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멱함수 - 나무위키

멱함수

최근 수정 시각: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96574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 (AS7524) ITEC Hankyu Hanshin Co.,Ltd.
토론역사
해석학·미적분학
Analysis · Calculus
[ 펼치기 · 접기 ]
실수와 복소수
극한·연속
다변수·벡터 미적분
미분방정식
측도론
공간
작용소
정리
이론
조화해석
관련 분야
기타

1. 개요[편집]

멱함수
べきはこかず / power function

mRm\in\R 일때 f(x)=xmf(x)=x^m인 함수를 말한다.

mm의 값과 상관없이 mm의 값이 커질수록 yy축과 가까워지고, 항상 (1,1)(1,1)을 지난다. 모든 함수가 x>1|x|>1일 때 값의 변화가 더 많이 일어난다. 몇 가지 경우를 보자면
  • mQm\in\mathbb Q (mm이 유리수인 경우)
    mm의 값에 상관없이 항상 공역이 생기지 않는다. 즉, 정의역과 치역은 모든 실수이다.
    • mZm\in\Z (mm정수인 경우)
      • mNm\in\N (mm자연수인 경우)
        mm의 값이 더 커질수록 x<1|x|<1일땐 변화가 더 적어지고 x>1|x|>1일 땐 변화가 더 커진다.
        • m2Zm\in2\Z (mm짝수인 경우)
          항상 xx의 절댓값이 커질수록 값도 커진다. 즉, (,0](-\infty,0]에서는 값이 감소하고 [0,)[0,\infty)에서는 값이 증가한다.
        • m2Zm\notin2\Z (mm홀수인 경우)
          mm이 짝수일 때와 다르게 xx의 값이 증가할수록 값도 커진다.
      • m=0m=0
        xx축과 평행한 직선이 된다.
      • mZm\in\Z^-(mm음의 정수인 경우)
        mm이 음수일 땐 아예 분수함수가 된다. 그래서 x=0x=0일 땐 정의되지 않는 등 분수함수의 성질을 띈다.
        • m2Zm\in2\Z (mm짝수인 경우)
          x|x|가 커질수록 값은 작아진다. 즉, (,0](-\infty,0]에서는 값이 증가하고 [0,)[0,\infty)에서는 값이 감소한다.
        • m2Zm\notin2\Z (mm홀수인 경우)
          mm이 짝수일 때와 다르게 xx의 값이 증가할수록 값도 작아진다. 구체적으로는 (,0](-\infty,0]에서는 값이 감소했다가 x>0x>0일 땐 값이 굉장히 커졌다가 다시 [0,)[0,\infty)에서는 값이 감소한다.
    • f(x)=amf(x)=\dfrac am (mm정수가 아닌 유리수인 경우)
      이럴 땐 무리함수가 되므로 무리함수의 성질을 띈다.
      • m2Zm\in2\Z (mm이 짝수인 경우)
        x<0x<0일 땐 정의되지 않는다. 그렇기에 치역 또한 [0,)[0,\infty)이다.
      • m2Zm\notin2\Z (mm이 홀수인 경우)
        mm이 짝수일 때와 다르게 정의역과 치역은 모든 유리수이다.
  • mIm\in\mathbb I (mm무리수인 경우)
    mm이 정수일 때와 비슷하나, 공역이 다음과 같은 차이가 생긴다.
    • x0x\ge0일 경우는 실함수이고, x<0x<0일 경우는 복소함수이다. 즉, 평면좌표에서 치역은 [0,)[0,\infty)이다.
    • m<0m<0일 경우, Re(f(x))\operatorname{Re}(f(x))(xx의 실수부)와 Im(f(x))\operatorname{Im}(f(x))(xx의 허수부)는 xx축에 대칭이다.

2. 특징[편집]

2.1. 멱 규칙[편집]

멱함수는 생긴게 단순해서 미적분도 일정한 법칙에 따라 가능하다.

2.1.1. 멱함수의 미분[편집]

ddxxn=nxn1\dfrac{\mathrm{d}}{\mathrm{d}x}x^n=nx^{n-1} (nZn\in\mathbb Z)

2.1.2. 멱함수의 적분[편집]

xndx=11{1}(n)1{1}(n)+n+1xn+1+1{1}(n)lnx+C\displaystyle \int x^n\,{\rm d}x=\dfrac{1-{\bold 1}_{\{-1\}}(n)}{{\bold 1}_{\{-1\}}(n)+n+1}x^{n+1}+{\bold 1}_{\{-1\}}(n)\ln |x|+C (nZn\in\mathbb Z)
1{1}(n){\bold 1}_{\{-1\}}(n)n=1n =-1일 때 1, 그 외에는 0을 띠는 지시함수, C{C}는 적분상수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