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견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견취(見取みとり, 산스크리트어: drstiparāmarśa)는 5견(), 즉 유신견(ゆう· 변집견(あたり· 사견(邪見じゃけん· 견취(見取みとり· 계금취(戒禁)의 5가지 염오견(しみけがれ) 중 하나로, 그릇된 견해를 올바른 것이라고 집착하는 것, 즉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등을 일으킨 후 이를 고집하여 진실하고 뛰어난 견해라고 집착하는 것을 말한다. 견취견(見取みとり)이라고도 한다.[1][2][3][4][5][6]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 견취(見取みとり)는 5취온(蘊)을 등수관(とうずいかん)하여 (さい: 최고의 것) · (かち: 뛰어난 것) · (うえ: 으뜸인 것) 혹은 (きょく: 지극한 것)이라고 집착하는 마음작용들과, 또한 이러한 마음작용들로 인해 일으켜진 (にん· (らく· (とし· (かん· ()을 통칭한다.[7][8]

아비달마구사론》에 따르면 견취는 저열한 것[れつ] 즉 무루성혜[きよし] 또는 성도[きよし]에 의해 끊어지는 유루(ゆう)를 뛰어난 것[かち] 즉 무루()라고 여기는 것이다. 그리고 엄밀히 말하면 견등취(とう) 즉 '견해(즉, 악견)와 같은 부류의 것들을 뛰어난 것이라고 여기는 것'이라고 하는 것이 정확한 명칭이 되지만 '~와 같은 부류의 것들'이라는 말을 생략하고 견취라고 이름한 것이다.[9][10]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2권. p. T29n1558_p0010c03 - T29n1558_p0010c16. 8견(はち)
    "頌曰。
      法界ほうかいいちふん  はちしゅせつめい
      五識ごしき俱生とし  ゆえ
      しょくどうぶん  かれのう
      傳說でんせつ不能ふのうかん  かれさわ諸色しょしきゆえ
    ろん曰。ぜん法界ほうかいいちふんはちしゅみな何等なんらためはちいいとうしみ污見。世間せけんせいゆうがくせい無學むがくせい。於法かいちゅう此八ところあまりとう五隨眠品中時至當說。世間せけんせいいい意識いしき相應そうおうぜんゆうとしゆうがくせいいいゆうがく身中しんちゅうしょみる無學むがくせいいい無學むがく身中しんちゅうしょみるたとえ如夜ぶんひる分有ぶんゆうくもくも睹眾しょくぞうあきら昧有こと如是にょぜ世間せけん諸見しょみゆうしみしみがく無學むがく觀察かんさつ法相ほうしょうあきら昧不どう。"
  2.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2권. p. 84-86 / 1397. 8견(はち)
    "게송으로 말하겠다.
      안계와, 법계의 일부인
      여덟 가지를 설하여 '견()'이라 이름하며
      5식과 함께 생기하는 혜(とし)는
      비견()이니, 판단[]하지 않기 때문이다.
      法界ほうかいいちふん はちしゅせつめい
      五識ごしき俱生とし ゆえ

      색을 보는 것은 동분의 안근으로
      그것을 의지처로 삼는 식(識)이 아니니
      전설에 의하면, 은폐된 온갖 색을
      능히 볼 수 없기 때문이다.
      しょくどうぶん かれのう
      傳說でんせつ不能ふのうかん さわ諸色しょしきゆえ
    논하여 말하겠다. 안근은 모두 바로 '견()'이며, 법계의 일부분인 여덟 가지 종류도 '견'이다. 그리고 그 밖의 것은 모두 비견()이다. 어떠한 것이 여덟 가지인가? 이를테면 유신견(ゆう) 등의 다섯 가지 염오견(しみけがれ)과 세간의 정견(せい)과 유학(ゆうがく : 무루지를 성취한 성자)의 정견과 무학(無學むがく : 성도를 모두 성취한 성자, 즉 아라한)의 정견이니, 법계 가운데 바로 이러한 여덟 가지가 '견'이며, 그 밖의 법계와 나머지 16계는 모두 비견이다. 여기서 다섯 가지 염오견의 상에 대해서는 마땅히 「수면품(ずいねむりひん)」 중에서 설하게 될 것이다.76) 그리고 세간의 정견이란, 이를테면 의식상응의 선인 유루의 뛰어난 혜(とし)를 말한다. 유학의 정견이란, 이를테면 유학의 소의신 중의 온갖 무루의 견을 말한다. 무학의 정견이란, 이를테면 무학의 소의신 중의 온갖 무루의 견을 말한다. 이를 비유하자면 한밤중과 한 낮과 구름이 끼었을 때와 구름이 없을 때에 온갖 색상(いろぞう)을 관찰하면 밝고 어둠의 차이가 있듯이, 이와 마찬가지로 세간의 온갖 '견'으로서 염오함이 있거나 염오함이 없는 것과, 유학의 견과 무학의 견, 그 같은 온갖 견의 법상(法相ほうしょう)을 관찰하면 그 밝고 어둠이 동일하지 않은 것이다.77)
    76) 유신견 등의 5견이란 유신견(또는 薩迦耶見, 소의신을 실유라고 집착하는 견해), 변집견(あたり, だん·つね 두 극단에 집착하는 견해), 사견(邪見じゃけん, 인과의 도리를 부정하는 견해), 견취(見取みとり, 그릇된 견해를 올바른 것이라고 집착하는 것), 계금취(戒禁, 그릇된 계행을 올바른 것이라고 집착하는 것)를 말하는 것으로, 본론 권제19(p.867)이하에서 상론한다.
    77) 즉 다섯 가지 염오견은 유루이면서 번뇌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구름(번뇌)이 낀 한밤(유루) 중에 색상을 관찰하는 것과 같고, 세간의 정견은 유루이지만 번뇌가 없기 때문에 구름이 끼지 않은 한밤 중에 색상을 관찰하는 것과 같다. 또한 유학의 정견은 무루지를 획득하였으나 번뇌가 아직 남아 있기 때문에 구름이 낀 한 낮에 색상을 관찰하는 것과 같고, 무학의 정견은 더 이상 번뇌가 없기 때문에 구름이 끼지 않은 한낮에 색상을 관찰하는 것과 같다는 것이다."
  3. 星雲せいうん, "".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
  4. 星雲せいうん, "あく".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
  5. 운허, "見取みとり(견취견)".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
  6. 星雲せいうん, "見取みとり".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
  7.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3권. p. T26n1542_p0700c06 - T26n1542_p0700c08. 견취(見取みとり)
    "見取みとりうんなにいい於五蘊等。ずいかんためさいためしょうためじょうためごくよし此起にんらくとしかんめい見取みとり。"
  8.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3권. p. 48 / 448. 견취(見取みとり)
    "견취(見取みとり)는 무엇인가? 5취온에 대하여 함께 따라 관하되 최고라고 고집하고 수승하다고 고집하며, 으뜸이라고 고집하고 지극하다고 고집하여 이로 말미암아 인·낙·혜·관·견을 일으키나니, 이것을 이름하여 ‘견취’라 한다."
  9.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19권. p. T29n1558_p0100a18 - T29n1558_p0100a20. 견취(見取みとり)
    "於劣いいかちめいため見取みとりゆうめいれつひじりしょだんゆえれつためしょうそうめい見取みとりじつおう立見たちみとうめいほぼとうげんただしめい見取みとり。"
  10.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19권. p. 869 / 1397. 견취(見取みとり)
    "또한 저열한 것에 대해 수승하다고 하는 것을 일컬어 견취(見取みとり, dṛṣṭi-paramarsa)라고 한다. 여기서 '저열한 것'이란 유루를 일컫는 말로서, 성도에 의해 끊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저열한 것에 집착하여 수승하다고 하는 것을 모두 일컬어 '견취'라 한다고 하였으므로, 이치상으로 볼 때 '견등취(とう)' 즉 '견해 따위를 [수승하다고] 취하는 것'이라고 하는 명칭을 설정해야 하겠지만, '따위'라고 하는 말을 생략하고 단지 '견취'라고만 이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