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兒 - 나무위키

최근 수정 시각:
2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96574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 (AS7524) ITEC Hankyu Hanshin Co.,Ltd.
토론역사
아이 아
부수
나머지 획수
, 6획
총 획수
8획
중학교
일본어 음독
ジ, (ニ)
일본어 훈독
こ, ちご, やや
표준 중국어
ér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아이 아'라는 한자로, '어린아이'를 뜻한다.

2. 상세[편집]

유니코드에선 U+5152에 배정되어 있다.

상형자에 속한다. 이 한자는 네이버 국어사전에 따르면 이는 젖니머리의 아직 열려 있는 을 표현한 모양이라고 한다.

わらわ과 같은 '아이'라는 뜻을 가진 한자이다.

대륙 표준중국어에서 글자 뒤에 붙어 앞 글자의 음절이 er로 끝나게 할 때가 있다. 이를 얼화()라고 한다.또한 这儿(여기), 儿(거기)의 예처럼 장소의 뜻을 첨가한다.

대륙과 달리 대만 표준중국어에서는 얼화를 선호하지 않는다. 앞서 말했던 这儿, 儿의 경우도 대만에서는 這裡, うら라고 많이 말하며 이쪽이 표준이다.

3. 용례[편집]

  • 건아(健兒けんじ)
  • 고아(孤兒こじ)
  • 기형아(畸形)
  • 남아(男兒だんじ)
  • 문제아(問題兒もんだいじ)
  • 미숙아(未熟みじゅく)
  • 미아(迷兒まいご)
    • 미아보호소(迷兒まいご保護ほごしょ)
  • 부랑아(浮浪ふろう)
  • 부적응아(適應てきおう)
  • 불량아(不良)
  • 불운아(不運)
  • 사생아(私生兒しせいじ)
  • 산아(産兒さんじ)
    • 산아제한(産兒さんじ制限せいげん), 산아조절(産兒さんじ調節ちょうせつ), 조산아(じょ産兒さんじ)
  • 소아(小兒しょうに)
    • 소아과(小兒科しょうにか), 소아마비(小兒しょうに痲痹), 소아암(小兒しょうにがん)
  • 신생아(新生兒しんせいじ)
  • 쌍생아(雙生兒そうせいじ)
  • 아녀자(兒女じじょ)
  • 아동(兒童じどう)
    • 결식아동(缺食けっしょく兒童じどう), 아동권리보장원(兒童じどう權利けんり保障ほしょういん), 아동노동(兒童じどう勞動), 아동문학(兒童じどう文學ぶんがく), 아동방(兒童じどうぼう), 아동복(兒童じどうふく), 아동복지법(兒童じどう福祉ふくしほう), 아동심리학(兒童じどう心理しんりがく), 아동학(兒童じどうがく), 아동 학대(兒童じどう 虐待ぎゃくたい)
  • 아명(めい)
  • 아해(孩)
  • 여아(女兒)
  • 영아(嬰兒えいじ)
  • 우량아(優良ゆうりょう)
  • 유랑아(流浪)
  • 유아(乳兒にゅうじ/幼兒ようじ)
    • 유아교육(幼兒ようじ敎育きょういく), 유아기(幼兒ようじ), 유아원(幼兒ようじえん)
  • 육아(育兒いくじ)
  • 입양아(にゅうやしなえ)
  • 저능아(低能ていのう)
  • 지진아(遲進兒ちしんじ)
  • 탁아소(託兒たくじしょ)
  • 태아(胎兒たいじ)
  • 패륜아(もとりん)
  • 풍운아(風雲兒ふううんじ)
  • 행운아(幸運こううん)
  • 남아수독오거서(男兒だんじ須讀車書) 남자는 모름지기 다섯 수레의 책을 읽어야 한다.
  • 돈아(豚兒とんじ) 자신의 아이를 낮춰 부르는 말
베이징 방언에서 단어 끝부분에 r 발음이 첨가되는 현상이 있는데, 이를 '얼화'(儿化)라고 부른다. 발음만 들어보면 거의 미국식 영어 er처럼 들리며 받침 ㄹ과 같은 권설음이다. 실제로 받침 ㄹ이 중국 현지인에겐 얼화로 들리는데 서울 발음을 shouer로 표기하는 것이 그 예.[4]

이 얼화를 의 간체자인 儿으로 표기하며, 마지막 음절의 끝 성모가 무엇이냐에 따라서 얼화 규칙이 달라진다. 얼화 규칙

고유명사에서는 얼화가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외래어에도 이 얼화를 사용하지 않는다.[5]

얼화는 관화 전체의 특징이라기보다는 관화의 일부인 베이징 방언(북경어)의 특징이라서, 관화 사용 지역이라도 지역에 따라 얼화의 출현 정도에는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같은 관화 사용자라도 베이징 사람들에게는 얼화가 매우 빈번하지만, 대만 사람들에게는 얼화가 매우 드물거나 없다.

중국 방송에서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에 자막이 달린다. 예능의 여러 연예인들이 얼화를 사용하지만 표준어가 아니므로 자막에는 얼화를 표시하지 않는다. 중국드라마에는 더빙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더빙에 얼화를 넣는 경우는 거의 없다.
CC-white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CC-white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 유의자[편집]

5. 상대자[편집]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1] 본명은 박소연.[2] 개명 전 이름은 손광민(まごこうみん).[3] 본명은 조보윤.[4] 일부 영어 r로 끝나는 발음에도 얼화가 들어간다.(예: Mir→迷尔) 주로 로 표기한다.[5] 위에 예시로 든 가고시마(간체자로 鹿しか儿岛로 표기)를 예로 들면 Lùrdǎo가 아니라 그냥 Lùérdǎo라 읽는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