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무산선 - 나무위키

무산선

최근 수정 시각:
2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96574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 (AS7524) ITEC Hankyu Hanshin Co.,Ltd.
토론역사
분류
[ 펼치기 · 접기 ]
본선 철도
제1지선 철도
제2지선 철도
폐선된 철도
※ 비밀철도나 제3지선 철도, 일부 노선들은 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누락이 있을 수 있음.
무산선
茂山しげやません | Musan Line
노선 정보
분류
제1지선 철도
기점
종점
역 수
13개
개업
1927년 8월 20일 (함북선)
소유
운영
사용차량
불명
차량기지
불명
노선 제원
노선연장
57.9 ㎞
궤간
762 ㎜ (개궤 전)
1,435 ㎜ (개궤 후)
선로구성
사용전류
직류 3,000V 가공전차선
신호방식
최고속도
불명
표정속도
불명
통행방향
개통 연혁
1927.8.20. 고무산 ↔ 신참
1929.11.15. 신참 ↔ 무산

1. 개요2. 역사3. 기타4. 역 목록

1. 개요[편집]

고무산역무산역을 잇는 산업철도.

주 목적은 무산에서 생산되는 철을 수송하기 위한 것이며, 이 때문에 무산광산부터 고무산역에 이르기까지 거의 대부분의 구간이 복선전철화되어 있다(철송청년역부터 무산역까지는 단선).

산업 철도로서의 용도도 중요하지만, 하필 무산읍이 아예 중국에 붙어 있는 판이라서(그냥 두만강 바로 옆이다) 더욱 중요하다. 2011년 연말까지 중국에서 무산역으로 이어지는 철도를 놓기로 했는데, 목적은 당연히 무산의 철광이다. 덕분에 무역 중개 기지 및 철광으로써 무산의 중요도는 더욱 올라갈 전망이다. 결국 2012년 공사가 마무리되었다는 기사가 났다. 그러나 두만강을 건너는 구간은 협상중이다. 만약 철도가 이어지면 철광석의 수송뿐 아니라 청진항으로 가는 화물열차가 지나가는 역할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나 철의 수요가 단순히 중국뿐만이 아니라 저 아래쪽의 김책시 김책제철소(김책역 인근), 청진역 인근의 산업공단 등등 수요가 여러 모로 많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 괜히 북한에서 복선씩이나 해 준 게 아니다.

일단 전 구간 표준궤에 전철. 하필이면 백무선협궤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직접적인 연계는 되지 않는 상황이다. 만일 그게 가능했으면 혜산이나 길주 등도 꽤나 큰 공업도시로 성장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근데 아무리 협궤 좋아하는 일제였다지만 여기서 백무선을 놓은 일제를 까기는 좀 곤란한 게, 당시의 기술력으로 제대로 된 터널은 어림도 없었고 산간지방의 경사를 극복하는 건 협궤뿐이었다. 아니, 일단 백무선의 북계수역이 해발 1,715m로 가장 높다.

여하간 백무선이 광궤로 개궤되지 않았음에도 여러 모로 철광 하나 덕에 비싼 몸이 되신 노선 되겠다.

2. 역사[편집]

  • 1927년 8월 20일: 조선철도주식회사의 사철로 함북선이라는 명칭으로 고무산 - 신참 구간 개통
  • 1929년 11월 15일: 신참 - 무산 구간 개통
  • 1937년 2월 1일: 무산철산역 개업
  • 1940년 5월 1일: 전 구간 표준궤 개궤 완료
  • 1944년 4월 1일: 무산강안역 폐지, 전 노선 국유화 및 함북선에서 무산선으로 노선명 변경

3. 기타[편집]

무산선에는 무산이라는 지명이 여러 곳에 붙는데, 당연하게도 무산빼고는 해당 노선의 가치가 없기 때문이다. 더 놀라운 것은 무산으로 끝나는 곳만 고무산역, 폐무산역, 무산역으로 3곳이라는 점이다.

이렇게 된 이유는 무산의 위치가 2번이나 이동하면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세종 때 육진을 개척할 당시까지도 이곳에는 여전히 여진족이 살고 있어 조선의 행정력이 완전히 미치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1438년(세종 20) 인접지인 부령군 관내 지금의 고무산에 만호진을 두었으며, 1509년(중종 4) 그 서쪽 지금의 폐무산으로 진을 옮겨 첨사진(僉使鎭)으로 승격시켰다가, 1674년(현종 15)에 이르러 다시 지금의 군청 소재지인 삼봉평(三峯みつみねつぼ)에 진을 옮겨, 비로소 무산이라 한 것이다.[1]

4. 역 목록[편집]

기점거리
역간거리
역명
분기선
소재지
0.0
0.0
茂山しげやま
함경북도 부령군
4.2
4.2
西にし うえ
8.9
4.7
まい そで
14.5
5.5
はい茂山しげやま
18.9
4.4
くるま みね
22.6
3.7
きむ ぱい
함경북도 무산군
33.6
11.0
しん 站
39.4
5.8
西豊にしゆたかさん
45.7
6.3
しゅ くさ
-.-
-.-
-
50.5
-.-
てつまつ靑年せいねん
54.3
3.8
茂山しげやま鐵山てつざん
57.9
3.6
しげる やま


[1] 이 과정에서 고무산 지역은 6진인 부령에 가장 가깝기 때문에 진의 이동과는 관계없이 거주민이 가장 많았으므로 고(いにしえ)자를 추가해서 고무산이라고 지정했으며, 폐무산 지역도 그냥 포기할 수 없기에 폐무산진을 따로 만든것. 그래서 일반 지역 명칭엔 한자 뜻상 거의 붙지 않는 폐(はい)자가 붙게 된 것이다. 당연히 무산 지역은 최후로 무산진이 정착해서 그냥 무산이라고 지정했다.[2] 개업 당시 역명은 진화(Jinhwa / 珍貨ちんか).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