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고려왕릉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고려왕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Nosu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10월 16일 (수) 19:24 판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대한민국의 사적 삭제함)

고려왕릉(高麗こうらいおうりょう)은 고려역대 국왕왕후의 무덤으로 개성, 개풍군, 장풍군,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위치한다.

개요

고려의 역대 국왕과 왕비, 추존왕과 추존왕비의 능으로, 폐위된 우왕창왕의 능은 조성되지 않았으며 우왕의 생모인 순정왕후의 의릉(懿陵)은 1389년 12월 철거되었다.[1] 마지막 왕인 공양왕의 능은 2기가 존재하나 어느 것이 진짜 무덤인지 불확실하다.

개성을 수도로 두었던 고려왕조의 역사성으로 인해서 일부 왕릉을 제외한 나머지가 대부분 북한 지방에 많이 존재하는 편이며 대한민국에서는 21대 희종, 22대 고종과 34대 공양왕의 능이 드물게 있다.

고려의 왕릉은 개성 부근 산악지대에 분포하고 있으며, 능의 소재가 분명한 것은 태조의 능인 현릉(あらわりょう)을 비롯한 19릉이다. 고려의 왕릉은 이민족의 침입과 병란으로 인한 도굴 및 조선시대의 개축 등을 거치면서 원형이 많이 변하였으나, 현릉·소릉과 칠릉군(ななりょうぐん)은 원형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되었다. 왕릉의 발굴과 관련하여 2016년 6월, 북한 개성에서 9대 덕종숙릉과 10대 정종(やすしむね)의 주릉 등 고려왕릉 2기가 새롭게 발굴되었다.[2]

고려왕릉의 능역은 남북으로 긴(18×36m) 장방형 구역에 돌담은 동·서·북 3면으로 두르고 능 앞에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오면서 네 개의 층을 두고 단이 낮아져 최상단에는 능과 석상·망주석, 제2단에는 장명등을 사이에 두고 문석인을 세웠으며, 제3단에는 무석인을, 제4단에는 정자각과 능비를 세웠다. 능의 봉분 높이는 3∼5m이며 지름은 6∼9m 정도로 그 하부는 신라 왕릉에서처럼 면석과 십이지상의 호석을 둘렀고 그 밖으로 돌난간과 석수가 배치되었다.

919년 철원에서 개경으로 천도하면서 대다수의 왕릉은 개경과 경기 주변에 설치되었으나 1232년 몽고의 침입으로 수도를 강화도로 천도하면서 1270년 개경으로 환도하기 까지 38년동안 왕릉은 강화도에 축조되었다. 희종의 석릉, 성평왕후의 소릉, 원덕왕후의 곤릉, 고종의 홍릉, 순경태후의 가릉을 포함하여 경기도 고양시강원도 삼척에 위치한 공양왕릉이 고려 왕릉중 유일하게 대한민국에 위치한다. 인천광역시는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를 설립하고 강화 고려왕릉의 세계문화유산을 추진하고 있다.[3]

세계문화유산

태조 왕건신혜왕후 유씨의 합장릉인 현릉(あらわりょう), 공민왕노국공주가 묻힌 현정릉(げんせいりょう), 충목왕명릉(あかりりょう)을 포함한 3개의 왕릉군인 명릉군(あきらりょうぐん), 피장자가 명확하지 않은 현릉 북서쪽의 왕릉 7기를 포함한 칠릉군(ななりょうぐん)이 2013년 6월 23일, 프놈펜에서 열린 제37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 회의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4]

도굴 및 약탈

  • 1059년 (문종 13년) 음력 5월, 태조의 현릉 묘실에 도둑이 들어 능실시위대장군 은정(いんさだ) 등을 하옥하고 벌을 내렸다.[5]
  • 1208년 (희종 4년) 도적이 안종의 무릉을 도굴하였다.
  • 1217년 (고종 4년) 도적이 공예태후의 순릉을 도굴하였다.[6]
  • 1255년 (고종 42년) 몽고의 침략으로 훼손된 명종의 지릉을 보수하였다.
  • 1256년 (고종 43년) 도적이 강종의 능을 파헤쳤다.
  • 1288년 (충렬왕 14년) 도적이 목종선정왕후의 의릉을 도굴하여 은그릇을 가져갔다.[7]
  • 1332년 (충혜왕 2년) 음력 2월, 충렬왕비 제국대장공주의 고릉이 도굴당하다.[8]
  • 1365년 (공민왕 14년) 음력 3월, 왜적이 창릉을 침범해 세조의 영정을 탈취하여 새로 봉안하였다.[9]
  • 일제 강점기인종의 장릉 도굴과정에서 황통 6년명 인종시책문과 국보 제94호 청자참외모양병이 출토되어 유출되었다.[10]
현릉 (태조)
현정릉 (공민왕)의 양 조각상
현정릉 (공민왕)의 조각상

왕릉목록

묘호 및 시호 능호 피장자 건립시기 소재지 지정번호
추존 의조 懿祖 온혜릉 ゆたか鞋陵 의조
세조 창릉 あきらりょう 세조, 위숙왕후 북한 보존급유적 제554호
제1대 태조 ふとし 현릉

수릉

정릉

あらわりょう

ことぶきりょう

さだりょう

태조, 신혜왕후

신정왕후

신성왕후

943년

983년

1010년

황해북도 개풍군 중서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북한 국보 제179호

북한 보존급유적 제573호

제2대 혜종 めぐみむね 순릉 じゅんりょう 혜종, 의화왕후 945년 개성 가하동 북한 보존급유적 제946호
제3대 정종 定宗さだむね 안릉 やすりょう 정종, 문공왕후 949년 개풍군 북한 보존급유적 제552호
제4대 광종 ひかりむね 헌릉 けんりょう 광종 975년 개풍군 영남면 북한 보존급유적 제545호
추존 대종 戴宗 태릉 たいりょう 대종, 선의왕후 996년
안종 あんはじめ 무릉 たけりょう 안종 1017년 개풍군 영남면
제5대 경종 けいむね 영릉

유릉

원릉

さかえりょう

かそけりょう

もとりょう

경종, 헌숙왕후

헌애왕후

헌정왕후

981년

1029년

1009년

개성

황해북도 장풍군 현화리

북한 보존급유적 제569호

북한 보존급유적 제571호

제6대 성종 なりむね 강릉 かんりょう 성종, 문덕왕후 997년 개성
제7대 목종 きよしむね 의릉 りょう 목종, 선정왕후 1012년 개성
제8대 현종 顯宗けんそう 선릉

화릉

회릉

명릉

의릉

せんりょう

りょう

ふところりょう

あかりりょう

むべりょう

현종

원정왕후

원혜왕후

원성왕후

원평왕후

1031년

1018년

1022년

1028년

1028년

개풍군 해선리 북한 보존급유적 제547호
제9대 덕종 とくむね 숙릉

질릉

肅陵

しつりょう

덕종

경성왕후

1034년

1086년

개풍군
제10대 정종 やすしむね 주릉

현릉

しゅうりょう

げんりょう

정종

용신왕후

1046년

1036년

제11대 문종 ぶんむね 경릉

대릉

けいりょう

戴陵

문종

인예왕후

1083년

1092년

북한 보존급유적 제570호
제12대 순종 じゅんむね 성릉 なりりょう 순종, 선희왕후 1083년 개성 북한 보존급유적 제568호
제13대 선종 せんむね 인릉 じんりょう 선종, 사숙왕후 1094년
제14대 헌종 けんじむね 은릉 かくれりょう 헌종 1097년
제15대 숙종 肅宗 영릉

숭릉

えいりょう

たかしりょう

숙종

명의왕후

1105년

1112년

개성 북한 보존급유적 제569호
제16대 예종 睿宗 유릉

자릉

수릉

ひろしりょう

慈陵

綏陵

예종

경화왕후

순덕왕후

1122년

1109년

1118년

개풍군 청교면
제17대 인종 じんむね 장릉

순릉

ちょうりょう

じゅんりょう

인종

공예왕후

1146년

1183년

제18대 의종 あつしむね 희릉 禧陵 의종, 장경왕후 1175년
제19대 명종 あかりむね 지릉 さとしりょう 명종, 의정왕후 1202년 황북 장풍군
제20대 신종 かみはじめ 양릉

진릉

りょう

りょう

신종

선정왕후

1204년

1222년

개풍군 청교면 양릉리 북한 보존급유적 제553호
제21대 희종 熙宗 석릉

소릉

せきりょう

紹陵

희종

성평왕후

1237년

1247년

인천광역시 강화군 사적 제369호
제22대 강종 かんはじめ 후릉

곤릉

あつりょう

ひつじさるりょう

강종

원덕왕후

1213년

1239년

개풍군 영남면

인천 강화군

사적 제371호
제23대 고종 こうはじめ 홍릉 ひろしりょう 고종 1259년 인천 강화군 사적 제224호
제24대 원종 元宗もとむね 소릉

가릉

韶陵

よしみりょう

원종

정순왕후

1274년

1244년

개성 룡흥리 내동

인천 강화군

북한 보존급유적 제562호

사적 제370호

제25대 충렬왕 ちゅうれつ 경릉

고릉

けいりょう

高陵こうりょう

충렬왕

장목왕후

1308년

1297년

개성 고릉동
제26대 충선왕 ちゅうせん 덕릉 とくりょう 충선왕 1325년
제27대 충숙왕 ちゅう 의릉

영릉

あつしりょう

れいりょう

충숙왕

공원왕후

1339년

1380년

제28대 충혜왕 ちゅうめぐみ 영릉

경릉

えいりょう

ころりょう

충혜왕

덕녕공주

1344년

1375년

제29대 충목왕 ちゅうきよし 명릉 あかりりょう 충목왕 1349년 개풍군 중서면 여릉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북한 보존급유적 제549호

제30대 충정왕 ちゅうじょう 총릉 さとしりょう 충정왕 1352년 개풍군 청교면
제31대 공민왕 きょう 현릉

정릉

げんりょう

せいりょう

공민왕

노국공주

1373년

1365년

개풍군 중서면 여릉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북한 국보 제123호

제32대 우왕
제33대 창왕 あきら
제34대 공양왕 きょうゆずる 고릉

공양왕릉

高陵こうりょう

きょうゆずるおうりょう

공양왕, 순비 노씨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강원도 삼척시

사적 제191호

강원기념물 제71호

기타

각주

  1. 고려사』 권45, 세가45 공양왕1년 撤禑はは懿陵 우왕의 모친의 무덤인 의릉을 철거하다
  2. “북한 "개성에서 고려시대 왕릉 2기 새로 발견". 2016년 6월 28일. 
  3. 이현준 기자.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내년5월 설립”. 경인일보. 2017년 2월 19일에 확인함. 
  4. “연합뉴스, きた개성역사지구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종합)”. 
  5. 고려사』 권8, 세가8 문종2 がつ 乙未おとみ ぬすめにゅうあらわりょうびょうしつしたりょうしつさむらいまもる大將軍だいしょうぐんいんさだとうごくつみ 5월 을미일에 현릉 묘실에 도둑이 들었으므로 능실시위대장군 은정등을 하옥하고 벌을 내렸다
  6. 고려사』 권22, 세가22 고종1 とうはつじゅんりょう 도적이 순릉을 도굴하다
  7. 고려사』 권30, 세가30 충렬왕3 ふゆじゅうがつ みずのととり ぬすめはつりょう銀器ぎんき 겨울 10월 계유일에 도둑이 의릉을 도굴하여 은그릇을 가져갔다
  8. 고려사』 권36, 세가36 충혜왕 がつ ちょう ぬすめはつ高陵こうりょう 2월 정미일, 도둑이 고릉을 도굴하다.
  9. 고려사』 권41, 세가41 공민왕4 さんがつ おのれ やまとにゅうあきらりょう以歸 3월 계사일에 왜적이 창릉에 들어와 세조의 영정을 탈취하였다
  10. 김태식 기자. “국립중앙ひろし '고려왕실의 도자기' 테마전”.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