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보천선 - 나무위키

보천선

최근 수정 시각:
1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96574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 (AS7524) ITEC Hankyu Hanshin Co.,Ltd.
토론역사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본선 철도
제1지선 철도
제2지선 철도
폐선된 철도
※ 비밀철도나 제3지선 철도, 일부 노선들은 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누락이 있을 수 있음.
보천선
Pochŏn Line
노선 정보
분류
본선철도
기점
종점
역 수
8개
개업
1948년
폐지
1994년
노선 제원
노선연장
31.5 ㎞
궤간
762 ㎜
선로구성
사용전류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가림-보천)

1. 개요2. 역사3. 역 목록

1. 개요[편집]

삼지연선가림역에서 량강대평역을 잇던 철도.

원래 위연역에서 량강대평역까지로 백두림철선으로 건설되었는데 삼지연선이 건설되면서 남은 구간이 보천선이 되었다.

협궤로 건설된 탓에 경사가 매우 급하다.

남한의 철도역과 이름이 같은 역이 몇개 있다. 온수역도 있고 여수역(려수역, 한자가 같다.), 보천역도 있다.

종점은 보천군 대평로동자구이지만, 량강대평역이라고 불리는데 이것은 평남선대평역이 있기 때문이다. 평물역이라는 딴이름도 있으니 참고.[1]

그리고 종점에서는 최가령으로 가는 임산철도가 있다. [2]

2. 역사[편집]

1940년대 후반, 옛 삼지연선과 거의 같은 시기에 개통되었다.

1980년 8월 최북단에 동서횡단 간선을 신설하라는 김일성의 지시가 떨어지자 철도 기술진들은 건설 자재를 절약하기 위해 기존 노선의 일부를 최대한 활용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고, 만포회령을 동서로 연결하는 북부선 건설을 계획한다.

북부선 건설은 3단계로 나눠서 건설할 예정이었다.
  • 1단계: 옛 운봉선을 혜산까지 연장하여 1988년에 지금의 북부내륙선 준공
  • 2단계: 혜산역을 기점으로 무산선을 연장하여 무산역까지 연결
  • 3단계: 함북선의 회령역까지 선로 연장.

여기서 2단계 공사가 기존 노선의 일부를 최대한 활용하는 방안이었는데 백두산청년선의 혜산-위연 구간을 공유하는 것이었다.

게다가 2단계 계획에는 기존 협궤철도 4개 노선의 표준궤 개궤도 계획되어 있었는데,
  • 삼지연선의 위연-가림 구간
  • 보천선의 가림-보천 구간
  • 삼지연선의 나머지 구간 (리명수-못가)

일단 삼지연선 전 구간과 보천선의 가림-보천 구간을 개궤한 후, 백무선의 흥암-무산 구간까지 표준궤로 개궤할 예정이었다.

그 다음 보천-리명수, 못가-흥암 구간에 새로운 선로를 깔아 개궤된 구간을 전부 연결한다는 계획이었다.

여기서 2단계 계획이 착공되었으나 고난의 행군이 닥치면서 공사가 중단되었고, 설상가상으로 1994년 보천선 지역 일대에 대홍수가 닥치면서 같은 해에 폐선되고 만다.#

3. 역 목록[편집]

기점거리
역간거리
역명
분기선
소재지
0.0
0.0
けい はやし
3.3
3.3
ひろし てん
5.7
2.4
棍杖とく
10.2
4.5
內 きょく
15.6
5.4
ゆたか みず
20.9
5.3
だい 鎭
24.8
3.9
うらら みず
31.5
6.7
りょうこう大坪おおつぼ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