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대수번뇌심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대수번뇌심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수번뇌심소(だいずい煩惱ぼんのうしんしょ: 8가지)는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법상종5위 100법법체계를 바탕으로 한다. 이가운데, 심소법(しんしょほう: 51가지) 에 속한다.

그리고 수번뇌심소(ずい煩惱ぼんのうしんしょ: 20가지)에 속한다.

수번뇌심소에는 소수번뇌심소(しょうずい煩惱ぼんのうしんしょ: 10가지) · 중수번뇌심소(ちゅうずい煩惱ぼんのうしんしょ: 2가지) · 대수번뇌심소(だいずい煩惱ぼんのうしんしょ: 8가지)가 있다.[1][2][3][4][5][6]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법상종에 따르면, 다음의 8가지 번뇌성마음작용들이 대수번뇌심소 그룹을 이룬다.[1][2][4][6] 이를 대수번뇌(だいずい煩惱ぼんのう) 또는 대수혹(だいずい惑)이라고도 한다.[5][6][7]

  1. 불신(不信ふしん)
  2. 해태(懈怠けたい)
  3. 방일(放逸ほういつ)
  4. 혼침(惛沈)
  5. 도거(掉擧)
  6. 실념(失念しつねん)
  7. 부정지(不正ふせい)
  8. 산란(散亂さんらん)


대수번뇌심소(だいずい煩惱ぼんのうしんしょ: 8가지)


'대'수번뇌(だいずい煩惱ぼんのう)라는 명칭은 이에 속한 번뇌가 모든 염오심(しみ污心)과 언제나 함께 일어나는 번뇌임을 뜻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대(だい)'라는 낱말을 사용하여 명명한 것이다. 여기서 염오심은 번뇌에 물든 모든 마음을 뜻한다. 수번뇌(ずい煩惱ぼんのう)는 하나 혹은 다수의 근본번뇌를 의지하여 그 근본번뇌와 함께 일어나는 2차적인 번뇌를 뜻한다.[1][2][4]

즉, 대수번뇌심소에 속한 마음작용들은 모든 염오한 마음에서 언제나 발견된다.

그리고 모든 염오한 마음에는 이들이 동시에 함께 작용하고 있음을 말한다.

말하자면, 다음과 같다.

'근본'번뇌(根本こんぽん煩惱ぼんのう)는 '뿌리가 되는 1차적인[根本こんぽん]' 번뇌다.

'소'수번뇌(しょうずい煩惱ぼんのう)는 '특수한 또는 심한[しょう]' 2차적인 번뇌다.

'중'수번뇌(ちゅうずい煩惱ぼんのう)가 '특수하지도 일반적이지도 않은[なか]' 2차적인 번뇌다.

이에 비해, '대'수번뇌(だいずい煩惱ぼんのう)는 '일반적인[だい]' 2차적인 번뇌라 할 수 있다.[8]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각주[편집]

  1.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 T.1585, 제6권. p. T31n1585_p0033a28 - T31n1585_p0033b08. 수번뇌심소(ずい煩惱ぼんのうしんしょ)
    "しょずい煩惱ぼんのう其相うんなに。頌曰。
        ずい煩惱ぼんのういい忿  恨覆惱嫉慳
      13誑諂與がい憍  慚及
        掉舉與惛沈  不信ふしん懈怠けたい
      14放逸ほういつ失念しつねん  散亂さんらん不正ふせい
    ろん曰。ただ煩惱ぼんのうぶん差別さべつとうりゅうせいめいずい煩惱ぼんのう。此じゅう種類しゅるいべつ有三ゆうぞういい忿等十各別起故名小隨煩惱。慚等二遍不善故名中隨煩惱。掉舉とう八遍染心故名大隨煩惱。"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제6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33a28 T31n1585_p0033a28 - T31n1585_p0033b08]. 수번뇌심소(ずい煩惱ぼんのうしんしょ)"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2.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 K.614, T.1585, 제6권. pp. 324-325 / 583. 수번뇌심소(ずい煩惱ぼんのうしんしょ)
    "그러면 여러 수번뇌심소의 양상은 어떠한가? 게송(『삼십송』의 제12 · 13  · 14)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수번뇌심소는 분(忿)·
       한(恨)·부(くつがえ)·뇌(惱)·질(嫉)·간(慳)·

       광(誑)·첨(諂)과 해(がい)·교(憍)·
       무참(慚) 및 무괴(愧),
       도거(掉擧)와 혼침,
       불신 아울러 해태(懈怠けたい),

       방일(放逸ほういつ) 및 실념(失念しつねん),
       산란(散亂さんらん· 부정지(不正ふせい)이다.238)
    논하여 말한다. 이것은 오직 번뇌의 분위의 차이이고, 등류하는 성질이므로 수번뇌라고 이름한다. 이 스무 종류는 구분하면 세 가지가 있다. 분(忿) 등 열 가지239)는 각기 따로 일어나기 때문에 소수번뇌(しょうずい煩惱ぼんのう)라고 이름한다. 무참(慚) 등 두 가지240)는 불선(不善ふぜん)에 두루하기 때문에 중수번뇌(ちゅうずい煩惱ぼんのう)라고 이름한다. 도거심소 등 여덟 가지241)는 잡염심에 두루하기 때문에 대수번뇌(だいずい煩惱ぼんのう)라고 이름한다.
    238) 수번뇌심소 스무 가지를 밝힌다. 수번뇌심소는 독립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근본번뇌심소의 작용에 의해 동류(同類どうるい)로서 이끌려 일어난다.
    239) 분(忿) · 한(恨) · 부(くつがえ· 뇌(惱) · 질(嫉) · 간(慳) · 광(誑) · 첨(諂) · 해(がい· 교(憍) 심소이다.
    240) 무참(慚) · 무괴(愧) 심소이다.
    241) 도거(掉擧) · 혼침(惛沈) · 불신(不信ふしん· 해태(懈怠けたい· 방일(放逸ほういつ· 실념(失念しつねん· 산란(散亂さんらん· 부정지(不正ふせい)의 심소이다."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제6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324 324-325 / 583]. 수번뇌심소(ずい煩惱ぼんのうしんしょ)"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3. 황욱 1999, 63. 수번뇌심소(ずい煩惱ぼんのうしんしょ)쪽
    "‘ずい煩惱ぼんのう’란 ‘ずい惑’이라고도 하는데, 곧 근본번뇌에 수반하여 일어나는 번뇌를 가리킨다."
  4. 星雲せいうん, "ずい煩惱ぼんのう".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ずい煩惱ぼんのう: 梵語ぼんご upakleśā,ともえとし upakkilesa。ゆびずい根本こんぽん煩惱ぼんのう而起煩惱ぼんのうあずか根本こんぽん煩惱ぼんのう相對そうたいしょうまたさくずい惑、えだまつ惑。よりどころ俱舍ろんまきじゅういちずい煩惱ぼんのうゆう:(いち)ゆびずいしん生起せいき惱亂のうらん有情うじょう一切いっさい煩惱ぼんのう。()ゆび根本こんぽん煩惱ぼんのう而起其他煩惱ぼんのう書中しょちゅうども舉出じゅうきゅうしゅずい煩惱ぼんのうなみ總括そうかつためさんるいそく:(いち)だい煩惱ぼんのうほうゆび放逸ほういつ懈怠けたい不信ふしん、惛沈、掉舉。()だい不善ふぜんほうゆび慚、愧。(さん)しょう煩惱ぼんのうほうゆび忿、くつがえ、慳、嫉、惱、がい、恨、諂、誑、憍等じゅうしゅ,及不定ふていほうちゅう睡眠すいみんあくさく
     よりどころ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まきろくずい煩惱ぼんのうゆび根本こんぽん煩惱ぼんのう六大惑以外的二十種法,可分かぶんためさんるいまたしょうさんずい煩惱ぼんのう」。そく:(いち)しょうずい煩惱ぼんのう相對そうたい於俱しゃろんしょう煩惱ぼんのうほう而立じりつゆび忿、恨、くつがえ、惱、嫉、慳、誑、諂、がい、憍等じゅうしゅ;此十種煩惱各別而起,しょうしょうずい煩惱ぼんのう。()ちゅうずい煩惱ぼんのう相對そうたい於俱しゃろんだい不善ふぜんほう而立じりつゆび慚、愧;此二種煩惱遍於一切之不善心,しょうためちゅうずい煩惱ぼんのう。(さん)だいずい煩惱ぼんのう相對そうたい於俱しゃろんだい煩惱ぼんのうほう而立じりつゆび掉舉、惛沈、不信ふしん懈怠けたい放逸ほういつ失念しつねん散亂さんらん不正ふせいとうはちしゅ;此八種煩惱遍於一切染污心,而輾轉てんてんあずかしょうちゅうずい煩惱ぼんのう俱生,しょうだいずい煩惱ぼんのう。〔大乘だいじょうおもね達磨だるまざつしゅうろんまきさんしなるいあしろん卷一けんいちなりろんまきじゅうずい煩惱ぼんのうひん瑜伽ゆがろんまきじゅう華嚴經けごんきょう疏鈔まきさんじゅうよん〕"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せいうん"[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007DTITLEC0HB7D0B4o ずい煩惱ぼんのう]". 2012년 11월 4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5. 운허, "ずい煩惱ぼんのう(수번뇌)".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ずい煩惱ぼんのう(수번뇌): 수혹(ずい惑)이라고도 함. (1) 온갖 번뇌. 일체 번뇌는 모두 몸과 마음에 따라 뇌란케 하므로 수번뇌. (2) 근본 번뇌에 수반하여 일어나는 번뇌. 구사종에서는 이를 방일(放逸ほういつ)·해태(懈怠けたい)·불신(不信ふしん)·혼침(惛沈)·도거(掉擧)·무참(慚)·무괴(愧)·분(忿)·부(くつがえ)·간(慳)·질(嫉)·뇌 (惱)·해(がい)·한(恨)·광(誑)·첨(諂)·교(憍)·수면(睡眠すいみん)·회(悔)의 19종이라 하고, 유식종에서는 분·한·부·뇌·질·간·광·첨·해·교(이상은 소수혹)·무참·무괴(이상은 중수혹)·도거·혼침·불신·해태·방일·실념(失念しつねん)·산란·부정지(不正ふせい, 이상 대수혹)의 20종을 말함."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898EBB288EB878Crowno1 ずい煩惱ぼんのう(수번뇌)]". 2012년 11월 4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6. 운허, "じゅうずい煩惱ぼんのう(이십수번뇌)".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じゅうずい煩惱ぼんのう(이십수번뇌): 유식종에서 근본 번뇌에 따라서 일어나는 번뇌를 20종으로 나눈 것. 분(忿)·한(恨)·부(くつがえ)·뇌(惱)·간(慳)·질(嫉)·광(誑)·첨(諂)·해(がい)·교(憍).(이상은 소수번뇌) 무참(慚)·무괴(愧).(이상은 중수번뇌) 도거(掉擧)·혼침(惛沈)·불신(不信ふしん)·해태(懈怠けたい)·방일(放逸ほういつ)·실념(失念しつねん)·산란(散亂さんらん)·부정지(不正ふせい).(이상은 대수번뇌)"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898EBB288EB878Crowno2 じゅうずい煩惱ぼんのう(이십수번뇌)]". 2012년 11월 4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7. 星雲せいうん, "だいずい煩惱ぼんのう". 2012년 11월 5일에 확인
    "だいずい煩惱ぼんのう:  梵語ぼんご kleśa-mahā-bhūmikā dharmāh。またつくだい煩惱ぼんのうほうゆびつねあずかしみ污心相應そうおう煩惱ぼんのう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よんじゅうだいななちゅう):「わかほう一切染污心中可得,めいだい煩惱ぼんのうほう。」けいゆうろくしゅそく:(いち)(梵 moha),ためくら昧,於一切所知境障如理之解。()放逸ほういつ(梵 pramāda),ためたてとろけつとむおさむ各種かくしゅぜんほう。(さん)懈怠けたい(梵 kausīdya),ため懶惰らんだこころいさみ悍。(よん)不信ふしん(梵 āśraddhya),ため不信ふしん因果いんが。()惛沉(梵 styāna),ため身心しんしん鈍重どんじゅう不堪ふかんにんとう。(ろく)掉舉(梵 auddhatya),ため躁動,こころ靜寂しじま。其中ためろく根本こんぽん煩惱ぼんのういち,其餘五法屬枝末之惑。しなるいあしろんまき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四十二則列舉十種大煩惱地法,そく以上いじょうじゅつろくしゅ除去じょきょ惛沉,另加失念しつねんこころみだれ不正ふせい非理ひり作意さくいよこしましょうかいとうしゅ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まきろくのり除去じょきょ」,另加失念しつねん散亂さんらん不正ふせい,而稱ため八大やひろずい惑」。〔じゅんせい理論りろんまき十一といちざつおもね毘曇しんろんまきなり唯識ゆいしき論述ろんじゅつまきろくまつ〕"
  8. 星雲せいうん, "ちゅうずい煩惱ぼんのう".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ちゅうずい煩惱ぼんのう: またたたえちゅうずい惑。ゆび慚、しゅずい煩惱ぼんのう大乘だいじょう唯識ゆいしき家所いえどころりつじゅうしゅずい煩惱ぼんのうちゅう慚、愧二者乃遍一切不善心而俱起,其行ひろしせまざいだいしたがえあずかしょうずいあいだしょうためちゅうずい煩惱ぼんのう。〔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まきろ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