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인왕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인왕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왕경(仁王におうけい)》은 동일한 원본의 두 가지 한역 경전인 《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佛說ぶっせつ仁王におう般若はんにゃ波羅蜜はらみつけい)》(K.19, T.245)와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仁王におう護國ごこく般若はんにゃ波羅蜜はらみつけい)》(K.1340, T.246)의 약칭이다. 또한 두 경전은 모두 《인왕반야경(仁王におう般若はんにゃけい)》 또는 《인왕호국경(仁王におう護國ごこくけい)》이라고도 약칭한다. 전자는 후진(しん) 시대에 구마라습(鸠摩罗什: 344~413)이 번역한 것이며 하며 후자는 당나라 시대인 765년에 불공(不空ふくう: 705~774)이 번역한 것이다.[1][2] 두 경전은 번역 용어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내용상으로는 차이가 없다.[3]

16대국 가운데 사위국(しゃまもるこく, 산스크리트어: Srāvastī, 팔리어: Sāvatthī)의 왕인 바사닉왕(なみ斯匿おう, 산스크리트어: Prasenajit, 팔리어: Pasenadi)이 16대국의 왕들이 자신들이 다스리고 있는 나라를 보호하고 편안케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지를 여러 거사고타마 붓다직제자들과 보살들에게 묻고 다녔는데 아무도 답을 하지 못하고, 마침내 고타마 붓다가 그 물음에 답하여 설법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타마 붓다바사닉왕호국에 대한 물음에 바로 답하지 않고 먼저 보살들 즉 대승불교의 수행자를 위하여 불과(佛果ぶっか)를 수호하는 인연(因緣いんねん) 즉 직접적 · 간접적 원인과 10지(じゅう)를 원만히 성취하는 인연에 대해 설한다.[4][5] 그런 후 16대국의 왕들이 그 나라를 보호하고 편안게 하기 위해서는 반야바라밀을 수지(受持うけもち)하여야 한다고 설하고 있다.[1]

《인왕경》에서 고타마 붓다반야바라밀을 수지(受持うけもち)하는 것 즉 반야바라밀닦는 것이란 복인(ふくにん· 신인(しんにん· 순인(じゅんにん· 무생인(なまにん· 적멸인(寂滅じゃくめつにん)의 5인(にん)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6][7][8][9] 5인10신 · 10주 · 10행 · 10회향 · 10지 · 묘각51위보살 수행계위 또는 10신 · 10주 · 10행 · 10회향 · 10지 · 등각 · 묘각52위보살 수행계위에서 최초의 10신을 제외한 나머지 상위의 41위 또는 42위(즉 42현성)를 (にん) 즉 지혜의 측면에서 5가지 그룹으로 재분류한 것이다. 그리고 적멸인51위에서는 제10지묘각에,[10][11] 52위에서는 제10지 · 등각 · 묘각에 해당한다.[12][13]

전통적으로 《인왕경》은 《법화경(法華經ほけきょう)》《금광명경(金光かねみつあきらけい)》과 더불어 호국3부경(護國ごこくさんけい)이라 불린다.[1][2]

보살 수행계위

[편집]

《인왕경》에는 보살 10지에 대해 설하는 부분에서 10신 · 10주 · 10행 · 10회향 · 10지 · 묘각51위로 이루어진 보살 수행계위가 설해지고 있다.[14][15] 그리고 51위 가운데 처음의 10신을 제외한 상위의 41위(にん) 즉 지혜의 관점에서 구분하여 복인(ふくにん· 신인(しんにん· 순인(じゅんにん· 무생인(なまにん· 적멸인(寂滅じゃくめつにん)의 5인(にん)으로 나누고 있으며, 반야바라밀을 수행한다는 것이란 5인(にん)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고 설하고 있다. 달리 말해, 반야바라밀이란 5인(にん)을 통칭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6][7][8][9]

《인왕경》에서는 보살의 가장 높은 계위인 제10지불과묘각을 통칭하여 적멸인(寂滅じゃくめつにん)이라고 부르고 있다. 즉 적멸인에 상 · 하의 차별을 두어서 보살적멸인부처적멸인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후자의 부처적멸인51위보살 수행계위에서의 묘각에 해당한다.[10][11] 따라서 《인왕경》에서 설하고 있는 51위의 계위는 대승불교권에서 널리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보살 수행계위10신 · 10주 · 10행 · 10회향 · 10지 · 등각 · 묘각52위와 거의 동일하다.

5인(にん)에 따른 51위 · 52위의 구분은 다음과 같다.[6][7][12][13]

  1. 복인(ふくにん): 10주 · 10행 · 10회향3현(さんけん)
  2. 신인(しんにん): 10지 가운데 초지 · 제2지 · 제3지
  3. 순인(じゅんにん): 10지 가운데 제4지 · 제5지 · 제6지
  4. 무생인(なまにん): 10지 가운데 제7지 · 제8지 · 제9지
  5. 적멸인(寂滅じゃくめつにん): 51위의 체계에서는 제10지묘각, 52위의 체계에서는 제10지등각 · 묘각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운허, "仁王におうけい(인왕경)". 2013년 4월 12일에 확인
    "仁王におうけい(인왕경): 2본(ほん)이 있음. 구본(きゅうほん)은 『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佛說ぶっせつ仁王におう般若はんにゃ波羅蜜はらみつけい)』 2권. 구마라집 번역. 신본(新本しんぽん)은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仁王におう護國ごこく般若はんにゃひそかけい)』 2권. 당나라 불공(不空ふくう) 번역. 부처님이 16국왕으로 하여금 각각 그 나라를 보호하고, 편안케 하기 위해서는 반야바라밀을 수지(受持うけもち)하여야 한다고 말한 경. 예부터 이 경과 『법화경(法華經ほけきょう)』ㆍ『금광명경(金光かねみつあきらけい)』을 호국(護國ごこく) 3부경이라 함."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DB8EC9995EAB2BDrowno1 仁王におうけい(인왕경)]". 2013년 4월 12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2. 星雲せいうん, "仁王におう般若はんにゃ波羅蜜はらみつけい". 2013년 4월 12일에 확인
    "仁王におう般若はんにゃ波羅蜜はらみつけい:  凡かん。姚秦ばと什譯。またたたえ仁王におう護國ごこく般若はんにゃ波羅蜜はらみつけい仁王におう般若はんにゃ波羅蜜はらみつ護國ごこくけい仁王におう般若はんにゃけい仁王におうけいいまおさむ於大おだい正藏しょうぞうだいはちさつほんけいぶん序品じょぼんかんそらひん菩薩ぼさつ教化きょうかひんたいひん護國ごこくひん散華さんげひん受持うけもちひんしょくるい品等ひんとうはちひんかかり佛陀ぶっだためじゅうろく大國たいこくおう說示せつじ守護しゅご佛果ぶっかじゅうこれぎょう,及守護しゅご國土こくど因緣いんねんいい講說こうせつ受持うけもち此經,のり息災そくさいとくぶくあずか法華經ほけきょう金光かねみつあきらけい並稱へいしょう護國ごこくさんけいおさむ仁王におうかいそくよう此經。
     よりどころ歷代れきだい三寶紀載,ほんけい共有きょうゆう竺法まもるばと什、真諦しんたいとうさんやくだいから內典ろく以下いかしょろくひとし其說。しか三藏記集卷四將此經編入失譯雜經錄,ずいだい眾經目錄もくろくほうけいろくまき二則將此經編入疑惑錄,いい此經ため什或竺法まもるしょやく
     とうだいそうひさしたい元年がんねん(765),不空ふくうたてまつみことのり重譯じゅうやくだいため仁王におう護國ごこく般若はんにゃ波羅蜜はらみつけいおさむ於大おだい正藏しょうぞうだいはちさつ),略稱りゃくしょう仁王におう護國ごこくけい新譯しんやく仁王におうけいまたぶんかんはちひんぶんあずかきゅう經略けいりゃくどう什譯ほん註疏ちゅうそゆう仁王におう護國ごこく般若はんにゃけいかんさとし顗說,灌頂)、仁王におう般若はんにゃけいろくかん吉藏よしぞう)、仁王におうけいろくかんえんはかとうそらやく本則ほんそくゆう仁王におう護國ごこく般若はんにゃ波羅蜜はらみつけいさんかんりょう賁)、仁王におうけいよんかんきよしげんとう。〔仁王におう護國ごこく般若はんにゃけい疏卷いちさとし顗)、瑜伽ゆがろんりゃく纂卷じゅうだいから內典ろくまきいたりまきよんひらくもと釋教しゃっきょうろくまきまきよんまきろく〕 p1217"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せいうん"[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5427DTITLEA4AFA4FDAFEBADYAAiC3B9BBeB8g 仁王におう般若はんにゃ波羅蜜はらみつけい]". 2013년 4월 12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3. 고려대장경연구소 & K1340 (T.0246),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 해제
    "전체 8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니, 제1 서품(序品じょぼん), 제2 관여래품(かん如來にょらいひん), 제3 보살행품(菩薩ぼさつぎょうひん), 제4 이제품(たいひん), 제5 호국품(護國ごこくひん), 제6 불사의품(不思議ふしぎひん), 제7 봉지품(たてまつひん), 제8 촉루품(しょくるいひん) 등이다. 불설인왕반야바라밀다경과 비교할 때 번역 술어의 차이만 있을 뿐 내용적으로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
  4. 구마라습 한역 & T.245, 상권. p. T08n0245_p0825b24 - T08n0245_p0825c16. 바사닉왕의 물음
    "じゅうろく大國たいこくおうちゅうしゃまもる國主こくしゅ斯匿おうめい曰月こう德行とっこうじゅうろくさんじゅうななひんよん壞淨,ぎょう訶衍次第しだいとい居士こじたからぶたほうきよしめいとうはちひゃくにんふくとい菩提ぼだい舍利しゃりどるとうせんにんふくとい彌勒みろくほえとうじゅうせんにん無能むのうこたえしゃ。... なんじふつつげだい眾:「じゅう六大國王意欲問護國土因緣。われいまさきためしょ菩薩ぼさつせつまもる佛果ぶっか因緣いんねんまもるじゅう地行じぎょう因緣いんねんたい聽,たい聽!ぜん思念しねん如法にょほう修行しゅぎょう!」"
  5. 구마라습 한역, 번역자 미상 & K.19, T.245, 상권. pp. 5-6 / 50. 바사닉왕의 물음
    "이 때 열여섯 대국왕 가운데 사위국(しゃまもるこく)의 임금인 바사닉왕(なみ斯匿おう)은 이름이 월광(月光げっこう)이었는데, 10지()와 6도()와 37품(しな)과 4불괴정(不壞ふえきよし) 공덕의 행법으로 마하연(訶衍:大乘だいじょう)을 행하여 교화하였다. 그는 차례로 거사(居士こじ)인 보개법정명(たからぶたほうきよしめい) 등의 8백 사람에게 묻고, 또 수보리(須菩提ぼだい)와 사리불(舍利しゃりどる) 등의 5천 사람에게 묻고, 또 미륵(彌勒みろく)과 사자후(ほえ) 등의 10천 사람에게 물었으나 아무도 대답하는 이가 없었다. ...
    그 때 부처님께서 대중들에게 말씀하셨다.
    “열 여섯 큰 나라 왕의 뜻이 국토를 보호할 인연을 묻고자 하는 것임을 아노라. 내가 지금 먼저 모든 보살들을 위하여 불과(佛果ぶっか)를 보호하는 인연과 10지행(地行じぎょう)의 인연을 설할 것이니, 자세히 들으라. 자세히 듣고 잘 그것을 생각하여 법답게 수행하라.”"
  6. 구마라습 한역 & T.245, 상권 〈3. 보살교화품(菩薩ぼさつ敎化きょうかひん)〉. p. T08n0245_p0826b21 - T08n0245_p0826b25. 5인(にん)
    "しろふつごと:「世尊せそんまもる十地行菩薩云何行可行?うんなんぎょう眾生?以何しょう眾生?」ふつごと:「大王だいおうにん菩薩ぼさつほうふくにん上中かみなかしんにん上中かみなかじゅんにん上中かみなかなまにん上中かみなか寂滅じゃくめつにん上中かみなかめいためしょ佛菩薩ぶつぼさつおさむ般若はんにゃ波羅蜜はらみつ。"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구마라습 한역T.245상권 〈3. 보살교화품(菩薩ぼさつ敎化きょうかひん)〉.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08n0245_p0826b21 T08n0245_p0826b21 - T08n0245_p0826b25]. 5인(にん)"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7. 구마라습 한역, 번역자 미상 & K.19, T.245, 상권 〈3. 보살교화품(菩薩ぼさつ敎化きょうかひん)〉. p. 14 / 50. 5인(にん)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10지행(地行じぎょう)을 수호하는 보살은 어떠한 행을 행하여야 하며, 어떠한 행으로 중생을 교화하며, 어떠한 모습의 중생을 교화할 수 있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대왕이여, 5인(にん)55)이 이 보살의 법이니, 복인(ふくにん)의 상(うえ)ㆍ중(なか)ㆍ하(した)와 신인(しんにん)의 상중하와 순인(じゅんにん)의 상중하와 무생인(なまにん)의 상중하와 적멸인(寂滅じゃくめつにん)의 상하를 이름하여 모든 불ㆍ보살이 반야바라밀을 닦는다고 하느니라.
    55) 보살의 수행을 다섯 단계로 나눈 것. 첫째 복인(ふくにん)은 번뇌를 제복(せいふく)하였으나 아직 끊지 못한 지() 이전의 3현(けん), 둘째 신인(しんにん)은 무루()의 신(しん)을 얻은 초지ㆍ2지()ㆍ3지(), 셋째 순인(じゅんにん)은 이치에 순종하여 무생(せい)의 깨달음에 향하는 4지ㆍ5지ㆍ6지, 넷째 무생인(なまにん)은 모든 법의 무생의 이치를 인정하고 안주한 7지ㆍ8지ㆍ9지, 다섯째 적멸인(寂滅じゃくめつにん)은 모든 미혹을 끊고 적정의 깨달음에 안주한 제10지 및 불과(佛果ぶっか). 앞의 넷을 각각 상ㆍ중ㆍ하, 뒤의 하나를 상ㆍ하로 나누어 14인(にん)이라 한다."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구마라습 한역, 번역자 미상K.19, T.245상권 〈3. 보살교화품(菩薩ぼさつ敎化きょうかひん)〉.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405startNum14 14 / 50]. 5인(にん)"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8. 불공 한역 & T.246, 상권 〈3. 보살행품(菩薩ぼさつぎょうひん)〉. p. T08n0246_p0836b11 - T08n0246_p0836b17. 5인(にん)
    "なんじなみ斯匿おうしろふつごと:「世尊せそんまもる十地行菩薩摩訶薩,おううんなん修行しゅぎょううんなん眾生?ふく以何しょう而住觀察かんさつ?」ふつつげ大王だいおう:「しょ菩薩ぼさつ訶薩依忍法にんぽう以為修行しゅぎょう所謂いわゆるふくしのべしんしのべじゅんしのべなまにん——みな上中かみなか,於寂滅じゃくめつにん而有上下じょうげめいため菩薩ぼさつ修行しゅぎょう般若はんにゃ波羅蜜はらみつ。"
  9. 불공 한역, 번역자 미상 & K.1340, T.246, 상권 〈3. 보살행품(菩薩ぼさつぎょうひん)〉. pp. 8-9 / 47. 5인(にん)
    "그 때 바사닉왕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십지의 행[じゅう地行じぎょう]을 보호하는 보살마하살은 마땅히 어떻게 수행하고 어떻게 중생을 교화하며 또 어떤 모양으로 머물러 관찰해야 합니까?”
    부처님께서 대왕에게 말씀하셨다.
    “모든 보살마하살은 5인(にん)의 법에 의해서 수행해야 할 것이다. 이른바 복인(ふくにん)ㆍ신인(しんにん)ㆍ순인(じゅんにん)ㆍ무생인(なまにん)인데, 모두 상ㆍ중ㆍ하가 있고 적멸인(寂滅じゃくめつにん)에도 상ㆍ하가 있다. 이것을 보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한다고 한다."
  10. 구마라습 한역 & T.245, 상권 〈3. 보살교화품(菩薩ぼさつ敎化きょうかひん)〉. p. T08n0245_p0826c21 - T08n0245_p0826c28. 적멸인(寂滅じゃくめつにん)
    "「ふく寂滅じゃくめつしのべふつあずか菩薩ぼさつどうよう此忍入金にゅうきんごう三昧ざんまい下忍しもおしちゅうぎょうめいため菩薩ぼさつうえしのぶちゅうぎょうめいため薩婆わかともかん第一義だいいちぎたいだん三界さんがいこころ習,無明むみょうつきしょうため金剛こんごうつきしょうあいため薩婆わかちょうたい第一義だいいちぎたいこれがいためだいじゅういち薩婆わかさとしゆうたたえしか清淨せいじょう常住じょうじゅう不變ふへんどう真際まぎわとうほうせい無緣むえん大悲だいひ教化きょうか一切いっさい眾生,じょう薩婆わかじょうらい三界さんがい。"
  11. 구마라습 한역, 번역자 미상 & K.19, T.245, 상권 〈3. 보살교화품(菩薩ぼさつ敎化きょうかひん)〉. p. 14 / 50. 적멸인(寂滅じゃくめつにん)
    "또 적멸인(寂滅じゃくめつにん)76)은 부처님과 보살이 같이 이 인(にん)으로써 금강삼매에 들어가느니라. 하인(下忍しもおし) 가운데서 행하는 것을 보살이라 하고, 상인(うえしのぶ) 가운데서 행하는 것을 살바야라 하느니라. 같이 제일의제(第一義だいいちぎたい)를 관하여 삼계의 마음의 습기[こころ習]와 무명(無明むみょう)을 끊어 모양이 다하면[つきしょう] 금강이라 하며, 모양과 모양이 없음[あいしょう]을 다하면 살바야라 하며, 세제(たい)와 제일의제(第一義だいいちぎたい)의 밖을 뛰어넘으면 제11지()의 살바야라 하느니라.
    있지도 않고[ゆう] 없지도 않음[]을 깨달아 고요하고 청정하며 항상 머물러서 변하지 아니하며 진제(眞際まぎわ)와 같고 법성과 같으며 무연대비(無緣むえん大悲だいひ)77)로 일체 중생을 교화하매 살바야의 수레를 타고 오셔서 삼계를 교화하시느니라.
    76) 모든 혹(惑)을 끊어서 적정(寂靜じゃくじょう)에 안주하는 제10지 및 불과(佛果ぶっか). 여기에 상ㆍ하의 인(にん)을 나누어 하인은 보살, 상인은 일체지(一切いっさいさとし:ふつさとし)라고 한다.
    77) 분별할 대상이 없어진 대자비, 평등한 대자비를 말한다."
  12. 운허, "にん(오인)". 2013년 4월 12일에 확인
    "にん(오인): 보살이 계단을 5종으로 나눈 것. (1) 복인(ふくにん). 번뇌를 끊지 못하였으나, 관해(かんかい)를 익혀 이를 굴복시키고, 일어나지 못하게 하는 지위. 곧 10주(じゅう)ㆍ10행(くだり)ㆍ10회향(まわりむこう)의 보살. (2) 신인(しんにん). 관하는 마음이 진전되어 증득(あかしとく)할 법을 믿고 의심치 않는 지위. 곧 초지(はつ)ㆍ이지()ㆍ삼지(さん)의 보살. (3) 순인(じゅんにん). 전의 믿음에 의하여 다시 나은(かち) 지혜를 연마하여 무생(せい)의 증과(あかしはて)에 순하는 지위. 곧 4지()ㆍ5지ㆍ6지의 보살. (4) 무생인(なまにん). 제법무생의 진리를 깨달아 아는 지위. 곧 7지()ㆍ8지ㆍ9지의 보살. (5) 적멸인(寂滅じゃくめつにん). 갖가지 번뇌를 끊어버리고 청정무위잠연적정(淸淨せいじょう無爲むいたたえしか寂靜じゃくじょう)에 안주(安住あんじゅう)하는 지위. 곧 10지()ㆍ등각(とうさとし)ㆍ묘각(みょうさとし)의 지위."
  13. 星雲せいうん, "にん". 2013년 4월 12일에 확인
    "にん:  ゆびふくしんじじゅんせい寂滅じゃくめつにんぜんよんにんかく分上ぶんじょうなかしたさんひんいちにんぶんじょうしたひん總稱そうしょうためじゅうよんにん。(いち)ふくしのべまえ三賢之人未得無漏,煩惱ぼんのうだんただしのうふくじゅう煩惱ぼんのうれいおこり。其中じゅうじゅうため下品げひんじゅう行為こういちゅうひんじゅう回向えこうため上品じょうひん。()しんしのべ地上ちじょう菩薩ぼさつとくしんじ隨順ずいじゅんうたぐ。其中はつため下品げひん,二地為中品,さんため上品じょうひん。(さん)じゅんしのべ菩薩ぼさつじゅん菩提ぼだいどう趣向しゅこうせいはて。其中よんため下品げひん,五地為中品,ろくため上品じょうひん。(よん)なまにん菩薩ぼさつ妄惑やめつき了知りょうち諸法しょほう悉皆しっかいせい。其中ななため下品げひん,八地為中品,きゅうため上品じょうひん。()寂滅じゃくめつしのべしょ惑斷つき清淨せいじょう無為むいたたえしか寂滅じゃくめつ。其中じゅうため下品げひんふつため上品じょうひん。〔仁王におう般若はんにゃ波羅蜜はらみつ經卷きょうかんじょう法華經ほけきょうげんまきじょう仁王におう護國ごこく般若はんにゃけい疏卷さんまきよんさとし顗)、大乘だいじょう義章よしあきまきじゅう〕 p1097"
  14. 구마라습 한역 & T.245, 상권 〈3. 보살교화품(菩薩ぼさつ敎化きょうかひん)〉. pp. T08n0245_p0826b20 - T08n0245_p0829a02. 인왕경의 51위.
  15. 구마라습 한역, 번역자 미상 & K.19, T.245, 상권 〈3. 보살교화품(菩薩ぼさつ敎化きょうかひん)〉. pp. 11-25 / 50. 인왕경의 5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