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승
안승
| |
---|---|
보덕국의 제1대 국왕 | |
재위 | 674년~683년 |
대관식 | 보덕왕( |
전임 | 초임 |
후임 | 미상 |
이름 | |
휘 | 안승( |
이칭 | 안순( |
별호 | 미상 |
묘호 | 미상 |
시호 | 미상 |
연호 | 미상 |
신상정보 | |
출생일 | 미상 |
출생지 | 미상 |
사망일 | 미상 |
사망지 | 미상 |
국적 | 고구려( |
종교 | 미상 |
묘소 | 미상 |
안승(
생애
[편집]생애 초반
[편집]안승의 생년월일은 미상이며 출신과 성씨도 미상이다. 안승의 출신에 대해서,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는 보장왕의 서자(
고구려 부흥운동
[편집]668년, 고구려가 신라와 당나라의 연합군에게 멸망당한 뒤, 안승은 사야도(
670년 검모잠이 사야도에 있던 안승을 한성으로 맞아들여 왕으로 추대하고 고구려 부흥군을 일으켰다. 그 후 고구려 부흥군은 소형(
신라 귀족으로의 편입
[편집]670년 문무왕은 신라에 투항한 안승을 고구려왕으로 봉했다가, 674년(문무왕 14년) 안승의 집단을 금마저(전라북도 익산시) 일대에 안치시키고, 안승을 보덕왕(
679년 신라군의 선봉에서 나당전쟁에 참전하여 당군을 격퇴하였다. 680년 (문무왕 20년) 3월 금·은으로 만든 그릇과 여러 가지 채색 비단 100단을 보덕왕에게 내리고 문무왕의 조카딸을 아내로 삼게 하였다.[10]
683년(신문왕 3년) 10월 신문왕으로부터 소판(
683년 안승이 신라 귀족으로 편입된 데에 불만을 품은 대문(
평가
[편집]안승에 대한 후대 평가는 사료 부족으로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그가 수많은 고구려 유민들을 신라 땅에 정착시킴으로써 신라가 고구려 문화와 의식을 흡수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안승이 신라의 삼국통일을 도와 큰 공을 세움으로써 고구려 유민들이 신라에 편입되었을 때, 공신급인 6두품의 지위로 확정하게 하여 사실상 신라의 진골, 6두품 세력과 대등한 입장에 서게 한 인물로 평가된다.
이 부분은 몰락한 가야계 진골 출신인 김무력과 김유신의 성장 과정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5두품으로 격하된 백제계와는 상반된 것으로, 이는 통일신라 200년간 한번도 신라 내에서 고구려계의 지위가 6두품 아래로 격하되지 않은 것만으로도 알 수 있다. 이는 안승이 현실적인 외교 감각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형성된 고구려계 신라 귀족은 황해도(패서)및 개성 지역의 고구려계 유민들과 함께 훗날 왕건이 고구려를 계승하는 고려를 세우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
가계
[편집]보장왕의 아들(서자) 설
[편집]연정토의 아들 설
[편집]기타 친족
[편집]- 조카(아들이라는 설도 있음.) : 대문(
大 文 )
안승이 등장한 작품
[편집]같이 보기
[편집]주해
[편집]각주
[편집]- ↑ 안승 - 두산백과
- ↑ 안승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 안승 - 문화원형백과
-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안승 《인명사전》. 민중서관
- ↑ 이병도, 《국역 삼국사기》 6판, 을유문화사, 1986, 103쪽 주6
- ↑ 《삼국사기》 권제6 신라본기 제6 문무왕 10년(670)
- ↑ 가 나 노태돈, 안승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 보덕국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 《삼국사기》 권제7 신라본기 제7 문무왕 20년(680)
- ↑ 《삼국사기》 권제8 신라본기 제8 신문왕 3년(683)
- ↑ 《삼국사기》 권제8 신라본기 제8 신문왕 4년(684)
전 대 보장왕 |
고구려 부흥운동 지도자 669년 ~ 670년 |
후 대 신라의 보덕국왕 책봉 |
전임 고구려 보장왕 |
고구려 부흥운동 지도자 670년 ~ 683년 |
후임 걸걸중상 걸사비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