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종 - 나무위키

최근 수정 시각:
6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96574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 (AS7524) ITEC Hankyu Hanshin Co.,Ltd.
토론역사
C885
완성형 수록 여부
O
구성
ㅈ+ㅗ+ㅇ
whd
세벌식 최종–QWERTY
l/a , lva

1. 순우리말
1.1. 종, 하인
2. 1자 한자어
2.1. 종(たね), 생물 분류 단계2.2. (かね), 타악기
3. 한자4. 외국어
4.1. (dzong), 부탄티베트의 건축물4.2. 종(jong), 인도네시아 정크선
5. 인명
5.1. 종씨(かね/そう), 한국의 성씨

1. 순우리말[편집]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하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미국 출신 국어학자 및 일본어학자인 Samuel E. Martin 교수는 순우리말이 아니라 한자어 したがえ(좇을 종)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도 이 단어의 중세국어 발음은 したがえ 자의 발음과 완벽히 일치한다. したがえ 자가 '따를 종' 자의 뜻으로 사용될 경우 중고한어에서의 성조가 평성이며 중세국어에서도 평성으로 반영되지만, 명사화된 '심부름꾼 종' 자의 뜻으로 사용될 경우 중고한어 성조가 거성이라 중세국어에서 상성으로 나타난다. 중세국어에서 '하인'을 뜻하는 '죵'은 상성이었는데, '심부름꾼 종'자 역시 당대 한자음이 '죵'이고 성조가 상성이었다.

물론 반대로 우리말의 어휘가 한자어로 유입되었을 가능성도 있는편이다.

2. 1자 한자어[편집]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생물 분류 단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유명한 종의 기원도 이 종이다.

2.2. (かね), 타악기[편집]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종(악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무언가가 완전히 끝장난 상황을 종쳤다고 하는데 타악기인 종에서 유래했다. 사람이 죽으면 조종(弔鐘ちょうしょう)을 울렸던 관습에서 유래한 것이다. 간혹 おわり쳤다라고 잘못 알고 있는 사람이 있다.

3. 한자[편집]

[1~10위]
32 27 25 20 19
[11~106위]
18 17 16 15 14 13 12 11 10 9 8 7 6
[107~308위]
5 4 3 2
[309~407위]
1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교육용 한자 중 '종'으로 읽는 글자는 다음 6자이다.
  • そう: 묘호에 붙이는 한자. 일반적인 군주들 대부분이 받는 묘호. 그럭저럭 자리보전을 했을 경우 붙는다고 한다. 보다 낮으나, 조는 평범한 인물을 추존하여 높인 경우가 많아 반대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그밖에 '종합(綜合そうごう)'의 ,[1] 종용(慫慂しょうよう)하다'의 , '종기(しゅ)'의 しゅ이 있다.

4. 외국어[편집]

4.1. (dzong), 부탄티베트의 건축물[편집]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종(건축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정크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인도네시아 특유의 전통 함선으로, 이름인 종은 정크선과 어원을 같이 하지만, 함종 자체는 자바 섬에서 기원한 것으로 구조적으로는 정크와 차이가 있다.

배의 성능은 근해에서는 우수하지만 원양 항해에는 좋지 못했던 정크선과 달리, 아랍, 인도 등과 많은 교역을 하면서 수많은 원양 항해 경험을 가지고 있었던 인도네시아 지역답게 대단히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배 자체도 최대 2000톤에 달할 정도로 크기도 컸고, 전투력 면에서도 유럽의 해군들을 상대로 여러번 승리할 정도로 대단히 우수했다. 즉, 이 종을 굴리는 인도네시아계 국가의 해군은 유럽 외 지역에선 가히 최강이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였다.[2]

문명 6 인도네시아 특수유닛으로도 등장했다.

5. 인명[편집]

5.1. 종씨(かね/そう), 한국의 성씨[편집]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종(성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일본의 상용한자에도 없기에 일본에서는 일본어로 발음이 동일한 そう(そう, , ソウ)로 대체한다.[2] 정크선이나 한선은 원양항해에 불리했고, 다우선을 주력으로 하던 아랍과 인도의 해군들은 유럽 해군들을 상대로 수백 척이 십수척에게 처참히 깨질 정도로 취약한 모습을 보였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