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색경 (불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색경 (불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불교에서 (いろ, 산스크리트어: रुपा rūpa, "변화 소멸하는 것")은 넓은 뜻으로는 물질 일반을 가리키지만, 좁은 뜻으로는 대상이 되는 물질의 속성, 즉 빨강이니 파랑이니 하는 색깔과 장단방원(長短ちょうたん方圓ほうえん) 등의 모양크기를 가리킨다.[1] 후자의 좁은 뜻은 마음작용의 물질적 대상인 색(いろ· (こえ· (こう· (あじ· (さわ)의 5경(さかい) 중 첫 번째인 색경(いろさかい)을 말하는데, 즉 이라는 기관 즉 안근()을 통해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이 인식[識, りょうべつ]하고 느끼고[受] 표상[そう]하며 나아가 욕구의지[くだり]를 내는 대상을 통칭하여 색경(いろさかい)이라 한다.[2][3]

즉, 색경이란 사물의 색깔과 모양을 말한다.

개념

[편집]

색경(いろさかい)에서 (さかい, 산스크리트어: artha, 산스크리트어: visaya)은 경계(境界きょうかい)를 의미한다. 경계라는 낱말에는 5근의 세력이 미치는 범위와 5근의 지각작용의 대상이라는 두 가지 뜻이 있다. 이런 뜻에서는, 색경(いろさかい)은 안근()의 세력이 미치는 범위이며, 또한 안근()의 지각작용대상을 말한다.[4][5][6]

달리 말하면, 색경(いろさかい)은 이근(みみ, )이 지각하는 소리, 비근(はな, )이 지각하는 냄새, 설근(舌根ぜっこん, )이 지각하는 , 신근(身根しんこん, )이 지각하는 감촉을 제외한 물질적 성질을 통칭하는 말이다. 그리고 이 때의 물질적 성질이란, 즉 소리 ·  · 냄새 · 감촉을 제외했을 때 남는 물질적 성질이란 곧 색깔형태(모양크기)라고 보며, 이것이 안근(눈)의 지각대상, 즉 색경(いろさかい)이라고 본다.

또한, 색깔형태(모양크기)라는 물질적 성질뿐만 아니라 냄새 · 감촉 등의 다른 물질적 성질도 함께 가진 물체[주해 1] 도 모두 안근(눈)의 지각대상, 즉 색경(いろさかい)이라고 가설적으로(즉, 언어적 표현상으로) 말할 수 있다고 보는데, 이 경우 해당 물체의 색깔형태(모양크기)[주해 1]만이 안근(눈)의 지각대상, 즉 색경(いろさかい)이다. 이것은, 쉽게 말하면, 은 사물의 색깔과 모양과 크기를 보는 것이지, 소리 · 맛 · 냄새 · 감촉을 느끼는 감각 기관이 아니라는 당연한 말을 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요리 전문가가 요리의 색깔형태를 보고 이 어떠하리라는 것을 예측하는 경우, 색깔형태(모양과 크기)를 보고 인식하는 것은 오로지 안식이며 예측하는 것은 음식에 대해 축적(기억)된 시각(색깔과 형태)과 미각(맛)의 경험에 근거하여 현재의 대상(요리)을 분석 · 종합하는 제6식(설일체유부의 경우) 또는 후3식(유식유가행파의 경우)이 관계한 것이다.

설일체유부의 정통적인 견해에 따르면 사물의 색깔에 해당하는 현색(あらわしょく)과 형태(모양크기)에 해당하는 형색(かたちしょく)이 색경에 해당한다. 한편, 설일체유부의 일부 논사의 비정통적인 견해로서, 현색(색깔)과 형색(모양크기)뿐 아니라 거리도 색경에 해당한다는 주장이 있었다. 경량부에서는 설일체유부와는 달리 현색(색깔)만이 실재할 뿐, 형색(모양크기)은 현색(색깔)에 의해 일시 설정된 언어적 가설일 뿐이라고 주장하였다.[7]

여러 일체법 분류 체계에서의 소속을 살펴보면, 색경(いろさかい)은 12처(じゅうしょ)의 체계에서 색처(いろしょ) 또는 색진(いろちり)에 해당하고, 18계(じゅうはちかい)의 체계에서 색계(いろかい)에 해당한다. 반면, 5온(五蘊ごうん)의 체계에서는 색온(いろ蘊)의 일부이며, 설일체유부5위 75법의 체계와 유식유가행파법상종5위 100법의 체계에서는 색법(いろほう)의 일부인데, 이것은 색온색법이 모두 물질 일반을 가리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분류

[편집]

설일체유부에 따르면, 으로 볼 수 있는 대상인 색경(いろさかい)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색깔에 해당하는 현색(あらわしょく)이고 다른 하나는 모양크기에 해당하는 형색(かたちしょく)이다. 현색은 안근()으로만 지각할 수 있으며, 형색은 으로 보고 신근(身根しんこん)으로 감촉하여 지각된다.[8][9][10][11]

아래의 12가지 현색과 8가지 형색, 총 20가지는 설일체유부유식유가행파를 비롯한 부파불교대승불교 전반에서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부파 또는 종파에 따라 이들 외에 몇 가지를 더 추가하기도 한다.[10][11]

현색 = 색깔

[편집]

현색(あらわしょく, 산스크리트어: varna-rūpa)은 드러나게 볼 수 있는 색채를 말한다. 《구사론》 등에 따르면, 다음의 12가지가 있다.[2][8][10][12]

  1. (あお): 산스크리트어: nīla, 파란색
  2. (): 산스크리트어: pīta, 노란색
  3. (あか): 산스크리트어: lohita, 빨간색
  4. (しろ): 산스크리트어: avadāta, 흰색
  5. (くも): 산스크리트어: abhra, 구름
  6. (けむり): 산스크리트어: dhūma, 연기
  7. (ちり): 산스크리트어: rajas, 먼지, 티끌
  8. (きり): 산스크리트어: mahikā, 안개
  9. (かげ): 산스크리트어: chāyā, 그림자, 그림자 속에서 색깔이 불투명하게 보이는 것
  10. (ひかり): 산스크리트어: ātapa, , 햇빛
  11. (あきら): 산스크리트어: āloka, 밝음, 햇빛 이외의 빛
  12. (やみ): 산스크리트어: andhakāra, 어둠, 깜깜해서 다른 색깔이 보이지 않는 것

이들 중 청(あお) · 황() · 적(あか) · 백(しろ)의 4종을 본색(ほんしょく)이라고 하며, 나머지 8가지는 4본색(よんほんしょく) 또는 4현색(よんあらわしょく)의 차별이다. 즉, 뒤의 8가지는 4본색을 차별화하는 방법을 들어서 그 결과로서 나타나는 색깔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그림자[かげ]는 그림자의 색인 검은색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림자 속에서 색깔이 불투명하게 보이는 것을 말한다.[2] 즉 불투명도(opacity)에 따른 청황적백의 차별을 말한다. 어둠[やみ]은 깜깜해서 다른 색깔이 보이지 않는 것, 즉 청황적의 3색이 혼합되어 만들어진 검은색을 말한다. 이런 의미이기 때문에, 현색안근으로 인식 가능한 모든 색깔을 의미한다.

형색 = 모양

[편집]

형색(かたちしょく, 산스크리트어: samsthāna-rūpa)은 (안근)으로 보고 (신근)으로 감촉하여 인식하는 모양크기를 말한다. 《구사론》 등에 따르면, 다음의 8가지가 있다.[2][9][11][12]

  1. (ちょう): 산스크리트어: dīrgha, 김
  2. (たん): 산스크리트어: hrasva, 짦음
  3. (かた): 산스크리트어: aturaśra, 네모짐
  4. (えん): 산스크리트어: vrtta, 둥금
  5. (こう): 산스크리트어: unnata, 튀어나옴
  6. (した): 산스크리트어: avanata, 들어감
  7. (ただし): 산스크리트어: śāta, 평평함, 고름
  8. 부정(不正ふせい): 산스크리트어: viśāta, 평평하지 않음, 고르지 않음

현색·형색 분별

[편집]

안근의 인식작용의 대상으로서의 구체적인 사물들을 현색(색깔)과 형색(모양과 크기)에 따라 분별해 보면, 현색(색깔)만 가진 것도 있고, 형색(모양과 크기)만 가진 것도 있고, 둘 다를 가진 것도 있다. 예를 들어, 청황적백 등의 여러 색깔은 현색(색깔)만 가진 것이고, 몸을 구부렸을 때의 구부린 모양은 형색(모양과 크기)만 가진 것이다. 대부분의 사물은 현색(색깔)과 형색(모양과 크기)을 다 가진다.[13]

의의

[편집]

위와 같이 색경을 현색(색깔)과 형색(모양과 크기)으로 분류한 것은 설일체유부의 정통적 견해였는데, 이것은, 달리 말하면, 설일체유부에서는 안근()의 인식작용으로 성립되는 안식(眼識がんしき), 즉 시각(視覺しかく) 또는 시의식(意識いしき)의 본질은 사물의 색깔모양크기(ちょうたん)[주해 1]를 인식하는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정통적 견해와는 달리, 설일체유부의 어떤 논사들은 공(そら, 공간)도 하나의 현색(あらわしょく)이라고 주장하였다.[2] 이것은, 달리 말하면, 안근()의 인식작용으로 성립되는 안식(眼識がんしき), 즉 시각(視覺しかく) 또는 시의식(意識いしき)의 본질에는 대상의 색깔모양크기(ちょうたん)를 인식하는 것뿐만 아니라 대상까지의 거리를 인식하는 것도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이 주장은 거리의 인식이 의 작용, 즉 시각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현대 심리학의 연구 결과[14]와 비추어 볼 때 흥미로운 주장이다. (참고: 시각#시각과 심리학)

한편, 경량부에서는 하나의 실체[一事いちじ, eka dravya], 즉 1개의 극미(極微きょくび)에 현색(あらわしょく)과 형색(かたちしょく)이 함께 존재할 수는 없다는 점을 들어, 현색(색깔)만을 가진 극미가 실재할 뿐 형색(모양크기)은 이러한 극미를 바탕으로 일시 설정된 언어적 가설일 뿐이라는 형색가립론(かたちしょく假立かりだちろん)을 주장하였다. 이에 대해, 설일체유부에서는 하나의 실체[一事いちじ, eka dravya], 즉 1개의 극미(極微きょくび) 가운데 현색과 형색이 동시에 존재한다고 한 것은 존재론적 의미가 아닌 인식론적 의미에서 그렇게 말한 것으로, 인식론적인 의미에서 현색(색깔)과 형색(모양크기)은 동시에 알려진다고 주장하였다. 설일체유부의 이러한 답에 대해, 《구사론》의 저자인 세친은, 그렇다고 한다면, 몸을 구부렸을 때의 경우 구부린 모양이라는 형색(모양과 크기)에 대한 앎뿐만 아니라 현색(색깔)에 대한 앎도 있어야 하지 않는가 하고 의문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의문을 제기한 것은 세친경량부의 형색가립론(かたちしょく假立かりだちろん)을 더 타당한 견해로 여겼다는 것을 암시한다.[13]

참고 문헌

[편집]

주해

[편집]
  1. 불교에서는 성질 외에 성질을 가진 자를 따로 세우지 않는다. 즉 "성질 = 성질을 가진 자"라고 본다. 따라서 "색깔과 형태(모양과 크기)라는 물질적 성질뿐만 아니라 냄새 · 감촉 등의 다른 물질적 성질도 함께 가진 물체"라는 말은 "색깔 + 형태(모양과 크기) + 냄새 + 감촉"이 곧 해당 물체이지, 해당 물체가 있어서 "색깔 + 형태(모양과 크기) + 냄새 + 감촉"을 소유한다는 말이 아니다. 다만 언어적인 표현의 편리 때문에 물질적 성질을 가진 물체라고 표현하는 것일 뿐이다.

    마찬가지로, "사물 색깔과 모양과 크기와 냄새와 감촉"이라고 말할 때, 사물이 있어서 색깔과 모양과 크기와 냄새와 감촉을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색깔과 모양과 크기와 냄새의 집합이 곧 해당 사물이라고 본다. 따라서, "사물 색깔"이라고 말할 때의 에 대해서는 소유 관계로 해석하지 않기 위해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인간의 경우도, 오온설(五蘊ごうんせつ)에 따르면, 인간이란 "육체 + 지각작용 + 표상작용 + 의지작용 +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의식)"의 존재이며, 각 사람마다 서로 다른 이유는 육체가 다르고 지각이 다르고 표상이 다르고 의지가 다르고 마음이 다르기 때문이지, "육체 + 지각작용 + 표상작용 + 의지작용 +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의식)"을 소유하는 어떤 별도의 실체가 있어서 그 실체가 서로 다르기 때문인 것이 아니라고 본다. 그리고 육체가 다르고 지각이 다르고 표상이 다르고 의지가 다르고 마음이 다른 것은 "육체 + 지각작용 + 표상작용 + 의지작용 +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의식)"이 스스로 지은 행위(원인)에 따른 결과라고 본다. 따라서 "육체 + 지각작용 + 표상작용 + 의지작용 +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의식)"이 스스로를 변화시키면 그에 따른 성장 또는 발전이 반드시 나타나게 된다고 본다.

각주

[편집]
  1. 세계사상 > 사 상 용 어 > 동양사상 관계 > 불교 관계 > 색,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5 / 1397쪽.
  3. 운허, "いろさかい(색경)". 2012년 8월 31일에 확인.
  4. 권오민 2003, 61–67쪽.
  5. 운허, "さかい(오경)". 2012년 9월 17일에 확인.
  6. 운허, "境界きょうかい(경계)". 2012년 9월 17일에 확인.
  7.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5-16 / 1397쪽.
  8. 운허, "あらわしょく(현색)". 2012년 8월 31일에 확인
    "あらわしょく(현색): 【범】 varna-rūpa ↔형색(かたちしょく). 드러나게 볼 수 있는 색채. 이에 청ㆍ황ㆍ적ㆍ백ㆍ구름ㆍ연기ㆍ티끌ㆍ안개ㆍ그림자ㆍ햇빛ㆍ밝음(햇빛 이외의 빛)ㆍ어두움의 12종이 있다. 이 가운데서 청ㆍ황ㆍ적ㆍ백의 4종을 본색, 다른 8종은 이 4색(いろ)의 차별."
  9. 운허, "かたちしょく(형색)". 2012년 8월 31일에 확인
    "がたしょく(형색): [1] 【범】 saṃsthānarūpa ↔현색(あらわしょく). 눈으로 보고 몸으로 느껴서 인식하는 물질. 이에 장(ちょう)ㆍ단(たん)ㆍ방(かた)ㆍ원(えん)ㆍ고(こう)ㆍ하(した)ㆍ정(ただし)ㆍ부정(不正ふせい)의 8종이 있다. [2] 【범】 rūpāvacara 형체색상(形體けいたい色相しきそう)이란 뜻. 곧 사람의 안색과 용모."
  10. 星雲せいうん, "あらわしょく". 2012년 12월 24일에 확인
    "あらわしょく: 梵語ぼんご varna-rūpa。ゆび顯然けんぜんこれしょくためかたちしょく對稱たいしょう。於一切いっさいしょくほうちゅう,其相じょう顯著けんちょ使つかい而識べつしゃゆうじゅうしゅそく:(いち)あお(梵 nīla)。()(梵 pīta)。(さん)あか(梵 lohita)。(よん)しろ(梵 avadāta)。()くも(梵 abhra),ゆびりゅう。(ろく)けむり(梵 dhūma),ゆび火氣かき。(なな)ちり(梵 rajas),ゆび被風ひふ吹起ほそ。(はち)きり(梵 mahikā),ゆび地面じめん水蒸氣すいじょうき。(きゅう)かげ(梵 chāyā),光明こうみょうさわ而不とく明見みょうけん物體ぶったいある其餘諸色しょしき。(じゅう)ひかり(梵 ātapa),ゆび焰。(じゅういち)あきら(梵 āloka),ゆびがつほし寶珠ほうしゅでんとうひかり焰。(じゅう)やみ(梵 andhakāra),全然ぜんぜん無法むほう見物けんぶつ。  其中,あおあかしろとうよんしゅ為本ためもとしょくしょうためよんあらわしょくゆう以白しょくさいため殊勝しゅしょう;其餘八色均由本色之差別所立,みな於此よんほんしょくちゅう
     以上いじょうじゅう二種顯色為小乘說一切有部所立,而唯識宗瑜伽ゆがろんまき一則かずのりぞうりつそらいちあらわしょくいちこうそうためじゅうさんしゅあらわしょく大乘だいじょうおもね達磨だるまざつしゅうろんまきいち增加ぞうか「迥色」,きょうためじゅうよんしゅあらわしょく。俱舍むねそく上記じょうきじゅうしゅがい,另立ちょうたんかたえんこうしたただし不正ふせいそらいちあらわしょくとうきゅうこう,而成じゅういちしゅあらわしょくまたざいあおあかしろがいべつくろいろのりため密宗みっしゅうとくろんまたせつ一切有部認為此十二顯色有各別之「極微きょくび」,かくゆう其別たいけい及唯識宗そく主張しゅちょう僅有よんほんしょくためしょく,其餘ひとしためかりしょく。〔識身あしろん卷一けんいち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ななじゅうはちまきはちじゅう、俱舍ろん卷一けんいち、俱舍ろんひかりまきいち〕"
  11. 星雲せいうん, "かたちしょく". 2012년 12월 24일에 확인
    "がたしょく: (いち)梵語ぼんご sajsthāna-rūpa。有形ゆうけいいろ。「あらわしょく對稱たいしょうゆびしょくほうちゅうしつ礙粗ちょいんさわ而覺其長短大たんだいしょう凹凸おうとつとうしゃけいゆうはちしゅ:(いち)ちょう(梵 dīrgha),いちめん多生たしょう。()たん(梵 hrasva),いちめんしょうせい。(さん)かた(梵 caturaśra),四面しめんひとしひとし。(よん)えん(梵 vrtta),しゅうあまね一切いっさいしょ而生。()だか(梵 unnata),中間なかまとつ。(ろく)(梵 avanata),中間ちゅうかんこじれ凹。(なな)ただし(梵 śāta),表面ひょうめんひとしたいら。(はち)不正ふせい(梵 viśāta),表面ひょうめん參差しんしせつ一切有部以此等諸色極微各別,かくゆうべつからだ唯識ゆいしき大乘だいじょうそく以為しょく。〔俱舍ろん卷一けんいち瑜伽ゆがろん卷一けんいち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十三じゅうざまきななじゅう、俱舍ろんひかり卷一けんいちなり唯識ゆいしき論述ろんじゅつまきほん
      ()形體けいたいあずか色相しきそうそくゆび人畜じんちくとう顏色かおいろ形貌なりかたち。〔法華ほっけ經卷きょうかんしんかいひん無量むりょうことぶき經卷きょうかんじょう分別ふんべつ善惡ぜんあくほうおう經卷きょうかん"
  12. 최봉수 1999, 273쪽.
  13.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6 / 1397쪽.
  14. 《개정판 심리학의 이해》, 김정희 외 공저, 학지사, 서울, 2000, pp. 67-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