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과학 : 네이버 지식백과
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학생백과 과학 11,906건
  • 덴마크어로 ‘그뢴란(Grønland)’이라고 하는 그린란드의 인구는 약 5만 명, 행정 중심지는 누크이고 전 국토의 약 85%가 빙상으로 덮여 있다. 빙상의 높이는 내륙부로 들어가면서 점차 높아져 최고점은 3,300m에 달한다. 섬의 날씨는 빙하 지역에서 뿜어 나오는 차가운 공기로 언제나 서늘하다. 이곳에서는 영상 5~10℃까지는 따스한 기온이고, 영하 10℃는 그저 쾌적한 온도로 통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린란드라고 하면 얼음과 추위 그리고 어두움을 연상한다. 하지만 혹독한 추위는 그렇더라도 어두움의 경우는 잘못된 고정관념이다. 어두움이 전 지역을 오랫동안 지배하는 경우도 있지만, 여름철에는 약 3개월 동안 태양이 지지 않는 곳도 있기 때문이다. 그린란드의 기후는 꽤나 예측하기 힘들다. 각 지역마다 다르기도 하지만 갑자기 변하는 날씨는 기상대라고 해도 예측하기 힘들 정도다. 따라서 날씨에 관한 정보는 원주민에게 물어보는 것이 상책이다. 이렇게 불리한 기후 조건에도...

  • 척추 중 흉추와 천골 사이의 부분으로 허리등뼈라고도 한다. 사람은 5개의 추골(椎骨ついこつ:망치뼈)로 되어 있다. 요추는 늑골이 퇴화하여 추골에 유착되어 있으므로 이것을 늑골돌기라고 하나, 흉추의 횡돌기와 비슷하게 보여 횡돌기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허리등뼈라고도 한다. 사람은 5개의 추골(椎骨ついこつ:망치뼈)로 되어 있다. 요추는 늑골이 퇴화하여 추골에 유착되어 있으므로 이것을 늑골돌기(肋骨あばらぼね突起とっき)라고 하나, 이것이 흉추의 횡돌기와 비슷하게 보이므로 횡돌기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본래의 횡돌기는 부돌기(ふく突起とっき)라 하여 늑골돌기의 밑동에 조그만하게 붙어 있다. 유두돌기(乳頭にゅうとう突起とっき)라는 근육이 부착하기 위한 돌기가 발달되어 있는 것도 요추의 특징이다.

  • 소장의 일부로 위의 유문에서 공장에 이르는 말굽 모양의 부위. 손가락 12개를 옆으로 늘어놓은 길이가 된다고 하여 이 이름이 붙었으나, 실제는 그보다 길다. 제1요추의 우측 높이에서 시작되어 오른쪽으로 말발굽 모양으로 만곡한다. 이 만곡부를 십이지장곡(十二指腸じゅうにしちょうきょく)이라고 한다. 또, 십이지장이 시작되는 3cm 이내의 부분을 특히 십이지장구부(十二指腸じゅうにしちょうだま)라고 하는데, 궤양이 일어나기 쉬운 부위이다. 십이지장곡의 아래쪽에서는 총담관(そうきもかん)과 이자관이 십이지장 안으로 개구하여 있다. 이 개구부는 점막면에 원형으로 융기하여 있으므로 대십이지장유두(だい十二指腸じゅうにしちょう乳頭にゅうとう)라고 한다. 이 두 관은 합동으로 개구하거나 따로따로 개구한다. 십이지장 내강(內腔)의 점막면에는 다수의 고리 모양의 주름이 있다. 이 주름의 표면에는 길이 0.5∼1.5mm의 장융모(ちょう絨毛じゅうもう)가 밀생하여 있다. 십이지장의 위쪽 3분의 1의 점막조직 속에는 십이지장선(十二指腸じゅうにしちょうせん)이 있는데 여기에서 분비물을...

  • 독일 태생의 이론물리학자. 광양자설, 브라운운동의 이론, 특수상대성이론을 연구하여 1905년 발표하였으며, 1916년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하였다. 미국의 원자폭탄 연구인 맨해튼계획의 시초를 이루었으며, 통일장이론을 더욱 발전시켰다. 1879년 3월 14일 독일 바덴 뷔르템베르크 주의 울름에서 유대인으로 출생했다. 그의 아버지는 평범한 사업가였으며 가족들은 유대교 의식에 얽매이지 않았다. 어린시절 판에 박힌 학습과 교육방식을 경멸하여 무례한 행동이 잦았다고 전해진다. 청소년기에 수학과 물리학에 취미를 가졌고 아라우(Aarau)에 있는 주립학교로 진학하여 과학수업에 심취했다. 이 시기를 그의 일생에서 가장 잊지 못할 인상을 남겼다고 회고했다. 취리히 연방공과대학에 낙방하였다가 재수를 하여 물리학과에 입학하였다. 대학에서는 고전 물리학에 염증을 느끼고 루드비히 볼츠만, 구스타프 키르히호프 등 이론 물리학자들의 저서를 탐독하며 혼자서...

  • 7개의 등골뼈로 된 척추의 맨 윗부분. 목등뼈, 목뼈라고도 한다. 머리뼈와 등뼈 사이에 있는데, 모양이 대부분 작고 납작하며, 가로로 난 횡돌기에 척추동맥(제7경추 제외)·정맥·교감신경총이 지나가는 구멍이 있다. 환추와 축추는 생김새가 달라 비전형적 경추라고 하며, 제3경추부터 제7경추까지는 모양이 비슷하여 전형적 경추라고 한다. 제1경추 또는 환추(たまきしい)는 둥근 모양으로서 두개골을 받치는 관절면이 있으며, 추체와 극돌기가 없다. 제2경추는 축추(じくしい)라고 하며, 추체에서 위로 솟아오른 치돌기가 있는데, 이것은 목의 회전을 돕는 것으로서 환추의 추체 가운데에서 생긴다. 환추와 축추에서는 회전운동이 많이 일어난다. 제3경추에서 제6경추까지 작고 넓은 추체와 삼각형의 추공이 있으며, 끝이 둘로 갈라진 극돌기가 있다. 제7경추는 융추(たかししい)라고도 하며, 길고 끝이 갈라지지 않은 극돌기가 있다. 경추 속에 있는 척수강으로는 뇌에서 사지로 전달하는 운동신경, 사지와 몸통 각...

  • 물질간의 전자 이동으로 산화와 환원 반응이 동시에 일어난다. 전자를 잃은 쪽은 산화수가 증가하고 산화되며, 전자를 얻은 쪽은 산화수가 줄어들고 환원된다. 이 때 잃은 전자수와 얻은 전자수는 항상 같다. 반응물 간의 전자 이동으로 일어나는 반응으로 산화와 환원이 동시에 일어난다. 전자를 잃은 쪽을 산화되었다고 하고 전자를 얻은 쪽을 환원되었다고 한다. 이때, 잃은 전자수와 얻은 전자수는 항상 같다.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날 때 산화수의 변화가 일어난다. 산화수란 일반적으로 이온으로 되었을 때 전하량이다. 이온의 종류가 두 개 이상인 철과 같은 원자의 경우에는 공유결합을 이루는 전자가 전기음성도가 더 큰 원자에 속해있다고 했을 때의 전하량을 생각하면 된다. 홑원소물질과 중성화합물의 산화수는 0, 이온의 산화수는 이온의 전하량, 산소원자의 경우에는 보통 -2, 과산화물에서는 -1이고 수소원자의 경우 보통 +1, 금속화합물에서는 -1이다. 산화수를 계산할 때에는...

  • 북극해 연안의 동토지대로서 삼림한계보다 북쪽의 극지에 해당한다. 지의류, 선태류 등이 있고, 방동사니 등의 초본, 버드나무류 등의 낮은 나무가 혼재한다. 남반구의 삼림생육한계 이남의 툰드라와 비슷한 초원을 남극툰드라라고 부른다. 최고온의 달이 10℃ 이하이고, 식물의 생육기간이 60일 이하로 짧고 제한된 요인에 의하여 큰 나무가 자라지 못하는 곳, 즉 삼림한계보다도 북쪽의 극지(極地きょくち)에 해당한다. 주로 지의류(地衣ちいるい)·선태류(蘚苔せんたいるい) 등이 무성하고, 방동사니 등의 초본(草本そうほん), 버드나무류 등의 왜성(矮性わいせい)의 낮은 나무가 혼재한다. 그들 식물은 지표가 녹아서 습지를 이루는 불과 2개월 동안에 자란다. 낮은 구릉으로 배수가 잘 되는 땅에는 시로미·누운향나무 등이 자란다. 이들 식물은 순록의 사료가 된다. 유럽에서 시베리아 북서부에 걸친 사모예드족(ぞく), 시베리아 북동부의 추코트·코랴크족, 알래스카의 에스키모족 등의 주민은 툰드라에서 순록을 방목한다. 매년 자라는...

  • 자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생체의 임의의 단층상을 얻을 수 있는 첨단의학기계, 또는 그 기계로 만든 영상법. 1970년대 후반부터 영국의 에버딘대학과 노팅엄대학에서 연구 개발하여 응용하기 시작하였다. 개발 초기에는 ‘NMR-CT’라고 했으나 지금은 MRI가 국제적인 공식용어이다. 한국에서는 1986년에 영구자석을 이용한 0.15T 상전도형이 개발되어 시험적으로 사용되었다. 그후 1988년 서울대학병원 진단방사선과에 2.0T 초전도형 MRI가 설치되면서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MRI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원자핵은 평소에는 회전운동을 하고 있으나 일단 강한 자기장에 놓이면 세차운동이 일어난다. 이 세차운동의 속도는 자기장의 세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자기장이 셀수록 빨라진다. 이렇게 자화되어 있는 원자핵에 고주파를 가하면 고에너지 상태가 되었다가, 다시 고주파를 끊으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간다. 이때 방출되는 에너지는 가했던 고주파와...

  • 간에서 분비된 쓸개즙을 저장하는 주머니. 담낭(きも囊)이라고도 한다. 가지 모양을 하고 간 아랫면의 담낭와(きも囊窩)에 끼여 있다. 쓸개의 넓은 밑부분은 전하방(ぜん下方かほう)을 향하고, 제9~10늑연골(あばら軟骨なんこつ) 아래쪽에서 간 앞 가장자리로부터 튀어나와 있다. 쓸개 밑의 뒤쪽은 담낭체에서 담낭경(きも囊頸)으로 이행하고, 거기서부터 생기는 담낭관은 문맥(もんみゃく)에서 꼬부라져 간으로부터 나온 총간관(そうきもかん)이 되고, 간십이지장 간막을 지나 십이지장 하행부의 뒤 내측벽에서 이자관과 합쳐져서 대십이지장 유두로 열려 있다. 쓸개의 윗면은 간 아랫면과 결합조직에 의해 붙어 있지만, 쓸개 아랫면은 복막으로 감싸여 있다. 쓸개의 크기는 보통 길이 6.8cm, 너비 3.8cm, 부피 70cm3이다. 쓸개즙은 하루에 1,000cc 이상 분비되지만 쓸개 속에서 50∼60cc로 농축된다. 쓸개관의 길이는 2.8cm, 총담관은 6.7cm이다. 쓸개 내면의 점막은 가로 세로 방향의 가느다란 주름이 자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 상배부에 있는 삼각형의 큰 근육으로 후두부 ·경부 ·배면정중부에서 시작하여 외측으로 모여서 빗장뼈와 어깨뼈에 붙어 있다. 어깨를 후방으로 끌어당기는 작용을 한다. 후두부·경부(頸部)·배면정중부(背面はいめんせい中部ちゅうぶ)에서 시작하여 외측으로 모여서 빗장뼈와 어깨뼈에 붙어 있다. 좌우의 승모근을 합치면 부등변사변형(等邊とうへんよんへんがた)이 되어 가톨릭교의 카푸친회의 수도사가 쓰는 기다란 두건인 카푸친(capuchin)과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어깨를 후방으로 끌어당기는 작용을 한다.

  • 무선인식이라고도 하며, 반도체 칩이 내장된 태그, 라벨, 카드 등의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읽어내는 인식시스템이다. RFID 태그는 전원을 필요로 하는 능동형(Active 형)과 리더기의 전자기장에 의해 작동되는 수동형(Passive 형)으로 나눌 수 있다.

  • 항성진화의 마지막 단계에 이른 별이 폭발하면서 생기는 엄청난 에너지를 순간적으로 방출하여 그 밝기가 평소의 수억 배에 이르렀다가 서서히 낮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별의 일생 가운데 갑작스런 죽음의 단계를 일컫는다. 새로운 별이 생겼다가 사라지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초신성이라고 한다. 초신성이 폭발로 인해 분출하는 운동에너지는 1051 erg 정도이며, 전에너지 방출은 1053 erg에 달한다. 폭발한 후 처음 몇 주 동안은 절대등급이 -19에서-20등급에 이르는데, 이는 은하를 구성하는 약 10억 개의 별들의 밝기를 모두 합한 것과 비슷하다. 초신성으로부터 나오는 대부분의 에너지는 중성미자(neutrino)의 형태로 나오며, 운동에너지는 주로 20,000km/s 이상의 속도로 우주공간 속으로 흩어지는 폭발 잔해물에 의해 나온다. 폭발로 인한 충격파와 폭발 후 찌꺼기들은 초신성의 잔해물들을 만드는데, 게성운(Crab Nebula)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초신성의 중심에는...

  • 동물분류학상의 한 문으로 선구동물의 진체강동물 중 열체강동물에 속한다. 동물계의 여러 문 중에서 가장 많은 종을 포함하는데, 여기에는 흔히 보는 곤충류·거미류, 게·새우류, 지네류가 있고, 현재까지 약 90만 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 두부에는 몇 개의 홑눈[單眼たんがん], 1쌍의 겹눈[複眼ふくがん] 또는 홑눈의 모임인 모듬눈[あつまり]이 있다. 두부에 1쌍(곤충) 또는 2쌍(새우류)의 더듬이를 가지는 것도 있고, 더듬이를 전혀 가지지 않은 것(거미류)도 있다. 중추신경계로 머리에 뇌가 있고, 뇌는 식도 주위를 둘러싸는 신경환에 연결되며, 이것은 배쪽에 있는 여러 쌍의 신경절사슬에 이어진다. 흔히 신경절은 몇 개가 하나로 합쳐 뇌를 이루고 또 가슴의 신경구를 만든다. 소화계는 곧게 달리며 입·구강·인두·위·장·항문으로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나 간혹 항문이 없는 것도 있다. 입은 부속지가 변하여 된 구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식성은 매우 다양하여 식성에 따른 변이성이 크다. 개방혈관계를 가지며, 심장은...

  • 성장호르몬이 과도하게 나와서 키가 비정상적으로 크게 자라는 병. 뼈에서 길이 생장을 담당하는 성장판이 닫히기 전에 성장호르몬이 많이 나와 키가 자라는 병을 거인증이라고 한다. 키가 완전히 자랐을 때 총 신장은 2m 이상이 된다. 뼈의 기능은 정상이지만 상대적으로 근육의 힘은 약하기 때문에 심혈관계 질환과 근골격계 질환 등을 앓을 수도 있다. 반면 성장판이 닫힌 뒤 성장호르몬이 많이 나오면 말단거대증이 된다. 거인증은 보통 성장호르몬이 나오는 부분인 뇌하수체에 종양이 생기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 경우 뇌하수체에 생긴 종양을 외과적으로 절제하거나 방사선을 쬐여 종양을 없애는 방법으로 치료한다.

  • [어떤 것이 산성이고, 어떤 것이 알칼리성인가] '오리 고기는 몸에 좋은 알칼리성 식품입니다.' 오리 고기를 파는 가게에 붙어 있는 홍보용 문구이다. 이처럼 우리는 생활 속에서 '산성'이나 '알칼리성'이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그런데 이 말이 무엇을 뜻하는지 잘 알고 쓰는 사람은 아주 드물다. 도대체 산성과 알칼리성은 무얼 뜻하는 걸까? 그리고 왜 산성은 몸에 나쁘고 알칼리성은 몸에 좋을까? 우리는 귤과 같은 과일이나 식초와 같은 물질이 '산성'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것을 알 수 있는 것은 '신맛' 때문이다. 대부분의 과일은 이러한 신맛이 있으며, 산성을 띤다. 그러면 알칼리성이 몸에 좋고 산성은 좋지 않다고 했으니까, 그럼 과일도 몸에 좋지 않을까? 놀라지 말라! 과일은 산성 식품이 아니라 알칼리성 식품이다. 우리가 먹는 식품을 산성과 알칼리성으로 구분하는 기준은 일반적으로 물질을 산성과 알칼리성으로 구분하는 것과는 조금 다르다. 이때는 식품 자체가 가지고 있는 성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