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사 (선심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사 (선심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捨, 내려놓음, 버림, 고요, 평정, 평정심, 평온, 균형, 평형, 산스크리트어: upeksā, 팔리어: upekkhā 또는 upekhā, 영어: serenity, equilibrium, equanimity, stability, composure)는 설일체유부5위 75법에서 심소법(しんしょほう: 46가지) 중 대선지법(だい善地ぜんちほう: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법상종5위 100법에서 심소법(しんしょほう: 51가지) 중 선심소(善心ぜんしんしょ: 11가지) 가운데 하나인 행사(くだり捨)이다. 사수(捨受: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감각)와 구별하기 위하여 행사(くだり捨)라 한다. 설일체유부에 따르면, 사(捨)는 혼침(惛沈: 무기력, 침체)과 도거(掉擧: 흐트러짐, 들뜸, 딴데로 달아남)를 떠난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의 평등성(平等びょうどうせい: 평정)과 무경각성(警覺せい: 동요됨이 없는 것)을 말한다.[1][2][3]

현양성교론》에 따르면, (捨)의 본질적 성질[からだ]은 무탐 · 무진 · 무치 · 정진의 4가지 선심소이고, 본질적 작용[ぎょう]은 이들 4가지 선심소의지하여 '모두 버림[捨]'으로써 즉 '모두 내려놓음[捨]'으로써 즉 해당 염오법과 관련된 ' · 불선을 모두 내려놓음[捨]'으로써 즉 해당 염오법에 대한 '모든 공용(こうよう)을 내려놓음[捨]'으로써 심평등(こころ平等びょうどう: 마음의 평정) · 심정직(こころ正直しょうじき: 마음의 정직) · 심무발동(こころ發動はつどう: 마음의 동요 없음)을 하게 하여 발동(發動はつどう: 마음의 동요)이라는 장애를 끊게 하는 것이고,  ·  ·  · 무탐 · 무진 · 무치 · 정진 · 경안 · 불방일본질적 작용들 중 보리(菩提ぼだい)의 증득을 위한 자량(かて: 자재와 식량, 즉 선근과 공덕)이 원만해지게 하고, 자신과 남을 이롭게 하고[利益りえき自他じた], 선도(善道ぜんどう)에 나아가게 하고, 청정믿음[きよししん]을 증장시키는 것을 또한 하게 하고, 나아가 (捨)를 증장시키는 것이다.[4][5]

또한, 《현양성교론》에 따르면, 불방일(放逸ほういつ)과 (捨)의 차이점은 불방일(放逸ほういつ)에 의지하여 염오법(しみけがれほう)을 제견(じょ: 덜고 보냄, 가게 하여 보냄, 떠나보냄[6])하고 즉 떨쳐버리고, 다시 (捨)에 의지하여 그 떨쳐버린 염오법에 대해 불염오주(しみ污住: 오염되지 않으면서 머뭄)하는 것이다.[4][5] 즉, 불방일의지하여 떨쳐버린 염오법에 대해 더 이상 그 염오법에 의해 오염되지 않으면서 그 염오법에 머물 수 있게 된다. 즉 그 염오법에 대해 오염됨이 없이 작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균형마음의 평정을 잃어버림이 없이 다른 이들의 번뇌를 맞이하여 그 사람이 번뇌떨쳐버리고[じょ, 떠나보내고] 내려놓는 것[捨]을 도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능력에는 심평등(こころ平等びょうどう: 마음의 평정) · 심정직(こころ正直しょうじき: 마음의 정직) · 심무발동(こころ發動はつどう: 마음의 동요 없음)의 3단계의 차별이 있다. 즉, 심무발동의 단계 이전에는 불염오주(しみ污住)가 부분적으로 가능하다가 심무발동의 단계에서는 불염오주(しみ污住)가 완전히 가능하게 된다.

각주

[편집]
  1.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66 / 1397쪽.
  2. 운허, "捨(사)". 2012년 9월 3일에 확인.
  3. 星雲せいうん, "". 2012년 9월 3일에 확인.
  4.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2, 제1권. p. T31n1602_p0481c19 - T31n1602_p0481c23. 사(捨)
    "捨者。いいそうむさぼ瞋無精進しょうじんためたい此捨得心とくしん平等びょうどう得心とくしん正直しょうじきこころ發動はつどうだん發動はつどうさわためぎょう。如前乃至ないし增長ぞうちょう捨為ぎょうゆかり放逸ほういつじょしみほうゆかりかれ捨故於已じょしみ污住。如經せつためじょむさぼこころとめ捨。"
  5. 무착 지음, 현장 한역 & K.571, T.1602, 제1권. p. 19 / 293. 사(捨)
    "사(捨)101) 심소는 무탐 · 무진 · 무치 · 정진을 모두 포섭함을 체성으로 삼는다. 이것에 의지해서 놓아버리기 때문에 마음의 평정을 얻고, 마음의 정직을 얻으며, 마음이 동요하지 않고, 동요의 장애를 끊음을 업으로 삼으며, 앞에서와 같이 나아가서 사(捨)를 증장함을 업으로 삼는다. 불방일로 말미암아 염오법(しみけがれほう)을 없애고, 그 사(捨)로 인하여 이미 없애버린 불염오법에 머문다. 경전에서 “탐욕과 근심의 마음을 없애기 위해서 사(捨)에 의지한다”고 말한 바와 같다.
    101) 사(捨, upekṣā) 심소는 ‘평정’ 즉 혼침이나 들뜸[掉擧]이 아닌 마음의 평정상태를 이루게 하는 심리작용이다. 행사(くだり捨)라고도 부른다."
  6. "じょ", 《네이버 한자사전》. 2013년 2월 22일에 확인.
    "じょ(제견):
    じょ 덜 제,음력 사월 여
    1. 덜다, 없애다 2. 감면하다(減免げんめん--), 면제하다(免除めんじょ--) 3. 버리다 4. 제외하다(除外じょがい--) 5. 숙청하다(肅淸しゅくせい--) 6. 나누다 7. (벼슬을)주다, 임명하다(任命にんめい--) 8. 다스리다 9. 가다, 지나가다 10. 손질하다,...
    보낼 견
    1. 보내다, 떠나 보내다 2. 파견하다(派遣はけん--) 3. (감정 따위를)풀다, 놓아주다 4. 떨쳐버리다 5. (벼슬에서)내쫓다 6. (시집을)보내다 7. (아내를)버리다 8. 하여금 9. 부장품(副葬品ふくそうひん) 10. 견전제(奠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