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불교 용어 목록 (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불교 용어 목록 (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불교 용어 목록/무에서 넘어옴)

바로가기:

무겁약

[편집]

무겁약(おびえじゃく)은 무하(無下むげ)의 다른 말이다.

무견무대

[편집]

무견무대(たい)는 무견무대색의 다른 말이다.

무견무대색

[편집]

무견무대색(たいしょく)은 가견성(見性けんしょう)도 없고 대애성(たい礙性)도 없는 물질[いろ]이다. 불가견무대색(不可ふかたいしょく)이라고도 한다.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11가지 색법무표색(ひょうしょく)의 1가지 법이 무견무대색이다.[1]

무견유대

[편집]

무견유대(ゆうたい)는 무견유대색의 다른 말이다.

무견유대색

[편집]

무견유대색(ゆうたいしょく)은 가견성(見性けんしょう)은 없으나 대애성(たい礙性)이 있는 물질[いろ]이다. 불가견유대색(不可ふかゆうたいしょく)이라고도 한다.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11가지 색법5근(五根ごこん: 승의근)과 5경(さかい) 중 색경(いろさかい)을 제외한 4경(よんさかい)의 9가지 법이 무견유대색이다.[2]

무경

[편집]

무경(けい)은 온갖 공덕(功德くどく)과 유덕자(有德うとくしゃ: 즉 스승)에 대해 공경함이 없는 것으로, 《구사론》에 따르면, 무숭(たかし· 무소수속(しょずいぞく)과 함께 무참(慚)의 마음작용본질적 성질을 이룬다.[3][4]

무괴

[편집]

무괴(愧)는 (愧)의 반대인데, (戒) · (じょう· (とし)의 3학(さんがく)의 공덕이 있는 사람, 즉 스승의 꾸짖음이나 죄과에 대해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 마음작용, 또는 죄에 대해 두렵게 보지 않는 마음작용이다.[5][6][7]

무기사

[편집]

무기사(おもえ), 무기의 사 또는 착하지도 악하지도 않은 사(おもえ)의 마음작용을 3가지로 나눈 선사(ぜんおもえ· 불선사(不善ふぜんおもえ· 무기사(おもえ)의 3사(三思さんし) 가운데 하나이다.[8][9] 무기사(おもえ)는 무기(おもえ) 즉 불선도 아닌 의업(ぎょう)을 짓고 만드는[造作ぞうさく] 것, 즉, 공덕(功德くどく)도 과실(過失かしつ)을 짓는 정신적 행위[ぎょう]를 말한다.[10][11][12][13]

무기의 사

[편집]

무기의 사무기사(おもえ)의 다른 말이다.

무대법

[편집]

무대법(たいほう, 산스크리트어: apratigha, 티베트어: thogs pa med pa, 영어: unobstructed, unopposed, unhindered, non-resistance)은 줄여서 무대(たい)라고도 한다. 문자 그대로의 뜻은 '대(たい)함이 없다'는 것으로, '대(たい)'는 애(礙: 방해, 장애) 또는 대애(たい礙: 대하여 방해함, 대하여 장애함)를 뜻한다. 따라서 무대법 또는 무대대애성(たい礙性)이 없는 을 뜻한다.[14][15][16][17]

대애성(たい礙性) 또는 줄여서 대애(たい礙)는 어떤 사물이 이미 어떤 공간을 점유하고 있을 때 다른 사물이 그 동일 공간을 점유하지 못하도록 장애하는 성질이다.[18][19]

무대법(たい)을 무장애법(障礙しょうがいほう) 또는 무장애(障礙しょうがい)라고도 하고, 무대(たい)의 성질무장애성(障礙しょうがいせい)이라고도 한다.[16][20][21]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6권에 따르면,[22][23]

무대법(たいほう) 또는 무대(たい)는 12처 가운데 2처(しょ)를 말한다. 즉, 의처(しょ)와 법처(ほうしょ)를 말한다. 즉, 마음[しょ]과 법경(ほうさかい)을 말한다. 나머지 10처는 모두 유대법(ゆうたいほう)이다.
말하자면, 마음[しょ] 즉 정신(精神せいしん)과 정신적 사물[ほうさかい]은 부피가 있어서 공간을 점유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마음이나 정신적 사물공간적으로 장애하지 않는다.[17]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구사론》 제2권에 따르면,[24][25]

무대법(たいほう) 또는 무대(たい)는 18계 가운데 8계(はちかい)를 말한다. 즉, 의계(かい· 법계(法界ほうかい· 안식계(眼識がんしきかい· 이식계(みみ識界) · 비식계(はな識界) · 설식계(した識界) · 신식계(識界) · 의식계(意識いしきかい)를 말한다. 즉, 6식의근법경을 말한다. 달리 말하면, 마음(즉, 6식과 의근의 합인 7심계)과 법경, 즉 정신정신적 사물을 말한다.

무량상

[편집]

무량상(無量むりょうそう) 또는 한량없는 생각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에서 (そう)의 마음작용을 3가지로 나눈 소상(しょうそう· 대상(だいそう· 무량상(無量むりょうそう)의 3상(さんそう) 가운데 하나이다.[26][27]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의 논서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따르면 무량상(無量むりょうそう)은 무색계공무변처식무변처요별할 수 있는 (そう)이다.[28][29]

무루무위와 무루유위

[편집]

무루무위(無爲むい)에서 무위(無爲むい)는 진리의 다른 말이며, 무루무위유루법잡염법멀리 떠나 있는 것을 가리킨다. 달리 말하면, 무위법진리 즉 '무루깨달음'의 본래 모습은 유루법잡염법소란스러움[擾亂じょうらん]을 멀리 떠나 있는 무루일 뿐만 아니라 적정(寂靜じゃくじょう)하고 담연(たたえしか)하고 부동(不動ふどう)하다. 무위법진리의 이러한 본체(本體ほんたい)적 측면을 가리켜 무루무위라 한다.[30][31] 무위무루(無爲むい· 무위법신(無爲むいほう) 또는 무위열반계(無爲むい涅槃ねはんかい)라고도 한다. 4성제 가운데 멸제(めつたい)에 해당한다.[32][33][34]

무루유위(有爲ゆうい)는 본체의 입장에서 볼 때 적정하고 담연하며 부동무위법진리가 활동함에 있어서, 그 모습유루법잡염법소란스러움[擾亂じょうらん]을 멀리 떠나 있는 무루일 뿐만 아니라 그 작용이 무궁무진하다는 것을 말한다. 무위법진리의 이러한 작용(作用さよう)적 측면을 가리켜 무루유위라 한다.[30][31] 유위무루(有爲ゆうい)라고도 한다. 4성제 가운데 도제(みちたい)에 해당한다.[35][32]

무루성혜

[편집]

무루성혜(ひじりとし)는 무루지(さとし)의 다른 말이다.

무명

[편집]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

무명(無明むみょう)은 3계무지성(三界さんがい無知むちせい), 즉 3계무지(無知むち)의 성질을 말한다.[36][37] 즉, 욕계무지 · 색계무지 · 무색계무지를 통칭한다.

무명결

[편집]

무명결(無明むみょうゆい)은 애결(あいゆい· 에결(恚結) · 만결(慢結) · 무명결(無明むみょうゆい· 견결(ゆい· 취결(取結とりむすべ· 의결(うたぐゆい· 질결(嫉結) · 간결(慳結)의 9결(きゅうゆい) 가운데 하나이다.

아비달마품류족론》 제1권에 따르면,

무명결3계무지(三界さんがいさとし) 즉 3계무지(さとし)이다.[38][39] 즉, 욕계무지(さとし· 색계무지(さとし· 무색계무지(さとし)를 총칭한다.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과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에 따르면,

무명결3계무지(三界さんがいさとし) 즉 3계무지(さとし)를 말한다. 마음무명결3계무지(三界さんがいさとし)에 의해 묶이게[ところ繫] 되면 마음고법(ほう)과 집법(ほうしゅう)을 불능해료(不能ふのうかいりょう: 철저히 이해할 수 없음)하는 상태가 된다. 고법집법불해료(かいりょう: 철저히 이해하지 못함)하기 때문에 불선을 널리 행하고 갖가지 을 행하지 않게 된다. 불선은 행하고 은 행하지 않기 때문에 미래세()를 불러들이고()와 상응하게 된다.[40][41][42]
잡집론》의 해설에 따르면, 고법(ほう)은 결과성질의 모든 유루행[はてせいゆう諸行しょぎょう][43], 즉 유루행온, 즉 유루마음작용을 말하고, 집법(ほうしゅう)은 원인성질의 모든 유루행[いんせいゆう諸行しょぎょう], 즉 유루행온, 즉 유루마음작용을 말한다. 불해료(かいりょう: 철저히 이해하지 못함)는 어떤 유루행(ゆうくだり)이 과환(患)이라는 것을 불료지(了知りょうち: 철저히 알지 못함)하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고법(ほう)과 집법(ほうしゅう)을 불해료(かいりょう: 철저히 이해하지 못함)하는 상태라는 것은 결과원인성질의 모든 유루행이 '(실제로) 존재하는 과환[所有しょゆう患]'이라는 것을 불료지(了知りょうち: 철저히 알지 못함)하는 상태를 말한다.[41][42]

무명촉

[편집]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

무명촉(無明むみょうさわ)은 염오촉(しみけがれさわ) 즉 (しみ: 번뇌)에 오염된[けがれ] (さわ)의 마음작용이다.[44][45]

무변료상

[편집]

무변료상(べんりょうしょう)은 소지경(ところともさかい: 알아야 할 대상)에 대한 분별[べん]과 [りょう]이 없는 상태[そう]를 말한다. 《현종론》에 따르면, () 즉 무명(無明むみょう) 또는 어리석음소지경(ところともさかい: 알아야 할 대상)에 대한 여리해(如理解りかい: 진리에 계합하는 이해)가 장애되어 있는 무변료상이다. 즉, 대상에 대한 참다운 이해 또는 앎이 없는 상태이다.[46][47]

무색

[편집]

1. 무색(無色むしょく)은 욕계(欲界よくかい· 색계(いろかい· 무색계(無色むしょくかい)의 3계(三界さんがい) 중 무색계(無色むしょくかい)의 줄임말이다.

2. 무색(無色むしょく)은 무색법(無色むしょくほう)의 줄임말이다.

무색계

[편집]

무색계(無色むしょくかい)는 욕계(欲界よくかい· 색계(いろかい· 무색계(無色むしょくかい)의 3계(三界さんがい) 가운데 하나로, 욕유(よくゆう· 색유(いろゆう· 무색유(無色むしょくゆう)의 3유(さんゆう) 가운데 무색유(無色むしょくゆう)와 동의어이다.[48][49][50][51]

불교우주론 또는 세계관에서 3계 또는 3유28천(じゅうはちてん)으로 나뉘지만, 수행론번뇌론에서는 흔히 9지(きゅう)로 나뉜다. 9지무색계 또는 무색유에 해당하는 것은 제6지인 공무변처지(そら無邊むへんしょ)부터 제9지인 비상비비상처지(そうそうしょ)까의 4가지 ()이다.[52][53][54]

3계9지(三界さんがいきゅう)

  1. 욕계(欲界よくかい) 또는 욕유(よくゆう)
    1. 오취잡거지(おもむき雜居ざっきょ)
  2. 색계(いろかい) 또는 색유(いろゆう)
    1. 이생희락지(はなれせい喜樂きらく)
    2. 정생희락지(じょうせい喜樂きらく)
    3. 이희묘락지(はなれ妙樂地みょうらくじ)
    4. 사념청정지(捨念淸淨せいじょう)
  3. 무색계(無色むしょくかい) 또는 무색유(無色むしょくゆう)
    1. 공무변처지(そら無邊むへんしょ)
    2. 식무변처지(識無しょ)
    3. 무소유처지(所有しょゆうしょ)
    4. 비상비비상처지(そうそうしょ)

무색계계

[편집]

1. 무색계계(無色むしょくかい繫)는 무색계속박무색계번뇌를 말한다.[55][56] (繫)는 속박의 뜻으로 번뇌의 다른 말이다.[57]

2. 무색계계(無色むしょくかい繫)는 '무색계에 속한' 또는 '무색계에 매인'의 뜻이다.

무색계의 수면

[편집]

무색계의 수면(無色むしょくかいずいねむり)은 무색계10수면(じゅうずいねむり)을 5부()로 분별하여 구분되는 총 31가지의 수면(ずいねむり) 즉 31가지의 근본번뇌를 말한다.[58][59][60][61]

자세히 말하면, 3계 가운데 무색계에 존재하는 (むさぼ· (瞋) · (慢) · 무명(無明むみょう· 유신견(ゆう· 변집견(あたり· 사견(邪見じゃけん· 견취(見取みとり· 계금취(戒禁· (うたぐ)의 10수면 즉 10가지 근본번뇌견고소단(しょだん· 견집소단(しゅうしょだん· 견멸소단(めつしょだん· 견도소단(どうしょだん· 수도소단(修道しゅうどうしょだん)의 5부 즉 5가지 부류로 분별하였을 때 그 결과로 구분되는 31가지의 근본번뇌를 말한다. 그런데 10수면 가운데 (瞋)은 욕계에만 존재하는 번뇌이기 때문에,[60][61] 실제로는 9가지 수면근본번뇌5부 분별한 것이다.

그리고 모든 번뇌근본번뇌수번뇌로 나뉘는데, 수번뇌근본번뇌에서 파생된 2차적인 번뇌이므로, 근본번뇌가 끊어진다는 것을 수번뇌끊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들 31가지 근본번뇌는 '무색계의 모든 번뇌'가 수행계위 중 언제 끊어지는가를 기준으로 구분하였을 때의 31가지라고 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무색계로부터 언제 해탈하게 되는가의 관점에서 구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瞋)은 욕계에만 존재하는 번뇌이므로 무색계번뇌를 헤아릴 때는 제외된다. 따라서 무색계의 9수면 즉 무색계의 9가지 근본번뇌5부로 분별한 것이므로, 단순히 계산하면 45가지가 있어야 하지만 31가지가 있는 것은 이들 9가지 수면근본번뇌5부 모두를 갖추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품류족론》과 《구사론》 등에 따르면, 무색계31수면은 다음과 같이 계산되어 구해진다.[62][63][60][61][64][65]

무색계31수면5부에 따라 나누면 다음과 같다.[58][59][60][61]

무색법

[편집]

무색법(無色むしょくほう, 산스크리트어: ārūpya-dharma, 티베트어: gzugs can ma yin pa, 영어: immaterial dharmas)은 줄여서 무색(無色むしょく)이라고도 한다.[66][67]

색법이 아닌 모든 을 말하는데, 유위법에 대해서만 적용할 경우 무색법(無色むしょくほう)은 설일체유부5위 75법법체계에서 심법(しんほう· 심소법(しんしょほう· 심불상응행법(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을 통칭하는 말이다. 또는 유식유가행파법상종5위 100법법체계에서 심법 · 심소법 · 심불상응행법을 통칭하는 말이다.[68]

무위법까지 포함된 일체법에 대해 적용할 경우, 무색법(無色むしょくほう)은 설일체유부5위 75법법체계에서, 색법을 제외한 모든 심법 · 심소법 · 심불상응행법 · 무위법을 통칭하는 말이다. 또는 유식유가행파법상종5위 100법법체계에서, 색법을 제외한 모든 심법 · 심소법 · 심불상응행법 · 무위법을 통칭하는 말이다.[69]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6권에 따르면,

무색법(無色むしょくほう)은 일체법을 이루는 12처(じゅうしょ) 가운데 1처와 '1처의 일부[しょうぶん]'를 통칭한다. 즉, 의처(しょ)와 '무표색(ひょうしょく)을 제외한 법처(ほうしょ)의 일부'를 통칭한다.[70][71] 여기서, '무표색(ひょうしょく)을 제외한 법처(ほうしょ)의 일부'는 유위법에 대해 적용할 경우 심소법심불상응행법이 되고, 일체법에 대해 적용할 경우 심소법 · 심불상응행법 · 무위법이 된다.

무색유

[편집]

무색유(無色むしょくゆう)는 욕유(よくゆう· 색유(いろゆう· 무색유(無色むしょくゆう)의 3유(さんゆう) 가운데 하나로, (ゆう)는 존재 또는 그 존재가 살고 있는 세계를 뜻한다. 세계라는 뜻에서는 무색유욕계(欲界よくかい· 색계(いろかい· 무색계(無色むしょくかい)의 3계(三界さんがい) 가운데 무색계(無色むしょくかい)와 동의어이다. 그리고 존재라는 뜻에서는 무색계무색계윤회할 수 밖에 없는 상태 또는 경지유정을 말한다.[48][49][50][51] 이 경우 번역하여 빛깔이 없는 존재라고도 한다.[72][73]

무생지

[편집]

무생지(なまさとし, 산스크리트어: anutpāda-jñāna, 산스크리트어: anuppāda-ññāna)는 자기가 지어야 할 일을 이미 지어 다시는 지을 필요가 없다는 것을 참답게 아는 것이다.[74]

무색탐

[편집]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 무색탐(無色むしょくむさぼ)은 무색(無色むしょく)에 대하여 일으킨 모든 (むさぼ· 등탐(とうむさぼ· 집장(ぞう· 방호(防護ぼうご· 탐착(ふけちょ· 애락(あいらく)을 통칭한다. 즉, 무색계존재에 대한 (むさぼ· 그 모두에 대한 탐[とうむさぼ· 꽉 쥐어서 간직함[ぞう· 빼앗기지 않기 위해 막아 수호함[防護ぼうご· 빠져서 들러붙음[ふけちょ· 갈망하며 좋아함[あいらく]의 마음작용을 통칭한다.[75][76]

무소수속

[편집]

무소수속(しょずいぞく)은 온갖 공덕(功德くどく)과 유덕자(有德うとくしゃ: 즉 스승)에 대해 수속(ずいぞく)하는 바가 없는 것 즉 따라 속하는 바가 없는 것 즉 제자로서의 예의가 없는 것으로, 《구사론》에 따르면, 무경(けい· 무숭(たかし)과 함께 무참(慚)의 마음작용본질적 성질을 이룬다.[3][4]

무손뇌

[편집]

무손뇌(そん惱)는 유정에 대하여 손뇌(そん惱)가 없는 것 즉, 유정에 대해 손상시키거나 괴롭히려는 마음이 없는 것을 말한다. 《구사론》에 따르면, 무손뇌불해(がい)의 마음작용본질적 성질이다.[77][78]

무숭

[편집]

무숭(たかし)은 온갖 공덕(功德くどく)과 유덕자(有德うとくしゃ: 즉 스승)에 대해 존중함이 없는 것으로, 《구사론》에 따르면, 무경(けい· 무소수속(しょずいぞく)과 함께 무참(慚)의 마음작용본질적 성질을 이룬다.[3][4]

무심

[편집]

무심(無心むしん)에는 여러 가지 뜻이 있다.

  1. 무심(無心むしん)은 망념(妄念もうねん)을 멀리 떠난 진심(眞心まごころ: 참된 마음)을 가리킨다.[79] 심식(こころ識) 즉 마음이 없다는 말이 아니며 무애자재의 상태에 있는 것을 말한다.[80]
  2. 허망하게 분별하는 마음은 찾을 수 있는 자성(自性じしょう)이 없으므로 이를 가리켜 무심이라 한다.[79]
  3. 무심(無心むしん)은 미혹되어 본성을 잃어버린 마음을 말한다.[81]
  4. 설일체유부 등의 부파불교의 교학에서, 무심무상정(想定そうていi)이나 멸진정(滅盡めつじんじょう)에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82]
  5. 유식유가행파법상종의 교학에서 무심5위무심(無心むしん)을 말한다.[79][83]

무위법

[편집]

무위법(無爲むいほう)은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구분 방식에 따라 일체법을 크게 색법(いろほう· 심법(しんほう· 심소법(しんしょほう· 심불상응행법(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 무위법(無爲むいほう)의 순서로 5가지 그룹[ほう 또는 ]으로 나눌 때[84][85] 또는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법상종의 구분 방식에 따라 일체법을 크게 심법(しんほう· 심소법(しんしょほう· 색법(いろほう· 심불상응행법(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 무위법(無爲むいほう)의 순서로 5가지 그룹으로 나눌 때[86][87], 이들 5가지 그룹 중의 하나로, 유위법에 속하지 않은 들을 통칭한다. 줄여서 무위(無爲むい)라고도 한다.

설일체유부의 《아비달마품류족론》에 따르면, 허공(虛空こくう· 비택멸(めつ· 택멸(めつ)의 3가지 무위법에 속한다.[88][89]

대승불교의 《대승백법명문론》에 따르면, 허공(虛空こくう· 택멸(めつ· 비택멸(めつ· 부동멸(不動ふどうめつ· 상수멸(そう受滅) · 진여(眞如しんにょ)의 6가지 무위법에 속한다.[90][91]

무의어

[편집]

무의어()는 기어(綺語きご: 진실이 없는 교묘히 꾸민 말)의 다른 말이다.

무전도해

[편집]

무전도해(顛倒てんとうかい)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전도됨이 없는 이해 또는 뒤바뀌지 않은 이해로, 구체적으로는 무아(無我むが· 무상(無常むじょう· (いん: 원인) · (はて: 결과) · 공용(こうよう: 작용) · 실사(實事じつごと: 참다운 존재) · (· 부정(不淨ふじょう)에 대한 바른 이해를 말한다.

현양성교론》에 따르면, 살가야견(薩迦耶見) · 변집견(あたり· 사견(邪見じゃけん· 견취(見取みとり· 계금취(戒禁)의 5견()은 각각 다음의 작용[ぎょう]을 한다.

무지

[편집]

1. 무지(無知むち)는 마음인식대상(こと: 사물, 현상)와 (: 이치, 본질)를 밝게 알지 못하는 것이다.[102][103] 무명(無明むみょう)의 다른 말이다.

2. 무지(さとし)는 마음인식대상(こと: 사물, 현상)와 (: 이치, 본질)를 밝게 결택(けつ: 옳고 그름을 판단하여 결정함)할 수 없는 상태이다.[104][105] 무명(無明むみょう)의 다른 말이다.[38][39]

무진

[편집]

무진(瞋, 산스크리트어: apratigha, adveṣa, 팔리어: adosa, 영어: good will, non-aggression, non-hatred, imperturbability, non-anger)은 선근(善根ぜんこん) 중의 하나이며, 설일체유부5위 75법에서 심소법(しんしょほう: 46가지) 중 대선지법(だい善地ぜんちほう: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법상종5위 100법에서 심소법(しんしょほう: 51가지) 중 선심소(善心ぜんしんしょ: 11가지) 가운데 하나이다. 무진(瞋)은 유정(有情うじょう)과 비유정(有情うじょう)에 대해 미워하지 않는 마음작용이다.[5][106][107][108] 설일체유부중현(しゅうけん)은 《아비달마장현종론(おもね達磨だるまぞうあらわ宗論しゅうろん)》에서, 무진(瞋)이란 유정이나 비유정에 대해 미워하거나 해치려는 마음이 없는 애민(あい愍: 가엾고 불쌍히 여김)의 종자라고 말하고 있다.[106]

무집수

[편집]

유집수(ゆう受, 산스크리트어: upātta)는 심법(しんほう: 마음)과 심소법(しんしょほう: 마음 작용)이 함께 집지(· 포섭(包攝ほうせつ)하여 의처(しょ), 즉 소의(ところ: 도구, 감각 기관)나 경계(境界きょうかい: 대상)로 삼는 (いろ, 물질)이다. 반면, 무집수(受, 산스크리트어: anupātta)는 이러한 뜻이 없는 (いろ, 물질)을 말한다.[109]

무참

[편집]

무참(慚)은 (慚)의 반대인데, (戒) · (じょう· (とし)의 3학(さんがく)의 공덕이 있는 사람, 즉 스승을 공경하지 않는 마음작용, 또는 죄과를 범한 경우에도 그것을 관찰 · 반성하지 않고 스스로에 대해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 마음작용이다.[5][110][111]

무참과 무괴

[편집]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 다음은 무참(慚)과 무괴(愧)의 공통된 마음작용들이다.

  • 불치(羞): 부끄러워하지 않음
  • 부등치(不等ふとう羞): 그 모두에 대해 부끄러워하지 않음
  • 불각별치(かくべつ羞): 각각 따로따로에 대해 부끄러워하지 않음
  • 불염(いや): 싫어하지 않음
  • 부등염(不等ふとういや): 그 모두에 대해 싫어하지 않음
  • 불각별염(かくべついや): 각각 따로따로에 대해 싫어하지 않음
  • 불훼(毀): 무너뜨리지 않음
  • 부등훼(不等ふとう毀): 그 모두에 대해 무너뜨리지 않음
  • 불각별훼(かくべつ毀): 각각 따로따로에 대해 무너뜨리지 않음

무치

[편집]

무치(, 산스크리트어: amoha, 팔리어: amoha, 영어: wisdom, non-delusion, non-bewilderment, lack of naivety, lack of stupidity)는 어리석음이 없음 또는 어리석지 않음으로, 선근(善根ぜんこん) 중의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법상종5위 100법에서 심소법(しんしょほう: 51가지) 중 선심소(善心ぜんしんしょ: 11가지) 가운데 하나이다. 설일체유부5위 75법에서는 심소법(しんしょほう: 46가지) 중 대지법(大地だいちほう: 10가지) 가운데 하나인 (とし)에 속한 것으로 보아 별도의 법으로 설정하지 않는다.[5][106][112][113] 무치()는 모든 의 사리(事理じり)를 밝게 아는[明解めいかい] 마음작용으로, 우치(愚癡ぐち)의 마음작용을 대치(たい)하여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선법(ぜんほう)을 행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112][113]

현양성교론·대승오온론·대승광오온론》에 따르면, 무치(: 어리석음이 없음, 어리석지 않음)는 정지(せい) 또는 정료(せいりょう) 즉 바른 앎과 동의어이다.[114][115][116][117] 그리고 무치 · 정지 · 정료본질4성제12연기진리계합하는 8정도6바라밀 등의 여실정행(如實にょじつ正行まさゆき) 또는 정행(正行まさゆき)이다. 즉, 무치 · 정지 · 정료여실정행 또는 정행과 동의어이다.[116][117][118][119][120]

달리 말하면, 불교에서의 은 경험에 의한 앎 또는 수행을 통해 증득된 앎이며, 보시계율 등의 실천[くだり]과 분리되지 않는다. 멘탈적인(지적인) 앎은 실천[くだり]의 단지 한 부분이며 기초일 뿐이다. 멘탈적인 앎을 전통적인 용어로 문혜(聞慧)와 사혜(おもえとし)라고 하며, 이 둘은 모두 유루지이다. 즉 성인지혜 또는 이 아니다. 하지만, 성인지혜 또는 무루혜성취하기 위한 출발점이 된다.[121][122][123]

무탐

[편집]

무탐(むさぼ, 산스크리트어: alobha, 팔리어: alobha, 영어: purity, non-attachment, without attachment)은 선근(善根ぜんこん) 중의 하나이며, 설일체유부5위 75법에서 심소법(しんしょほう: 46가지) 중 대선지법(だい善地ぜんちほう: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법상종5위 100법에서 심소법(しんしょほう: 51가지) 중 선심소(善心ぜんしんしょ: 11가지) 가운데 하나이다. 설일체유부에 따르면, 무탐(むさぼ)은 애착하지 않는 마음작용이다.[5][106][124][125] 즉, 불생불멸무위법출세간의 존재나 대상이 아닌 생멸변화하는 유위법세간의 존재나 대상에 대해 애착하거나 집착하지 않는 마음작용이다. 설일체유부중현(しゅうけん)은 《아비달마장현종론(おもね達磨だるまぞうあらわ宗論しゅうろん)》에서, 무탐(むさぼ)이란 이미 획득하였거나 아직 획득하지 않은 [세속의] 경계에 대한 탐착 · 희구와 반대되는 것으로서, 마음에 애염(愛染あいぜん: [세속의 경계에] 애착하는 번뇌, 탐착)이 없는 것을 본질로 한다[愛染あいぜんせい]고 말하고 있다.[106]

무족

[편집]

무족(あし)은 무착의 《대승아비달마집론》, 안혜의 《대승아비달마잡집론》, 호법 등의 《성유식론》 등에 나오는, 정진(精進しょうじん) 또는 (つとむ)의 5단계의 차별인 피갑(かぶと· 가행(ゆき· 무하(無下むげ· 무퇴(退すさ· 무족(あし)의 5정진(精進しょうじん) 가운데 하나이다.[126][127][128][129] 무희족(あし)이라고도 한다.[130][131]

무족(あし)은 문자 그대로의 뜻은 '만족하지 않음'으로, 불교 경전에서 [うし]에게 멍에를 씌움으로써 로 하여금 도망가지 않고 능히 나아가게 하는 것과 같이 수행자에게 멍에를 지워 선법(ぜんほう)에서 벗어나지 않고 열반에 나아가게 한다는 뜻의 불사선액(捨善くびき: 선의 멍에를 버리지 않음)에 해당하는데, 이전의 무퇴(退すさ)의 노력과 성취에 안주하여 정체되지 않고 4성제를 관찰하는 수행인 제관(諦觀ていかん) 등의 보다 뛰어난 (みち)에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129]

무퇴

[편집]

무퇴(退すさ)는 무착의 《대승아비달마집론》, 안혜의 《대승아비달마잡집론》, 호법 등의 《성유식론》 등에 나오는, 정진(精進しょうじん) 또는 (つとむ)의 5단계의 차별인 피갑(かぶと· 가행(ゆき· 무하(無下むげ· 무퇴(退すさ· 무족(あし)의 5정진(精進しょうじん) 가운데 하나이다.[126][127][128][129] 불퇴전(不退轉ふたいてん)이라고도 한다.[130][131]

무퇴(退すさ)는 문자 그대로의 뜻은 '물러나지 않음'으로, 불교 경전에서의 견용(けんたけし: 견고하고 용맹한 것)에 해당하는데, 추위나 배고픔 등의 고통을 능히 인내로써 받아들이고, 열등한 (ぜん) 또는 선법(ぜんほう)에 대해서 혐오(嫌惡けんお)나 만족함을 일으키지 않으며, 다음 단계의 뛰어난 공덕 등을 기쁘게 구하는 것을 말한다.[129]

무하

[편집]

무하(無下むげ)는 무착의 《대승아비달마집론》, 안혜의 《대승아비달마잡집론》, 호법 등의 《성유식론》 등에 나오는, 정진(精進しょうじん) 또는 (つとむ)의 5단계의 차별인 피갑(かぶと· 가행(ゆき· 무하(無下むげ· 무퇴(退すさ· 무족(あし)의 5정진(精進しょうじん) 가운데 하나이다.[126][127][128][129] 무겁약(おびえじゃく)이라고도 한다.[130][131]

무하(無下むげ)는 문자 그대로의 뜻은 '낮추지 않음'으로, 불교 경전에서의 유용(ゆういさむ: 용감한 것)에 해당하는데, 증득해야 할 선법(ぜんほう)에 대해 스스로를 경멸하지 않고, 그 선법(ぜんほう)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129]

무학

[편집]

무학(無學むがく, 산스크리트어: aśaiksa)은 성도(ひじりみち)를 모두 성취(成就じょうじゅ)한 성자(聖者せいじゃ), 즉 아라한(阿羅漢あらかん)을 가리킨다.[132] (참고: 유학(ゆうがく))

무학작의

[편집]

무학작의(無學むがく作意さくい)는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에서 작의(作意さくい)의 마음작용을 3가지로 나눈 학작의(がく作意さくい· 무학작의(無學むがく作意さくい· 비학비무학작의(がく無學むがく作意さくい)의 3작의(さん作意さくい) 가운데 하나이다.[133][134]

무학작의(無學むがく作意さくい)는 무학(無學むがく) 즉 무학위(學位がくい: 배울 것이 없는 계위)의 성자아라한작의를 말한다.[133][134]

무희족

[편집]

무희족(あし)은 무족(あし)의 다른 말이다.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운허, "不可ふかたいしょく(불가견무대색)". 2011년 8월 31일에 확인.
  2. 운허, "不可ふかゆうたいしょく(불가견유대색)". 2011년 8월 31일에 확인.
  3.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4권. p. T29n1558_p0021a03 - T29n1558_p0021a09. 무참(慚)
    "今次こんじとうせつ於前しょべんしょしんしょちゅうしょうぶん差別さべつ慚無愧愛あずかけい差別さべつうんなに。頌曰。
     慚愧ざんきじゅう 於罪こわ
     愛敬あいきょういいしん ただ於欲しょくゆう
    ろん曰。此中慚無愧別しゃ於諸功德くどく有德うとくしゃけいたかしところなんしょずいぞくせつめい慚。そく恭敬きょうけいしょ敵對てきたいほう。"
  4.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80 / 1397. 무참(慚)
    "이제 다음으로 마땅히 앞에서 분별한 온갖 심소법 가운데 약간의 차별에 대해 논설해 보아야 할 것이다.
    무참(慚)과 무괴(愧), 애(あい)와 경(たかし)의 차별은 어떠한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무참과 무괴는 존중하지 않는 것이고
     죄를 두렵게 여기지 않는 것이며,
     '애'와 '경'이란 말하자면 신(しん)과 참(慚)으로서
     오로지 욕계와 색계에만 있을 뿐이다.
     慚愧ざんきじゅう 於罪こわ
     愛敬あいきょういいしんただ於欲しょくゆう
    논하여 말하겠다. 무참과 무괴의 차별은 이러하다. 온갖 공덕(戒·てい·とし의 삼학을 말함)과 공덕 있는 자(즉 스승)에 대해 공경하는 일이 없고, 숭배하는 일이 없으며, 어렵게 여겨 꺼리는 일[なん]도 없을 뿐더러, 따라 속하는 일[ずいぞく], 즉 제자로서의 예의도 없는 것을 일컬어 무참이라고 한다. 즉 이는 바로 공경에 적대되는 법이다.68)
    68) 그러나 무참은 공경이 결여된 상태는 아니며, 개별적 존재[べつたい]로서 공경과 대응하는 법이다. 무명(無明むみょう)과 명(あきら)의 관계 역시 이러하다.(본론 「세간품」 권제10 참조.)"
  5. 권오민 2003, 69–81쪽.
  6.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81-182 / 1397 무괴(愧)쪽
    "또한 모든 선사(ぜん)가 꾸짖고 싫어하는 법을 일컬어 죄(つみ)라고 하는데, 이러한 죄에 대해 두렵게 보지 않는 것을 일컬어 무괴라고 한다. 그리고 여기서 '두렵다'는 말은 애호할 만하지 않은 과보를 나타내니, 그것은 능히 두려움을 낳기 때문이다. ... 그런데 유여사는 설하기를, '지은 죄에 대해 ... 다른 것(이를테면 이숙과, 애호할 만하지 않은 과보)을 관찰하고서도 부끄러워함이 없는 것을 일컬어 무괴라 한다'고 하였다."
  7.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T29n1558_p0021a09 - T29n1558_p0021a18
    "ためしょぜんしょ訶厭ほうせつめいためざい。於此ざいちゅうこわかしこせつめい愧。此中こわげんあらわあいはて能生のうこわゆえ。... 有餘ゆうよせつ。於所づくりざい...かん無恥むちせつめい愧。"
  8.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1권. p. T26n1542_p0693a12 - T26n1542_p0693a13. 사(おもえ)
    "おもえうんなにいいしん造作ぞうさくせいそくぎょう。此有さんしゅいいぜんおもえ不善ふぜんおもえおもえ。"
  9.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1권. p. 4 / 448. 사(おもえ)
    "사(おもえ)란 무엇인가? 마음에서 조작하는 성품[造作ぞうさくせい]이니, 곧 그것은 의업(ぎょう)이다. 여기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착한 사[ぜんおもえ]·착하지 못한 사[不善ふぜんおもえ]·무기의 사[おもえ]이다."
  10.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4a24 - T31n1605_p0664a25
    "何等なんらためおもえいい於心づくり作意さくいぎょうためたい。於善不善ふぜんひんちゅうやくこころためぎょう。"
  11.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8 / 159. 사(おもえ)
    "어떠한 것이 사(おもえ)심소법입니까? 마음을 조작하는 의업(ぎょう)이 그 바탕이다. 선품ㆍ불선품ㆍ무기품 가운데에서 그 마음을 부리는 것으로 업(ぎょう)을 이루게 된다."
  12. 세친 조, 현장 한역 & T.1612, p. T31n1612_p0848c13 - T31n1612_p0848c14
    "うんなんためおもえいい功德くどく過失かしつ及俱相違そういれいしんづくり作意さくいぎょうためせい。"
  13.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618, T.1612, p. 8 / 12. 사(おもえ)
    "어떤 것이 사(おもえ)인가. 공덕과 과실과 두 가지가 아닌 것에 대해 마음을 조작하게 하는 의업(ぎょう)을 자성으로 삼는 것이다."
  14. 星雲せいうん, "たい". 2013년 5월 24일에 확인
    "たい:  梵語ぼんご apratigha。たいため礙之たいそく極微きょくびしょ成之しげゆき障礙しょうがいほう。「ゆうたい對稱たいしょうじゅうしょちゅうみみはなしたとう五根ごこん及色、こえこうあじさわ五境等十處有障礙,ためゆうたいしょほうしょ障礙しょうがいためたいしかゆうたいぶんため障礙しょうがいゆうたい境界きょうかいゆうたい所緣しょえんゆうたいさんしゅいま十色處為有對,しょほうしょためたい,乃就障礙しょうがいゆうたい而論。〔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ななじゅうろく、俱舍ろんまきなり唯識ゆいしき論述ろんじゅつまき〕(まいり閱「ゆうたい」2451) p5127"
  15. 운허, "不可ふかたいしょく(불가견무대색". 2013년 5월 24일에 확인
    "不可ふかたいしょく(불가견무대색): 3종 색(いろ)의 하나. 무표색(ひょうしょく)은 안식(眼識がんしき)으로 볼 수 없으므로 불가견이라 하고, 또 극미(極微きょくび)에서 났으나 극미로 된 것은 아니어서 다른 것에 대하여, 장애하는 성품을 가지지 않았으므로 무대색이라 함."
  16. DDB, "たい". 2013년 5월 24일에 확인
    "たい:
    Pronunciations: [py] wúduì [wg] wu-tui [hg] 무대 [mc] mudae [mr] mudae [kk] ムタイ [hb] mutai [qn] vô đối
    Basic Meaning: unobstructed
    Senses:
    # Unopposed, unhindered; non-resistance. Here たい is equivalent in meaning to 礙 or さわ, and the specific reference in the Yogâcāra context is to unhindered phenomena 障礙しょうがいほう, the opposite of ゆうたい. Among the twelve sense fields じゅうしょ, the five organs 五根ごこん of eyes , ears みみ, nose はな, tongue した and body, as well as the five objects of さかい form しょく, sound ごえ, odor , gustatory あじ and tactile さわ are considered to be hindered, and thus termed ゆうたい. The field of thought しょ (ほうしょ) is unhindered. (Skt. apratigha, apratighatva, apratighavat, apratihata, apratisama, asapatna; Tib. thogs pa med pa) 〔瑜伽ゆがろん T 1579.30.346a29〕 [Charles Muller; source(s): YBh-Ind, JEBD]
    # apratigha. Opposite of utai. What is not hindered or restricted, mind (manas) and its object (dharma). These two are not made of paramānus (atoms). [Charles Muller; source(s): JEBD]
    # Also in: CJKV-E
    # Cf. Karashima (Lokakṣema Glossary): view / hide
    たい
    wú duì
    having no counterparts ? (probably a translation of Skt. vivikta isolated)
    HD.7.145(南朝なんちょうひねだい)
    T 224.8.466a24 須菩提ぼだいしろふつごと:“しつらえなんじ般若はんにゃ波羅蜜はらみつはなれほんたいほうはなれほんまたたいまたあかしまたもりまたくだりまたゆうほうとうゆう所得しょとく。……” (p) AS.217.19 = R.439.14 = AAA.838.4. atyanta-viviktā (prajñāpāramitā ... dharmo) atyanta-vivikto (“[perfect wisdom] is absolutely isolated. [But a dharma which] is absolutely isolated, ...” [AsP.tr.II 256 = AsP.tr. 179])
    ZQ.501b22.(明度めいど)はなれほんたい, (曰法[s.e. for ほうはなれ?])ほんたい
    not found at Zfn.
    Kj.575b22.(般若はんにゃ波羅蜜はらみつ)畢竟ひっきょうはなれ,(わかほう)畢竟ひっきょうはなれ
    Xz(I).850a18.畢竟ひっきょうはなれ畢竟ひっきょうはなれ
    Xz(II).915a14.畢竟ひっきょうはなれ
    Sh.661a14 = Xz(I)
    Tib.Pk.257a3 = D.238a2. shin tu dben pa ... shin tu dben pa
    [Dictionary References]
    Bukkyō jiten (Ui) 1041
    Japanese-English Buddhist Dictionary (Daitō shuppansha) 205b/229
    Japanese-English Zen Buddhist Dictionary (Yokoi) 480
    Bukkyōgo daijiten (Nakamura) 1340a
    Fo Guang Dictionary 5127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Hirakawa) 0783
    Bukkyō daijiten (Mochizuki) (v.1-6)4839a
    Sanskrit-Tibetan Index for the Yogâcārabhūmi-śāstra (Yokoyama and Hirosawa) {Digital Version}
    Lokakṣema's Aṣṭasāhasrikā Prajñāpāramitā (Karashima) 509"
  17. 곽철환 2003, "무대(たい)". 2013년 5월 24일에 확인
    "무대(たい): 대(たい)는 방해·장애를 뜻함. 물질과 같이 공간을 점유하지 않기 때문에 서로 방해하지 않는 것, 곧 의식이나 의식 내용."
  18. 星雲せいうん, "たい". 2013년 5월 23일에 확인
    "たい礙:  ためしょくほう特性とくせいゆびしゅ物質ぶっしつ互相障礙しょうがい無法むほう同時どうじ占有せんゆうどういち空間くうかんまたよししんとう對象たいしょう拘束こうそく,而無したがえ自由じゆう活動かつどうよりどころ俱舍ろんまきぜん一情形為障礙有對,一情形為境界有對及所緣有對。ゆうたいそくゆうたい礙之性質せいしつしゃ性質せいしつしゃのりしょうためたい上述じょうじゅつさんしゅゆうたいちゅう障礙しょうがいゆうたい如手礙手、いし礙石,そくゆび五根ごこんさかいじゅうしょくほう物質ぶっしつ),ひとしよし極微きょくび分子ぶんししょ構成こうせい彼此ひし互礙而被礙。境界きょうかいゆうたいゆび六根ろっこん、六識與伴此而起之心所(しん作用さよう),為所しどころこれたいさかいしょ拘束こうそく,而取さかい作用さようとく自在じざい所緣しょえんゆうたいゆびこころろく識與あずかとも此而おこりしんしょためかく所緣しょえんほうしょ拘束こうそく,而緣おもんばかこれ作用さようとく自在じざい境界きょうかいゆうたいあずか所緣しょえんゆうたい區別くべつざい於前しゃ感覺かんかく認識にんしきためぬし,較為こう泛;後者こうしゃそく以悟せい判斷はんだん認識にんしきためぬし較為偏狹へんきょう。 p5796"
  19. 곽철환 2003, "유대(ゆうたい)". 2013년 5월 23일에 확인
    "유대(ゆうたい): 대(たい)는 방해·장애를 뜻함.
    ① 두 개의 물질이 서로 방해하여 동시에 같은 공간을 점유할 수 없는 것.
    ② 마음이 대상에 구속되어 자유롭지 못함."
  20. 佛門ぶつもんもう, "たい". 2013년 5월 24일에 확인
    "たい:
    出處しゅっしょ: かんやくおもね含經辭典じてんそう春江はるえへん(1.4はん)
    解釋かいしゃく:
    1.障礙しょうがいせいしゃ,如「不可ふかたい」、「於無たい」。2.相對そうたいおうゆび相似そうじある相反あいはんてき對比たいひ」,如「涅槃ねはんしゃたい也」。
    出處しゅっしょ: しゅ芾煌《法相ほうしょう辭典じてん
    解釋かいしゃく:
    ざつしゅうろんさんかんななぺーじうんうんなんたいいくたいためなんかんたい耶?いいゆうたい相違そういたい一切いっさいみなたいある隨所ずいしょおうため捨執ちょあまねぎょうわが觀察かんさつたい。"
  21. 佛門ぶつもんもう, "障礙しょうがい". 2013년 5월 24일에 확인
    "障礙しょうがい:
    出處しゅっしょ: しゅ芾煌《法相ほうしょう辭典じてん
    解釋かいしゃく:
    瑜伽ゆがじゅうかんはちぺーじうん障礙しょうがいしゃふくゆうよんしゅいちくつがえさわところ礙,かくれさわところ礙,さんうつさわところ礙,よん惑障しょ礙。くつがえさわところ礙者:いいくろやみ無明むみょうやみきよししんしょくやみしょくつがえさわかくれさわところ礙者:いいある藥草やくそうりょくある咒術りょくある神通力じんずうりきこれしょかくれさわうつさわところ礙者:いいしょう小物こものためこうぶつこれしょうつだつ不可ふかとく。如飲食いんしょく中藥ちゅうやくあるふくはし如是にょぜとうるい無量むりょう無邊むへん。且如しょうこう大光たいこうしょうつ不可ふかとく所謂いわゆる日光にっこううつほしがつとうまた如月きさらぎこううつだつ眾星。また如能うつだつところおさむれい不可ふかとくいい不淨ふじょう作意さくいうつだつきよししょう無常むじょう無我むが作意さくいうつだつ常樂じょうらくしょうあい作意さくいうつだつ一切いっさい眾相。惑障しょ礙者:いいまぼろし所作しょさある色相しきそう殊勝しゅしょうあるふく相似そうじある內所さく目眩めまい、惛夢、もだえよい放逸ほういつあるふく顛狂。如是にょぜとうるいめいため惑障。わか不為ふため此四障所礙;めい障礙しょうがい。"
  22.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6권. p. T26n1542_p0714a16 - T26n1542_p0714a17. 유대법(ゆうたいほう)과 무대법(たいほう)
    "ゆうたいほううんなにいいじゅうしょたいほううんなにいいしょ。"
  23.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6권. p. 128 / 448. 유대법(ゆうたいほう)과 무대법(たいほう)
    "유대법(ゆうたいほう)은 무엇인가? 10처(しょ:五根ごこんしょ·さかいしょ)를 말하는 것이다.
    무대법(たいほう)은 무엇인가? 2처(しょ:しょ·ほうしょ)를 말하는 것이다."
  24.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2권. p. T29n1558_p0007a07 - T29n1558_p0007b14. 유대법(ゆうたいほう)과 무대법(たいほう)
    "ふく於前所說しょせつじゅうはちかいちゅういくゆういくいくゆうたいいくたいいくぜんいく不善ふぜんいく。頌曰。
     いちゆういいしょく じゅう有色ゆうしょくゆうたい
     此除しょくごえはち あまりさんしゅ
    ろん曰。じゅう八界中色界有見。以可示現じげん此彼差別さべつよし此義じゅんせつあまり如是にょぜやめせつゆうただしょく蘊攝じゅうかいゆうたいたい礙義。此復さんしゅ障礙しょうがい境界きょうかい所緣しょえんあやゆえ障礙しょうがいゆうたいいいじゅうしょくかい於他しょ礙不せい。如手礙手あるいし礙石あるそう礙。境界きょうかいゆうたいいいじゅうかい法界ほうかいいちふんしょゆうさかいほう於色とうさかい施設しせつろんさく如是にょぜごとゆう於水ゆう礙非りく。如魚とうゆう於陸ゆう礙非すいしたがえ多分たぶんせつ。如人とうゆう俱礙。如畢しゃさえぎしつじゅう及捕ぎょじんえびぶととうゆう俱非礙。いいじょまえしょうゆう於夜ゆう礙非ひる。如諸蝙蝠かわほり鵂鶹とうゆう於晝ゆう礙非よるしたがえ多分たぶんせつ。如人とうゆう俱礙。如狗ひょう豺狼さいろう貓狸とうゆう俱非礙。いいじょまえしょう。此等めいため境界きょうかいゆうたい所緣しょえんゆうたいいい心心こころごころしょ於自所緣しょえん境界きょうかい所緣しょえんふくゆうなんべつわか於彼ほう有功ゆうこうのうそくせつかれため此法境界きょうかい心心こころごころしょほうかれ而起。かれ於心とうめい為所しどころえんうんなんとう於自境界きょうかい所緣しょえんてんせつめいゆう礙。えつかれ於餘此不てんゆえあるふく礙者和會かずえいいとうほう於自境界きょうかい及自所緣しょえん和會かずえてんゆえおう此中ただ就障礙有たい而說。ただしげんじゅう有色ゆうしょくゆうたいさらしょうさわよし此義じゅんせつあまりたいわかほう境界きょうかいゆうたいまた障礙しょうがいゆうたい耶。おうさくよんいい七心界法界一分諸相應法是第一句。いろとうさかいだいとう五根ごこんだいさん法界ほうかい一分非相應法是第四句。わかほう境界きょうかいゆうたいまた所緣しょえんゆうたい耶。おうじゅんいいわか所緣しょえんゆうたいてい境界きょうかいゆうたいゆう境界きょうかいゆうたい而非所緣しょえんゆうたいいいとう五根ごこん。此中大德だいとくばと多作たさく如是にょぜせつ
     しょこころよくせい 礙令おこり
     おうゆうたい たい相違そうい
    此是しょもと如是にょぜやめせつゆうたいたい。"
  25.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20권. pp. 54-57 / 1397. 유대법(ゆうたいほう)과 무대법(たいほう)
    "다시 다음으로 앞에서 설한 18계 중에서 몇 가지가 유견(ゆう)이고, 몇 가지가 무견()이며, 몇 가지가 유대(ゆうたい)이고, 몇 가지가 무대(たい)인가? 또한 몇 가지가 선(ぜん)이고, 몇 가지가 불선이며, 몇 가지가 무기인가?1)
    게송으로 말하겠다.
     이를테면 색 한 가지가 유견이고
     열 가지 유색(有色ゆうしょく)이 유대이며
     이 중의 색과 성(こえ)을 제외한 나머지 여덟 가지는
     무기이고, 그 밖의 것은 세 가지(선·불선·무기)이다.
     いちゆういいしょく じゅう有色ゆうしょくゆうたい
     此除しょくごえはち あまりさんしゅ
    논하여 말하겠다. 18계 중에서 색계가 유견(ゆう)이니, 이러한 색과 저러한 색의 차별을 드러내어 나타낼[示現じげん]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뜻에 준하여 그 밖의 것은 무견이라고 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견과 무견에 대해 이미 논설하였다.
    오로지 색온에 포섭되는 10계만이 유대(ゆうたい)인데, 여기서 '대'란 바로 장애[礙]의 뜻이다. 유대에는 다시 세 가지 종류가 있으니, 장애(障礙しょうがい)와 경계(境界きょうかい)와 소연(所緣しょえん)이 다르기 때문이다.
    장애유대란 열 가지의 색계(즉 유색처)를 말하는데, 그 같은 색 자체는 다른 색이 있는 곳에서는 장애 되어 생겨나지 못하니, 이를테면 손이 손을 장애하고, 혹은 돌이 돌이 장애하며, 혹은 손과 돌이 서로를 장애하는 것과 같다.2)
    경계유대란 12계(6근·6식)와 법계 일부(심상응의 심소)를 말한다. 즉 경계를 갖는 모든 법[ゆうさかいほう]은 색 등의 경계를 [취하는 공능이 있기 때문으로](경계가 부재하면 장애 되어 생겨나지 않음),3) 그래서 『시설론(施設しせつろん)』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는 것이다. 어떤 눈은 물에서는 장애 되어도 육지에서는 장애 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물고기 따위의 눈이 그러하다. 어떤 눈은 육지에서는 장애 되어도 물에서는 장애 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대개의 경우에 따라 설하자면 사람 등의 눈이 그러하다. 어떤 눈은 물이나 육지 모두에서 장애 되는 경우가 있으니, 필사차(畢舍さえぎ, pisaca, 아귀의 일종)나 실수마라(しつじゅう, sisumara, 악어를 말함), 그리고 물고기 잡는 사람[さかなじん]과 하마(えび) 등의 눈이 그러하다. 어떤 눈은 물이나 육지 어디에서든 장애 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이를테면 앞서 언급한 것을 제외한 눈(예컨대 맹인의 눈)이 그러하다.4)
    또한 어떤 눈은 밤에는 장애 되어도 낮에는 장애 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이를테면 모든 박쥐나 올빼미 따위의 눈이 그러하다. 어떤 눈은 낮에는 장 애 되어도 밤에는 장애 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대개의 경우에 따라 설하자면 사람 등의 눈이 그러하다. 어떤 눈은 낮과 밤 모두에 장애 되는 경우가 있으니, 이를테면 개·여우[]·말·표범·승냥이·고양이·이리 등의 눈이 그러하다. 어떤 눈은 밤과 낮 모두에 장애 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이를테면 앞서 언급한 것을 제외한 눈(예컨대 맹인의 눈)이 그러하다. 이러한 등등의 것을 일컬어 경계유대하고 한다.
    소연유대란 심·심소법이 자신의 소연에 대해서만 [현기(げんおこり)하는] 것을 말한다.5)
    그렇다면 경계와 소연에는 다시 어떠한 차별이 있는 것인가?
    만약 그러한 법(즉 색등의 경계)에 대해 이것(즉 6근· 6식과 심소)이 공능을 갖게 되면, 그것은 이러한 법의 경계가 되었다고 설한다. 그리고 심·심소법의 경우 그러한 법을 집취하여 일어나므로 그러한 법은 심 등에 대해 소연이 된다고 일컫는 것이다.6)
    어떠한 까닭에서 안() 등이 자신의 경계나 소연에서 일어날[てん] 때를 설하여 '장애를 갖는다[ゆう礙]'고 일컫는 것인가?
    이것들은 그러한 것(즉 경계와 소연)을 초월한 다른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혹은 다시 여기서 '애(礙)'란 바로 화회(和會かずえ, nip ta, 낙하의 뜻. 구역은 いた)의 뜻으로, 말하자면 안 등의 법은 자신의 경계나 자신의 소연과 화회하여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런데 마땅히 알아야 할 것으로, 여기(게송)서는 오로지 장애유대에 대해서만 설하였기 때문에 다만 '열 가지 유색(有色ゆうしょく)이 유대이다'고 말하였으니, 이러한 유색법은 서로가 서로를 장애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뜻에 준하여 그 밖의 것은 무대(たい)라고 설할 수 있다.
    만약 어떤 법이 경계유대라면 그것은 또한 장애유대인가?
    마땅히 4구로 분별해 보아야 할 것이니, 이를테면 7심계와 법계의 일부인 모든 상응법은 바로 제1구(경계유대이면서 장애유대가 아닌 것)이며, 바로 색 등의 5경은 제2구(장애유대이면서 경계유대가 아닌 것)이며, 안 등의 5근은 바로 제3구(경계유대이면서 장애유대인 것)이며, 법계의 일부인 비()상응법은 바로 제4구(양자 모두 아닌 것)이다.7)
    만약 어떤 법이 경계유대라면 그것은 또한 소연유대인가?
    마땅히 순후구(じゅん)로 분별해야 할 것이니, 이를테면 만약 소연유대라면 그것은 결정코 경계유대이다. 그러나 어떤 법은 비록 경계유대이지만 소연유대가 아닌 것이 있으니, 이를테면 안 등의 5근이 바로 그러하다.
    이에 대해 대덕(大德だいとく) 구마라다(ばと邏多)는 다음과 같이 설하니,8) 이는 바로 인정[もと]할 만한 것이다.
     그곳(소연)에서 마음이 생기하려 하나
     다른 것이 장애하여 생기하지 않게 하면
     마땅히 알아야 하니, 이것이 바로 유대(ゆうたい)이고
     무대(たい)는 이와는 반대되는 것임을.9)
    이와 같이 유대와 무대에 대해 이미 논설하였다.
    1) 본론 권제2에서는 18계법을 유견·무견, 선·불선 등의 스무 가지 갈래[もん]로 분별하고 있다. 즉 온·처·계의 제법분별(諸法しょほう分別ふんべつ)은 바로 18계에 갖추어진 근 ()·경(さかい)·식(識)을 밝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여기서 제법분별이란 18계에 포섭되는 일체의 만법(まんほう)을 여러 관점에서 조명하여 그것의 내포(內包) 외연(外延がいえん)을 상세하게 규정하는 논의 방식을 말한다.
    2) 장애유대( vara a-pratigh ta)란 공간적 점유성[礙性]을 지니는 색법의 상호 제약적 관계를 말한다.
    3) 경계유대(vi aya-pratigh ta)란 인식기능과 그 대상 사이의 제약적 관계를 말한다.
    4) 제1구는 물 속에서는 볼 수 있어도 육지에는 볼 수 없는 눈, 제2구는 육지에서는 볼 수 있어도 물 속에서는 볼 수 없는 눈, 제3구는 물과 육지 모두에서 볼 수 있는 눈, 제4구는 물과 육지 모두에서 볼 수 없는 눈.
    5) 소연유대( lambana-pratigh ta)란 말하자면 심·심소와 대상간의 필연적 제약관계로서, 자신의 소연이 부재하면 장애되어 생기하지 않는다.
    6) 5근과 심·심소는 경계에 의해 그 생기가 제약되지만(경계유대), 경계는 또한 심·심소에 대해 소연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경계유대의 외연이 소연유대보다 넓다.
    7) 여기서 비상응법은 열네 가지 불상응행법(본론 권제4 참조), 세 가지 무위법, 그리고 무표색을 말한다.
    8) 구마라다(Kum ral ta). 구역에서는 구마라라다(ばと邏多)로 동수(わらわ受)로 번역된다. 규기(窺基)의 『성유식론술기』에 의하면 불멸 후 100년 무렵에 출세한 경부본사(けいほん)로 일컬어지지만, 여기에는 이설이 많다. 이를테면 『대당서역기』에서는 마명(うま)·제바(ひさげばば)·용맹(りゅうはじめ) 즉 용수와 함께 당시 네 개의 태양[]으로 비유되기도 한다. 오늘날에는 대개 마명 용수 내지 『대비바사론』보다는 후대, 세친이나 중현보다는 전대, AD 3세기 후반에서 4세기 전반의 인물로 파악되고 있다.
    9) 즉 경부(けい) 조사(祖師そし) 구마라다는 앞의 3종의 유대를 유부에서처럼 각각 실재적 관계로 이해한 것이 아니라 다만 의식이 생겨나지 않게 하는 것이라는 인식론적으로 이해하였다. 예컨대 청색에 대향(對向たいこう)하여 시의식이 생겨나려고 할 때, 이를테면 소리 따위가 이를 장애하여 생겨나지 않게 하면 이를 유대라 하고, 장애함이 없이 생겨나게 하는 것을 무대라고 하였다. 이는 색과 무표색, 심과 심소의 개별적 실재성을 부정하는 경량부로서는 당연한 이론적 귀결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논주 세친도 여기에 동조하고 있기 때문에 '이는 바로 인정할 만한 것이다[此是しょもと]'라고 말한 것이다."
  26.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1권. p. T26n1542_p0693a11 - T26n1542_p0693a12. 상(そう)
    "そううんなにいいぞうせい。此有さんしゅいいしょうおもえだいそう無量むりょうそう。"
  27.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1권. p. 4 / 448. 상(そう)
    "상(そう)이란 무엇인가? 형상을 취하는 성품[ぞうせい]이다. 여기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작은 생각[しょうそう]·큰 생각[だいそう]·한량없는 생각[無量むりょうそう]이다."
  28.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4a03 - T31n1605_p0664a12
    "うんなん建立こんりゅうそう蘊。いいろくそうさわ所生しょせいそうみみさわ所生しょせいそうはなさわ所生しょせいそうしたさわ所生しょせいそうさわ所生しょせいそうさわ所生しょせいそうよし此想ゆえあるりょうゆうしょうあるりょうそうあるりょうしょうあるりょうだいあるりょう無量むりょうあるりょうしょう所有しょゆう所有しょゆうしょ何等なんらゆうしょうそういいじょ不善ふぜん言說げんせつ無想むそうかいてい及有いただきていそうところあまりしょそう何等なんらあいそういいしょあまりそう何等なんらしょうそういいのうりょう欲界よくかいそう何等なんらだいそういいのうりょうしょくかいそう何等なんら無量むりょうそういいのうりょうそら無邊むへんしょ識無しょそう何等なんらしょう所有しょゆう所有しょゆうしょそういいのうりょう所有しょゆうしょそう。"
  29.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7 / 159. 상온(そう蘊)
    "어떻게 상온(そう蘊)을 건립하게 됩니까? 6상신(そう)을 가리키는 것이니 안촉에서 생겨나는 상온이고, 이촉에서 생겨나는 상온이고, 비촉에서 생겨나는 상온이고, 설촉에서 생겨나는 상온이고, 신촉에서 생겨나는 상온이고, 의촉에서 생겨나는 상온이다. 이 같은 상온에 연유하여 유상(ゆうしょう)의 상온을 이해[りょう]하거나, 무상(しょう)의 상온을 이해하거나, 소상(しょうそう)을 이해하거나, 대상(だいそう)을 이해하거나, 무량(無量むりょう)한 상온을 이해하거나, 소유에 탐착하지 않는 무소유처(所有しょゆうしょ)의 상온을 이해하게 되는 것이다. 어떠한 것이 유상(ゆうしょう)의 상온입니까? 언어를 제대로 배우지 않은 발성을 여읜 무상(しょう)의 계정(さかいじょう)과 유정정(ゆういただきじょう)의 상온 및 그 밖의 나머지 상온이다. 어떠한 것이 무상(しょう)의 상온입니까? 그 밖의 나머지 상온을 가리킨다. 어떠한 것이 소상(しょうそう)입니까? 욕계의 상온을 이해하는 것을 가리킨다. 어떠한 것이 대상(だいそう)입니까? 색계의 상온을 이해하는 것이다. 어떠한 것이 무량한 상온입니까? 공무변처(そら無邊むへんしょ)와 식무변처(識無しょ)의 상온을 이해하는 것이다. 어떠한 것이 무소유처의 소유(所有しょゆう)에 탐착하지 않는 상온입니까? 무소유처의 상온을 이해하는 것이다."
  30. 星雲せいうん, "無為むい有為ゆうい". 2013년 5월 28일에 확인
    "無為むい有為ゆうい:  無為むいため真理しんり異稱いしょう無為むいゆびとおはなれゆうざつしみほうため有為ゆうい對稱たいしょう無為むいあずか有為ゆういみなとおはなれゆうざつしみほうどうしょう有為ゆうい無為むい區別くべつ,乃從ほう本體ほんたい與作よさくようらい分別ふんべつほう本體ほんたいしこりさびたたえしか不動ふどう,其作ようそく自在じざい應用おうよう無窮むきゅう本體ほんたいかんため無為むいわかよし作用さよう而言そくしょう有為ゆうい。 p5131"
  31. 星雲せいうん, "ゆう". 2013년 5월 27일에 확인
    "ゆう:  ためゆうあずかこれ並稱へいしょうため泄之よしそくゆび煩惱ぼんのうゆう煩惱ぼんのう而輪迴生しょうためゆう煩惱ぼんのう而能出離しゅつり生死せいししょうため。於各種かくしゅ煩惱ぼんのうあいだ具有ぐゆう互相ずいぞう隨順ずいじゅん增長ぞうちょう關係かんけいしゃしょうためゆうほう互相ずいぞう關係かんけいしゃしょうためほうざい四聖しせいたいちゅうしゅう二諦為有漏法,めつみち二諦為無漏法。
     せき於有あずかこれ分別ふんべつ,玆略述りゃくじゅつ於下おした世間せけん凡夫ぼんぷゆうこれ身體しんたいしょうためゆう;而無清淨せいじょう佛身ぶっしんしょうためまた修行しゅぎょうゆうこれろくぎょうかんのう招感じんてん三界さんがい果報者かほうものしょうためゆうみちゆうみち;而修行しゅぎょうしょうとく涅槃ねはんどうはて行法ぎょうほうしゃしょうためみちみち。以世俗せぞくほうため對象たいしょう所產しょさんせい智慧ちえしょうためゆうさとし;而證四諦したい,及見どう以後いごてき聖者せいじゃ智慧ちえしょうためさとし凡夫ぼんぷ於見どうぜん所作しょさぜんしょうためゆうぜんどう以後いご聖者せいじゃ所作しょさてき煩惱ぼんのう污穢ぜんしょうためぜん。以有さとし所作しょさ世俗せぞく行為こういしょうためゆうくだり;以無さとしところ修之のぶゆきよん諦觀ていかんぎょうしょうためくだり。以有道斷どうだんじょ煩惱ぼんのうしょうためゆうだん;以無道斷どうだんじょ煩惱ぼんのうしょうためだんゆうあるきのう招感じんてんとう五道之有漏果,しょうためゆういんくだりしょうとく涅槃ねはんはてしょうためいんまた凡夫ぼんぷいん修行しゅぎょうろくぎょうかん,而住於四ぜんよん無色むしょくじょう、四無量心定等禪定中,しょうためゆうていあるゆうぜん;而聖しゃ以無さとししょはつとく禪定ぜんじょうしょうためていあるぜん,此無てい生起せいき於無きゅういたりじょう中間なかまじょうよん根本ねもとじょうしたさん無色むしょくじょうちゅう
     此外,唯識ゆいしきはた佛果ぶっかきよし識稱ため識;はた成佛じょうぶつ以前いぜん識,しょうためゆう識。しかだいろくだい七識於初地入見道時,ややてん識得さとしまたなりため識。いたり於前五識與第八識,のりがかり於初成佛じょうぶつはてぽうのう轉變てんぺんため識。またこれ覺悟かくご,其本來ほんらい寂然じゃくねんしゃたたえ無為むいいん作用さよう起動きどうしゃたたえ有為ゆうい。〔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じゅうまきいちななさん、俱舍ろん卷一けんいちまきまき十三じゅうざじゅんせい理論りろん卷一けんいちまきよんじゅうきゅう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まきまきじゅうなり唯識ゆいしき論述ろんじゅつまきまつまきじゅうまつ〕 p2455"
  32. 운허, "有爲ゆうい(유위무루)". 2013년 5월 28일에 확인
    "有爲ゆうい(유위무루): 또는 무루유위(有爲ゆうい). 생멸하는 유위법으로서 무루인 것. 4제(たい) 중, 고제ㆍ집제는 유위무루. 멸제는 무위무루, 도제만은 유위무루. 만일 구사(俱舍)의 75법 중에서 말한다면 도공계(みちども戒)의 무표(ひょう), 4제의 이치를 관하는 제6식 심왕ㆍ대지법(大地だいちほう)의 10, 대선지법(だい善地ぜんちほう)의 10의 무루심상응(こころ相應そうおう), 초선정(はつ禪定ぜんじょう)에서 무루정(じょう)과 상응하는 심(ひろ)ㆍ사(伺), 불상응법(不相應ふそうおうほう) 중의 무루의 득(とく)과 4상(そう)의 29를 말함."
  33. 星雲せいうん, "無為むいほう". 2013년 5월 28일에 확인
    "無為むいほう:  またさく無為むいほうせいそく無為むいふつ本體ほんたいほうそく形無かたなししょく遍滿へんまん宇宙うちゅうあらわ絕對ぜったい真理しんり佛身ぶっしんいんふつしょしょうほうたたえしか寂靜じゃくじょうはなれ一切いっさい因緣いんねん造作ぞうさくしょう無為むいほう。〔金剛こんごうせんろんまき淨土じょうどろん註卷〕 p5113"
  34. 星雲せいうん, "無為むい涅槃ねはんかい". 2013년 5월 28일에 확인
    "無為むい涅槃ねはんかい:  涅槃ねはんためなま不滅ふめつはなれ一切いっさい有為ゆういこれしょう,而達絕對ぜったい不變ふへん覺悟かくご境界きょうかいしょう無為むい涅槃ねはんかい淨土宗じょうどしゅう極樂ごくらく世界せかいそく無為むい涅槃ねはんかい。〔てんけい行道ぎょうどうねがい往生おうじょう淨土じょうど法事ほうじたたえまき〕 p5113"
  35. 星雲せいうん, "有為ゆうい". 2013년 5월 28일에 확인
    "有為ゆうい:  またさく有為ゆういそくゆび有為ゆういてきこれほう。俱舍むねみとめため四諦したいちゅうしゅう二諦為有為有漏法,めつたいため無為むいほうみちたいのり雖為ほうしか具有ぐゆう生滅しょうめつ性質せいしつ,而凡ゆう生滅しょうめつしゃそくぞく有為ゆういほうみちたいまたしょう有為ゆういほう。此外,於ななじゅうほうちゅういろほうちゅうひょうしょくしんほうちゅうだいろく識心おうしん所有しょゆうほうちゅうじゅうしゅ大地だいちほうじゅうしゅだい善地ぜんちほうひろ、伺,及心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ちゅうあずかなまじゅうことめつよん相等そうとうきょうけいじゅうきゅうほうみなため有為ゆういほう。(まいり閱「ななじゅうほう」88、「四諦したい」1840) p2447"
  36.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3권. p. T26n1542_p0700b03. 무명(無明むみょう)
    "無明むみょううんなにいい三界さんがい無知むちせい。"
  37.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3권. p. 46 / 463. 무명(無明むみょう)
    "무명(無明むみょう)은 무엇인가? 3계(さかい)에 아는 것이 없는 성품[知性ちせい]이다."
  38.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1권. p. T26n1542_p0693b15 - T26n1542_p0693b16. 무명결(無明むみょうゆい)
    "無明むみょうゆいうんなにいい三界さんがいさとし。"
  39.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1권. p. 7 / 448. 무명결(無明むみょうゆい)
    "무명결(無明むみょうゆい)이란 무엇인가? 3계(さかい)에서 지혜가 없는 것[さとし]이다."
  40.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4권. p. T31n1605_p0676c20 - T31n1605_p0676c22. 무명결(無明むみょうゆい)
    "無明むみょうゆいしゃいい三界無智無明結所繫故。於苦ほうしゅうほう不能ふのうかいりょうかいりょう廣行ひろゆき不善ふぜんくだりしょぜんよし此能招未來世らいせあずかにが相應そうおう。"
  41.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6권. p. T31n1606_p0723c03 - T31n1606_p0723c07. 무명결(無明むみょうゆい)
    "無明むみょうゆいしゃいい三界さんがいさとし無明むみょうゆいしょ繫故。於苦ほうしゅうほう不能ふのうかいりょうかいりょう廣行ひろゆき不善ふぜんくだりしょぜんよし此能招未來世らいせあずかにが相應そうおう。於苦しゅうほうかいりょうしゃいい於果せいいんせいゆう諸行しょぎょう所有しょゆう患不了知りょうち。"
  42.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6권. p. 151 / 388. 무명결(無明むみょうゆい)
    "‘무명결’이란 삼계의 지혜가 없는 것을 가리킨다.
    [しゃく] 무명결에 묶여지기 때문에 고법(ほう)과 집법(あつまりほう)에 처해서 이를 이해하지 못하게 된다. 이해하지 못하는 까닭에 불선법을 널리 행하고, 여러 가지 선법을 행하지 못하는 까닭에 미래세의 고와 그 고에 상응하는 법을 초래하게 된다. ‘고법과 집법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이란 과보의 성품과 원인의 성품에 처한 유루의 모든 행을 말하는 것으로, 이 모든 것이 근심거리임을 깨닫지 못하기 때문이다."
  43. 佛門ぶつもんもう, "ゆうこう". 2013년 5월 11일에 확인
    "ゆうこう:
    出處しゅっしょ: ちょうぶく佛學ぶつがくだい辭典じてん
    解釋かいしゃく:
    ===(術語じゅつご)(いちゆうこころところ修之のぶゆき行法ぎょうほう也。如見じょけんどう以前いぜん修行しゅぎょう,及修道しゅうどうちゅうざつおさむしずかおもんばかこれゆうこころ是也これや俱舍ろんじゅうさんじゅうよん。(いいゆう即行そっこう也。ゆうほうそく有為ゆういほう。以行為こうい造作ぞうさくよし有為ゆうい異名いみょう也。"
  44.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3권. p. T26n1542_p0700b27 - T26n1542_p0700b28. 무명촉(無明むみょうさわ)
    "無明むみょうさわうんなにいいしみ污觸。"
  45.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3권. p. 48 / 448. 무명촉(無明むみょうさわ)
    "무명촉(無明むみょうさわ)은 무엇인가? 더러움에 물드는[しみけがれ] 접촉이다."
  46. 중현 조, 현장 한역 & T.1563, 제6권. p. T29n1563_p0800b14 - T29n1563_p0800b16. 치()
    "いい愚癡ぐち於所さかいさわ理解りかいべんりょうしょうせつめい愚癡ぐちそく無明むみょうさとしあらわ。"
  47.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7, T.1563, 제6권. p. 206 / 1762. 치()
    "치()란 우치(愚癡ぐち)를 말하는 것으로, 알려질 대상에 대한 참다운 이해를 장애하여 분별 인식[べんりょう]이 없는 것을 일컬어 우치라고 한다. 즉 이는 바로 무명(無明むみょう)이고, 무지(さとし)이며, 무현(あらわ)인 것이다.2)
    2) 무지는 밝게 결택(けつ)할 수 없는 상태이고, 무현이란 일체 사리(事理じり)의 경계가 은폐되어 드러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48. 星雲せいうん, "ゆう".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ゆう:  梵語ぼんご bhava,ともえとしどうそく存在そんざい生存せいぞん。於佛教ぶっきょう典籍てんせきあるかくいえ主張しゅちょうちゅう,「ゆう使用しよう範圍はんいごくひろ,其意義いぎあずか分類ぶんるいまたゆう多種たしゅ不同ふどう說法せっぽうよりどころ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ろくじゅうしょ舉,「ゆうよしゆう多種たしゅしか主要しゅようゆび有情うじょう眾生じゅくはてたい,及能招感此異じゅくはてたいしょぎょうまたそくよし善惡ぜんあくこれぎょういんのう招感苦樂くらく果報かほう,此種因果いんがほうおう相續そうぞく而不亡失ぼうしつしょうためゆう」。またよりどころ俱舍ろんまききゅう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まきはちとうしょ舉,のう牽引けんいん當來とうらい果報かほうこれぎょうしょうためゆう」,此有そくゆびゆうささえ」,ためじゅう因緣いんねんいち
     就諸ほう存在そんざいあずかいや而言,「ゆうがかり表示ひょうじ諸法しょほう存在そんざいため」、「そら對稱たいしょうせつ一切いっさいゆうみとめため諸法しょほう存在そんざい三世さんぜじつゆうしか唯識ゆいしきそく以「おこりせい諸法しょほうためかりゆう」,以「まどかしげるせいためじつゆう」,ただし此「じつゆうあずかせつ一切いっさいゆう三世さんぜじつゆうとう意義いぎ不同ふどう,乃指諸法しょほうせい真如しんにょつねそんあまねそんゆう生滅しょうめつ唯識ゆいしき特稱とくしょうためみょうゆうゆう
     此外,凡夫ぼんぷいんちょしょく無色むしょくかいため解脫げだつ境界きょうかいつねえき生起せいき解脫げだつねん,而妄もとめなま於此かいためさえぎとめ此一じょう於此かい設立せつりつ諸種しょしゅゆう」,以顯示けんじ其非解脫げだつ境界きょうかい;如稱しょく無色むしょくかいむさぼためゆうむさぼ」,しょう煩惱ぼんのうためゆう」,あるしょう無色むしょくかいあいためゆうあいとうみなため其例。
     另關於「ゆう種類しゅるい可分かぶんためれつすうしゅ:(いち)さんゆうゆび三界さんがいまたそくゆびよくゆういろゆう無色むしょくゆう。()ななゆうゆび地獄じごくゆう餓鬼がきゆうはたせいゆうてんゆうひとゆうごうゆう中有ちゅうう。(さん)じゅうゆう包括ほうかつ:(1)地獄じごく惡鬼あっき畜生ちくしょう阿修羅あしゅらとうよん惡趣あくしゅ。(2)ひがししょうしゅうみなみ贍部しゅう西にしうし貨洲、きた俱盧しゅうとうよんしゅう。(3)四天王してんのうてんよるてん、忉利てんかぶとりつてん樂天らくてん在天ざいてんとうろくよくてん。(4)はつぜんてんだい梵天ぼんてんだいぜんてんだいさんぜんてんだいよんぜんてん無想むそうてん、五淨居天等色界諸天。(5)そら無邊むへんしょてん、識無しょてん所有しょゆうしょてんそうそうしょてんとう無色むしょくかいしょてん。(よん)じゅうきゅうゆうそくはた上述じょうじゅつじゅう五有中之五淨居天,細分さいぶんためはんてん無熱むねつてんぜんてんぜんげんてんいろ究竟きゅうきょうてんとうてん總合そうごうためじゅうきゅうゆう
     此外,はつはて聖者せいじゃなお須於人界じんかい天界てんかいあいだ往返ななかく受生なな),ごうのりためじゅうよんせい,而每一生復分為生有、中有ちゅううきょうためじゅうはちゆう」,此じゅうはちゆうまたたたえじゅうはちせいためはつはて聖者せいじゃ受生極度きょくどさらだいじゅうきゅう有可ゆかげんじゅん此,わかげんじゅうきゅうゆうしゃのり表示ひょうじ事物じぶつ絕無ぜつむしゃなお如謂「ろくかげ」、「じゅうさんいれ」、「じゅうきゅうかいとう
     また以一切萬有因存在之狀態不同,而有諸種しょしゅ分類ぶんるい,此總稱そうしょうためしょゆう」;而「しょゆう廣大こうだい無邊むへんなお大海たいかいまたたたえしょ有海あるみ」。於大おだいさとしろんまきじゅうちゅうはた存在そんざいほうぶんためさんしゅしょうためさんしゅゆうそく:(いち)あいまちゆういいゆう大小だいしょう長短ちょうたんとう相對そうたい存在そんざい。()假名かめいゆういいよし眾多因緣いんねん集合しゅうごう而成しゃ,如由四大假合之人等,がかりゆう假名がな而無實體じったいしゃ。(さん)ほうゆういいよし因緣いんねん而生ほう,雖無自性じしょうしか如兔かくかめとう有名ゆうめい無實むじつしょうほうゆう。〔しゅうもんあしろんまきよん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いちきゅう、俱舍ろんまきじゅうきゅうじゅんせい理論りろんまきよんじゅう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まきまききゅう大智たいちろんまきさん大乘だいじょう義章よしあきまきはち〕(まいり閱「じゅう因緣いんねん」337、「さんゆう」548、「よんゆう」1668、「」5068) p2426"
  49. 星雲せいうん, "さんゆう".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さんゆう:   ゆう梵語ぼんご bhava,其義分類ぶんるい如下:(いち)よくゆういろゆう無色むしょくゆうよしどう三界さんがい。(いち)よくゆう欲界よくかいてんひと修羅しゅら畜生ちくしょう餓鬼がき地獄じごくかくずい其業いん而受果報かほうしょうためよくゆう。()いろゆういろかいよんぜんしょてん,雖離欲界よくかいしみ,而有清淨せいじょういろしょうためしょくゆう。(さん)無色むしょくゆう無色むしょくかいよんそらしょてん,雖無しょくしつため礙,また隨所ずいしょさくいん,受其果報かほうしょうため無色むしょくゆう。〔大智たいちろんまきさんあつまりもんあしろんまきよん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ろくじゅう
     ()有情うじょう一生之始終分為生有、本有ほんゆうゆう。(いち)なまゆうゆび託生たくしょう最初さいしょいち剎那。()本有ほんゆうゆびよしせいいたりあいだ。(さん)ゆうゆび瞬間しゅんかん小乘しょうじょうゆうむねそく以此さんゆうじょう中有ちゅうう」,而主張しゅちょうよんゆうせつ。〔ことむねろん〕(まいり閱「よんゆう」1688)
     (さん)ゆうこれ異名いみょうため煩惱ぼんのう異名いみょう煩惱ぼんのう有情うじょう眾生六根門漏泄無窮,而令其流轉るてん於生あいだいいゆうさんゆういんため其所ところ。(まいり閱「ゆう」2452)
      (よん)善成よしなりゆうせいとくゆう變異へんいゆう。乃數ろん外道げどうしょりつ。(いち)善成よしなりゆう,如數ろん迦毘仙人せんにん初生しょせいほうさとしはなれよく自在じざいとう四德しとく,此四德係因善而得成就,しょう善成よしなりゆう。()せいとくゆう,如昔梵王せいしゃばしゃばなん陀那、しゃばしゃばなんばととうよん,此よんじゅうろくさい自然しぜん成就じょうじゅほうさとしはなれよく自在じざいとう四德しとく,以無いん而得,しょう自性じしょうゆう。(さん)變異へんいゆうめい變異へんいいん弟子でし恭敬きょうけい親近しんきん聽聞ちょうもんとく智慧ちえいん智慧ちえとくはなれよくよしはなれ欲得よくとくぜんほういんぜんほうとく自在じざい如是にょぜ弟子でし四德從師身得,しょう變異へんいゆう。此三有相當於佛法之等起善、生得しょうとくぜんゆきぜん。〔かねななじゅうろんまきちゅう〕 p548"
  50. 운허, "ゆう(유)".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ゆう(유):
    [1] 있다는 것. ↔ 공(そら)ㆍ무(). 여기에 실유(じつゆう)ㆍ가유(かりゆう)ㆍ묘유(みょうゆう)가 있음.
    [2] 12인연의 하나. 유지(ゆうささえ)라고도 함. 미계(迷界)에 태어나는 원인인 업을 짓는 자리.
    [3] 선ㆍ악의 업인(ぎょういん)에 따라 받게 되는 고와 낙이 제각기 다른 생(せい). 3유ㆍ25유 등.
    [4] 색계(いろかい)ㆍ무색계(無色むしょくかい)의 자체. 정심(ていしん) 또는 의신(). 색계ㆍ무색계의 중생은 욕계의 중생이 바깥 대상물에 대하여 번뇌를 일으키듯이, 내계(內界)의 정심(ていしん)에 애착하므로 유탐(ゆうむさぼ)이라 함. 외도들은 이 경계를 해탈 경계라고 생각함에 대하여, 이것은 생사하는 경계인 줄을 알게 하기 위하여 특히 유탐(ゆうむさぼ)이라 이름."
  51. 운허, "さんゆう(삼유)".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さんゆう(삼유): 【범】 trayo-bhava (1) 유(ゆう)는 존재한다는 뜻으로 욕유(よくゆう)ㆍ색유(いろゆう)ㆍ무색유(無色むしょくゆう). 삼계(三界さんがい)와 같음. (2) ① 생유(なまゆう). 처음 나는 일찰나. ② 본유(本有ほんゆう). 나서부터 죽을때까지의 존재. ③ 사유(ゆう). 죽는 일찰나. (3) 유루(ゆう)의 다른 이름. (4) 수론(かずろん) 외도가 세우는 선성유(善成よしなりゆう)ㆍ성득유(せいとくゆう)ㆍ변이유(變異へんいゆう)."
  52. 운허, "三界さんがいきゅう(삼계구지)".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三界さんがいきゅう(삼계구지): 욕계ㆍ색계ㆍ무색계의 3계를 다시 9지로 나눔. 오취잡거지(おもむき雜居ざっきょ)ㆍ이생희락지(はなれせい喜樂きらく)ㆍ정생희락지(じょうせい喜樂きらく)ㆍ이희묘락지(はなれ妙樂地みょうらくじ)ㆍ사념청정지(捨念淸淨せいじょう)ㆍ공무변처지(そら無邊むへんしょ)ㆍ식무변처지(識無しょ)ㆍ무소유처지(所有しょゆうしょ)ㆍ비상비비상처지(そうそうしょ)."
  53. 운허, "きゅう(구지)".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きゅう(구지): 3계(さかい)를 9종으로 나눈 것. (1) 욕계오취지(欲界よくかいおもむき). 욕계 안에 있는 지옥ㆍ아귀ㆍ축생ㆍ인간ㆍ천상의 5취(おもむき)를 합하여 1지()로 한다. (2) 이생희락지(はなれせい喜樂きらく). 색계의 초선천(はつぜんてん). 욕계를 떠남으로 말미암아 희()ㆍ낙(らく)의 느낌을 내는 곳. (3) 정생희락지(じょうせい喜樂きらく). 색계 제2선천(ぜんてん). 정(じょう)에서 즐거움을 내는 곳. (4) 이희묘락지(はなれ妙樂地みょうらくじ). 색계 제3선천. 2선(ぜん)의 희락을 여의고 마음이 안정되어 묘한 즐거움이 있는 곳. (5) 사념청정지(捨念淸淨せいじょう). 색계 제4선천. 앞의 즐거움을 여의고 청정 평등한 사수(捨受)의 생각에 안주하는 곳. (6) 공무변처지(そら無邊むへんしょ). 무색계에서 색(いろ)의 속박을 싫어하는 마음에 색상(いろそう)을 버리고 한없는 허공을 반연하는 선정을 닦는 곳. (7) 식무변처지(識無しょ). 다시 공(そら)인 생각을 버리고 심식(こころ識)이 끝없이 확대되는 관상(觀想かんそう)에 머물러 선정을 닦는 곳. (8) 무소유처지(所有しょゆうしょ). 다시 한 걸음 나아가 식상(識想)을 버리고 심무소유(こころ所有しょゆう)라고 관하는 선정을 닦는 곳. (9) 비상비비상처지(そうそうしょ). 앞의 식무변처지(識無しょ)는 식(識)이 한없이 확대됨을 관함으로 유상(ゆうそう)이고, 다음 무소유처지(所有しょゆうしょ)는 식의 비존재를 관함으로 무상(無想むそう)인데, 그 유상을 버림으로 비상(そう)이라 하고, 그 무상을 여의므로 비비상(そう)이라 함. ⇒하팔지(下八しもはっ)"
  54. 곽철환 2003, "구지(きゅう)".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구지(きゅう):
    중생의 마음과 생존 상태를 욕계·색계·무색계의 삼계(三界さんがい)로 나누고, 다시 욕계를 1지()로 하고 색계·무색계를 각각 4지()로 나눈 것.
    (1) 욕계오취지(欲界よくかいおもむき). 지옥(地獄じごく)·아귀(餓鬼がき)·축생(畜生ちくしょう)·인(ひと)·천(てん)의 미혹한 생존.
    (2) 이생희락지(はなれせい喜樂きらく). 욕계를 떠남으로써 생기는 기쁨과 즐거움을 느끼는 색계 초선천(はつぜんてん)의 경지.
    (3) 정생희락지(じょうせい喜樂きらく). 선정(禪定ぜんじょう)으로 생기는 기쁨과 즐거움을 느끼는 색계 제2선천(だいぜんてん)의 경지.
    (4) 이희묘락지(はなれ妙樂地みょうらくじ). 제2선천의 기쁨을 떠남으로써 묘한 즐거움을 느끼는 색계 제3선천(だいさんぜんてん)의 경지.
    (5) 사념청정지(捨念淸淨せいじょう). 마음이 평온하여 생각이 청정한 색계 제4선천(だいよんぜんてん)의 경지.
    (6) 공무변처지(そら無邊むへんしょ). 허공은 무한하다고 체득하는 무색계 제1천의 경지.
    (7) 식무변처지(識無しょ). 마음의 작용은 무한하다고 체득하는 무색계 제2천의 경지.
    (8) 무소유처지(所有しょゆうしょ). 존재하는 것은 없다고 체득하는 무색계 제3천의 경지.
    (9) 비상비비상처지(そうそうしょ). 생각이 있는 것도 아니고 생각이 없는 것도 아닌 무색계 제4천의 경지. 욕계·색계의 거친 생각은 없지만 미세한 생각이 없지 않은 무색계 제4천의 경지.
    동의어: 구유"
  55.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1권. p. T26n1542_p0693c03 - T26n1542_p0693c05. 유탐수면(ゆうむさぼずいねむり)
    "ゆうむさぼずいねむりゆうじゅうしゅいいしょくかい繫五。無色むしょくかい繫五。いろかい繫五しゃいいしょくかい繫見しゅうめつ道修どしょうしょだんむさぼ無色むしょくかい繫五またなんじ。"
  56.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1권. p. 8 / 448. 유탐수면(ゆうむさぼずいねむり)
    "유탐(ゆうむさぼ)의 수면은 열 가지가 있다. 색계계(いろかい繫) 다섯 가지와 무색계에 매인[無色むしょくかい繫] 다섯 가지이다. 색계에 매인 다섯 가지란 색계에 매인 견고·견집·견멸·견도와 수도에서 끊어야 할 탐(むさぼ)이다. 무색계에 매인 다섯 가지도 마찬가지이다."
  57. 운허, "繫(계)". 2013년 1월 3일에 확인
    "繫(계): 또는 계박(繫縛). 물건에 얽히어 속박되는 뜻. 번뇌의 다른 이름. 번뇌는 몸과 마음을 속박하여 우리들을 자유롭지 못하게 하므로 이같이 말함."
  58.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19권. p. T29n1558_p0099b16 - T29n1558_p0099b25. 욕계의 수면(欲界よくかいずいねむり)
    "且於欲界よくかい五部不同乘十隨眠成三十六。いいたいいたりおさむしょだん。如次ゆうじゅうななななはちよんそくうえ。於十隨眠一二一一如其次第。はなれ三見二見見疑。いいたいしょだんじゅうしゅうめつたいしょだんかくななはなれゆう邊見へんみ戒取。どうたいしょだんはちはなれゆう及邊みるおさむしょだんよんはなれみる及疑。如是にょぜ合成ごうせいさんじゅうろくしゅぜんさんじゅうめい見所みどころだん。纔見たいかれそくだんゆえ最後さいごゆうよんめいおさむしょだん四諦已後後時中數數習道彼方斷故。"
  59.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19권. pp. 862-863 / 1397. 욕계의 수면(欲界よくかいずいねむり)
    "바야흐로 욕계의 수면은 5부가 동일하지 않음에 따라 10수면에 근거하여 서른 여섯 가지가 되니, 말하자면 견고제소단(たいしょだん)으로부터 수소단(おさむしょだん)에 이르기까지 그 순서대로 열 가지와 일곱 가지와 일곱 가지와 여덟 가지와 네 가지가 있으며, 이는 바로 위에서 언급한 5부의 한 가지(견고소단)와 두 가지(견집소단·견멸소단)와 한 가지(견도소단)와 한 가지(수소단)에 있어서 그 순서대로 10수면을 모두 다 갖춘 것과, 세 가지 견과 두 가지 견과 견·의를 각기 배제시킨 것이다. 이를테면 견고제소단은 10수면을 모두 다 갖추고 있으며,25) 견집제소단과 견멸제소단에는 각기 유신견과 변집견과
    계금취를 제외한 일곱 가지가 있으며, 견도제소단에는 유신견과 변집견을 제외한 여덟 가지가 있다. 수소단에는 5견과 의(うたぐ)를 제외한 네 가지가 있다. 이상의 수면을 모두 합하면 바로 서른여섯 가지 종류가 되는 것으로, 그 중에 앞의 서른두 가지를 견소단(見所みどころだん)이라고 이름하니, 4제를 관찰할 때 그것은 바로 끊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최후의 네 가지를 수소단(おさむしょだん)이라고 이름하는데, 4제를 관찰하고 나서 그 후 오랜 시간 동안 자주자주 도(みち)를 수습하여야 비로소 그것이 끊어지기 때문이다.
    25) 일체의 모든 수면은 모두 고제(たい) 즉 무상·고·무아·공에 위배되기 때문이다.(후술)"
  60.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19권. p. T29n1558_p0099c04 - T29n1558_p0099c06. 색계·무색계의 10수면(じゅうずいねむり)의 5부() 분별
    "欲界よくかい中有ちゅううさんじゅうろくいろ無色むしょくかいかくじょ瞋。あずかほしどうかくさんじゅういちよし本論ほんろん以六隨眠行部界殊說九十八。"
  61.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19권. p. 864 / 1397. 색계·무색계의 10수면(じゅうずいねむり)의 5부() 분별
    "때문에 욕계 중에는 서른여섯 가지의 수면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색계와 무색계의 5부에는 각기 진(瞋)이 제외되며,29) 그 밖의 다른 것은 욕계에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색계·무색계에는 각기 서른한 가지의 수면이 있다. 이에 따라 본론(本論ほんろん)에서 '6수면은 [견의 차별적인] 행상과 [5]부와 [3]계의 차별로 인해 아흔여덟 가지가 된다'고 설하였던 것이다.30)
    29) 그곳에는 진(瞋)수면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니, 이를테면 '진'은 전5식이 감수하는 고수(受)에서 수증되는 것인데, 거기에는 고수가 없기 때문에 '진'도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그곳에서의 상속은 삼매[じょう]에 의해 윤택해지기 때문이며, 그곳에는 '진'의 이숙인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진'은 그 속성상 불선의 악으로 분류되나 상계의 수면번뇌는 악이 아닌 유부무기, 다시 말해 올바른 지혜의 생기를 방해하는 그릇된 의식일 뿐이기 때문이다.(『현종론』 권제25, 앞의 책, p. 138 참조)"
  62.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19권. p. T29n1558_p0099b25 - T29n1558_p0099c04. 욕계의 10수면(じゅうずいねむり)의 5부() 분별
    "如是にょぜやめあらわ。十隨眠中薩迦耶見唯在一部。いいしょだんあたりまたなんじ。戒禁どおりざいいいどうしょだん邪見じゃけんどおりよんいいしゅうめつどうしょだん見取みとりうたぐまたしかむさぼとうよんかくつういい四諦したい及修しょだん。此中なんそうしょだん乃至ないしなんそうおさむしょだんわかえん此所だんためさかいめい此所だんめいおさむしょだん如是にょぜろくちゅう見分けんぶんじゅううたぐぶんためよんあまりよんかく欲界よくかい中有ちゅううさんじゅうろく。"
  63.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19권. pp. 863-864 / 1397. 욕계의 10수면(じゅうずいねむり)의 5부() 분별
    "이상의 사실로 볼 때 10수면 중의 살가야견(薩伽耶見, satkaya-dṛṣṭi, 유신견의 원어)은 오로지 1부에만 존재하니, 이를테면 견고소단이 바로 그것으로, 변집견도 역시 그러하다. 계금취는 2부에 모두 존재하니, 이를테면 견고소단과 견도소단이 바로 그것이다. 사견은 4부와 통하니, 이를테면 견고소단·견집소단·견멸소단·견도소단이 바로 그것으로, 견취와 의(うたぐ)도 역시 그러하다. 그리고 그 밖의 탐 등의 네 가지(탐·진·만·무명)는 각기 5부와 통하니, 이를테면 견사제소단과 수소단이 바로 그것이다.26)
    이 중의 어떠한 상을 견고소단이라 하고, 내지는 어떠한 상을 수소단이라고 하는 것인가?27)
    만약 이러한 성제(ひじりたい)를 관찰하여 끊어지는 것(견소단의 번뇌 즉 惑)을 소연의 경계로 삼는 것이라면 견차제소단(此諦しょだん)이라 이름하고, 그 밖의 것은 수소단이라 이름한다.28)
    26) 탐·진·만·무명 중 앞의 세 가지는 수혹이기는 하지만 5견과 의(うたぐ)를 연(えん)으로 하여 일어나기 때문이며(예컨대 5견에 탐착하므로 그것을 정견이라 주장하고 그러한 견해에 오만해 하고, 나아가 타인을 증오 무시한다), 무명의 경우 그 자체로서 생기하는 독두무명(どくあたま無明むみょう)이나 5견과 서로 관계하여 생기하는 상응무명은 견소단이지만 탐·진·만과 상응 구기하는 무명은 수소단이자 견소단이기 때문이다. 또한 제법의 인과관계상에서 일시 설정된 5취온을 실유의 자아로 집착하는 유신견은 인과관계상 현행의 결과(이것은 고·비상·비아·공으로 관찰됨)를 대상으로 하는 염오혜(しみけがれとし)이기 때문에, 변집견 역시 인과관계상의 현행의 결과에 대한 영속·단멸 등의 염오혜이기 때문에 오로지 견고소단이며, 계금취는 자재천 등이 세간의 참된 원인이 아님에도 그것을 상주하는 원인이라고 간주하는 염오혜이자 그릇된 금계를 청정도라고 판단하는 염오혜이기 때문에 견고소단이고 견도소단이다. 그리고 단멸의 입장에서 행위와 행위의 상속을 부정하는 사견은 인(집·도)과 과(고·멸)의 구조를 띤 사제를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견취는 유신·변집·사견 등의 저열한 지식을 뛰어난 이치, 즉 사제로 견집(けん)하는 것이기 때문에, 의는 4제에 대한 의심이기 때문에 견4제소단이다.
    27) 즉 5견과 의(うたぐ)는 지적 번뇌이기 때문에 당연히 견혹이지만, 앞서 언급한 나머지 네 가지 수면 즉 탐·진·무명·만이 견소단과 수소단 모두와 통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경우의 탐이 견혹이고 어떠한 경우의 탐이 수혹인가 하는 물음.
    이와 같이 6수면 중에서 견()은 열두 가지로 나누어지고, 의(うたぐ)는 네 가지로 나누어지며, 나머지 네 가지는 각기 다섯 가지(즉 5부의 수면)로 나누어지기 때문에 욕계 중에는 서른여섯 가지의 수면이 있는 것이다.
    28) 5견이나 의(うたぐ)와 같은 지적 번뇌를 소연으로 삼아 일어나는 탐 등은 견소단이며, 지적 번뇌없이 다만 습관적으로 일어난 탐 등은 수소단이다."
  64.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1권. p. T26n1542_p0693b28 - T26n1542_p0693c18. 98수면(きゅうじゅうはちずいねむり)
    "ずいねむりゆうななしゅいいほしむさぼずいねむり。瞋隨ねむりゆうむさぼずいねむり。慢隨ねむり無明むみょうずいねむりずいねむりうたぐずいねむりよくむさぼずいねむりゆうしゅいい欲界よくかい繫見しゅうめつ道修どしょうしょだんむさぼ。瞋隨ねむりゆうしゅいいしゅうめつ道修どしょうしょだん瞋。ゆうむさぼずいねむりゆうじゅうしゅいいしょくかい繫五。無色むしょくかい繫五。いろかい繫五しゃいいしょくかい繫見しゅうめつ道修どしょうしょだんむさぼ無色むしょくかい繫五またなんじ。慢隨ねむりゆうじゅうしゅいい欲界よくかい繫五。いろかい繫五。無色むしょくかい繫五。欲界よくかい繫五しゃいい欲界よくかい繫見しゅうめつ道修どしょうしょだん慢。いろ無色むしょくかい繫各またしか無明むみょうずいねむりゆうじゅうしゅいい欲界よくかい繫五。いろかい繫五。無色むしょくかい繫五。欲界よくかい繫五しゃいい欲界よくかい繫見しゅうめつ道修どしょうしょだん無明むみょういろ無色むしょくかい繫各またしかずいねむりゆうさんじゅうろくしゅいい欲界よくかいじゅういろかいじゅう無色むしょくかいじゅう欲界よくかいじゅうしゃいい欲界よくかい繫有あたりみるみちしょだん邪見じゃけん見取みとり戒禁しゅうめつしょだん邪見じゃけん見取みとりいろ無色むしょくかい繫各じゅうまたしかうたぐずいねむりゆうじゅうしゅいい欲界よくかい繫四。いろかい繫四。無色むしょくかい繫四。欲界よくかい繫四しゃいい欲界よくかい繫見しゅうめつどうしょだんうたぐいろ無色むしょくかい繫各よんまたしか。"
  65.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1권. pp. 8-9 / 448. 98수면(きゅうじゅうはちずいねむり)
    "수면(ずいねむり)은 일곱 가지가 있다.
    욕탐(よくむさぼ)의 수면·진(瞋)의 수면·유탐(ゆうむさぼ)의 수면·만(慢)의 수면·무명(無明むみょう)의 수면·견()의 수면·의(うたぐ)의 수면이다.
    욕탐(よくむさぼ)의 수면은 다섯 가지가 있다. 욕계에 매인[欲界よくかい繫] 견고()·견집(しゅう)·견멸(めつ)·견도(どう)와 수도(修道しゅうどう)에서 끊어야 할 탐(むさぼ)이다.
    진(瞋)의 수면은 다섯 가지가 있다. 견고·견집·견멸·견도와 수도에서 끊어야 할 진(瞋)이다.
    유탐(ゆうむさぼ)의 수면은 열 가지가 있다. 색계계(いろかい繫) 다섯 가지와 무색계에 매인[無色むしょくかい繫] 다섯 가지이다.
    색계에 매인 다섯 가지란 색계에 매인 견고·견집·견멸·견도와 수도에서 끊어야 할 탐(むさぼ)이다.
    무색계에 매인 다섯 가지도 마찬가지이다.
    만(慢)의 수면은 다섯 가지가 있다. 욕계에 매인 다섯 가지와 색계에 매인 다섯 가지와 무색계에 매인 다섯 가지이다.
    욕계에 매인 다섯 가지란 욕계에 매인 견고·견집·견멸·견도와 수도에서 끊어야 할 만(慢)이다.
    색계에 매인 것과 무색계에 매인 각각 다섯 가지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무명(無明むみょう)의 수면은 열 다섯 가지가 있다. 욕계에 매인 다섯 가지와 색계에 매인 다섯 가지와 무색계에 매인 다섯 가지이다.
    욕계에 매인 다섯 가지란 욕계에 매인 견고·견집·견멸·견도와 수도에서 끊어야 할 무명이다.
    색계에 매인 것과 무색계에 매인 각각 다섯 가지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견()의 수면은 서른 여섯 가지[さんじゅうろくしゅ]가 있다. 욕계에 매인 열 두 가지와 색계에 매인 열 두 가지와 무색계에 매인 열 두 가지이다.
    욕계에 매인 열 두 가지란 욕계에 매인 유신견(ゆう)·변집견(あたり)과 견고()와 견도(どう)에서 끊어야 할 사견(邪見じゃけん)·견취(見取みとり)·계금취(戒禁)와 견집(しゅう)·견멸(めつ)에서 끊어야 할 사견과 견취이다.
    색계에 매인 것과 무색계에 매인 각각 열 두 가지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의(うたぐ)의 수면은 열 두 가지가 있다. 욕계에 매인 네 가지와 색계에 매인 네 가지와 무색계에 매인 네 가지이다.
    욕계에 매인 네 가지란 욕계에 매인 견고·견집·견멸·견도에서 끊어야 할 의심이다.
    색계와 무색계에 매인 각각 네 가지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66. DDB, "無色むしょくほう". 2013년 5월 22일에 확인
    "無色むしょくほう:
    Pronunciations: [py] wúsè fǎ [wg] wu-se-fa [hg] 무색법 [mc] musaek beop [mr] musaek pŏp [kk] ムシキホウ [hb] mushiki hō [qn] vô sắc pháp
    Basic Meaning: immaterial dharmas
    Senses:
    # (Skt. *ārūpya-dharma; Tib. gzugs can ma yin pa) 〔瑜伽ゆがろん T 1579.30.583b25〕 [Charles Muller; source(s): Nakamura, Hirakawa, YBh-Ind]
    [Dictionary References]
    Bukkyōgo daijiten (Nakamura) 1327a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Hirakawa) 0759
    Sanskrit-Tibetan Index for the Yogâcārabhūmi-śāstra (Yokoyama and Hirosawa) {Digital Version}"
  67. 佛門ぶつもんもう, "無色むしょくほう". 2013년 5월 22일에 확인
    "無色むしょくほう:
    出處しゅっしょ: 佛教ぶっきょうかん梵大辭典じてん
    解釋かいしゃく:
    dharmā arūpiṇaḥ, arūpiṇāṃ dharmāṇām, ārūpya-dharma, arūpin.
    ぺーじすう: P2153
    出處しゅっしょ: しゅ芾煌《法相ほうしょう辭典じてん
    解釋かいしゃく:
    しなるいあしろんろくかんよんぺーじうん無色むしょくほううんなにいいいちしょいちしょしょうぶん。"
  68.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 438 / 3087. 유색법(有色ゆうしょくほう)
    "3. 심ㆍ심소ㆍ불상응행법의 구생관계
    유색법이 결정코 구생(俱生)한다는 사실에 대해 이미 논설하였다.
    이제 다음으로 무색법의 구생관계에 대해 마땅히 논설해 보아야 할 것이다.
    게송으로 말하겠다.
     심(しん)과 심소(しんしょ)는 반드시 함께 하며
     제행(諸行しょぎょう)은 상(そう), 혹은 득(とく)과 [반드시 함께 한다].
     心心こころごころしょ必俱 諸行しょぎょうしょうあるとく
    논하여 말하겠다.
    심과 심소는 결정코 반드시 구생하니, 둘 중의 어느 하나라도 결여될 때 다른 하나도 결정코 생기하지 않는다.
    [본송에서] 제행(諸行しょぎょう)이라 함은 바로 일체의 유위법(有為ゆういほう)을 말하는 것이니, 이른바 유색과 무색의 온갖 행(즉 유위법)이 바로 그것이다.12) 그리고 그 앞의 구절에서 언급한 『반드시 함께 한다』고 하는 말은 여기에도 적용되니, 이를테면 유색 등의 제행이 생겨날 때에는 반드시 『생(せい)』 등의 4상(そう)과 함께 일어나는 것이다. 나아가 『혹은 득(とく)』이라고 말한 것은, 제행 가운데 오로지 유정의 법만이 『득』과 구생함을 말하며, 『혹은』이라고 말한 것은 이것이 모든 유위법[諸行しょぎょう]과 두루 구생하지 않음을 나타내기 위해서였다.
    12) 유색법은 앞서 논설한 유대(ゆうたい)의 색법(いろほう)을 말하며, 무색법은 심법(しんほう)과 심소법(しんしょほう)과 불상응행법(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을 말한다."
  69.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 438 / 3087.
  70.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6권. p. T26n1542_p0714a14 - T26n1542_p0714a15. 무색법(無色むしょくほう)
    "無色むしょくほううんなにいいいちしょいちしょしょうぶん。"
  71.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6권. p. 128 / 463. 무색법(無色むしょくほう)
    "무색법(無色むしょくほう)은 무엇인가? 1처(しょ:しょ)와 1처의 적은 부분[ほうしょちゅうひょうしょく] 이외의 나머지 것을 말하는 것이다."
  72. 구나발타라(もとめばつ陀羅) 한역 & T.99, 제12권 제298경 〈법설의설경(ほうせつ說經せっきょう)〉. p. T02n0099_p0085b09 - T02n0099_p0085b10. 유(ゆう)
    "緣取へりとりゆうしゃうんなんためゆうさんゆうよくゆういろゆう無色むしょくゆう。"
  73. 구나발타라(もとめばつ陀羅) 한역 & K.650, T.99, 제12권 제298경 〈법설의설경(ほうせつ說經せっきょう)〉. p. 461 / 2145. 유(ゆう)
    "취함을 인연하여 존재가 있다 하니, 어떤 것을 존재[ゆう]라고 하는가? 3유(ゆう)이니, 탐욕의 존재[よくゆう]·빛깔의 존재[いろゆう]·빛깔이 없는 존재[無色むしょくゆう]이니라."
  74.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0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5권. 불교기록 문화유산 아카이브.
  75.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3권. p. T26n1542_p0700b22 - T26n1542_p0700b23. 무색탐(無色むしょくむさぼ)
    無色むしょくむさぼうんなにいい於無しょくおこりむさぼひとしむさぼぞう防護ぼうごふけちょあいらくめい無色むしょくむさぼ。"
  76.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3권. p. 47 / 448. 무색탐(無色むしょくむさぼ)
    "무색탐(無色むしょくむさぼ)은 무엇인가? 형상 없는 것[無色むしょく]으로 일어나 탐하고 함께 탐하며, 가져 간직하고 막아 수호하며 즐겨 집착하고 사랑하며 좋아하는 것이니, 이것을 이름하여 ‘무색탐’이라 한다."
  77.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4권. p. T29n1558_p0019b27. 불해(がい)
    "ごとがいしゃいいそん惱。"
  78.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8 / 1397. 불해(がい)
    "불해(がい)라고 하는 것은 이를테면 다른 이를 손상시키고 괴롭히지 않는 것을 말한다."
  79. 운허, "無心むしん(무심)". 2012년 9월 18일에 확인..
  80. 星雲せいうん, "無心むしん". 2012년 9월 18일에 확인..
  81. 星雲せいうん, "無心むしん". 2012년 9월 18일에 확인,.
  82.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1권. p. 21 / 1397. 무심(無心むしん).
  83. 운허, "無心むしん(오위무심)". 2012년 9월 18일에 확인..
  84.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1권. p. T26n1542_p0692b23 - T26n1542_p0692b24. 5위() 또는 5법(ほう)
    "ゆうほう一色いっしょく二心ふたごころさんしんしょほうよんしん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無為むい。"
  85.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1권. p. 1 / 448. 5위() 또는 5법(ほう)
    "5법(ほう)이 있으니, 첫째는 색(いろ)이요 둘째는 심(しん)이며, 셋째는 심소법(しんしょほう)이요, 넷째는 심불상응행(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이며, 다섯째는 무위(無爲むい)이다.
  86. 세친 조, 현장 한역 & T.1614, p. T31n1614_p0855b15 - T31n1614_p0855b20. 5위() 또는 5법(ほう)
    "如世尊せそんごと一切いっさいほう無我むが何等なんら一切いっさいほううんなんため無我むが一切いっさいほうしゃりゃくゆうしゅいちしゃしんほうしゃこころ所有しょゆうほう三者さんしゃしょくほうよんしゃ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しゃ無為むいほう一切いっさいさいかちゆえあずか此相おうゆえしょげんかげゆえさんふん差別さべつ四所ししょ顯示けんじ如是にょぜ次第しだい。"
  87.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644, T.1614, p. 1 / 3. 5위() 또는 5법(ほう)
    "세존께서 말씀하신 바와 같이 일체 법은 [나[]]가 없는 것이다. 어떤 것이 일체 법이고 어떤 것을 [나]가 없음이라 하는가 하면, 일체 법에 대략 다섯 가지가 있다. 첫째는 마음의 법이고, 둘째는 마음이 지닌[しんしょほう]이고, 셋째는 물질의 법이고, 넷째는 마음과 상응(相應そうおう)하지 않는 법이고, 다섯째는 함이 없는 법이다. 첫째는 일체에서 가장 수승하므로 이 법과 더불어 상응하기 때문이고, 둘째는 나타나는바 그림자 때문이고, 셋째는 분위(ぶん)의 차별이기 때문이고, 넷째는 나타내 보이는 것이기 때문이니, 이와 같은 차례이다."
  88.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1권. p. T26n1542_p0692c09 - T26n1542_p0692c10. 무위법(無爲むいほう)
    "無為むいうんなにいいさん無為むいいち虛空こくうめつさんめつ。"
  89.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1권. p. 2 / 448. 무위법(無爲むいほう)
    "무위(無爲むい)란 무엇인가? 세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허공(虛空こくう)이요 둘째는 비택멸(めつ)이요 셋째는 택멸(めつ)이다."
  90. 세친 조, 현장 한역 & T.1614, p. T31n1614_p0855c17 - T31n1614_p0855c21. 무위법(無爲むいほう)
    "だい無為むいほうしゃりゃくゆうろくしゅいち虛空こくう無為むいめつ無為むい。三非擇滅無為。よん不動ふどうほろび無為むいそう受滅無為むいろく真如しんにょ無為むいげん無我むがしゃりゃくゆうしゅいちとく伽羅きゃら無我むがほう無我むが。"
  91.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644, T.1614, p. 3 / 3. 무위법(無爲むいほう)
    "다섯째의 함이 없는 법이 대략 여섯 가지가 있으니, 허공의 함이 없음이 그 하나이고, 택멸(めつ)의 함이 없음이 그 둘이고, 간택하거나 판정하는 것이 비택멸(めつ(의 함이 없음이 그 셋이고, 부동멸(不動ふどうめつ)의 함이 없음이 그 다섯이고, 진여의 함이었음이 그 여섯이다."
  92.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2, 제1권. p. T31n1602_p0482a13 - T31n1602_p0482a17. 살가야견(薩迦耶見)
    "いち薩迦耶見。いい於五取蘊計我我所染污慧為體。ある俱生ある分別ふんべつおこりのうさわ無我むが顛倒てんとうかいためぎょう。如前乃至ないし增長ぞうちょう薩迦耶見ためぎょう。如經せつ如是にょぜ知見ちけんながだんさんゆいいい戒禁うたぐ。"
  93. 무착 지음, 현장 한역 & K.571, T.1602, 제1권. p. 21 / 293. 살가야견(薩迦耶見)
    "첫째는 살가야견(薩迦耶見)112)이니, 오취온에 대해서 나 · 내것으로 헤아려서 지혜를 오염시키는 것을 체성으로 삼는다. 혹은 선천적으로 생겨나는 것이고, 혹은 분별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다. 무아에 대해 뒤바뀌지 않은 이해를 장애함을 업으로 삼고, 앞에서와 같이 나아가서 살가야견을 증장함을 업으로 삼는다. 경전에서 “이와 같은 지견(知見ちけん)은 세 가지 결박 번뇌[ゆい]를 영원히 끊나니 신견(), 계금취견(戒禁), 의(うたぐ)이다”라고 말한 바와 같다.
    112) 범어 satkāya-dṛṣṭi 또는 satkāya-darśana의 음역이며 유신견(ゆう· 신견()으로 의역된다. 오온이 화합하여 이루어진 임시적인 나[] 특히 육신을 참다운 자아라고 집착하는 견해이다. 또한 육신에 딸려 있는 온갖 소유도 고정된 소유주가 있는 것이 아닌데도 그것을 나의 소유물[わがところ]이라고 집착하는 견해를 말한다."
  94.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2, 제1권. p. T31n1602_p0482a17 - T31n1602_p0482a21. 변집견(あたり)
    "へんみるいい於五取蘊執計斷常染污慧為體。ある俱生ある分別ふんべつおこりのうさわ無常むじょう顛倒てんとうかいためぎょう。如前乃至ないし增長ぞうちょうあたりためぎょう。如經せつ迦多衍那一切世間依止二種或有或無。"
  95. 무착 지음, 현장 한역 & K.571, T.1602, 제1권. p. 21 / 293. 변집견(あたり)
    "둘째는 변집견(あたり)113)이 니, 오취온에 대해서 단멸함 · 상주함을 집착하고 헤아려서 지혜를 오염시키는 것을 체성으로 삼는다. 혹은 선천적으로 생겨나는 것이고, 혹은 분별에 의해 생겨나는 것이다. 무상(無常むじょう)에 대한 뒤바뀌지 않은 이해를 장애함을 업으로 삼고, 앞에서와 같이 나아가서 변집견을 증장함을 업으로 삼는다. 경전에서 “가다연나(迦多衍那)114)여, 일체 세간은 두 가지에 의지하나니, 혹은 있음과 혹은 없음이니라”고 말한 바와 같다.
    113) 변집견(あたり, antagrāhadṛṣṭi)은 편벽된 극단에 집착하는 견해이며 변견(邊見へんみ)이라고도 한다. 특히 자아가 사후(死後しご)에도 상주한다고 생각하는 상견(常見つねみ)과, 사후에는 단절된다고 생각하는 단견(だん)에 고집하는 견해를 말한다. 62견() 중에서 47견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 40가지(4へんつねろん · 4いちふんつねろん · ゆうそう 16ろん · 無想むそう 8ろん · 俱非 8ろん)는 상견이고, 나머지 7가지는 단견이다.
    114) 성(せい)이다. 가다연니자(迦多衍尼, Kātyāyanī-putra, ゆうだいろん)가 아니다."
  96.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2, 제1권. p. T31n1602_p0482a21 - T31n1602_p0482a24. 사견(邪見じゃけん)
    "さん邪見じゃけんいいそしいんそしはてあるそしこうようある實事じつごとしみ污慧ためたいただ分別ふんべつおこりのうさわせいためぎょう。如前乃至ないし增長ぞうちょう邪見じゃけんためぎょう。如經せつゆう邪見じゃけんしゃしょみなたおせ乃至ないしこうせつ。"
  97. 무착 지음, 현장 한역 & K.571, T.1602, 제1권. p. 21 / 293. 사견(邪見じゃけん)
    "셋째는 사견(邪見じゃけん)115)이니, 원인을 부정하고116) 결과를 부정하며,117) 혹은 작용[こうよう]을 부정하고,118) 혹은 참다운 존재[こと]를 부정하여119) 지혜를 오염시키는 것을 체성으로 삼는다. 오직 분별에 의해 생겨난다. 능히 정견을 장애함을 업으로 삼고, 앞에서와 같이 나아가서 사견을 증장함을 업으로 삼는다. 경전에서 “삿된 견해가 있는 이는 집착하는 것이 모두 뒤바뀐 것이고..... (나아가 자세히 말함)”라고 말한 바와 같다.
    115) 사견(邪見じゃけん, mithādṛṣṭi)은 인과(因果いんが)의 도리를 무시하는 잘못된 견해를 말한다. 온갖 망견(妄見)은 모두 정리(せい)에 어긋나는 것이므로 사견이라 한다. 이에는 2무인론(いんろん· 4유변론(ゆうあたりろん· 불사교란(不死ふし矯亂) · 5현열반(げん涅槃ねはん· 자재천(在天ざいてん) 외도 등이다.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이 책 제9권 · 제10권 참조.
    116) 보시(布施ふせ)나 탐착 등 모든 선악의 원인이 있는 것이 아니라고 부정함을 말한다.
    117) 선악업에 초감(招感)되는 이숙과(じゅくはて)가 없다고 부정함을 말한다.
    118) 세간 · 부모 등 모든 사회 · 국가를 부정함을 말한다.
    119) 세간의 참다운 아라한(阿羅漢あらかん)도 없다고 부정함을 말한다."
  98.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2, 제1권. p. T31n1602_p0482a24 - T31n1602_p0482a28. 견취(見取みとり)
    "よん見取みとりいい於前三見及見所依蘊計最勝上及與第一染污慧為體。ただ分別ふんべつおこりのうさわ不淨ふじょう顛倒てんとうかいためぎょう。如前乃至ないし增長ぞうちょう見取みとりためぎょう。如經せつ於自しょ見取みとりがたじゅう乃至ないしこうせつ。"
  99. 무착 지음, 현장 한역 & K.571, T.1602, 제1권. p. 21 / 293. 견취(見取みとり)
    "넷째는 견취(見取みとり)120)이니, 앞에서 말한 세 가지 견해와 견해의 의지처인 온(薀)에 대해서 가장 수승하고 첫째가는 것이라고 헤아려서 지혜를 오염시키는 것을 체성으로 삼는다. 오직 분별에 의해 생겨난다. 괴로움 · 부정(不淨ふじょう)에 대한 뒤바뀌지 않은 이해를 장애함을 업으로 삼고, 앞에서와 같이 나아가서 견취를 증장함을 업으로 삼는다. 경전에서 “스스로 견해에 취착한 것에 대해서 집착하고 굳게 머물며..... (나아가 자세히 말함)”라고 말한 바와 같다.
    120) 견취(見取みとり, dṛṣṭiparāmarśa)는 견취견(見取みとり)의 준말이며, 모든 사견(邪見じゃけん)을 고집하는 견해라는 뜻이다. 유신견 · 변견 · 사견 등을 일으키고 이를 잘못 고집하여 진실하고 수승한 견해라고 보는 망견(妄見)이다. 모든 투쟁의 의지처가 된다."
  100.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2, 제1권. p. T31n1602_p0482a28 - T31n1602_p0482b02. 계금취(戒禁)
    "五戒ごかいきんいい於前諸見しょみ及見しょ蘊計ため清淨せいじょう解脫げだつ出離しゅつりしみ污慧ためたいただ分別ふんべつおこりのうさわ如前顛倒てんとうかいためぎょう。如前乃至ないし增長ぞうちょう戒禁ためぎょう。如經せつ取結とりむすべしょ繫。"
  101. 무착 지음, 현장 한역 & K.571, T.1602, 제1권. pp. 21-22 / 293. 계금취(戒禁)
    "다섯째는 계금취(戒禁)121)이니, 앞에서 말한 여러 견해와 견해의 의지처인 온(薀)에 대해서 청정 · 해탈 · 벗어난 것이라고 헤아려서 지혜를 오염시키는 것을 체성으로 삼는다. 오직 분별에 의해 생겨난다.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뒤바뀌지 않은 이해를 장애를 업으로 삼고, 앞에서와 같이 나아가서 계금취를 증장함을 업으로 삼는다. 경전에서 “취()는 결박 번뇌[ゆい]에 계박된다”라고 말한 바와 같다.
    121) 계금취(戒禁, śīlavrataparāmarśa)는 계금취견의 준말로서 계금(戒禁)에 대하여 일어나는 그릇된 견해를 말한다. 곧 진정한 원인 아닌 것을 원인이라 하고, 도(みち)가 아닌 것을 도라고 하는 잘못된 견해이다. 예를 들면 외도(外道げどう) 중에 개나 소 등이 죽은 뒤엔 하늘에 태어난다고 하여 개나 소처럼 풀이나 변(便びん)을 먹으면서 이것이 하늘에 태어나는 원인이고 정도(正道せいどう)라고 생각했던 경우이다. 또한 외도의 그릇된 계율뿐만 아니라, 불교 내부에서도 형식적인 계율을 지킴으로써 청정해질 수 있다는 견해에 집착하거나, 자신이 속한 집단의 의식(儀式ぎしき)만이 옳다고 집착하는 견해도 이에 해당된다."
  102. 운허, "しみきたな無知むち(염오무지)". 2013년 1월 2일에 확인
    "しみきたな無知むち(염오무지): 2무지(無知むち)의 하나. 염오는 번뇌의 다른 이름. 무지는 대경(たいさかい)을 밝게 알지 못하는 것. 염오무지는 고()ㆍ집(しゅう)ㆍ멸(めつ)ㆍ도(みち)의 4제(たい)의 이치를 모르고, 만유(萬有ばんゆう)의 사상(事相じそう)에 아득한 무명 번뇌를 말함. 3성 중에는 악과 무기 중의 유부무기(ゆうくつがえ)에 해당."
  103. 운허, "しみきたな無知むち(불염오무지)". 2013년 1월 2일에 확인
    "しみきたな無知むち(불염오무지): ↔ 염오무지(しみきたな無知むち). 온갖 경계에 대하여 그 진상을 분명히 알지 못하는 하열(下劣げれつ)한 지혜. 열혜(れつとし)로 체(からだ)를 삼는다. 이 무지(無知むち)는 사물에 집착하는 부정한 성분은 아니므로 불염오라 하고, 선(ぜん)ㆍ악(あく)ㆍ무기()의 3성(せい) 중에는 선과 무부무기[くつがえ]에 통한 것이라 함."
  104.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4권. p. T29n1558_p0019c04 - T29n1558_p0019c05. 치()
    "しゃ所謂いわゆる愚癡ぐちそく無明むみょうさとしあらわ。"
  105.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8 / 1397. 치()
    "치()란 이른바 우치(愚癡ぐち)를 말한다. 즉 이는 바로 무명(無明むみょう)이고, 무지(さとし)이며, 무현(あらわ)인 것이다.35)
    35) 무지는 밝게 결택(けつ)할 수 없는 상태이고, 무현이란 일체 사리(事理じり)의 경계가 은폐되어 드러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106.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67 / 1397쪽.
  107. 운허, "瞋(무진)". 2012년 9월 3일에 확인.
  108. 星雲せいうん, "". 2012년 9월 3일에 확인.
  109.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66-67 / 1397쪽.
  110.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81-182 / 1397 무참(慚)쪽
    "온갖 공덕(戒·てい·とし의 삼학을 말함)과 공덕 있는 자(즉 스승)에 대해 공경하는 일이 없고, 숭배하는 일이 없으며, 어렵게 여겨 꺼리는 일[なん]도 없을 뿐더러, 따라 속하는 일[ずいぞく], 즉 제자로서의 예의도 없는 것을 일컬어 무참이라고 한다. 즉 이는 바로 공경에 적대되는 법이다. ... 그런데 유여사는 설하기를, '지은 죄에 대해 그 자체를 관찰하여 부끄러워함이 없는 것을 일컬어 무참이라 한다'고 하였다."
  111.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T29n1558_p0021a07 - T29n1558_p0021a18
    "於諸功德くどく有德うとくしゃけいたかしところなんしょずいぞくせつめい慚。そく恭敬きょうけいしょ敵對てきたいほう。... 有餘ゆうよせつ。於所づくりざいかん無恥むちめい曰無慚。"
  112. 운허, "(무치)". 2012년 9월 22일에 확인.
  113. 星雲せいうん, "". 2012년 9월 22일에 확인.
  114.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2, 제1권. p. T31n1602_p0481c07 - T31n1602_p0481c08. 무치()
    "しゃいいせいりょう真實しんじつためたいのうだんさわためぎょう。如前乃至ないし增長ぞうちょうためぎょう。如經せつ善根ぜんこん。"
  115. 무착 지음, 현장 한역 & K.571, T.1602, 제1권. p. 18 / 293. 무치()
    "치()95) 심소는 진실을 바르게 아는 것을 체성으로 삼고, 능히 어리석음의 장애를 끊음을 업으로 삼으며, 앞에서와 같이 나아가서 무치를 증장함을 업으로 삼는다. 경전에서 “무치의 선근”이라고 말한 바와 같다.
    95) 무치(, amoha) 심소는 모든 사리를 밝게 이해하는 능력의 심리작용이다."
  116. 세친 조, 현장 한역 & T.1612, p. T31n1612_p0848c27. 무치선근(善根ぜんこん)
    "うんなんいいたい。以其如實にょじつせい行為こういせい。"
  117.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618, T.1612, p. 4 / 12. 무치선근(善根ぜんこん)
    "어떤 것이 무치()인가. 이는 우치를 대치하는 것이니, 진실대로 바르게 행하는 것을 자성으로 삼는 것이다."
  118.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 T.1613, p. T31n1613_p0852b01 - T31n1613_p0852b03. 무치선근(善根ぜんこん)
    "うんなんいいたい如實にょじつせい行為こういせい如實にょじつしゃりゃくいいよんひじりたいこういいじゅう緣起えんぎ。於彼ゆき是正ぜせい知義ともよしぎょうまた如無むさぼせつ。"
  119.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 K.619, T.1613, p. 8 / 24. 무치선근(善根ぜんこん)
    "무엇을 어리석지 않음[]이라고 하는가?
    어리석음을 다스리고, 여실(如實にょじつ)하고 바르게 행동함[正行まさゆき]을 성질로 한다. 여실하게란 간략하게 말하면 4성제(ひじりたい)이고, 넓게 말하면 12연기(緣起えんぎ)이다. 이들에 대해서 행위를 더하는 것이 바로 앎[せい]의 뜻이다. 행동양식은 또한 탐욕 없음[むさぼ]에서 말한 것과 같다."
  120. 星雲せいうん, "正行まさゆき". 2013년 2월 17일에 확인
    "正行まさゆき: 梵語ぼんご samyak-pratipatti,ともえとし sammā-patipatti。ゆび邪曲じゃきょくこれぎょうそく以佛教化きょうかため基準きじゅん正當せいとう行為こういあずかよこしまぎょう相對そうたいあるたいざつぎょうじょくだり而言正行まさゆきまたよし直接ちょくせつ原因げんいん而成これぎょうたたえため正行まさゆきゆかり間接かんせつ原因げんいん而成これぎょうたたえためすけぎょう
     よりどころはち正道せいどうけいたい諦念ていねんたいたいたいもとめたいぎょうたいたいじょうとうしょうためどうはちよこしまぎょうはんこれたい諦念ていねん乃至ないしたいたいじょうとうのりしょうためどうはち正行まさゆきよりどころちゅうおもね含卷さんじゅう八鸚鵡經及大智度論卷四十八等載,あずか外道げどう凡夫ぼんぷよこしまぎょう相對そうたいてき八正道等即屬正行。
     諸家しょかれつ有數ゆうすうしゅ正行まさゆきせつ。如瑜伽ゆがろんまきろくじゅう四舉出三種正行即:於佛たからおうおさむ供養くよううけたまわこと正行まさゆき、於法たからしょおうおさむ瑜伽ゆが方便ほうべん正行まさゆき、於僧たからしょおうおさむきょう受財ほう正行まさゆき大乘だいじょう莊嚴しょうごん經論きょうろんまきじゅう二以六波羅蜜為正行,そく布施ふせ持戒じかい忍辱にんにく精進しょうじん禪定ぜんじょう般若はんにゃ正行まさゆきべんちゅうあたりろんまきじゅう波羅蜜はらみつぎょうそう分別ふんべつためろくしゅ正行まさゆきそくさいかち作意さくいずいほうはなれへん差別さべつ無差別むさべつ正行まさゆきちゅうあたり分別ふんべつろんまきそく上述じょうじゅつ作意さくい正行まさゆきぶんじゅうしゅ正行まさゆきそく書寫しょしゃ供養くよう施與せよわか讀誦とくしょういちしん聽聞ちょうもん讀、如理名句めいくあじ及義、如道理どうり及名あじあらわせつせいしん聞誦、そらしょ如理思量しりょうやめにゅうため退すさしつ修習しゅうしゅう法華經ほけきょうげんさんまき八以法華經卷四法師品所謂之受持、讀、誦、解說かいせつ書寫しょしゃ供養くようとうしょうため正行まさゆきろくしゅ法師ほうし
     淨土宗じょうどしゅう大德だいとく善導ぜんどうけい疏散ぜんちゅういい修習しゅうしゅう五種往生阿彌陀佛淨土之行業為五正行。そく:(いち)讀誦とくしょう讀誦とくしょう淨土じょうど聖典せいてん。()觀察かんさつ觀想かんそう阿彌陀あみだふつ相好そうごう。(さん)禮拜れいはい禮拜れいはい阿彌陀あみだぼとけ。(よん)稱名しょうみょうしょうねん阿彌陀あみだふつ名號みょうごう。()讚歎さんたん供養くよう讚歎さんたん阿彌陀あみだぼとけ功德くどくはんこれわか阿彌陀あみだふつ以外いがいしょ佛菩薩ぶつぼさつため禮拜れいはい觀想かんそうとう對象たいしょうしゃのりしょうざつぎょう正行まさゆきちゅう稱名しょうみょう」一項特別符合彌陀之本願,しょうせいじょうぎょう,其餘四項則稱助業、じょくだり,二者因相對而作此稱。わかざい專修せんしゅう念佛ねんぶつ稱名しょうみょうこれがい兼修けんしゅう其他よんぎょうしゃのりたたえじょせい兼行けんこうまた往生おうじょう淨土じょうど正因まさより」,而言正行まさゆき。此外,密教みっきょうちゅうのり於加ぎょうこうところ修之のぶゆきぎょうぎょうたたえ正行まさゆき。〔てん法輪ほうりんけい、般泥洹經卷きょうかん大方おおがたとうだいしゅう經卷きょうかんさんじゅうかいふかみつ經卷きょうかんさん大智たいちろんまき五十六いそろくまきはちじゅうななべんちゅうあたり論述ろんじゅつまきちゅうほうえんたまりんまきじゅうなな〕(まいり閱「正因まさより正行まさゆき」1985)p1986"
  121.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22권. p. T29n1558_p0116b29 - T29n1558_p0116c09. 견도(どう, たいどう)와 3혜(さんとし)
    "おうせつうんなん方便ほうべんつとむおさむおもむきたいどう
    頌曰。
     はたおもむきたいどう おうじゅう戒勤おさむ
     聞思おさむところしげる いいめい俱義さかいろん曰。
    しょゆう發心ほっしんはたおもむきたいおうさき安住あんじゅう清淨せいじょうしかばねしかつとむおさむ聞所ききどころなりとういいさき受順たい聞。聞已つとむもとめしょ聞法。聞法やめたおせ思惟しいおもえやめかたのうてい修習しゅうしゅう行者ぎょうじゃ如是にょぜじゅう戒勤おさむ聞所ききどころなりとしおこりおもえしょなりとしおもえしょなりとしおこりおさむしょなりとし。"
  122.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22권. p. 1014 / 1397. 견도(どう, たいどう)와 3혜(さんとし)
    "이제 마땅히 어떠한 방편을 부지런히 닦아야 견도제(どうたい)[→ 한역본에는 견제도(たいどう)로 되어 있다], 즉 진리를 관찰하는 도로 나갈 수 있는지에 대해 논설해 보아야 할 것이다.
    게송으로 말하겠다.
     장차 진리를 관찰하는 도로 나아가려는 이는
     마땅히 계(戒)에 머물면서 문(聞)·사(おもえ)·수(おさむ)로써
     성취되는 바를 부지런히 닦아야 할 것이니
     이를테면 말과, 말과 뜻과, 뜻이 그것의 경계이다.
     はたおもむきたいどう おうじゅう戒勤おさむ
     聞思おさむしょなり いいめい俱義さかい
    논하여 말하겠다. 온갖 유정으로서 발심하여 장차 진리를 관찰하는 도[たい]로 나아가려는 자는 마땅히 먼저 청정한 시라(しかばね, 즉 계율)에 안주하고, 그런 연후에 문소성혜(聞所ききどころなりとし) 등을 부지런히 닦아야 한다. 이를테면 먼저 진리의 관찰[たい]에 수순하는 청문(聽聞ちょうもん)을 섭수하고, 듣고 나서는 들은 법의 뜻[ほうよし]을 부지런히 추구하며, 법의 뜻을 듣고 나서 전도됨이 없이 사유(思惟しい)해야 하니, 사유[おもえ]하고 나서야 비로소 능히 선정[じょう]에 의지하여 수습(修習しゅうしゅう)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수행자는 이와 같이 계(戒)에 머물면서 부지런히 닦아 문소성혜(聞所ききどころなりとし)에 의해 사소성혜(おもえしょなりとし)를 일으키고, 사소성혜에 의해 수소성혜(おさむしょなりとし)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123. 권오민 2003, 21-29. 4혜(よんとし)쪽
    "아비달마는 궁극적으로 불타의 참된 예지(眞智まち)에 대한 이해(簡擇)력인 무루의 지혜를 본질로 한다. 무루의 지혜는 더 이상 번뇌()를 수반하지 않으며, 세간의 온갖 더러움을 떠난 것이기에 청정한 지혜이다. 아비달마는 궁극적으로 이 같은 무루의 지혜를 본질로 한다. 세계존재에 대한 즉각적이고도 올바른 관찰과 이해는 오로지 이 같은 지혜의 힘에 의해서만 가능한데, 그렇게 될 때 관찰자는 더 이상 생사 미망에 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무루의 지혜는 사실상 불타 깨달음과 다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생ことせい의 범부로서는 그것을 획득하기 위해 세간의 지혜에 의지하는 수밖에 없다. 그러한 세간의 지혜로서는 스승이나 친구의 말을 듣고서 획득하는 지혜(이를 문소성혜聞所ききどころなりとし라고 한다), 그것을 주체적으로 사유함으로써 획득하는 지혜(이를 사소성혜おもえしょなりとし라고 한다), 다시 선정을 통해 반복적으로 익힘으로써 체득하는 지혜(이를 수소성혜おさむしょなりとし라고 한다)가 있으며, 이러한 세 가지 지혜를 낳을 수 있게 하는 타고난 지혜(이를 생득혜生得しょうとくとし라고 한다) 등이 있지만, 이것은 모두 선천적 혹은 후천적 실천에 의한 것이므로 여기에는 그 근거가 되는 또 다른 방편이 필요하다. 이것이 바로 '세속世俗せぞく의 아비달마'로 일컬어지는 협의의 아비달마, 즉 우리가 일반적으로 접하는 아비달마 논서이다. 그리고 이러한 세간의 네 가지 지혜나 그 근거가 되는 아비달마의 여러 논서는 궁극적으로 무루의 지혜를 낳게 하는 수단이 되기 때문에, 이 역시 아비달마의 본질이라 말할 수 있다고 비바사사毘婆すな(Vaibhasika, 설일체유부의 논사를 말함)는 생각하였다. 즉 아비달마의 여러 논서에서 설해진 것을 들을 때 타고난 지혜가 작용하고, 그것에 의해 청문聽聞ちょうもん 등에 의한 후천적 지혜가 성취되며, 마침내 무루의 청정한 지혜가 획득되기 때문에 전자는 후자의 점진적 근거가 된다. 말하자면 무루의 청정한 지혜를 본질로 하는 아비달마는 불타의 참된 예지와 다르지 않기 때문에 승의勝義まさよし의 아비달마(paramarthikabhidharma)라고 한다면, 세간의 네 가지 지혜와 아비달마의 여러 논서는 그것으로 나아가기 위한 방편 즉 세속의 아비달마(sampetikdbhidharma)이다."
  124. 운허, "むさぼ(무탐)". 2012년 9월 3일에 확인.
  125. 星雲せいうん, "むさぼ". 2012년 9월 3일에 확인.
  126.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4b13 - T31n1605_p0664b15. 근(つとむ)심소
    "何等なんらためつとむいいこころいさむ悍為たいあるかぶとあるゆきある無下むげある退すさあるあし差別さべつなり滿まんぜんひんためぎょう。"
  127.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1권. p. T31n1606_p0697c04 - T31n1606_p0697c08. 근(つとむ)심소
    "つとむしゃかぶと方便ほうべん無下むげ退すさあしこころいさむためたいなり滿まんぜんひんためぎょういい如經せつゆうぜいゆうつとむゆういさみけんもう捨善くびき。如其次第しだいおうはいしゃくかぶとこころいさむひとししょ滿まんぜんひんしゃいいのう圓滿えんまんずいはつしょにゅう根本こんぽんしずかおもんばかなりぜんひんしゃいいそく於此ごくぜん修治しゅうじ。"
  128.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 T.1585, 제6권. p. T31n1585_p0030a23 - T31n1585_p0030b01. 근(つとむ)심소
    "つとむいい精進しょうじん。於善あくひんおさむだんごとちゅういさむ悍為せいたい懈怠けたい滿まんぜんためぎょういさみひょうかつすすむ簡諸しみほう。悍表しらげじゅん簡淨そくあらわ精進しょうじんただぜんせい。此相差別さべつりゃくゆうしゅ所謂いわゆるきのえゆき無下むげ退すさあしそくけい所說しょせつゆうぜいゆうつとむゆういさみけんもう捨善くびき。如次おう。此五べつしゃいいはつ發心ほっしん自分じぶんかつすすむ自分じぶんぎょうちゅうさん品別しなわけ。"
  129.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 K.614, T.1585, 제6권. pp. 291-292 / 583. 근(つとむ)심소
    "‘근(つとむ)심소’49)는 정진(精進しょうじん)을 말한다. 선품을 닦고 악품을 끊는 일에 대해서 용맹스럽고 굳세게 함을 체성으로 삼는다. 게으름[懈怠けたい]을 다스려서 착한 일을 원만하게 이루는 것을 업으로 삼는다. 용맹스럽다는 것은 정진하는 것을 나타내어 모든 잡염법을 가려낸다. 굳세다는 것은 지극히 순수한 것을 나타내어 청정 무구성을 가려낸다. 곧 정진은 오직 착한 성품에만 포함됨을 나타낸다. 이것의 양상의 차이는 대략 다섯 종류가 있으니 곧 맹렬함을 일으키는 것[かぶと]50)·가행51)·낮추지 않음[無下むげ]52)·물러나지 않음[退すさ]53)·만족하지 않음[あし]54)이다. 경전에서 말씀한, 세력이 있음[ゆうぜい· 정진함[ゆうつとむ· 용감함[ゆういさみ]·견고하고 용맹함[けんたけし· 선의 멍에55)를 버리지 않음[捨善くびき]이니, 순차적으로 마땅히 알아야 한다. 이 다섯의 차이를 말하면 초발심 · 자분(自分じぶん· 승진(かつすすむ· 자분행(自分じぶんぎょう) 중의 세 가지 품류로서 다르기 때문이다.56)
    49) 근(つとむ, vīrya)심소는 ‘정진’의 심리작용으로서, 용맹스럽게 선행을 닦고 악행을 끊게 한다. 해태(懈怠けたい)심소를 다스린다.
    50) 피갑(かぶと)은 맹렬하고 날카롭게 즐거운 욕구를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경전에는 세력이 있는 것[ゆうぜい]이라고 이름한다. 갑옷[かぶと]을 입고[] 군대가 진(じん)을 친 곳에 들어갈 때 두려워하지 않고 큰 위세가 있는 것과 같음을 일컫는다.
    51) 가행(ゆき)은 견고하고 용감한 방편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경전에는 정진하는 것[ゆうつとむ]으로 이름한다. 마음을 견고하게 해서 스스로 책려(さく勵)하는 것을 일컫는다.
    52) 낮추지 않음[無下むげ]은 증득해야 할 것에 대해서 스스로를 경멸하지 않고, 역시 법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경전에는 용감한 것[ゆういさみ]으로 이름한다.
    53) 물러나지 않음[退すさ]이란 추위나 배고픔 등의 고통을 능히 인내로써 받아들이고, 열등한 선(ぜん)에 대해서 혐오(嫌惡けんお)나 만족함을 일으키지 않으며, 다음 단계의 뛰어난 공덕 등을 기쁘게 구하는 것을 말한다. 경전에는 견고하고 용맹한 것[けんたけし]으로 이름한다.
    54) 만족하지 않음[あし]은 이후에 점차 4성제를 관찰함[諦觀ていかん] 등 뛰어난 도(みち)에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경전에는 선(ぜん)의 멍에를 버리지 않는 것[捨善くびき]으로 이름한다.
    55) 소[うし]에게 멍에를 씌움으로써 소로 하여금 도망가지 않고 능히 나아가게 한다. 선법(ぜんほう)도 역시 그러해서 수행자에게 멍에를 지워 선품(ぜんひん)에서 벗어나지 않고 열반에 나아가게 하므로 이렇게 표현한다.
    56) 다섯 가지 중에서 맹렬함을 일으키는 것[かぶと · ゆうぜい]은 발심이고, 나머지 넷은 수행인데, 이 수행은 다시 자분(自分じぶん)과 승진(かつすすむ)으로 나뉜다. 자분은 가행(ゆき. ゆうつとむ:下品げひん), 낮추지 않음[無下むげ. ゆういさむ:ちゅうひん], 물러나지 않음[退すさ. けんたけし:上品じょうひん]의 3품이고, 만족하지 않음[あし. 捨善]은 승진에 해당된다."
  130.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 T.1613, p. T31n1613_p0852b04 - T31n1613_p0852b06. 5정진(精進しょうじん)
    "うんなん精進しょうじんいい懈怠けたいたいぜんひん現前げんぜんつとむいさむためせいいいわかかぶとわかゆきわかおびえじゃくわか不退轉ふたいてんわかあし如此圓滿えんまん成就じょうじゅぜんほうためぎょう。"
  131.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 K.619, T.1613, p. 8 / 24. 5정진(精進しょうじん)
    "무엇을 정진(精進しょうじん)이라고 하는가?
    게으름[懈怠けたい]을 다스리고 선한 종류가 드러나 더욱 정근함을 성질로 한다. 불 · 보살의 가호를 받고, 더욱 행동에 채찍질을 하고 겁내지 않고 물러서지 않고 만족하지 않는다면, 이는 정진의 뜻을 원만하게 성취한 것이다. 선법(ぜんほう)으로 행동양식을 삼는다."
  132.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85 / 1397쪽.
  133.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1권. p. T26n1542_p0693a15 - T26n1542_p0693a17. 작의(作意さくい)
    "受觸。じゅんらく受觸。作意さくいうんなにいいこころ警覺せい。此有さんしゅいいがく作意さくい無學むがく作意さくいがく無學むがく作意さくい。"
  134.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1권. p. 5 / 448. 작의(作意さくい)
    "작의(作意さくい)란 무엇인가? 마음을 일깨우는 성품[警覺せい]이다. 여기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배울 것이 있는 이의 작의[がく作意さくい]·배울 것이 없는 이의 작의[無學むがく作意さくい]·배울 것이 있는 이도 아니고 배울 것이 없는 이도 아닌 이의 작의[がく無學むがく作意さく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