觀,其次しょうかんせい二剎那之悟境;相對そうたい於此,ゆうせつややげんかん
     (さん)唯識ゆいしきむねぶんどうため真見まみどうあいどうしゅ真見まみどうしょう唯識ゆいしき引生根本こんぽん無分別むふんべつさとしあかしさとる真如しんにょためだん煩惱ぼんのうさわところともさわこれ分別ふんべつずいねむり煩惱ぼんのうくらい以上いじょういいいちしん真見まみどうせつまたさくひたぶるしょうひたすらだんせつ),以此ため正義せいぎあいどうしょう唯識ゆいしきしょうため真見まみ道後どうご生後せいごとく無分別むふんべつさとしさいかん真如しんにょ理之まさゆきふんため三心相見道與十六心相見道二種。さんしんしょうどうそくさくさんしんかん安立あだちたいかんそら真如しんにょかん四諦したい差別さべつさかいそく:(1)觀察かんさつ自己じこ肉體にくたいからだしょうわがそら。(2)からだしょうほうそらあかし諸法しょほうみな實體じったい。(3)觀察かんさつ自他じた所有しょゆう有情うじょう一切いっさいぶつ,而體さとわがむなしあずかほうそらじゅうろくしんしょうどうそくさくじゅうろくしんかん安立あだちたいかん四諦したいべつしょうさかい。三心相見道含攝於真見道,しょうさんしん真見まみどうせつまたつくややあかしややだんせつ)。道行みちゆきじんやめだん惑,とく無分別むふんべつさとししか殘留ざんりゅうあまりさわ須於修道しゅうどうさいけいすう修習しゅうしゅう無分別むふんべつさとしじょだんじょじゅうじゅうさわ,以至於第十金剛無間道斷盡煩惱障與所知障之種子,而證どく無學むがくはて以上いじょうさんみちわか配合はいごうのりどうとうはい通達つうたつ修道しゅうどうとうはい修習しゅうしゅう無學むがくどうとうはい究竟くっきょう。〔俱舍ろんまきじゅうさん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さんまきじゅうよんまきななじゅうなりろん卷一けんいちまきじゅうざつおもね毘曇しんろんまきおもね達磨だるまじゅんせい理論りろんまきななじゅうさん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まきろくまききゅう瑜伽ゆがろんまきじゅう顯揚けんよう聖教せいきょうろんまきじゅうなな大乘だいじょうおもね達磨だるまざつしゅうろんまききゅうだい乘法じょうほうえんよしはやしあきらまきまつ〕(まいり閱「さんみち」644、「よんこうよんはて」1683、「ゆうがく 」2458、「惑」2997、「阿羅漢あらかん」3692) p3001"
  19. 곽철환 2003, "사도(よんみち)". 2013년 4월 29일에 확인
    "사도(よんみち): 번뇌를 끊고 해탈하는 과정을 네 단계로 나눈 것.
    (1) 가행도(行道ぎょうどう). 번뇌를 끊기 위해 수행하는 단계.
    (2) 무간도(間道かんどう). 간격이나 걸림 없이 지혜로써 번뇌를 끊는 단계.
    (3) 해탈도(解脫げだつどう). 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나 해탈하는 단계.
    (4) 승진도(かつすすむどう). 뛰어난 수행으로 해탈의 완성에 이르는 단계."
  20. 星雲せいうん, "よんみち". 2013년 4월 29일에 확인
    "よんどう:  (いち)ゆびだんじょ煩惱ぼんのうあかしとく真理しんりよんしゅ過程かてい此可しょうとく涅槃ねはんはてため一切いっさい佛教ぶっきょう修習しゅうしゅう方法ほうほう概括がいかつそく:(いち)行道ぎょうどう(梵 prayoga-mārga),またたたえ方便ほうべんどうそく於無間道かんどうまえためもとめだんじょ煩惱ぼんのう,而行準備じゅんび修行しゅぎょう。()間道かんどう(梵 ānantarya-mārga),またたたえ無礙むげどうそく直接ちょくせつだんじょ煩惱ぼんのう修行しゅぎょうゆかり此可間隔かんかく進入しんにゅう解脫げだつどう。(さん)解脫げだつどう(梵 vimukti-mārga),そくやめ煩惱ぼんのうちゅう解脫げだつあかしとく真理しんり獲得かくとく解脫げだつ修行しゅぎょう。(よん)かつすすむどう(梵 viśesa-mārga),またたたえかちどうさんあまりどうそく於解だつ道之みちゆき更進こうしん一步行其餘之殊勝行,而全しか完成かんせい解脫げだつある滿足まんぞくだん惑,而作觀察かんさつ修行しゅぎょう。〔俱舍ろんまきじゅう瑜伽ゆがろんまきろくじゅうきゅう大乘だいじょうおもね達磨だるまざつしゅうろんまききゅうだい乘法じょうほうえんよしはやしあきらまきまつ〕(まいり閱「かつすすむどう」4864)
     ()そくちょうおもね含卷八眾集經所說之四通行。ゆび:(いち)おそどうまたたたえおそ通行つうこう。()そくどうまたたたえそく通行つうこう。(さん)らくおそどうまたたたえらくおそ通行つうこう。(よん)らくそくどうまたたたえらくそく通行つうこう。(まいり閱「よん通行つうこう」1766) p1789"
  21. 운허, "惑(견혹)". 2013년 4월 29일에 확인
    "惑(견혹): ↔수혹(おさむ惑). 견번뇌(煩惱ぼんのう)ㆍ견장(さわ)이라고도 함. 견도위(どう)에서 4제(たい)의 이치를 볼 때에 끓는 번뇌, 곧 진리가 밝혀지지 않은 미(迷). 그 자체에 신견()ㆍ변견(邊見へんみ)ㆍ사견(邪見じゃけん)ㆍ견취견(見取みとり)ㆍ계금취견(戒禁)ㆍ탐(むさぼ)ㆍ진(瞋)ㆍ치()ㆍ만(慢)ㆍ의(うたぐ) 등 10종이 있음. 그러나 3계(さかい)에서 각기 4제(たい)를 관찰하여 끓는 번뇌는 각제(かくたい)에서 제각기 다르므로 모두 88사(使つかい)의 견혹이 된다. 욕계에는 고제(たい) 아래 10사(使つかい), 집제(しゅうたい)ㆍ멸제(めつたい) 아래 각 7사(使つかい), 도제(みちたい) 아래 8사, 도합 32사가 있고, 색계ㆍ무색계에는 각기 욕계의 32사에서 4사를 제하고 28사, 도합 56사가 있으므로 앞에 32사와 합하여 88사가 된다. ⇒견도소단(どうしょだん)"
  22. 星雲せいうん, "". 2013년 4월 29일에 확인
    "惑:  どうしょだん惑(梵 darśana-mārga-prahātavyānuśaya)略稱りゃくしょうまた作見さくみ煩惱ぼんのうさわいちしょじゅうゆびざいどうしょ斷滅だんめつ惑。修道しゅうどうしょ斷滅だんめつ惑,のりたたえおさむ惑(ある思惑おもわく)。俱舍むね以執迷於四諦理之迷理惑為見惑,迷於現象げんしょう事物じぶつ迷事惑為おさむ惑。唯識ゆいしきむね以見惑為後天こうてん煩惱ぼんのうしょうため分別ふんべつおこりかかりいんよこしまある邪教じゃきょうとう誘導ゆうどう,而於しんじょう生起せいきしゃおさむ惑為あずかなま俱來,而自然しぜんさんせい先天せんてんせい煩惱ぼんのうしょうため生起せいきひょういち)。此外,以見おもえ二惑為空觀能斷之煩惱,天台宗てんだいしゅうりつ惑,而與ちりすな惑、無明むみょう並稱へいしょうさん惑。其中,思惑おもわくいんたい三界內之事物而起,のう招感三界さんがい生死せいしそく迷的生存せいぞん),しょうかい內惑。なみ以其共通きょうつうさんじょうしょだん煩惱ぼんのうまたしょうどおり惑。
     (いち)よりどころ小乘しょうじょう俱舍むね惑凡はちじゅうはちしゅしょうため惑八じゅうはち使ひょう)。そくどうしょめつ根本こんぽん煩惱ぼんのうゆう使邊見へんみ邪見じゃけん見取みとり、戒禁)、どん使むさぼ、瞋、、慢、うたぐとうじゅう惑。於見どうかん三界さんがいかく四諦したい,其所だん惑各かく不同ふどうそく於欲かいたいしょだんゆうじゅう使つかいしゅうめつ二諦所斷各有七使(じょ五利使中之身見、邊見へんみ、戒禁);どうたいしょだんゆうはち使じょ五利使中之身見、邊見へんみ),きょうだんさんじゅう使つかい。於色かい無色むしょくかいかく四諦所斷皆如欲界,しかかくたいこれまたじょ瞋使,かくだんじゅうはち使つかいいろかい無色むしょくかいどもけいだんじゅうろく使つかい三界さんがいどもけいだんはちじゅうはち使つかいふくじゅう惑中,小乘しょうじょう以貪、瞋、、慢四者通於見修二道所斷,うたぐあずかのりただため見所みどころだんせつおさむ惑有はちじゅういちしゅしょうためおさむ惑八じゅういちひんひょうさん)。そく修道しゅうどうしょめつ根本こんぽん煩惱ぼんのうけいゆうじゅうしゅざい欲界よくかいゆうむさぼ、瞋、、慢,ざいいろかい無色むしょくかいかくゆうむさぼ、慢。わか以此じゅうしゅ配合はいごうきゅうさら煩惱ぼんのう強弱きょうじゃくらいぶんのりよしじょう上品じょうひんいたり下品げひんきゅうしゅきょうためはちじゅういちひん惑八じゅう八使與十種修惑,ごうたたえきゅうじゅうはちずいねむり
     ()大乘だいじょう唯識ゆいしきむねじゅう惑中むさぼ、瞋、、慢、邊見へんみ六者通於見修二道所斷,其餘四者唯為見所斷,而說惑有いちいちしゅそく欲界よくかい四諦下各有貪、瞋、、慢、うたぐ邊見へんみ邪見じゃけん見取みとり、戒禁とうじゅう惑,きょうためよんじゅう惑;しょくかい無色むしょくかいかく四諦したいかくじょ瞋,而為きゅう惑,ごうためななじゅう惑,三界さんがい合計ごうけいいちいち惑。おさむ惑有じゅうろくしゅそく於欲かいゆうむさぼ、瞋、、慢、邊見へんみとうろく惑;しょくかい無色むしょくかいそくかくじょ瞋而ため惑,ごうためじゅう惑,三界さんがい合計ごうけいじゅうろく惑。おもえしゅ總計そうけい共有きょうゆういちはち根本こんぽん煩惱ぼんのうひょうよん)。〔俱舍ろんまきじゅうきゅう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まきろくざつおもね毘曇しんろんまきよん瑜伽ゆがろんまきはちじゅうろくおもね達磨だるまじゅんせい理論りろんまきろくじゅうなり唯識ゆいしき論述ろんじゅつまきろく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りょうとうまきまつ訶止かんまき、俱舍ろんひかりまきじゅうきゅう〕(まいり閱「きゅうじゅうはちずいねむり」126、「どう」3000、「おさむ惑」4047) p2997"
  23. 星雲せいうん, "". 2013년 4월 29일에 확인
    ":  しゅべつ。(いち)ゆびどうよん諦觀ていかんぎょうあずか修道しゅうどう聖者せいじゃ於見どうかくべつかんしゅうほろびみち四諦したいかくだん其部惑而たい,其後進入しんにゅう修道しゅうどうさらだんつきおさむ惑,あかし阿羅漢あらかんはてただしなま凡夫ぼんぷ不能ふのう如聖しゃにゅう於見どうとくたいまた不能ふのう分別ふんべつ差別さべつただおさむゆうこれろくぎょうかん,於修道しゅうどう現前げんぜんそう惑為きゅうひん,以有さとしごうだん八地之見修五部,しょうためごうだんまたたたえざつだん。此為小乘しょうじょう一切いっさいゆうせつ。〔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じゅういち、俱舍ろんまきじゅうきゅう、俱舍ろんひかり卷一けんいちまきじゅうきゅう〕 p1154"
  24. 佛門ぶつもんもう, "". 2013년 4월 29일에 확인
    ":
    出處しゅっしょ: ちょうぶく佛學ぶつがくだい辭典じてん
    解釋かいしゃく: ===(名數めいすういいどうしゅうめつどう四諦したい及修道也みちやだい毘婆すなろんだいじゅういち曰:「ゆうろく聖者せいじゃどう現在げんざいまえだん見所みどころだんわか修道しゅうどう現在げんざいまえだんおさむしょだんなま修道しゅうどう現在げんざいまえそうだん。」ただし五部通三界各立之。また一切いっさい煩惱ぼんのうみなぞく。【またそく小乘しょうじょう也。佛滅ぶつめつひゃくねんづけ法藏ほうぞうだいせいゆうばば[@(きく-かわ)]しもゆう弟子でしにん,於戒律かいりつじょうかくだき異見いけん一大いちだい律藏りつぞうはじめぶんいちくもりとく薩婆,三彌沙塞部,四迦葉遺部,五婆麤富羅部。【まいり: 五部ごへりつ】。【また金剛こんごうかい。【まいり: 金剛こんごうかい
    出處しゅっしょ: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かいしゃく: The five classes, or groups I. The 四諦したい four truths, which four are classified as どう or theory, and 修道しゅうどう practice, e. g. the eightfold path. II. The five early Hīnayāna sects, see 一切いっさいゆう or Sarvāstivāda. III. The five groups of the Vajradhātu mandala."
  25. 佛門ぶつもんもう, "ごうだん". 2013년 4월 29일에 확인
    "ごうだん:
    出處しゅっしょ: ちょうぶく佛學ぶつがくだい辭典じてん
    解釋かいしゃく: 五部ごへあいだん===(術語じゅつごしゃ,迷於四諦之理之四部見惑,あずか迷於世上せじょう事相じそう一部いちぶおさむ惑也。三界九地各有此五部。薩婆よしすなわちふつあずかどくさとしさき凡夫ぼんぷ以有智之としゆきろくぎょうかんごうだん八地之見修五部也(不能ふのう以有さとしだんだいきゅう惑【まいり: ろくぎょうかん】),ごうだん此之ほうはち分上ぶんじょう上品じょうひん乃至ないししも下品げひんきゅうひんさき上上じょうじょうひんはじめおわり於下おした下品げひんまい一品いっぴんせいだんくらいいいどうすんでだんくらいいい解脫げだつどうまい一斷惑必要此二道也。そうためきゅうあいだきゅう解脫げだつじゅうはちしんもと以六行觀之有漏智斷五部即見修二惑者,ただ小乘しょうじょうゆうむねみみ大乘だいじょうもと以有さとしだん迷理惑也
    出處しゅっしょ: ふつこう電子でんしだい辭典じてん
    解釋かいしゃく: またさくざつだんいいほとけあずかどくさとしざい凡夫ぼんぷ以六行觀合斷下八地見修五部之惑。五部ごへゆび迷於四諦之理之四部見惑與迷於世間事相之一部修惑,乃三かいきゅう地所じしょ俱有しゃなま凡夫ぼんぷ不能ふのうにゅうどうたいまた不能ふのう分別ふんべつただおさむゆうこれろくぎょうかんいたり修道しゅうどうそうだん八地之見修五部,ただしなおのう以有さとしだんだいきゅう惑。此係小乘しょうじょうゆうせつ大乘だいじょうそくもと以有さとしだん迷理惑。〔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じゅう、俱舍ろんまきじゅうきゅう
    ぺーじすう: p1157"
  26. 운허, "はちじゅうはち使(팔십팔사)". 2013년 4월 29일에 확인
    "はちじゅうはち使(팔십팔사): 사는 부린다[驅使くし]는 뜻. 번뇌의 다른 이름. 3계에 일어나는 견혹(惑)을 세밀하게 구별한 것. 욕계의 고제(たい) 아래 신견()ㆍ변견(邊見へんみ)ㆍ계금취견(戒禁)ㆍ견취견(見取みとり)ㆍ사견(邪見じゃけん)ㆍ탐(むさぼ)ㆍ진(瞋)ㆍ치()ㆍ만(慢)ㆍ의(うたぐ)의 10사(使つかい)가 있고, 집제(しゅうたい)ㆍ멸제(めつたい)의 아래에는 각각 신견ㆍ변견ㆍ계금취견의 셋을 제한 나머지 7사와, 도제(みちたい)에는 신견ㆍ변견을 제외한 8사가 있어 합하면 32사가 되고, 또 색계와 무색계의 4제에는 욕계 4제의 각 사에서 진사(瞋使)를 제한 나머지 28사가 있으므로 모두 합하여 88사가 됨."
  27. 星雲せいうん, "分別ふんべつおこり". 2013년 4월 29일에 확인
    "分別ふんべつおこり:  梵語ぼんご parikalpasamutthita。そく一切いっさい煩惱ぼんのうちゅうゆかり邪教じゃきょうよこしまよこしま思惟しいとうしょ引起しゃため「俱生起せいき對稱たいしょうじゅう根本こんぽん煩惱ぼんのうちゅううたぐ邪見じゃけん見取みとり、戒禁とうよんしゃひとしぞく分別ふんべつおこりえきだん於見道中どうちゅうあかしとくせいほうそら真如しんにょとくひたぶるだん。〔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卷一けんいちまきまきろく顯揚けんよう聖教せいきょうろんまきろく大乘だいじょうおもね達磨だるまざつしゅうろんまきよん〕(まいり閱「俱生起せいき」4027) p1317"
  28. 곽철환 2003, "견도(どう)". 2013년 4월 29일에 확인
    "견도(どう): 산스크리트어 darśana-mārga 사제(四諦したい)를 명료하게 주시하여 견혹(惑)을 끊는 단계. 이 이상의 단계에 이른 사람을 성자라고 함. 초기 불교에서는 예류향(あずかりゅうむこう), 유식설에서는 통달위(通達つうたつ), 보살의 수행 단계에서는 십지(じゅう) 가운데 초지(はつ)에 해당함.
    동의어: 견제, 견제도(たいどう), 정성, 정성결정, 정성이생"
  29. 곽철환 2003, "견혹(惑)". 2013년 4월 29일에 확인
    "견혹(惑):
    ① 견도(どう)에서 끊는 번뇌라는 뜻. 사제(四諦したい)를 명료하게 주시하지 못함으로써 일어나는 번뇌. 이 번뇌에는 유신견(ゆう)·변집견(あたり)·사견(邪見じゃけん)·견취견(見取みとり)·계급취견(戒禁)·탐(むさぼ)·진(瞋)·치()·만(慢)·의(うたぐ)가 있음.
    ② 유식설에서, 후천적으로 습득한 그릇된 지식에 의해 일어나는 번뇌, 곧 분별기(分別ふんべつおこり)를 말함."
  30. 곽철환 2003, "분별기(分別ふんべつおこり)". 2013년 4월 29일에 확인
    "분별기(分別ふんべつおこり): 후천적으로 습득한 그릇된 지식에 의해 일어나는 번뇌. 이에 반해, 선천적으로 타고난 번뇌는 구생기(俱生起せいき)라고 함.
    동의어: 견혹"
  31. 구글 CBETA 검색, "見所みどころだん". 2013년 4월 29일에 확인.
  32. 구글 CBETA 검색, "おさむしょだん". 2013년 4월 29일에 확인.
  33. 구글 CBETA 검색, "きゅうじゅうはち使つかい". 2013년 4월 29일에 확인.
    "きゅうじゅうはち使つかい:
    CBETA T30 No. 1566《般若はんにゃとうろんしゃくまき10
    www.cbeta.org/result/normal/T30/1566_010.htm
    きゅうじゅうはち使つかいとう。 T30n1566_p0103a16(05)║のうおこりぎょうくちぎょうぎょう
    T30n1566_p0103a17(14)║分別ふんべつこん後世こうせいぜん不善ふぜんほうらくむくいらくほう。及起げん
    むくいせいほうむくいとう
    CBETA T30 No. 1564《ちゅうろんまき3
    www.cbeta.org/result/normal/T30/1564_003.htm
    めいためさんどく。 T30n1564_p0023c09(11)║分別ふんべつゆう九十八使九結十纏六垢等無量諸煩惱
    ぎょうめいため身口意しんくいぎょう。 T30n1564_p0023c10(02)║こん後世こうせい分別ふんべつゆうぜん不善ふぜん。"
  34. 색건타라 조, 현장 한역 & T.1554, 제2권. p. T28n1554_p0985c24 - T28n1554_p0986a08. 4제현관(四諦したいげんかん)
    "にんゆうはちしゅいいしゅうめつどうほうさとしにん及苦しゅうめつどうるいさとしにん。此八是能引決定智勝慧。にんとうよんひじりたいめいためにん。於諸にんちゅう此八ただ觀察かんさつほうにん及慧さとし自性じしょう決定けってい智義ともよし。此八推度意樂未息。のう審決しんけつめいさとしほうさとししのべあずか欲界よくかいしょだん十隨眠得俱滅。ほうさとしあずかかれだんとく俱生。にんため間道かんどうさとしため解脫げだつどうたい欲界よくかいしょだんじゅうしゅしたがえねむり。如有にん。一在舍內驅賊令出。一關閉門不令復入。るいさとししのべあずかいろ無色むしょくかいしょだんじゅう八隨眠得俱滅。るいさとしあずかかれだんとく俱生。如前せつ如是にょぜ四心能於三界苦諦現觀於集滅道各有四心。おうまたなんじ。此じゅう六心能於三界四諦現觀。だん見所みどころだん八十八結得預流果。"
  35.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19권. p. T29n1558_p0121a20 - T29n1558_p0121c09. 성제현관(ひじりたいげんかん)
    "やめいん便びんせつじゅん解脫げだつぶんいれかん次第しだい是正ぜせいしょろん。於中やめあきらしょ行道ぎょうどうだい一法いっぽうため其後おうせつしたがえ斯復せいなんどう。頌曰。
     だいいちあいだ そくえん欲界よくかい
     なまほうにん しのぶ次生つぎおほうさとし
     えんあまりかい 生類しょうるいにんるいさとし
     えんしゅうめつどうたい かくせいよんまたしか
     如是にょぜじゅうろくしん ひじりたいげんかん
     總有そうゆうさんしゅ いいえんごとべつ
    ろん曰。したがえだいいち善根ぜんこんあいだそくえん欲界よくかいひじりたいさかい有無うむほうさとしにんせい。此忍めいためほうさとしにんためあらわ此忍。舉後とうりゅう以為しるべべつ。此能せいほうさとしほうさとしいんとくほうさとしにんめい。如花果樹かじゅそく此名にゅうせいせいはなれせいまたふく名入ないりせいせい決定けっていよし此是はついれせいせいはなれせいまたはついれせいせい決定けっていけいせつせいせい所謂いわゆる涅槃ねはんあるせいせいげんいんしょひじりどうなまいい煩惱ぼんのうある未熟みじゅくせいみちのうこしはなれせいのうけつおもむき涅槃ねはんあるけつりょうたいしょうゆえしょひじりどうとく決定けっていめいいたり此位ちゅうせつめいためいれ。此忍せいやめ聖者せいじゃめい。此在未來みらい捨異せいせいいいもと此忍未來みらいせいゆう此用あまり。如燈及生しょう有餘ゆうよせつだい一法いっぽう捨異せいせい。此義しか彼此ひし同名どうめい世間せけんほうゆえせい相違そういまたゆうしつ如上じょじょう怨肩のうがい怨命。有餘ゆうよせつ。此二ども捨。如無間道かんどう解脫げだつどうゆえ。此忍あいだそくえんほっゆうほう智生ともおほうさとしおう此智またぜんげんへんりゅうゆえ。如緣欲界よくかいひじりたいさかいゆうほう忍苦にんくほう智生ともお如是にょぜふく於法さとしあいだそうえんあまりかいひじりたいさかいゆうるいさとしにんせいるいさとしにん。此忍あいだそくえん此境ゆうるい智生ともおるいさとし最初さいしょしょう諸法しょほう真理しんりほうさとし。此後さかいさとしあずかぜん相似そうじとくるいめい以後いごしたがえぜん而證さかいゆえ。如緣たい欲界よくかい及餘せいほうるい忍法にんぽうるいさとしよんえんあまりさんたいかくよんまたしかいいふく於前るいさとしつぎえん欲界よくかいしゅうひじりたいさかいゆうほうさとしにんせいしゅうほうさとしにん。此忍あいだそくえんほっしゅうゆうほう智生ともおしゅうほうさとしつぎえんあまりかいしゅうひじりたいさかいゆうるいさとしにんせいしゅうるいさとしにん。此忍あいだそくえん此境ゆうるい智生ともおしゅうるいさとしつぎえん欲界よくかいめつひじりたいさかいゆうほうさとしにんせい滅法めっぽうさとしにん。此忍あいだそくえんよくめつゆうほう智生ともお滅法めっぽうさとしつぎえんあまりかいめつひじりたいさかいゆうるいさとしにんせいめつるいさとしにん。此忍あいだそくえん此境ゆうるい智生ともおめつるいさとしつぎえん欲界よくかいどうひじりたいさかいゆうほうさとしにんせいみちほうさとしにん。此忍あいだそくえんほっどうゆうほう智生ともおみちほうさとしつぎえんあまりかいどうひじりたいさかいゆうるいさとしにんせいみちるいさとしにん。此忍あいだそくえん此境ゆうるい智生ともおみちるいさとし如是にょぜ次第しだいゆうじゅうろくしん總說そうせつめいためひじりたいげんかん。"
  36.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19권. pp. 1054-1059 / 1397. 성제현관(ひじりたいげんかん)
    "편의에 따라 순해탈분에 대해 이미 논설하였다.
    이제 바야흐로 현관(げんかん)에 드는 순서가 바로 지금 논의해야 할 문제이다. 그런데 앞에서 이미 온갖 가행도 중에서 세제일법이 그것의 가장 마지막 도임을 밝혔으므로, 이제 마땅히 이것으로부터 다시 어떠한 도가 생겨나게 되는지에 대해 논설해 보아야 할 것이다.
    게송으로 말하겠다.
     세제일법과 무간에
     욕계 고제를 소연으로 하여
     무루의 법인(ほうにん)을 낳으며
     법인 다음에 법지(ほうさとし)를 낳는다.
     だいいちあいだ そくえん欲界よくかい
     なまほうにん しのぶ次生つぎおほうさとし
     다음으로 다른 계의 고제를 소연으로 하여
     유인(るいにん)과 유지(るいさとし)를 낳으며
     다시 집·멸·도제를 소연으로 하여
     각기 네 가지를 낳는 것도 역시 그러하다.
     えんあまりかい 生類しょうるいにんるいさとし
     えんしゅうめつどうたい かくせいよんまたしか
     이와 같은 16찰나의 마음
     성제현관(ひじりたいげんかん)이라 이름하는데
     여기에는 모두 세 종류가 있으니
     견()·연(えん)·사(こと)의 차별이 그것이다.
     如是にょぜじゅうろくしん ひじりたいげんかん
     總有そうゆうさんしゅ いいえんごとべつ
    논하여 말하겠다. 세제일법의 선근으로부터 무간에 욕계의 고성제를 소연의 경계로 삼아 무루에 포섭되는 법지인(ほうさとしにん)이 생겨나는 경우가 있으니, 이러한 '인'을 일컬어 고법지인(ほうさとしにん)이라고 한다.58) 곧 이러한 '인'은 바로 무루라는 사실을 나타내기 위해 [본송에서] '이것은 능히 법지(ほうさとし)를 낳는다'고 하여 후찰나의 등류(ひとしりゅう, 즉 고법지)를 들어 [순결택분의 '인'과] 구별한 것으로, 바로 법지의 원인이기에 '고법지'라는 명칭을 얻게 된 것이니, 마치 [화과(はなはて)를 낳는 나무를] 화과수(はな果樹かじゅ)라고 하는 것과 같다. 그래서 이것을 입정성결정(にゅうせいせい決定けってい)이라 이름하며, 또한 역시 입정성이생(にゅうせいせいはなれせい)이라고 이름하니, 이것은 바로 처음으로 정성이생으로 들어가는 것이며, 또한 역시 처음으로 정성결정으로 들어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경에서 설하기를, " '정성(せいせい)'이란 이른바 열반이다"고 하였다. 혹은 '정성'이란 말은 온갖 성도를 가리킨다. 또한 '생'이란 번뇌, 혹은 근기가 아직 성숙하지 않은 것을 말한다. 즉 성도는 능히 이를 초월하기 때문에 '이생(はなれせい)'이라 이름한 것이며, 능히 결정코 열반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혹은 진리[たい]의 상을 결정코 요별하는 것이기 때문에 온갖 성도는 '결정(決定けってい)'이라는 명칭을 얻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성도의] 단계에 이르는 것을 설하여 '들어간다[いれ]'고 일컬은 것이다.
    이러한 '인'이 이미 생겨났을 때 성자(聖者せいじゃ)라는 명칭을 획득한다. 즉 이것이 미래 [생상위(なましょう)]에 있을 때 이생성(せいせい)을 버리게 된다. 말하자면 이러한 '인'이 미래의 생상을 획득할 때만 이러한 작용을 갖을 뿐 그 밖의 다른 법은 이러한 작용을 갖지 않는다고 인정하니, 마치 등불과 생상의 관계와 같다.59)
    그런데 유여사는 설하기를, "세제일법에 의해서도 이생성을 버리게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 같은 뜻은 옳지 않으니, 그것(이생성)도 이것(세제일법)도 다 같이 세간법으로 일컬어지기 때문이다.60)
    [세제일법과 이생성은] 성질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주장에도 역시 어떠한 허물도 없으니, 마치 가장 강력한 원수[うえ怨]가 다른 원수의 목숨을 해치는 것과 같다.(앞의 유여사의 つうしゃく)
    또 다른 유여사는 설하기를, "이 두 가지(세제일법과 고법지인)가 함께 이생성을 버리게 되니, 무간도와 해탈도의 경우와 같기 때문이다"고 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인(にん)과 무간에 바로 욕계의 고성제를 소연으로 하는 법지가 생겨나는 경우가 있으니, 이를 고법지(ほうさとし)라고 이름한다.61) 그리고 이러한 지도 역시 무루에 포섭되는 것임을 마땅히 알아야 할 것으로, 앞에서 언급한 '무루'라고 하는 말은 뒤(제16 도류지)에 이르기까지 두루 적용되기 때문이다.
    욕계 고성제를 소연의 경계로 삼아 고법인과 고법지가 생겨나듯이, 이와 마찬가지로 다시 고법지와 무간에 그 밖의 다른 온갖 계(즉 색계와 무색계)의 고성제를 함께 소연의 경계로 삼아 유지인(るいさとしにん)이 생겨나는 경우가 있으니, 이를 고류지인(るいさとしにん)이라 이름한다.
    또한 이러한 '인'과 무간에 이러한 경계(상 2계의 고성제)를 소연으로 하는 유지(るいさとし)가 생겨나는 경우가 있으니, 이를 고류지(るいさとし)라고 이름한다. 즉 최초로 제법의 참된 이치를 깨달아 알았기 때문에 '법지'라고 이름한 것이며,62) 이것 다음의 경계(상 2계의 고제)의 지(さとし)는 앞의 지와 서로 유사하기 때문에 '유지'라는 명칭을 획득하게 된 것으로, 뒤의 지는 앞의 지에 따라 그 경계를 깨달아 안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욕계와 그 밖의 다른 계의 고성제를 소연으로 하여 법지인과 유지인, 법지와 유지의 네 가지가 생겨나듯이, 그 밖의 다른 세 가지 제(たい)를 소연으로 하여 각기 네 가지가 생겨나게 되는 것도 역시 그러하다. 이를테면 앞의 고류지가 생겨난 후 그 다음으로 욕계의 집성제를 소연의 경계로 삼아 법지인이 생겨나는 경우가 있으니, 이를 집법지인(あつまりほうさとしにん)이라고 이름한다. 또한 이러한 '인'과 무간에 욕계 집성제를 소연으로 하는 법지가 생겨나는 경우가 있으니, 이를 집법지(あつまりほうさとし)라고 이름한다.
    다음으로 그 밖의 다른 계의 집성제를 소연의 경계로 하는 유지인이 생겨나는 경우가 있으니, 이를 집류지인(あつまりるいさとしにん)이라고 이름하며, 이러한 '인'과 무간에 이러한 경계를 소연으로 하는 유지가 생겨나는 경우가 있으니, 이를 집류지(あつまりるいさとし)라고 이름한다.
    그 다음으로 욕계의 멸성제를 소연의 경계로 삼아 법지인이 생겨나는 경우가 있으니, 이를 멸법지인(滅法めっぽうさとしにん)이라고 이름한다. 또한 이러한 '인'과 무간에 욕계 멸성제를 소연으로 하는 법지가 생겨나는 경우가 있으니, 이를 멸법지(滅法めっぽうさとし)라고 이름한다.
    다 음으로 그 밖의 다른 계의 멸성제를 소연의 경계로 하는 유지인이 생겨나는 경우가 있으니, 이를 멸류지인(めつるいさとしにん)이라고 이름하며, 이러한 '인'과 무간에 이러한 경계를 소연으로 하는 유지가 생겨나는 경우가 있으니, 이를 멸류지(めつるいさとし)라고 이름한다.
    그 다음으로 욕계의 도성제를 소연의 경계로 삼아 법지인이 생겨나는 경우가 있으니, 이를 도법지인(みちほうさとしにん)이라고 이름한다. 또한 이러한 '인'과 무간에 욕계 도성제를 소연으로 하는 법지가 생겨나는 경우가 있으니, 이를 도법지(みちほうさとし)라고 이름한다.
    다음으로 그 밖의 다른 계의 도성제를 소연의 경계로 하는 유지인이 생겨나는 경우가 있으니, 이를 도류지인(あつまりるいさとしにん)이라고 이름하며, 이러한 '인'과 무간에 이러한 경계를 소연으로 하는 유지가 생겨나는 경우가 있으니, 이를 도류지(みちるいさとし)라고 이름한다.
    [세제일법 이후] 이와 같은 순서로 16찰나의 마음이 일어나니, 이를 모두 설하여 성제현관(ひじりたいげんかん)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58) 여기서 '무루'라고 하는 말을 설한 것은 세제일법과 구별하기 위해서로서, 세간의 인(즉 순결택분의 인법)에 따라 이것도 무루의 인이라고 하였으며, 욕계의 고법(ほう, 즉 현행의 はて)을 소연으로 삼았기 때문에 '고법인'이라고 이름하였다. 다시 말해 무시 이래 유신견으로써 아(わが)·아소(わがところ)라고 미혹 집착하였던 고성제의 법에 대해 처음으로 그것을 오로지 고법(ほう)의 성질(즉 비상·고·공·비아)로 관찰하여 인가(にん)·현전한 것이므로 '고법인'이라고 이름한 것이다. 또한 이것은 능히 후에 고법지의 생(せい)을 인기하며, 바로 그러한 지가 생겨나는 데 장애가 되는 것을 대치하기 때문에 다시 '고법지인'이라고 이름한 것이다.(앞의 책, p.326)
    59) 즉 유부에서는 미래의 등불이 생상을 획득하여 현전할 때 비로소 어둠을 지멸하는 작용을 갖게 되듯이 이러한 고법지인도 세제일법의 단계로부터 생상위에 이를 때 이생성을 버리는 작용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이생성을 버리는 작용은 오로지 고법지인만이 갖는다. 그러나 논주 세친은 이 같은 생(せい) 등의 유위4상의 실재성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다만 '인정[もと]한다'고 말한 것이다.
    60) 세제일법도 이생성도 다 같이 세간법 즉 유루법이기 때문에 유루의 세간법으로써 세간법을 버린다고 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는 뜻.
    61) 고법지인이 욕계 고법(ほう)에 대한 인가(認可にんか)의 혜를 획득하게 하는 것이라면, 이것은 고법인에 의해 관찰된 욕계의 고제에 대한 결단(決斷けつだん) 간택(簡擇)의 혜를 획득하는 것이기 때문에 '고법지'이다.
    62) 여기서 제법의 참된 이치란 고제를 비상(非常ひじょう)·고()·공(そら)·비아(非我ひが)라고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37.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 & T.1545, 제78권. p. T27n1545_p0405a27 - T27n1545_p0405c05. 4제현관(四諦したいげんかん)
    "といげんかんたいためかんあいためかんどもしょうしつらえなんじなんしつ俱有所以ゆえんしゃなにわかかんあい諸法しょほうあい差別さべつ無邊むへんおうかんたいとく究竟くっきょうしゃ。且地あい無邊むへん差別さべつかんきゅうつき而便いのちおわりきょうさらのうかんしょそうわかかんどもしょう如何いか四諦不頓現觀復於何時以如實智觀諦自相。於諦そうわか不能ふのうかんうんなんめいためげんかんたいしゃこたえおうさくせつかん於共しょうとい如何いか四諦したいとみげんかんこたえげんかんたい雖觀どもしょう而不げんかん一切いっさいともしょういいただしげんかんしょうぶんどもしょうしかともしょう差別さべつ無邊むへん。且地だいしゅまためいそうまためいともしょうめい相者そうしゃたいさんだいたねめいきょう相者そうしゃ一切地界皆堅相故。だいたねづくりしょく合成ごうせいしょく蘊。如是にょぜしょく蘊亦めいそうまためいともしょうめい相者そうしゃたいあまりよん蘊。めいきょう相者そうしゃ諸色しょしきみなゆうへん礙相ゆえそく五取蘊合成苦諦。如是にょぜたいまためいそうまためいともしょうめい相者そうしゃたいあまりさんたいめいきょう相者そうしゃしょ蘊皆ゆう逼迫ひっぱくしょうゆえ思惟しい如是にょぜども逼迫ひっぱくしょうそく思惟しい非常ひじょうそら非我ひがしょうまたそくめいためたいげんかん如是にょぜげんかんわかたいしょたいめいそうかんわかたいしょ蘊名どもしょうかんよしたいしょ蘊名どもしょうかんげんかんめいかんどもしょうよしたいしょたいめいそうかん四諦したいとみげんかんふくいちたいよん四諦したいいち四諦したいとみげんかんふくいちぎょうしょうよんよんぎょうしょういち四諦したいとみげんかんふくゆうあいかく差別さべつ四諦したいとみげんかんふく有為ゆうい無為むいしょうかく差別さべつ四諦したいとみげんかんふくはていんしょしょうのうしょうかくべつ四諦したいとみげんかんふく以四聖諦或相有異或性相異。いちひたすらげんかんふくのうさとしところさとしあずかあいくだりしょう所緣しょえんさかいあずかゆうさかいしょうかくゆうべつ四諦したいとみげんかんふく於一いちたいなおとみかんきょうゆういちとみかん四諦したいいいげんかんさきべつかん欲界よくかいこうごうかんしょく無色むしょくかいさきべつかん欲界よくかいしゅうこうごうかんしょく無色むしょくかいしゅうさきべつかん欲界よくかいめつこうごうかんしょく無色むしょくかいめつさきべつかん欲界よくかいどうこうごうかんしょく無色むしょくかいどうとみかんよんひじりたい。"
  38. 星雲せいうん, "さとし". 2013년 4월 29일에 확인
    "さとし:  梵語ぼんご duhkha-jñāna。じゅう智之としゆきいちりょうたい道理どうりさとしそくえんたい而作「そら無常むじょう無我むがよんぎょうしょう,其惑だんじょ所得しょとくさとししなるいあしろん卷一けんいちだいろくろくきゅうよんじょう):「いい於五蘊,思惟しい非常ひじょうそら非我ひがしょおこりさとし。」また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いちろくだいななよんはちちゅう):「えんひじりたいよんぎょうしょうてんさとし。」またそくいれ於見道之みちゆき,以世俗せぞくさとしえんたいさかいいたりだい剎那,あずかほうさとし共生きょうせいさとししょうためさとし。其中,於第一剎那之後無間,えんかん欲界よくかいたいさかいしょ生起せいきほうさとししのべしょうためほうさとしにん;於其あいだしょ生起せいきほうさとししょうためほうさとし。〔俱舍ろんまきじゅうろく顯揚けんよう聖教せいきょうろんまき〕 p3947"
  39. 구글 CBETA 검색, "さとし たいげんかん". 2013년 4월 29일에 확인.
    "さとし たいげんかん:
    CBETA T29 No. 1562《おもね達磨だるまじゅんせい理論りろんまき74
    www.cbeta.org/result/normal/T29/1562_074.htm
    如次不能ふのうわりさわまけ。 T29n1562_p0742b11(06)║また邪見じゃけん他心たしんさとし及念じゅうさとしひとしみなゆう
    建立こんりゅうなり .... T29n1562_p0743c20(06)║いいわかたいげんかんあたりおさむそく以緣よんしゅぎょうしょう
    CBETA T41 No. 1822《俱舍ろん疏》まき26
    www.cbeta.org/result/normal/T41/1822_026.htm
    T41n1822_p0767a18(07)║以觀非常ひじょうとうさとしためゆき。此加ぎょうどおりえんしょく. .....
    T41n1822_p0769b20(02)║受後ゆう智廣ともひろ如彼しゃく。 ..... せいうんいいわかたいげんかん
    あたりおさむ
    CBETA T28 No. 1554《いれおもね達磨だるまろんまき2
    www.cbeta.org/result/normal/T28/1554_002.htm
    T28n1554_p0985c07(11)║さく非常ひじょうそら非我ひがぎょうしょうてんめいさとし。於五蘊因ぶん ...
    T28n1554_p0986a07(19)║如是にょぜよんしんのう於三かいたいげんかん於集めつどうかくゆうよんしんおうまた
    なんじ
    CBETA T41 No. 1821《俱舍ろんまき26
    www.cbeta.org/result/normal/T41/1821_026.htm
    ただしよしのうえんぎょうしょう不同ふどう。 T41n1821_p0386c17(02)║よし無常むじょうとうよんぎょうしょうだてさとし。 ......
    T41n1821_p0391b23(00)║受後ゆうさとしこう如彼しゃく。 ...... いいわかたいげんかんあたりおさむ。"
  40. 구글 CBETA 검색, "あいだいん". 2013년 4월 29일에 확인.
  41. 구글 CBETA 검색, "あいだはて". 2013년 4월 29일에 확인.
  42. 佛門ぶつもんもう, "よんみち". 2013년 4월 30일에 확인
    "よんどう: sì dào
    出處しゅっしょ: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かいしゃく: The Dao or road means the nirvāṇa road; the 'four' are rather modes of progress, or stages in it: (1) 行道ぎょうどう discipline or effort, i. e. progress from the さんけん and よん善根ぜんこん stages to that of the さん學位がくい, i. e. morality, meditation, and understanding; (2) 間道かんどう uninterrupted progress to the stage in which all delusion is banished; (3) 解脫げだつどう liberaton, or freedom, reaching the state of assurance or proof and knowledge of the truth; and (4) かつすすむどう surpassing progress in dhyāni-wisdom. Those four stages are also associated with those of srota-āpanna, sakṛdāgāmin, anāgāmin, and arhat.
    出處しゅっしょ: ちん義孝よしたかへん, 竺摩法師ほうし鑑定かんてい, 《佛學ぶつがく常見つねみ辭彙じい
    解釋かいしゃく: 四條しじょうどおりこう涅槃ねはんてき道路どうろそくいち行道ぎょうどういいさき於三賢四善根位加力而行三學之位。間道かんどういいゆき功德くどく成就じょうじゅ而發せいさとしためせいだん煩惱ぼんのうくらいいん不為ふため惑而間隔かんかくめい間道かんどうさん解脫げだつどうあいだ道後どうご而生一念いちねんせいさとしため真正しんせいしょうさとる真理しんりくらいいん解脫げだつ煩惱ぼんのうせいさとしめい解脫げだつどうよんかつすすむどう解脫げだつ道之みちゆき更進こうしんいちためていとし增長ぞうちょうくらい
    出處しゅっしょ: かんやくおもね含經辭典じてんそう春江はるえへん(1.4はん)
    解釋かいしゃく: 另作「よん通行つうこうよんだんよんぎょうよん正行まさゆき」,そく習盡どうつきどうらくつきどうらくつきどう」,ためのうどおり解脫げだつ涅槃ねはんてきよんしゅしき
    出處しゅっしょ: ちょうぶく佛學ぶつがくだい辭典じてん
    解釋かいしゃく: よんどう===(名數めいすう道者どうしゃ涅槃ねはん道路どうろ也。じょう此可いた涅槃ねはんしろどうみち雖異,よんしゅつきいち行道ぎょうどういいさき於三賢四善根位加力而行三學之位也。間道かんどういいゆき功德くどく成就じょうじゅ而發せいさとしせいだん煩惱ぼんのうくらい也。不為ふため惑而間隔かんかく曰無間道かんどうさん解脫げだつどうあいだ道後どうご而生一念いちねんせいさとしせいあかしさとる真理しんりくらい也。ためすんで解脫げだつ惑之せいさとしめい解脫げだつどうよんしょうすすむどう解脫げだつどう更進こうしん而定とし增長ぞうちょう們也。此中菩薩ぼさつじょう無學むがくはてとく究竟きゅうきょう圓滿えんまんいいかつすすむどう,二乘之見修無學三道,みな此四どう俱舍ろんじゅう
    出處しゅっしょ: A Digital Edition of A Glossary of Dharmarakṣa translation of the Lotus Sutra by Seishi Karashima, 1998
    解釋かいしゃく: よんどう (sì dào)  “the four stages (of sainthood)”# {not found at 《漢語かんごだいてん》3.593.} ; {《だい漢和かんわ辞典じてん》3.31c(論語ろんご etc.)} ;
    Dharmarakṣa: {126b10} なお如四道及至縁覺皆超(v.l. えつ)一切いっさいしょ凡夫ぼんぷがく。《せい法華經ほけきょうまたふく如斯,みなちょう一切いっさいじょうなか下乘げじょう(p)
    {K.416.15} srota-āpannaḥ sakṛd-āgāmy-anāgāmy-arhat-
    Kumārajīva: {L.54b4} 須陀洹、斯陀含、おもね含、阿羅漢あらかん(p)
    出處しゅっしょ: 佛教ぶっきょうかん梵大辭典じてん, 平川ひらかわあきら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かいしゃく: catasro gatayaḥ.
    ぺーじすう: p 623"
  43. 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 & T.1509, 제2권. p. T25n1509_p0071c13 - T25n1509_p0072a10. 비치차라나삼반나(鞞侈遮さん般那)
    "ふくめい「鞞侈遮さん般那」,はた言明げんめいぎょう具足ぐそく うんなんめいあきらぎょう具足ぐそく」? 宿命しゅくめい天眼てんがんつきめいため三明さんめい とい曰: 神通じんずうあかりゆう何等なんらこと こたえ曰:ちょく過去かこ宿命しゅくめいごとめいどおり過去かこ因緣いんねんぎょうぎょうめいあかり ちょく此生かれめいどおり知行ちぎょう因緣いんねん際會さいかいしつめいあかり ちょくつきゆい使不知ふち更生こうせいせいめいどおりわかつきさらふくせいめいあかり 三明さんめいだい阿羅漢あらかんだい辟支ふつ所得しょとく とい曰:わかなんじしゃあずかふつゆう何等なんらこと こたえ曰: かれ雖得三明さんめいあきら滿足まんぞくふつ滿足まんぞくためこと とい曰: うんなん不滿ふまんうんなん滿まん こたえ曰: しょ阿羅漢あらかん、辟支ふつ宿命しゅくめいさとし自身じしん他人たにんまた不能ふのうあまねゆう阿羅漢あらかんいちせいあるせいさんせいじゅうひゃくせん萬劫まんごう乃至ないしはちまんこう以往いおう不能ふのうふく不滿ふまん天眼てんがんあきら來世らいせまた如是にょぜふつ一念いちねんちゅうせいじゅうめつしょゆい使ぶんせい如是にょぜじゅう如是にょぜめつ如是にょぜほうしのべほうさとしちゅうしょだんゆい使悉覺りょう如是にょぜゆい使解脫げだつとくなんじしょ有為ゆういほう解脫げだつとくなんじしょ無為むいほう解脫げだつ乃至ないしみちにんたいどうじゅう心中しんちゅうのしょ聲聞しょうもん、辟支ふつしょ不覺ふかくすくなやましゆえ如是にょぜ過去かこ眾生、因緣いんねんつき未來みらい現在げんざいまた如是にょぜめいほとけあきらぎょう具足ぐそく」。 くだりめいこうぎょうただ佛身ぶっしんくちぎょう具足ぐそくあまりみなゆうしつめいあきらぎょう具足ぐそく。"
  44.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 K.549, T.1509, 제2권. pp. 84-86 / 2698. 비치차라나삼반나(鞞侈遮さん般那)
    "또한 비치차라나삼반나(鞞侈遮さん般那)141)라고도 하나니, 중국[はた] 말로는 명행구족(あきらぎょう具足ぐそく)이라 한다. 어찌하여 명행구족이라 하는가? 숙명(宿命しゅくめい)142)과 천안(天眼てんがん)143)과 누진(つき)144)을 3명(あきら)이라 한다.
    [문] 신통(神通じんずう)과 명(あきら)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답] 과거 전생의 일만을 바로 아는 것을 신통이라 하고, 과거의 인연과 행업까지 아는 것을 명이라 한다. 여기에 죽어서 저기에 태어나는 것만을 바로 아는 것을 신통이라 하고, 행의 인연은 이어지고 만나서[際會さいかい] 어긋나지 않음을 아는 것을 명이라 한다. 번뇌[ゆい使]가 다하지만 다시 생겨날지 아닐지 모르는 것을 신통이라 하고 번뇌가 다하여 다시는 생겨나지 않을 것을 똑똑히 아는 것을 명이라 한다. 이것이 3명이니, 이 3명은 큰 아라한이나 큰 벽지불들이 얻는 것이다.
    [문] 그렇다면 부처님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답] 그들은 비록 3명을 얻었으나 명이 만족하지 못하거니와 부처님은 모두가 만족하시니 이것이 다른 점이다.
    [문] 무엇을 만족하다 하고, 무엇을 만족하지 못하다 하는가?
    [답] 모든 아라한과 벽지불의 숙명지는 자기의 일과 다른 이의 일을 알지만 두루하지 못하다. 아라한은 한 세상 · 두 세상 · 세 세상, 혹은 십 · 백 · 천 · 만 겁 내지 8만 겁을 알지만 이를 지나면 더 알지 못한다. 그러므로 천안명에 만족하지 못한다.145) 미래 세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부처님은 한 생각 동안에 나고 머무르고 멸하는 때와 모든 번뇌의 부분[ぶん]이 생겨날 때와 모든 결사가 이처럼 나고 머물고 멸할 때를 아시니, 이와 같은 고법인(ほうにん)146) · 고법지(ほうさとし)147)에서 끊어야 할 번뇌를 모두 분명히 아신다. 이와 같이 해서 번뇌에서 해탈할 때에 거기에 맞는 유위법의 해탈을 얻으며, 거기에 맞는 무위법의 해탈 내지 도비인(みちにん)148)을 얻는다. 이는 견제도(たいどう)149)의 15심(しん)150) 가운데 있는 성문이나 벽지불들은 깨달아 알지 못하는 바이니, 시간이 짧고 빠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과거 중생의 인연과 번뇌가 다하였음을 알며, 미래와 현재에 대해서도 역시 그와 같다. 그러므로 부처님을 명행구족이라 한다.
    행(くだり)은 신업(ぎょう)과 구업(くちぎょう)을 뜻하는 말이나 오직 부처님만이 신구업을 구족하시고 나머지는 모두가 잃게 되기에 명행구족이라 한다.
    139) 범어 arhat를 부정접두어 a-와 rahat의 합성어로 보는 경우이다.
    140) 범어로는 Samyaksaṁbuddha.
    141) 범어로는 Vidyācaraṇasaṁpanna.
    142) 범어로는 pūrva-nivāsābhijñā. 생사를 아는 능력을 말한다.
    143) 범어로는 dvyacakṣu.
    144) 범어로는 āsrava-kṣayābhijñā. 모든 번뇌의 소멸을 아는 능력을 말한다.
    145) 그러므로 천안명이 완전하지 못하다.
    146) 범어로는 duḥkhe`nvaya-jñāna-kṣāntiḥ. 고제를 관찰해 얻는 지혜인 고법지의 직전에 얻는 마음을 말한다. 고류지인(るいさとしにん)이라고도 한다.
    147) 범어로는 duḥkhe`nvaya-jñāna. 색계 · 무색계의 고제를 관찰해 얻는 지혜를 말한다. 고류지(るいさとし)라고도 한다.
    148) 도류지인(みちるいさとしにん)이라고도 한다. 이는 색계 · 무색계의 도제를 관찰해 얻는 지혜인 도비지(みちさとし, mārga-anvaya- jñāna)를 얻기 직전에 나타나는 마음으로, 욕계의 도제(みちたい)를 관찰한 뒤 다시 위의 두 세계(색계 · 무색계)의 도제를 관찰해 명확히 인정하고 알아채는 마음을 말한다.
    149) 범어로는 darśana-mārga. 4제(たい)를 관찰하는 단계를 말한다. 번뇌가 끊어진 성자의 경지를 처음으로 발견하는 단계로 견도(どう)라고도 한다.
    150) 견도(どう)의 지위에 들어서 일으키는 무루의 법인과 법지인 8인(にん· 8지(さとし) 가운데 도비지(みちさとし, mārga-anvaya- jñāna) 이전의 15심을 가리킨다."
  45. 구마라습 한역 & T.614, 하권. p. T15n0614_p0280a14 - T15n0614_p0280c08. 16심(じゅうろくしん)
    "如是にょぜいち心中しんちゅうのめい世間せけんだい一法いっぽう一時いちじじゅうよんぎょう無常むじょうそら無我むがかんいちたいほうにんきょう緣故えんこなに以故かん欲界よくかい五受陰無常苦空無我。中心ちゅうしんにんにゅうとしまた相應そうおう心心こころごころすうほうめいほうにんぎょうくちぎょう及心不相應ふそうおう諸行しょぎょう現在げんざい來世らいせ一切無漏法初門。めいほうにん(ほうほうしのぶしん受也)。次第しだいせいほうさとしほうにんだんゆい使ほうさとしさくしょうたとえいちにんかりいちにんたばまた如利がたな斫竹とくふうそく偃。しのぶさとし功夫いさおごととく辦欲かい繫見だん十結得得爾時異等智得無漏智未得無漏慧得是時成就一智(とうさとし未來みらい成就じょうじゅ)。だい二心中成就法智苦智等智。だいさんしんだいよんしん成就じょうじゅ四智苦智法智比智等智。習盡どうほうさとしちゅういちいちさとしぞうはなれよく人知じんち他心たしんさとし成就じょうじゅぞう忍苦にんくさとしだんじゅうはちゆい四心苦諦能得。習法にん習法さとしだん欲界よくかいななゆい習比にん習比さとしだんしょく無色むしょくかいじゅうさんゆいつきほうにんつきほうさとしだん欲界よくかいななゆいつきにんつきさとしだんしょく無色むしょくかいじゅうゆいみちほうにんどうほうさとしだん欲界よくかい繫八ゆいみちにんどうさとしだんしょく無色むしょくかいじゅうよんゆいみちさとしめい須陀般那(したじょう)。じつしょ法相ほうしょうじゅうろくしんのうじゅう五心中利根名隨法行。鈍根どんこんめいずい信行のぶゆきにんはなれよくはつはてむこうさきだんゆいとくじゅうろくしん須陀般那わかさきだんろくひんゆいとくじゅうろくしんいき陀伽迷(はたげんいちらい)。わかさきだんきゅうひんゆいとくじゅうろくしんおもね迦迷(はたげん)。さきはなれよくだんはちじゅうはちゆいゆえ須陀般那ふくはて善根ぜんこんとくとく須陀般那利根りこんめい鈍根どんこんめい信愛しんあい思惟しいゆいだんざんななせいせいわか思惟しいゆいさんしゅだん名家めいかさんせいせいせいみちはちふんさんじゅうなな品名ひんめいながれながれこう涅槃ねはんずい流行りゅうこう須陀般那ためふつはつ功德くどく惡道あくどうとくだっさんゆいだんさんどくうすいき陀伽迷ふく欲界よくかいゆいきゅうしゅ(上上じょうじょう上中かみなか上下じょうげ中上なかがみちゅうちゅうちゅう下下しもじも上下じょうげちゅう下下しもじも)。たいだん思惟しいだんわか凡夫ぼんぷじんさき以有道斷どうだん欲界よくかい繫六種結入見諦道。じゅうろく心中しんちゅうのとくめいいき陀伽迷わか八種斷入見諦道。だいじゅう六心中一種名息忌陀伽迷果向呵那伽迷。わか佛弟子ぶつでしとく須陀般那。たんだん三結欲得息忌陀伽迷。思惟しいだん欲界よくかいきゅうしゅゆいろくしゅだんめいいき陀伽迷はちしゅだんめい一種息忌陀伽迷果向阿那伽迷。わか凡夫ぼんぷじんさきだん欲界よくかい繫九種結入見諦道。だいじゅうろく心中しんちゅうのめいおもねとぎわかとくいき陀伽迷進。だんさんしゅ思惟しいゆいだい九解脫道名阿那伽迷。おもねとぎ迷有きゅうしゅこん必入涅槃ねはんおもねとぎ迷。中陰ちゅういんにゅう涅槃ねはんおもねとぎ迷。なまやめにゅう涅槃ねはんおもねとぎ迷。懃求にゅう涅槃ねはんおもねとぎ迷。懃求にゅう涅槃ねはんおもねとぎ迷。うえこうにゅう涅槃ねはんおもねとぎ迷。いたりおもね迦尼吒入涅槃ねはんおもねとぎ迷。いたいろていいれ涅槃ねはんおもねとぎ迷。しょうおもねとぎ迷。くだりこう阿羅漢あらかんおもねとぎ迷。いろ無色むしょくかいきゅうしゅゆい。以第九無礙道金剛三昧破一切結。だい九解脫道盡智修一切善根。めい阿羅漢あらかんはて阿羅漢あらかんゆうきゅうしゅ退すさほう退すさほうほうもりほうじゅうほう必知ほう不壞ふえほうとしだつともだつ"
  46. 구마라습 한역, 차차석 번역 & K.991, T.614, 하권. pp. 61-65 / 95. 16심(じゅうろくしん)
    "이와 같이 한마음의 가운데를 세간제일법(世間せけんだい一法いっぽう)이라고 한다.
    일시에 4행(くだり) 즉, 무상ㆍ고ㆍ공ㆍ무아에 머물러 첫 번째 진리[たい]인 고법인(ほうにん)15)을 관하니, 고제(たい)를 반연하기 때문이다.
    왜 욕계 5수음(受陰)의 무상ㆍ고ㆍ공ㆍ무아를 관하는가?
    이 가운데서 심인(こころにん)으로 지혜에 들어가기 때문이며, 또한 이것은 심(しん)과 심수법(しんすうほう)에 상응하니, 이것을 고법인(ほうにん)이라고 한다.
    신업(ぎょう)과 구업(くちぎょう)과 마음에 상응하지 않은 여러 가지 행(くだり)과 현재ㆍ미래세의 일체 무루법의 초문(はつもん), 이것을 바로 고법인이라 한다.[법은 무루법이며, 인은 믿고 받아들이는 것이다.]
    차례대로 고법지(ほうさとし)16)를 내니, 고법인은 결사(ゆい使)를 끊고, 고법지는 깨달음을 이룬다.
    비유컨대 한 사람은 베고 한 사람은 묶는 것과 같으며, 또한 예리한 칼로 대나무를 쳐서 베어내되 바람을 맞으면 곧 쓰러지는 것과 같다.
    인(にん)과 지(さとし)로 공부하기 때문에 이 일은 욕계의 번뇌[欲界よくかい繫]17)를 구별할 수 있고, 괴로움을 보고 열 가지 결사(ゆい使)를 끊으니, 그때에는 등지(とうさとし)와 달리 무루지(さとし)를 얻어서 아직 얻지 못한 무루혜(とし)를 얻는다. 이때 하나의 지(さとし)를 성취한다.[등지는 미래에 성취한다.]
    두 번째 마음속에서 법지(ほうさとし)와 고지(さとし), 등지(とうさとし)를 성취한다.
    세 번째 마음과 네 번째 마음을 지나서 네 가지 지혜18) 즉 고지(さとし)ㆍ법지(ほうさとし)ㆍ비지(さとし)ㆍ등지(とうさとし)를 성취한다.
    습(習)ㆍ진(つき)ㆍ도(みち)의 법지(ほうさとし) 가운데서 하나하나 지혜가 늘어나서, 욕망을 여읜 사람은 지타심지(他心たしんさとし)19)를 성취하여 늘어난다.
    고비인(にん)과 고비지(さとし)는 18가지 번뇌를 끊는다.
    이 네 가지 마음으로 고제(たい)를 증득할 수 있다.
    습법인(習法にん)과 습법지(習法さとし)로 욕계의 번뇌인 일곱 가지 번뇌를 끊으며, 습비인(習比にん)과 습비지(習比さとし)로 색계와 색계의 번뇌인 열세 가지 번뇌를 끊는다.
    진법인(つきほうにん)과 진법지(つきほうさとし)는 욕계의 번뇌인 일곱 가지 번뇌를 끊으며, 진비인(つきにん)과 진비지(つきさとし)는 색계와 무색계의 번뇌인 열두 가지 번뇌를 끊는다.
    도법인(みちほうにん)과 도법지(みちほうさとし)는 욕계의 번뇌인 여덟 가지 번뇌를 끊으며, 도비인(みちにん)과 도비지(みちさとし)는 색계와 무색계의 번뇌인 열네 가지 번뇌를 끊는다.
    도비지를 수타반나(須陀般那)[하자상자(したじょう)]20)라고 한다.
    진실로 모든 법의 모습을 아는 것이 바로 이 열여섯 가지의 마음의 능함[のう]이다.
    열다섯 가지 마음속의 날카로운 근기를 수법행(ずいほうぎょう)이라고 하며, 아둔한 근기를 수신행(ずい信行のぶゆき)이라고 하니, 이러한 두 사람은 아직 욕망을 여의지 못하였으므로 초과향(はつはてむこう)21)이라고 한다.
    먼저 아직 번뇌[ゆい]를 끊지 못하고 열여섯 가지 마음을 얻는 것을 수타반나라고 한다.
    만일 먼저 6품(しな)의 번뇌를 끊고 열여섯 가지 마음을 얻었다면 식기타가미(いき陀迦迷)[진(はた)나라 말로는 일래(いちらい)이다.]22)라고 한다.
    만일 먼저 9품의 번뇌를 끊고서 열여섯 가지 마음을 얻는다면 아나가미(おもね迦迷)[진나라 말로는 불래()이다.]23)라고 한다.
    먼저 아직 욕망을 여의지 못하고 88가지 번뇌를 끊었기 때문에 수타반나라고 하며, 또한 무루과(はて)의 선근을 얻었으므로 수타반나(須陀般那)라고 한다.
    예리한 근기를 견득()24)이라 하고, 둔한 근기를 신애(信愛しんあい)25)라고 한다.
    사유의 번뇌가 아직 끊어지지 않았으면 나머지 일곱 번 세상에 태어나며,26) 만일 사유의 번뇌 세 가지를 끊으면 초과(はつはて)와 2과(はて)의 중간에 있는 성자[家家いえいえ]로 세 번 세상에 태어난다.27)
    성스러운 길 8분(ぶん)과 37품(しな)을 흐름[りゅう]이라고 하니, 열반을 향해 흐른다는 뜻이며, 이것을 따라 흘러가기 때문에 수타반나라고 한다. 이것이 부처님 첫 공덕의 씨앗이 되며, 악도를 벗어날 수 있다.
    세 가지 번뇌를 끊어 세 가지 독을 엷게 하는 것을 식기타가미(いき陀迦迷)라고 한다.
    또한 욕계의 번뇌는 아홉 가지[상상(上上じょうじょう)ㆍ상중(上中かみなか)ㆍ상하(上下じょうげ)ㆍ중상ㆍ중중ㆍ중하ㆍ하상ㆍ하중ㆍ하하]로 견제(たい)로 끊고 사유(思惟しい)로 끊는다.
    만일 범부인 사람이 먼저 유루도(ゆうみち)로써 욕계의 번뇌인 여섯 가지 번뇌를 끊고 견제도(たいどう)에 들어가 열여섯 가지 마음을 얻으면 식기타가미라고 한다.
    만일 여덟 가지를 끊어 견제도에 들어간다면 열여섯 가지 마음 가운데 한 가지인 식기타가미 과(はて)에서 아나가미(しかとぎ迷)로 향한다.28)
    만일 부처님의 제자가 수타반나를 얻으면 단순하게 세 가지 번뇌를 끊고 식기타가미를 얻고자 한다. 이것은 사유하여 끊는 것으로, 욕계의 번뇌인 아홉 가지 번뇌를 여섯 가지로 끊으면 이것을 식기타가미의 여덟 가지 끊음이라고 하며, 한 가지 식기타가미의 과(はて)가 아나가미로 향한다고 한다.
    만일 범부인 사람이 먼저 욕계의 번뇌인 아홉 가지 번뇌를 끊고 견제도에 들어간다면 열여섯 가지 마음 가운데 아나가미라고 한다.
    만일 식기타가미를 얻고 나아가 세 가지 사유의 번뇌를 끊는다면 아홉 번째의 해탈도29)아나가미라고 한다.
    아나가미에는 아홉 가지가 있으니, 지금 세상에서 반드시 열반에 들어가는 아나가미, 중음(中陰ちゅういん)에서 열반에 들어가는 아나가미, 태어난 뒤에 열반에 들어가는 아나가미, 간절하게 찾아서 열반에 들어가는 아나가미, 간절하게 찾지 않고 열반에 들어가는 아나가미, 최상의 행(くだり)으로 열반에 들어가는 아나가미, 아가니타에 이르러 열반에 들어가는 아나가미, 무색정(無色むしょくじょう)에 도달하여 열반에 들어가는 아나가미, 몸으로 깨닫는 아나가미, 아라한을 향해 가는 아나가미이다.
    색계와 무색계의 아홉 가지 번뇌가 있으니, 아홉 번째의 무애도금강삼매(無礙むげどう金剛こんごう三昧ざんまい)로써 일체의 번뇌를 타파한다.
    아홉 번째 해탈도(解脫げだつどう)에서 지혜를 다하여 일체의 선근을 닦으면 이를 아라한과라고 하는데, 이 아라한에는 아홉 가지가 있으니, 퇴법(退すさほう)ㆍ불퇴법(退すさほう)ㆍ사법(ほう)ㆍ수법(もりほう)ㆍ주법(じゅうほう)ㆍ필지법(必知ほう)ㆍ불괴법(不壞ふえほう)ㆍ혜탈(としだっ)ㆍ공탈(きょうだっ)이다.
    15) 고법인이란 정확하게는 고법지인(ほうさとしにん)으로서 앞의 4선근의 인법(忍法にんぽう)과 구별하기 위해서 다음의 제이의 고법지(ほうさとし)를 일으키는 인(にん)이란 의미에서 고법지인(ほうさとしにん)이라 부른다.
    16) 고법지는 바로 욕계에서 고제(たい)의 진리를 깨닫는 지혜로서 이것이 제이의 마음이다.
    17) 욕계계란 욕계에 묶여있는 번뇌란 의미로서, 열 가지 번뇌란 탐(むさぼ)ㆍ진(瞋)ㆍ치()ㆍ만(慢)ㆍ의(うたぐ)ㆍ신견()ㆍ변견(邊見へんみ)ㆍ사견(邪見じゃけん)ㆍ견취견(見取みとり)ㆍ계금취견(戒禁)이다.
    18) 4지란 고지ㆍ법지ㆍ비지ㆍ등지이다. 고지(さとし)란 심계의 고제에 대한 미혹에서 일어나는 번뇌를 끊는 무루지혜이며, 법지(ほうさとし)란 욕계에서 일어나게 되는 유위법의 4제를 관찰하는 오염되지 않은 성스러운 지혜이고, 비지(さとし)란 신역으로서는 유지(るいさとし)라 한다. 유지란 상계(うえかい)의 번뇌에 대해서 작용하는 지혜이며, 색계와 무색계의 제행의 4제를 관찰하고 번뇌를 끊는 무루지를 말한다. 등지(とうさとし)란 세속의 일을 아는 지혜이다.
    19) 타심통을 아는 것이다.
    20) 진나라 말로는 ‘열반으로 흘러 들어감’이라고 한다. 원(もと)ㆍ명(あきら) 본에 의하면 열반에 흘러 들어간다는 의미이다.
    21) 4향4과 중의 예류향을 말한다.
    22) 일래과(いちらいはて)라 번역하며, 사다함과라고도 한다.
    23) 불래()라 번역하며, 아나함을 말한다.
    24) 수법행자(ずいほう行者ぎょうじゃ)가 예류과에 들어간 것을 말한다.
    25) 수법행자가 예류과를 얻은 것을 말한다.
    26) 여잔칠세생(ざんななせいせい)이란 욕계 9품의 수혹(おさむ惑)을 적어도 끊지 않고 초과(はつはて)를 얻는다는 것은 최대한도로 일곱 번 욕계에 태어나게 된다는 의미이다.
    27) 삼종단명가가삼세생(三種さんしゅだん名家めいかさんせいせい)이란 욕계 수혹의 앞의 3품을 끊을 때는 일곱 번 세상에 태어나는 가운데 네 번 세상에 태어나는 것을 면하고, 나머지 세 번 태어난다. 가가(家家いえいえ)란 초과(はつはて)와 2과(はて)의 중간에 위치하는 성자를 가리킨다.
    28) 이것은 일래과(いちらいはて)의 성자가 불환과(かえはて)로 나아가고 있는 과정에 있다는 것을 말한다. 일종(一種いっしゅ)이란 일간(一間いっけん)을 잘못 보고 번역한 것으로 판단되며, 일간이란 아직 일품의 번뇌가 남아서 불환과에 도달하기는 하였으나 아직 간격이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29) 하나의 번뇌를 끊고 끝내 이것을 해탈하여 진지(眞智まち)가 나타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제9의 해탈도란 욕계 9품의 미혹 가운데 제9를 끊은 결과를 말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