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금골선 - 나무위키

금골선

최근 수정 시각:
2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96574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 (AS7524) ITEC Hankyu Hanshin Co.,Ltd.
토론역사
분류
[ 펼치기 · 접기 ]
본선 철도
제1지선 철도
제2지선 철도
폐선된 철도
※ 비밀철도나 제3지선 철도, 일부 노선들은 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누락이 있을 수 있음.
1. 개요2. 상세3. 역 목록

1. 개요[편집]

attachment/금골선
평라선의 지선으로, 여해진역에서 단천 북부의 무학역에 이르는 철도. 83.4km

2. 상세[편집]

개통 당시에는 여룡선(なんじりゅうせん: 여해진~용양[1])으로 불리었다. 2020년 지금은 북한에서는 금골선이라 부르고, 대한민국에서는 함남선이라고도 부른다. 2001년 KEDO 경수로 지원 사업 때 북한에서 ‘함남선’ 시찰을 허용한 적이 있는데 그게 바로 이 금골선 시찰을 허용한 것.

일제강점기에 용양역(백금산역)까지 개통하였고, 북쪽에서 추가로 광산이 개발, 발전되면서 무학역까지 연장되었다. 연선 지역은 마그네사이트, 아연, 납등 여러 자원이 매우 풍부하다.[2] 허천선과 마찬가지로 부전령산맥 앞까지 다 왔기 때문에 더이상 연장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만약 연장을 하려면 똬리굴부터 시작해 상당한 난공사가 필요할 것이다. 백두산청년선과 잇는 방안도 있는데 그 사이가 산맥이고 터널로 뚫으면 10km나 된다. 대신 길주까지 우회해야 하는 기존 노선에 비해 혜산과 함흥 이남을 좀 더 빠르게 이어줄 수 있다는 점에서 검토대상이 되긴 할 듯.[3] 게다가 현재 백두산청년선이 통과하고 있는 길주역백암청년역 사이 구간은 풍계리 핵실험장 부근을 직접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방사능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 대체 노선을 지어야 할 수도 있는 상황상 충분히 건설 가능성이 있다. 물론 기존 금골선 구간의 개량도 필수적이다.

금골선은 여해진역에서 단천역 방향으로 연결된다. 길주역 방향으로 차를 돌리지 않고 가려면 두언선을 거쳐서 돌아가야 한다.

이 노선은 단천시 내부에서만 운행된다. 기점부터 종점까지 전부 단천시 안에서만 돌아다닌다. 따라서 북한에서 전 지역이 한 시군[4]내에 있는 노선중 가장 긴 철도이다. 거의 사실상 단천 지선철도라도 봐도 무방.

원래는 지선철도이니 거점역인 단천역에서 열차를 갈아타야 했지만, 현재는 평양-금골(きゅう검덕) 간에 직통열차가 다닌다.

수십년 뒤에 건설된 북한에서 지은 구간의 노반이 불량하다고 한다. [5] 금골선만의 문제는 아니고 북한 철도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문제이긴 하다.

3. 역 목록[편집]

km
역명
환승노선
비고
0.0
なんじ海津かいづ
기점
1.2
いずみ たに
5.5
畓 ほら
14.1
こう いずみ
구 용잠역(りゅう岑驛)
23.3
ひがし とく
구 함남광천역(咸南こういずみえき)
27.7
ひがし いわお
33.8
みず むら
36.7
신 평
しん つぼ
42.8
なし 坡
50.3
しんこしきやま
54.8
돈 산
구 함남운송역(咸南くもまつえき)
59.7
白金山しらかねやま
구 용양역(りゅうようえき)
63.4
きむ 골
66.3
신 덕
しん とく
68.9
대 신
だい しん
77.3
대 흥
だい きょう
83.4
무 학
まい づる
종점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