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도굴산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도굴산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굴산문, 도굴산파, 사굴산문(闍崛山門さんもん) 또는 사굴산파(闍崛や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다.[1][2] 범일(梵日)국사가 문성왕 8년(846)에 개산하였으며 9산 중에 가장 번창하였다. 그 옛자리는 현재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에 있다.[3]

개산조 범일은 품일(しな)이라고 하며 양산사(山寺やまでら) 지증비(さとししょう)에는 고산일(やま)이라고 되어 있다.[3] 속성은 김씨이며 구림인(ばとりんじん)이다.[3] 헌덕왕 2년(810)에 출생하여 15세에 출가, 입당하여 염관제안에 사법하여 문성왕 8년(846)에 귀국하였다.[3] 그 뒤 계속 굴산사에 주석하여 경문왕 · 헌강왕 · 정강왕의 3왕으로부터 존숭을 받았다.[3]

범일의 문하에 개청(ひらくきよし· 행적(くだりさび) 등 소위 10대 제자들이 사굴산파를 선양하였다.[3] 개청의 제자는 신경(神鏡しんきょう· 총정 · 월효 · 환언(奐言) · 혜여(めぐみ如) · 명연(あきらしか· 홍림(ひろし琳) 등 수백인이 문풍을 유지 상승하였다.[3] 사굴산 행적의 문하에도 신종(しんむね· 주해(しゅうかい· 임엄(はやしげん· 양경(ゆずるけい) 등 500여 명의 제자가 종파를 전승하였다.[3] 양경은 신라 헌강왕의 외숙으로, 그는 행적의 뒤를 이어 건성원(いぬいきよしいん)에 종풍을 선양하였다.[3]양경이 태백산에 백월비(しろがつ)를 세운 지 160년이 지난 뒤 굴산문에 유명한 종장이 나왔는데 광명사(廣明こうめいてら)에 있었던 혜조이다.[3]

혜조는 입송(にゅうそう)하여 정인(きよしよし)선사에 법을 얻어 귀국하여 사굴산 종풍을 빛내다가 순천 계족산정혜사(ていとしてら)를 세웠다.[3] 문하에 지인(これしるし· 탄연(ひろししか· 영보(えいはじめ· 이자현(げん) 등 수백인의 명승이 나와 사굴산을 빛낸다.[3] 특히 불일보조(ふつにちひろしあきら)가 사굴산파에서 나와 조계 9산의 중흥조가 되었다.[3]

보조팔공산 정혜사(ていとししゃ)를 신종(かみはじめ) 3년(1200)에 송광산 길상사(吉祥寺きちじょうじ)로 옮겼으며, 희종(熙宗) 원년(1205) 송광사의 중창공사가 이룩되어 120일간의 경찬법회를 베풀고 희종의 명에 의하여 송광산 정혜사조계산 수선사(曹溪やまおさむぜんしゃ)로 개칭되어 조계종 굴산파의 제2 본산이 되었다.[3]

각주[편집]

참고 문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