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십이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십이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2처(じゅうしょ)는 불교의 여러 일체법 분류체계 또는 분석방식 중 하나로, 존재 전체를 안처(しょ· 이처(みみしょ· 비처(はなしょ· 설처(したしょ· 신처(しょ· 의처(しょ)의 6근(六根ろっこん· 6내처(ろく內處) 또는 6내입처(ろく內入しょ)[주해 1]색처(いろしょ· 성처(こえしょ· 향처(こうしょ· 미처(あじしょ· 촉처(さわしょ· 법처(ほうしょ)의 6경(ろくさかい· 6외처(ろくそとしょ) 또는 6외입처(ろく外入とのにゅうしょ)[주해 1]의 총 12가지 처(ところ)로 분류 또는 분석하는 법체계이다.[1][2][3][4]

12처는 12입(じゅういれ) 또는 12입처(じゅうにゅうしょ)라고도 한다.[1][5]

12처(じゅうしょ)에서 (しょ, 산스크리트어: āyatana, 팔리어: āyatana)는 마음[しん]과 마음작용[しんしょ]을 생장(生長せいちょう: 생겨나고 증대됨)시키는 문(もん, dvāra)이라는 뜻을 가진다.[6] 이것은, 달리 말하면, 12처의 각 처(ところ)가 현재 생겨나 있지 않은 마음마음작용을 생겨나게 하고 이미 생겨나 있는 마음마음작용의 세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6]

12처에서 마음에 해당하는 의처(しょ)와 마음작용마음작용의 대상을 합친 것에 해당하는 법처(ほうしょ)를 제외한 나머지 10가지 처, 즉 5근(五根ごこん)과 5경(さかい)을 통칭하여 10색입(じゅうしょくいれ) 또는 10색처(じゅうしょくしょ: 마음과 마음작용을 생겨나게 하고 강화시키는 10가지 물질의 문)라고 하는데,[7] 부파불교의 전승에 따르면, 고타마 붓다는 유독 물질[いろ]에 어리석어 물질을 나[]라고 집착하는 유형의 수행자들에게 물질5근(五根ごこん)과 5경(さかい), 즉 10색처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하는 12처를 설하였다고 한다.[8]

12처

[편집]

12처를 현대적인 용어로 풀이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1. 6근(六根ろっこん) 또는 6내처(ろく內處): 주관
    1. 안처(しょ): 시각 기관, 즉
    2. 이처(みみしょ): 청각 기관, 즉
    3. 비처(はなしょ): 후각 기관, 즉
    4. 설처(したしょ): 미각 기관, 즉
    5. 신처(しょ): 촉각 기관, 즉
    6. 의처(しょ): 인식생각의 기관, 즉 마음(의식)
  2. 6경(ろくさかい) 또는 6외처(ろくそとしょ): 객관
    1. 색처(いろしょ): 시각 기관의 지각 대상, 즉 색깔이나 형태(모양크기)를 가진 물질 일반, 즉 소리 · 냄새 ·  · 감촉을 제외한 모든 물질적 성질
    2. 성처(こえしょ): 청각 기관지각 대상, 즉 소리
    3. 향처(こうしょ): 후각 기관지각 대상, 즉 냄새
    4. 미처(あじしょ): 미각 기관지각 대상, 즉
    5. 촉처(さわしょ): 촉각 기관지각 대상, 즉 감촉
    6. 법처(ほうしょ): 마음작용 및 마음작용의 대상

마지막 법처(ほうしょ)의 마음작용의 대상에는 특히 무위법(열반 · 진여 · 법성 등)이 포함된다.[1] 무위법을 제외하면 법처(ほうしょ)의 마음작용의 대상은 대체로 개념(또는 비물질적 사물)이라 할 수 있다.

법처(ほうしょ)의 마음작용으로는 탐욕 · 성냄 · 어리석음 · 탐욕 없음 · 성냄지 않음 · 지혜로움 · 인식 · 표상 · 분석 · 종합 · 판단 · 생각 · 욕구 · 의지 · 관조 · 집중 · 몰입 등이 있다.

3과와 12처

[편집]

12처초기불교 때부터 널리 사용되어온 일체법의 분류체계 또는 분석방식인 5온(五蘊ごうん· 12처(じゅうしょ· 18계(じゅうはちかい)의 3과(三科みしな)의 하나이다.[9][10] 즉, 고타마 붓다는 가르침을 펼치는 중에 존재 전체를 한편으로는 5온을 통해 설명하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12처를 통해 설명하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18계를 통해 설명하기도 하였다고 전하는데, 이 3가지는 초기불교 이래 불교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본적인 존재 분류체계 또는 분석방식, 즉 기본적인 법체계가 되었다. 그리고 초기불교의 이 3가지 법체계들은 고타마 붓다반열반에 든 후의 후대에서 더욱 심화 · 발전되어 부파불교설일체유부5위 75법법체계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법상종5위 100법법체계 등으로 나타났다.

구사론》 등의 아비달마 논서들에 따르면, 고타마 붓다5온(五蘊ごうん· 12처(じゅうしょ· 18계(じゅうはちかい)의 3가지 법체계, 즉 3과(三科みしな)의 분석방식으로 가르침을 편 것은 다음의 3가지 이유 때문이라고 한다.[11]

  1. 수행자의 어리석음에 3가지 유형이 있기 때문이다.
  2. 수행자의 근기(: 가르침을 받을 수 있는 능력)에 3가지 유형이 있기 때문이다.
  3. 수행자가 좋아하는 것에 3가지 유형이 있기 때문이다.

첫 번째의 수행자의 어리석음의 3가지 유형과 해당 유형의 수행자들에 대해 고타마 붓다가 가르친 법체계는 다음과 같다고 한다.[8]

  1. 마음작용[しんしょ]에 어리석어 마음작용을 모두 나[]라고 집착하는 유형:
    마음작용(受: 지각) · (そう: 표상) · (こう: おもえ라고도 한다, 욕구와 의지)으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하는 5온을 설하였다.
  2. 유독 물질[いろ]에 어리석어 물질을 나[]라고 집착하는 유형:
    물질5근(五根ごこん)과 5경(さかい)으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하는 12처를 설하였다.
  3. 물질[いろ]과 마음[しん: 여기서는, 마음과 마음작용을 합한 것] 모두에 어리석어 물질마음(여기서는, 마음과 마음작용을 합한 것)의 개별 또는 화합체를 나[]라고 집착하는 유형:
    물질마음(여기서는, 마음과 마음작용을 합한 것)을 각각 10가지와 8가지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하는 18계를 설하였다.

두 번째의 수행자의 근기(: 가르침을 받을 수 있는 능력)의 3가지 유형과 해당 유형의 수행자들에 대해 고타마 붓다가 가르친 법체계는 다음과 같다고 한다.[8]

  1. 예리한[] 근기의 유형: 5온을 설하였다.
  2. 중간[なか] 근기의 유형: 12처를 설하였다.
  3. 둔중한[どん] 근기의 유형: 18계를 설하였다.

세 번째의 수행자가 좋아하는 것의 3가지 유형과 해당 유형의 수행자들에 대해 고타마 붓다가 가르친 법체계는 다음과 같다고 한다.[12]

  1. 간략한 글[りゃくぶん]을 좋아하는 유형: 5온을 설하였다.
  2. 중간의 글[ちゅうぶん]을 좋아하는 유형: 12처를 설하였다.
  3. 자세한 글[廣文ひろふみ]을 좋아하는 유형: 18계를 설하였다.

주요 경문

[편집]

일체법12처로 분류하여 분석하는 것과 관련하여 고타마 붓다의 사상을 잘 보여주는 간략하면서도 함축적인 짧은 경문(經文きょうもん)으로 《잡아함경》 제13권의 제319경이 종종 인용되곤 한다.[9] 이 제319경을 보통 〈일체경(一切經いっさいきょう)〉이라고 한다.[13] 〈일체경(一切經いっさいきょう)〉은 생문(なま聞)이라는 이름의 브라만, 즉 당시의 힌두교브라만교의 사제 또는 수행자였던 어떤 사람이 고타마 붓다에게 "무엇이 일체의 존재, 즉 나 자신을 포함한 우주 만물 그 자체 또는 우주 만물의 실체입니까?"하고 묻는 것으로 시작되며, 이 물음에 대한 고타마 붓다의 대답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이 경문에서 고타마 붓다는 질문을 던진 생문(なま聞) 브라만에게 5온 · 12처 · 18계3과(三科みしな) 가운데 12처를 설하고 있는데, 부파불교의 전승에 따르면, 12처법체계는 유독 물질[いろ]에 무지한 수행자들이 그 무지 때문에 [오히려] 가지게 되는 "물질[いろ]을 나[]라고 집착하는 오류"를 대치(たい)하기 위해, 물질[いろ]을 5근(五根ごこん)과 5경(さかい)으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하는 법체계이다.[8]

「瞿曇!所謂いわゆる一切いっさいしゃうんなんめい一切いっさい?」

ふつつげ婆羅門ばらもん:「一切いっさいしゃいいじゅうにゅうしょしょくみみごえはなしたあじさわほうめい一切いっさいわかふくせつげん此非一切いっさい沙門しゃもん瞿曇所說しょせつ一切いっさいわがいま捨,べつだてあまり一切いっさいしゃかれただしゆう言說げんせつもんやめ不知ふちぞう疑惑ぎわく所以ゆえんしゃなに境界きょうかいゆえ

생문(なま聞) 브라만고타마 붓다에게 "흔히들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라는 말을 하는데,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란 무엇입니까?"라고 물었다.

고타마 붓다는 다음과 같이 답하였다.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라는 것은 12입처(じゅうにゅうしょ)를 말한다. 즉 안근과 색경, 이근와 성경, 비근와 향경, 설근과 미경, 신근과 촉경, 의근(정확히는 의처)과 법경의 12가지를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라고 한다.

"만약 당신이 '나는 사문(沙門しゃもん) 고타마가 말하는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를 [진정한 일체라고 인정할 수 없으므로, 그가 말하는]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를 버리고 다른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를 세우겠다'고 말한다면, 그렇게 해서 세우는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는 단지 말에 지나지 않는 것일 뿐이다. [즉, 실제의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를 외면하고 개념적으로 만들어낸 가설일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누군가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에 대해 [당신에게] 물어도 그 사람은 [당신의 대답에서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에 대한] 지식을 얻지 못할 것이며 오히려 [당신의 주장 또는 이론 때문에] 더 큰 의문만 가지게 될 것이다. 왜 그런가? [당신이 12처라는 일체법의 체계를 버리고, 임의대로 생각하여] 그렇게 세운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는 경계(境界きょうかい: 세력 범위이자 작용 대상, 즉 실제로 존재하는 것[주해 2])가 아니기 때문이다. [즉, 그렇게 세운 일체(존재 전체, 우주, 나)는 6근과 6경과는 멀리 떨어진 가설적인 것, 개념적인 것, 즉 말만의 것이기 때문에 경험(수행)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말(개념)로 이렇게도 저렇게도 이론을 계속 세워나갈 수 있는

그런 대상이기 때문이다.]"

— 《잡아함경》 제13권 제319경. 한문본한글본

12처을 설하고 있는 다른 주요 경문으로는 상좌부 불교의 《중부(中部ちゅうぶ, 맛지마 니까야)》의 제148경인 〈육륙경(ろくろくけい)〉, 부파불교의 《중아함경(ちゅうおもね含經)》의 제21권 제86경인 〈설처경(せつしょけい)〉, 《잡아함경(ざつおもね含經)》의 제13권 제304경인 〈육륙경(ろくろくけい)〉 등이 있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주해

[편집]
  1. 내외(內外)는 내적인 것[內]과 외적인 것[そと]을 말한다. 《구사론》의 설일체유부의 교학[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에 따르면, 마음, 즉 6식(識)은 아집(我執がしゅう, ahaṃkāra)의 의지처가 되기 때문에 나[]라고 가설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12처(ところ) 중 내적인 것은 나[]의 소의(ところ)가 되는 가까운 것인 6근(), 즉 앞의 6처(ところ)를 말하며, 외적인 것은 나[]의 소연(所緣しょえん)이 되는 먼 것인 6경(さかい), 즉 뒤의 6처(ところ)를 말한다. 18계(さかい)의 경우, 내적인 것은 나[]의 소의(ところ)가 되는 가까운 것인 6근()과 6식(識)을 말하며, 외적인 것은 나[]의 소연(所緣しょえん)이 되는 먼 것인 6경(さかい)을 말한다.
  2. 잡아함경》의 제319경인 이 〈일체경(一切經いっさいきょう)[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다음의 경인 제320경 〈일체유경(一切いっさいゆうけ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에서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를 생문 브라만이 다시 고타마 붓다에게 묻고 있으며, 고타마 붓다는 그 물음에 답하고 있다.

각주

[편집]
  1. 星雲せいうん, "じゅうしょ". 2012년 9월 20일에 확인
    "じゅうしょ: ゆび六根ろっこんろくさかいまたさくじゅういれじゅうにゅうしょところため梵語ぼんご āyatana これやく,乃養育よういく生長せいちょうそくちょうようこころしんしょほうけいぶんためじゅうしゅ,乃眼、みみはなしたいろこえこうあじさわほうとうしょぜんろくしょため六根ろっこん係屬けいぞく主觀しゅかん感覺かんかく器官きかん為心いしんしんしょこれしょゆうろく內處たたえろくしょためろくさかいぞく客觀きゃっかんさとし對象たいしょう為心いしんしんしょ所緣しょえんたたえろくそとしょ。此じゅう二處攝盡一切法,わかはい五蘊ごうんみみはなしたいろこえこうあじさわとうじゅうしょくしょ相當そうとう於色蘊;しょそくため識蘊,賅攝六識及意界之七心界;ほうしょため受、おもえくだりさん蘊,そく賅攝よんじゅうろくしんしょじゅうよん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ひょうしょくさん無為むいとうろくじゅうよんほう。〔ざつおもね經卷きょうかんじゅうさん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ななじゅういち〕"
  2. 운허, "じゅうしょ(십이처)". 2012년 9월 20일에 확인
    "じゅうしょ(십이처): 6근()과 그 대상인 6경(さかい). 이 6근과 6경이 접촉하여 온갖 정신 작용이 일어남. ⇒삼과(三科みしな)·촉입(さわにゅう)"
  3. 佛門ぶつもんもう, "ろく外入とのにゅうしょ". 2013년 5월 22일에 확인
    "ろく外入とのにゅうしょ:
    出處しゅっしょ: かんやくおもね含經辭典じてんそう春江はるえへん(1.4はん)
    解釋かいしゃく: 參看さんかん外入とのにゅうしょ」。"
  4. 佛門ぶつもんもう, "外入とのにゅうしょ". 2013년 5월 22일에 확인
    "外入とのにゅうしょ:
    出處しゅっしょ: かんやくおもね含經辭典じてんそう春江はるえへん(1.4はん)
    解釋かいしゃく: ゆびしょく所見しょけんぶつ)、こえこうはなしょ聞的氣味ぎみ)、あじ舌頭ぜっとうしょ嚐的あじどう)、さわ身體しんたいしょ接觸せっしょく)、ほうこころこれしょねんとうろくさかい」(またさくろく外入とのにゅうしょ」、「そとろくにゅうしょ」、「ろくちり」、「そとろくちり」),參看さんかんそと」、「ところ」。"
  5. 운허, "じゅういれ(십이입)". 2012년 9월 20일에 확인.
  6.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37 / 1397쪽.
  7. 星雲せいうん, "いろ". 2012년 12월 23일에 확인
    "しょく蘊: 梵語ぼんご rūpa-skandha,ともえとし rūpa-kkhandha。またさくしょくかげいろ受陰。ため五蘊ごうんいちいろためへん礙義;佔有一定いってい空間くうかん,且會へん壞者,しょうためしょく。而色聚集,しょうためしょく蘊;またそくゆうしつ礙、へん礙諸ほう類聚るいじゅう
     依據いきょ俱舍ろんまきいち所載しょさいいろがかりゆび五根ごこん耳鼻じびした)、さかいいろごえ香味こうみさわ)及無ひょうしょく五根ごこんためみみとう五識之所依,ためしゅきよししょく境為さかためみみとう五根所取之五種境界。
     さかい中之なかのしょくゆうあおあかしろ長短ちょうたん方圓ほうえんとうじゅうしゅあおあかしろとうじゅうしゅしょうあらわしょく長短ちょうたん方圓ほうえんとうはちしゅしょうがたしょくこえふんためゆう受大しゅいん受大しゅいんとうはちしゅごえこうゆうこうこうあくこうとうこう不等ふとうよんしゅべつあじゆうあま、鹹、からしあわとうろくしゅさわゆうみずふうよんだいたね,及滑せい、澀性、じゅうせいけいせいなみひえかつえ、渴等じゅういちしゅひょうしょくいい意識いしきえん過去かこ所見しょけんさかい,雖分別明べつめいりょう,而無ひょうたいしょうひょう;雖無しょひょう,而於所緣しょえんさかいしる忘,しょうためしょく
     於上述じょうじゅつ諸色しょしきほうちゅうまた其一一法之性質而歸納成下列之數種分類。よりどころざつおもね經卷きょうかんさんいろ受陰そく所有しょゆういろ;乃一切四大及四大所造之色。其中,水火すいかふうよんだいたねためのうづくり,而色ごえとう為所しどころづくりおもね毘曇しんろん經卷きょうかんいちいろゆうしゅ:(いち)微塵みじんせき聚之しょくゆびみみ乃至ないしあじさわとうじゅうしょくいれまたたたえじゅうしょくしょ。()微塵みじんせき聚之しょくゆびきょうしょくひょうしょく),ためほうにゅうこれしょまたざつおもね經卷きょうかんじゅうさんあつまりもんあしろんまきさん、俱舍ろんまきじゅうさんとうはたいろぶんためゆうゆうたいゆうたいたいさんしゅゆうゆうたいまたつくゆうたいよし其可示現じげん彼此ひし差別さべつためゆう;以其ゆう障礙しょうがいためゆうたいそくゆび極微きょくびしょなりしょこれしょくさかいゆうたいまたさく不可ふかゆうたい。雖有障礙しょうがい不可ふかそくゆび五根及聲香味觸之四境。たい,乃不可ふか障礙しょうがいほうそくゆびひょうしょく
     依據いきょ顯揚けんよう聖教せいきょうろんまき所載しょさいしょく蘊略ゆうしゅしょうそく:(いち)そうそく色身いろみ諸法しょほうかくゆう不同ふどうそう,如堅地相ちそう,溼是すいしょう,煖是しょうどうふうしょう。()ともしょうそく色身いろみ諸法しょほう和合わごうこれしょういい一切色身皆從地水火風和合為相。(さん)しょのうあいぞくしょうそく色身いろみ四大種是所依相,四大造色是能依相。(よん)受用じゅようしょういいとう諸根もろねゆうぞう上力じょうりき諸色しょしきちり境界きょうかいとく以產せいとげゆう苦樂くらく逆順ぎゃくじゅん受用じゅようこれしょう。()ぎょうしょういい色身いろみのうさく種種しゅじゅぎょうぎょうこれしょう一切いっさいぎょうぎょうみな色身いろみ增長ぞうちょう。〔ざつおもね經卷きょうかんぞう一阿含經卷二十六、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ななじゅうまきななじゅうろくまきいちはちざつおもね毘曇しんろん卷一けんいちまきじゅんせい理論りろん卷一けんいち大乘だいじょうおもね達磨だるましゅうろん卷一けんいち大乘だいじょうひゃくほうあかりもんろん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卷一けんいちまき、俱舍ろんひかり卷一けんいちだい乘法じょうほうえんよしはやしあきらまきほん止觀しかん輔行でんひろしけつまきいち〕(まいり閱「五蘊ごうん」1212)"
  8.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40 / 1397쪽.
  9. 권오민 2003, 49–56쪽.
  10. 운허, "三科みしな(삼과)". 2012년 9월 20일에 확인.
  11.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40-41 / 1397쪽.
  12.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41 / 1397쪽.
  13. 구나발타라(もとめばつ陀羅) 한역 & K.650, T.99, 495 / 214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