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사향사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사향사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4향4과(よんこうよんはて, 영어: four stages of enlightenment· 사문4과(沙門しゃもんよんはて) 또는 성문4과(聲聞しょうもんよんはて)는 원시불교부파불교의 수행 계위이다. 줄여서 4과(よんはて)라고도 한다. 4쌍8배(よんそうはちやから)라고도 한다.[1][2][3][4][5][6][7]

고타마 붓다의 제자들은 그의 가르침을 듣고 수행함으로써 아라한이라는 이상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아라한의 경지에 도달하는데는 4향4과라고 불리는 8종의 위계(位階いかい)가 있다고 했다. 즉 아래서부터 말하면 예류(りゅう· 일래(いちらい· 불환(かえ· 아라한(阿羅漢あらかん)의 4위가 있어서, 아래와 같이 과(はて)를 향해 수행(修行しゅぎょう)해 가는 단계(むかい)와 그에 의해 도달한 경지(はて)로 나누어서 설명한 것이 4향4과이다.[1]

  1. 예류향(りゅうむこう): 예류과를 향해 수행해 가는 단계
  2. 예류과(りゅうはて): 예류에 도달한 상태
  3. 일래향(いちらいむこう): 일래과를 향해 수행해 가는 단계
  4. 일래과(いちらいはて): 일래에 도달한 상태
  5. 불환향(かえむこう): 불환과를 향해 수행해 가는 단계
  6. 불환과(かえはて): 불환에 도달한 상태
  7. 아라한향(阿羅漢あらかんむこう): 아라한과를 향해 수행해 가는 단계
  8. 아라한과(阿羅漢あらかんはて): 아라한에 도달한 상태

예류예류과수다원(須陀洹)이라고 음역(音譯おんやく)되는데 깨달음의 길을 하천의 흐름에 비유하여 그 흐름에 참여한 것, 즉 불도 수행에 대한 확신이 생긴 상태를 말한다.

일래일래과사다함(斯陀含)이라고 음역되는데 수행의 도상에 있어서 한 번 더 욕계로 태어나는 것을 의미한다.[1]

불환불환과아나함(おもね含)이라고 음역되는데 더 이상 욕계로 태어나지 않아도 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즉 욕계윤회하여 더 배워야 할 필요가 없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불환이라고 한다.[8][9][10]

아라한향(阿羅漢あらかんむこう)은 아라한과(阿羅漢あらかんはて)에 이르기까지의 위계(位階いかい)이다. 아라한아라한과에 이르면 무학위(學位がくい)로서 더 이상 배울 것이 없고, 번뇌는 다하였으며, 해야 할 바를 다하였고, 윤회에서 해탈해서 열반에 들어간다고 생각되었다.[1] 무학위를 간단히 무학(無學むがく)이라고도 한다. 아라한과 이전의 단계를 통칭하여 유학위(ゆう學位がくい: 배울 것이 있는 계위) 또는 유학(ゆうがく)이라고 한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부파불교의 사상 > 4향4과,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4향4과: よんこうよんはて 불제자들은 불타의 가르침을 듣고 수행함으로써 아라한이라는 이상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그 아라한의 경지에 도달함에는 4향4과라고 불리는 8종의 위계(位階いかい)가 있다고 했다. 즉 아래서부터 말하면 '예류(りゅう)'·'일래(いちらい)'·'불환(かえ)'·'아라한'의 4위가 있어서 그것이 과(はて)를 향해 수행(修行しゅぎょう)해 가는 단계(むかい)와 그에 의해 도달한 경지(はて)로 나누어서 설명한 것이 4향4과이다. 예류는 수타원(須陀洹)이라고 음역(音譯おんやく)되는데 깨달음에의 도를 하천의 흐름에 비유하여 그 흐름에 참여한 것, 즉 불도수행에 대한 확신이 생긴 상태를 말하는 것이며, 일래는 사타함(斯陀含)이라고 음역되는데 수행의 도상에 있어서 한 번 뒤로 물러가는 것으로서 유회의 세계에로 물러가는 것을 의미한다. 불환은 아나함(おもね含)이라고 음역되는데 더 이상 윤회의 세계로 물러가는 일이 없다는 데에서 불환이라고 하며, 아라한향(阿羅漢あらかんむこう)은 아라한과(阿羅漢あらかんはて)에 이르기까지의 위계(位階いかい)로서 아라한과에 이르면 무학위(學位がくい)로서 더 이상 배울 것이 없고 번뇌는 다하였으며, 해야 할 바를 다하였고 윤회에서 해탈해서 열반에 들어간다고 생각되었다."
  2. 운허, "聲聞しょうもんよんはて(성문사과)". 2013년 6월 11일에 확인
    "聲聞しょうもんよんはて(성문사과): 성문들이 깨닫는 4계급(階級かいきゅう). (1) 수다원과(須陀洹果). 처음 성인의 축에 들어간 지위. (2) 사다함과(斯陀含果). 욕계 9지()의 사혹(思惑おもわく) 9품 중에서 앞의 6품을 끊고, 아직 3품이 남았으므로 인간과 천상에 한번 왕래하면서 생(せい)을 받아야 하는 지위. (3) 아라함과(おもね含果). 사다함과에서 남은 3품 혹(惑)을 마저 끊고, 욕계에 다시 나지 않는 지위. (4) 아라한과(阿羅漢あらかんはて). 3계의 견혹(惑)ㆍ사혹을 끊고, 공부가 완성되어 존경과 공양을 받을 수 있는 성인 지위."
  3. 곽철환 2003, "사향사과(よんこうよんはて)". 2013년 4월 24일에 확인
    "사향사과(よんこうよんはて): 성문(聲聞しょうもん)들이 수다원(須陀洹)·사다함(斯陀含)·아나함(おもね含)·아라한(阿羅漢あらかん)의 성자가 되기 위해 수행하는 단계인 수다원향·사다함향·아나함향·아라한향의 사향(よんむかい)과, 거기에 도달한 경지인 수다원과·사다함과·아나함과·아라한과의 사과(よんはて)를 말함.
    동의어: 사향(よんこう)"
  4. 星雲せいうん, "よんそうはちやから". 2013년 4월 24일에 확인
    "よんそうはちやから:  そくよんこうよんはてこえ聞依其修行しゅぎょうあさふか而分四階之果位及其向道。そくあずかりゅうむこうあずかりゅうはていちらいむこういちらいはてかえこうかえはて阿羅漢あらかんむこう阿羅漢あらかんはてとうよんたいはちしゅこうあずかはてごうそくためよんそうふんそくためはちやから。〔ぞう一阿含經卷二、だいしゅう經卷きょうかんじゅう虛空藏こくぞうひん大智たいちろんまきじゅう、十住毘婆沙論卷一〕(まいり閱「よんこうよんはて」1683) p1849"
  5. 佛門ぶつもんもう, "よんはて──聲聞しょうもんよんはて". 2013년 6월 11일에 확인
    "よんはて──聲聞しょうもんよんはて:
    出處しゅっしょ: あきら一如いちにょ三藏さんぞうほうすう
    解釋かいしゃく:
    よんはて──聲聞しょうもんよんはて===﹝金剛こんごうけい疏﹞
    いち、須陀洹果〕,梵語ぼんご須陀洹,はなげんいれりゅうまためいあずかながれそくはつはて也。いい此人だん三界さんがい惑盡,預入よにゅうせいみちほうりゅう名入ないりりゅう。(三界さんがいしゃ欲界よくかいいろかい無色むしょくかい也。)
    、斯陀含果〕,梵語ぼんご斯陀含,はなげんいちらいそくだいはて也。いい此人於欲かい九品思惑中斷前六品盡,さんひんなおざい,須更らい欲界よくかいいちばん受生,いちらい。(思惑おもわくしゃいいとう五根ごこんたいいろとうちりこころおこりむさぼあい迷惑めいわくりょう也。九品くほんしゃ,於上ちゅうさんひんちゅうまたかくぶんさんひん也。)
    さんおもね含果〕,梵語ぼんごおもね含,はなげんそくだいさんはて也。いい此人だん欲界よくかいさんひん思惑おもわくつきさららい欲界よくかい受生,めいらい
    よん阿羅漢あらかんはて〕,梵語ぼんご阿羅漢あらかんはなごと無學むがくそくだいよんはて也。いい此人だんしょくかい無色むしょくかい思惑おもわくつきよんさとしやめえんやめ三界さんがいやめしょう涅槃ねはん無法むほうがくめい無學むがく。(よん智者ちしゃわがなまやめつき,梵行やめりつ所作しょさやめ辦,受後ゆう也。梵語ぼんご涅槃ねはんはなげんめつ。)
    ぺーじすう: 出金しゅっきんごうけい疏"
  6. 佛門ぶつもんもう, "よんはて──大乘だいじょうよんはて". 2013년 6월 11일에 확인
    "よんはて──大乘だいじょうよんはて:
    出處しゅっしょ: あきら一如いちにょ三藏さんぞうほうすう
    解釋かいしゃく:
    よんはて──大乘だいじょうよんはて===﹝大乘だいじょう莊嚴しょうごん經論きょうろん
    大乘だいじょうしゃいいどおりきょうちゅう菩薩ぼさつ,於當きょうちゅうたい聲聞しょうもんえんさとし小乘しょうじょうとくしょうため大乘だいじょう也。よんはてしゃほん聲聞しょうもんしょしょうはてこん菩薩ぼさつれき於十修行しゅぎょうしょうはてまたゆうあさふか始終しじゅう不同ふどう小乘しょうじょう四果之位以區別之,めい大乘だいじょうよんはて。(じゅうしゃ歡喜かんきはなれあか發光はっこう、焰慧なん勝地しょうち現前げんぜんとお行地ゆくじ不動ふどうぜんとしほうくも也。)
    いちはつせい如來にょらい須陀洹果〕,梵語ぼんご須陀洹,はなげんいれりゅうまたうんあずかりゅうため菩薩ぼさついれはついぬいとしだん惑證そくしょうふつしょしょううんせい如來にょらいいん聲聞しょうもんはつはて以區べつうん須陀洹果。
    はちとく授記,斯陀含果〕,梵語ぼんご斯陀含,はなげんいちらいいい菩薩ぼさつ於第はち辟支ふつ地中ちちゅうこうむふつ授記而得さくふついん聲聞しょうもんだいはて以區べつうん斯陀含果。(辟支,梵語ぼんごうん辟支迦羅,はなげんえんさとし。)
    さんじゅうとく受職,おもね含果〕,梵語ぼんごおもね含,はなげんらいいい菩薩ぼさつ於第じゅうふつ地中ちちゅう,而得受如來にょらいしょくなお如別、えん二教等覺之位,いん聲聞しょうもんだいさんはて以區べつうんおもね含果。
    よんふつ阿羅漢あらかんはて〕,梵語ぼんご阿羅漢あらかんはなごと無學むがくまたうんせいふつそくどおりきょうちゅうはてふつ也。菩薩ぼさつやめだんおもえ,習氣俱盡,而得成佛じょうぶついん聲聞しょうもんだいよんはて以區べつうん阿羅漢あらかんはて
    ぺーじすう: 大乘だいじょう莊嚴しょうごん經論きょうろん"
  7. 佛門ぶつもんもう, "よんはて". 2013년 6월 11일에 확인
    "よんはて:
    出處しゅっしょ: かんえい-えいかん-えいえいふつがく辭典じてん
    解釋かいしゃく:
    Four Phala よんはて參照さんしょう: Four Fruition】
    出處しゅっしょ: かんえい-えいかん-えいえいふつがく辭典じてん
    解釋かいしゃく:
    Four Fruition よんはて also known as Four Phala. These are four grades of arhatship, namely 1.Śrota-āpanna: has entered the stream of holy living; the first stage of the arhat, that of a Śrāvaka 2.Sakṛdāgāmin: comes to be born once more; the second grade of arhatship involving only one birth 3.Anāgāmin: will not be reborn in this world (i.e. Six Paths), but in the Form Realm or Formless Realm, where he will attain to Nirvāṇa 4.Arhan: enters Nirvāṇa. All Karma of reincarnation is destroyed. He also reaches a state of no longer learning. He is the highest Saint in Hīnayāna in contrast with the Bodhisattva as the Saint in Mahāyāna
    出處しゅっしょ: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かいしゃく:
    The four phala, i. e. fruitions, or rewards — srota-āpanna-phala, sakrdāgāmi-phala, anāgāmiphala, arhat-phala, i. e. four grades of saintship; see 須陀洹; 斯陀含, おもね含, and おもねはなれかん. The four titles are also applied to four grades of śramanas— yellow and blue flower śramanas, lotus śramanas, meek śramanas, and ultra-meek śramanas.
    出處しゅっしょ: ちん義孝よしたかへん, 竺摩法師ほうし鑑定かんてい, 《佛學ぶつがく常見つねみ辭彙じい
    解釋かいしゃく:
    1.ゆびごえ聞乘てきよんしゅはてそく須陀洹果、斯陀含果、おもね含果、阿羅漢あらかんはてはつはて須陀洹,はなやくためいれりゅうそくはついれ聖人せいじんながれ;二果斯陀含,はなやくためいちらいそくおさむいた此果しゃ死後しごなまいた天上てんじょういちせい天人てんにん再生さいせいいたわが們此世界せかいいち便びん再來さいらい欲界よくかい受生りょう;三果阿那含,はなやくためかえそくおさむいた此果しゃ再生さいせい於欲かいよんはて阿羅漢あらかんはなやくためせいそくおさむいた此果しゃ解脫げだつ生死せいし受後ゆうためごえ聞乘てき最高さいこうはて
    2.ゆび阿羅漢あらかん
    出處しゅっしょ: ちょうぶく佛學ぶつがくだい辭典じてん
    解釋かいしゃく:
    名數めいすう聲聞しょうもんじょうきよしはて差別さべつ也,舊譯きゅうやく以梵めいいいため須陀洹果Srotapanna phala,ともえSotapanna phala,斯陀含果 Sakrdagami,おもね含果Angami-,阿羅漢あらかんはてArahat-,新譯しんやく以前いぜん三果翻名為預流果,いちらいはてかえはて阿羅漢あらかんはて仍其きゅういち須陀洹果,舊作きゅうさくいれりゅう逆流ぎゃくりゅういれりゅうあずかながれ同一どういついい凡夫ぼんぷはついれひじり道之みちゆきほうりゅう也,逆流ぎゃくりゅうしゃいいにゅうひじりぎゃく生死せいし暴流也。さるごとそく三界見惑斷盡之位也。斯陀含果,わけうんいちらいだん欲界よくかいきゅう思惑おもわくしん曰修惑)中前ちゅうぜんろくひんなおさんひんしゃ也。ため其後さんひん思惑おもわくなおとう於欲かい人間にんげんあずか天界てんかいろくよくたかし),受生いち曰一らいいち來者らいしゃいち往來おうらい義也よしやさんおもね含果,舊譯きゅうやくしんうんかえだんつきよく惑後さんひん殘餘ざんよさいかえらい欲界よくかいくらい也。爾後じご受生そく必為しょくかい無色むしょくかいよん阿羅漢あらかんはてわけさくころせぞくおうきょうせいうえいたるそうしょ一切思惑斷盡之聲聞乘極果也。以其だんつき一切見思二惑,いいころせぞく既得きとくごくはておう受人てん供養くよう曰應きょう一世いっせい果報かほうつきひさしにゅう涅槃ねはん再來さいらいせい三界さんがいいいせい。【またいちあいはな沙門しゃもん,須陀洹之聖者せいじゃ也。二芬陀利花沙門,斯阿含果聖者せいじゃ也。さん柔軟じゅうなん沙門しゃもんおもね含之聖者せいじゃ也。よん柔軟じゅうなんちゅう柔軟じゅうなん沙門しゃもん阿羅漢あらかんはて也。ぞう一阿含二十。
    出處しゅっしょ: しゅ芾煌《法相ほうしょう辭典じてん
    解釋かいしゃく:
    俱舍ろんろくかんじゅうぺーじうんふく有餘ゆうよぜんはてがいべつせつよんはていち安立あだちはていい如水にょすいためふうはて乃至ないしくさとうため大地だいちはてぎょうはていい如無せいさとしとうとおため不淨ふじょうとうはてさん和合わごうはていい眼識がんしきとうためとうはてよん修習しゅうしゅうはていい如化しんとうためしょしずかおもんばかはて如是にょぜよんはてみなようぞうじょうはて
    出處しゅっしょ: 佛教ぶっきょうかん梵大辭典じてん, 平川ひらかわあきら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かいしゃく:
    catvāri phalāni, caturvidhaṃ phalam.
    ぺーじすう: p.623"
  8. 권오민 2003, 260쪽
    "일래과의 성자가 더욱 증진하여 욕계 수소단의 번뇌 중 제9 하하품이 끊어져 더 이상 욕계로 되돌아오지 않는 이를 불환과(또는 おもね含, anagamin)의 성자라고 한다. 또한 이미 견도에서 유신견·계금취·의うたぐ를 끊었고, 지금 이 단계에 이르러 욕탐과 진애가 모두 끊어졌기 때문에 욕계를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5순하분결이 끊어진 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제7 하상품과 제8 하중품의 번뇌를 끊은 이를 불환향이라고 하는데, 이제 여기서는 반열반과 일생의 간격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일간一間いっけん'이라고도 한다.
    그런데 불환의 성자는 현생을 마친후 바로 반열반에 들거나 색계나 무색계에 태어나 반열반에 드는 등 열반에 드는 처소와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고 있다. 이러한 분류는 유부 아비달마의 독자적인 구상이 아니라 경설에 따른 그들의 정리 해석으로, 이론체계도 매우 복잡하고 이설도 많지만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9. 佛門ぶつもんもう, "かえ". 2013년 5월 13일에 확인
    "かえ:
    出處しゅっしょ: ちょうぶく佛學ぶつがくだい辭典じてん
    解釋かいしゃく: (術語じゅつごそくかえこうまたうんかえはて
    出處しゅっしょ: A Digital Edition of A Glossary of Dharmarakṣa translation of the Lotus Sutra by Seishi Karashima, 1998
    解釋かいしゃく:
    かえ(bù huān)  “one, who returns no more to this world”(the third of the four stages of sainthood)
    {not found at 《漢語かんごだいてん》1.470.} ; {not found at 《だい漢和かんわ辞典じてん》1.242.} ;
    Dharmarakṣa: {118a27} はじむ庶一時倶履道迹,往來おうらいかえちょとくしょう(p)
      {K.347.10} anāgāmin~
      Kumārajīva: {L.46c18} おもね含"
  10. 佛門ぶつもんもう, "かえはて". 2013년 5월 13일에 확인
    "かえはて: bùhuánguŏ
    出處しゅっしょ: ふつこう電子でんしだい辭典じてん
    解釋かいしゃく: 梵語ぼんご anāgāmin。音譯おんやくさくおもね含。ゆび聲聞しょうもんだいさんはて聖者せいじゃ彼等かれらやめ斷滅だんめつ欲界よくかい九品之修惑,而不さいかえいたり欲界よくかい受生,しょうかえまたぶんためななしゅかえきゅうしゅかえななぜんおもむきとう。〔大智たいちろんまきじゅう、俱舍ろんまきじゅうよん〕(まいり閱「よんこうよんはて」1683)
    ぺーじすう: p997
    出處しゅっしょ: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かいしゃく: The fruits, fruition, or rewards of the last. Various stages in the final life of parinirvāna are named, i. e. five, six, seven, eight, nine, or eleven kinds.
    出處しゅっしょ: ちん義孝よしたかへん, 竺摩法師ほうし鑑定かんてい, 《佛學ぶつがく常見つねみ辭彙じい
    解釋かいしゃく: 聲聞しょうもんじょうよんはていちよんはてじょう
    出處しゅっしょ: ちょうぶく佛學ぶつがくだい辭典じてん
    解釋かいしゃく: (術語じゅつご聲聞しょうもんじょうよんはていち。梵名おもね含Ana%ga%min,だんつき欲界よくかいきゅうひんおさむ惑,さいかえなま於欲かい聖者せいじゃくらい也。此不かえはて聖者せいじゃゆうしゅななしゅきゅうしゅ差別さべつ
    出處しゅっしょ: しゅ芾煌《法相ほうしょう辭典じてん
    解釋かいしゃく:
    顯揚けんようさんかんじゅういちぺーじうんろくかえはてあるさきはなれよくせいせいはなれせいしかこうしょうあるいちらいはてつきだん欲界よくかいあまり煩惱ぼんのうとく
    かい 如四沙門しゃもんはてちゅうせつ
    さんかい しなるいあしろんななかんよんぺーじうんかえはてうんなに?此有しゅいち有為ゆうい無為むい有為ゆういかえはてうんなにいいしょうかえはて所有しょゆうがくほうやめ正當せいとう無為むいかえはてうんなにいいしょうかえはて所有しょゆうゆいだんやめ正當せいとうめいかえはて
    よんかい ほう蘊足ろんかんじゅうよんぺーじうんかえはてしゃいいげんほうちゅう,於五じゅん下分しもぶんゆいやめえいだんへんいいゆう、戒禁うたぐ貪慾どんよく瞋恚しんにかれじゅう此斷ちゅうのうしんもとめ阿羅漢あらかんはてしょうめいかえはてまたうんうんなんかえはていいかえはてりゃくゆうしゅいちしゃ有為ゆういしゃ無為むいところごと有為ゆういかえはてしゃいいかれはてとく及彼得得とくとくゆうがくりょくゆうがくしかばねゆうがく善根ぜんこん,八有學法及彼種類諸有學法,めい有為ゆういかえはてところごと無為むいかえはてしゃいい於此ちゅう五順下分結永斷,及彼種類しゅるいゆいほうながだんそく九十二諸隨眠永斷及彼種類結法永斷。めい無為むいかえは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