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성실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성실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성실론(なりろん · Satyasiddhiśāstra)》16권(K-966, T-1646)은 4세기 경에 인도의 승려 하리발마(訶梨ばつ · Harivarman)가 소승 아비달마의 교의에 만족하지 못하고, 부파 불교의 일파인 경량부(けいりょう)의 입장에서 저술한 체계적 불교 교의 강요서(綱要こうようしょ)이다.[1]

"성실론"이라는 낱말 자체의 의미는 "삼장(三藏さんぞう)에 들어 있는 실의(じつよし: 진실한 도리)를 밝힌다"는 뜻이다.[2]

후진(しん)시대에 구마라습(ばと什 · Kumārajīva)이 411년 10월에서 412년 11월 사이에 한역(かんやく)하였다.[1][3] 산스크리트어 원전은 전해지지 않고 한역본(かん譯本やくほん)만 전해진다.[4] 이후 구마라습 문하의 영재들이 연구하면서 중국 불교성실종의 기본 논서가 되었다.[1] 구마라습의 번역 후 200년 동안 불교 교리의 기초학으로서 《성실론》에 대한 연구 · 강술 · 주석이 매우 활발하여 중국 불교의 교리 발전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1]

구성

[편집]

내용별 구성

[편집]

《성실론》은 16권 202품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내용별로는 다음의 5취(聚)로 나뉘어 있다.[5] 이 중에서 첫 번째 발취(はつ聚)는  ·  · 삼보(三寶さんぽう)에 대해 논하고 있으며, 나머지 4취는 고 · 집 · 멸 · 도의 사성제(四聖しせいたい· 팔정도(はち正道せいどう)에 대해 논하고 있다.

  1. 발취(はつ聚): 제1품 ~ 제35품
  2. 고제취(たい聚): 제36품 ~ 제94품
  3. 집제취(しゅうたい聚): 제95품 ~ 제140품
  4. 멸제취(めつたい聚): 제141품 ~ 제154품
  5. 도제취(みちたい聚): 제155품 ~ 제202품

발취

[편집]

발취(はつ聚: 제1품 ~ 제35품)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ふつ· (ほう· (そう)의 삼보(三寶さんぽう)에 대해 논하고 있다.

  1. 불보론(ふつたからろん): 제1품 ~ 제5품
  2. 법보론(ほうたからろん): 제6품 ~ 제8품
  3. 승보론(そうたからろん): 제9품 ~ 제18품
  4. 십론(じゅうろん): 제19품 ~ 제35품

고제취

[편집]

고제취(たい聚: 제36품 ~ 제94품)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색(いろ· 수(受) · 상(そう· 행(くだり· 식(識)의 오온(五蘊ごうん)에 대해 논하고 있다.

  1. 색론(いろろん): 제36품 ~ 제59품
  2. 식론(識論): 제60품 ~ 제76품
  3. 상론(そうろん): 제77품
  4. 수론(受論): 제78품 ~ 제83품
  5. 행음론(くだりかげろん): 제84품 ~ 제94품

집제취

[편집]

집제취(しゅうたい聚: 제95품 ~ 제140품)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 괴로움)의 원인인 (ぎょう)과 번뇌(煩惱ぼんのう)에 대해 논하고 있다.

  1. 업론(ごうろん): 제95품 ~ 제120품
  2. 번뇌론(煩惱ぼんのうろん): 제121품 ~ 제141품

멸제취

[편집]

멸제취(めつたい聚: 제141품 ~ 제154품)에서는 (: 괴로움)가 제거된 상태인 열반(涅槃ねはん), 즉 깨달음에 대해 논하고 있다.

도제취

[편집]

도제취(みちたい聚: 제155품 ~ 제202품)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열반(涅槃ねはん), 즉 깨달음을 성취하는 수단 또는 길(みち)인 선정(じょう)과 지혜(さとし)에 대해 논하고 있다.

  1. 정론(定論ていろん): 제115품 ~ 제188품
  2. 지론(さとしろん): 제189품 ~ 제202품

권별 구성

[편집]

《성실론》은 16권 202품으로 구성되어 있다.[5]

  1. 제1권
    1. 발취 중 불보론 초 구족품(はつ聚中ふつたからろんはつ具足ぐそくひん)
    2. 십역품(じゅうちからひん)
    3. 사무외품(よんかしこひん)
    4. 십호품(じゅうごうひん)
    5. 삼불호품(さんまもるひん)
    6. 법보론 초 삼선품(ほうたからろんはつ三善さんぜんひん)
    7. 중법품(眾法ひん)
    8. 십이부경품(じゅうけいひん)
    9. 승보론 초 청정품(そうたからろんはつ清淨せいじょうひん)
    10. 분별현성품(分別ふんべつけんひじりひん)
    11. 복전품(福田ふくだひん)
    12. 길상품(吉祥きっしょうひん)
  2. 제2권
    1. 입론품(立論りつろんひん)
    2. 논문품(ろんもんひん)
    3. 찬론품(たたえろんひん)
    4. 사법품(よんほうひん)
    5. 사제품(四諦したいひん)
    6. 법취품(ほう聚品)
    7. 십론 초 유상품(十論初有相品)
    8. 무상품(そうひん)
    9. 이세유품(せいゆうひん)
    10. 이세무품(せい無品むほん)
    11. 일체유무품(一切いっさい有無うむひん)
  3. 제3권
    1. 유중음품(ゆう中陰ちゅういんひん)
    2. 무중음품(中陰ちゅういんひん)
    3. 차제품(次第しだいひん)
    4. 일시품(いちひん)
    5. 퇴품(退すさしな)
    6. 불퇴품(退すさしな)
    7. 심성품(心性しんせいひん)
    8. 상응불상응품(相應そうおう不相應ふそうおうひん)
    9. 과거업품(過去かこぎょうひん)
    10. 변삼보품(べん三寶さんぼうひん)
    11. 무아품(無我むがひん)
    12. 유아무아품(有我ありが無我むがひん)
    13. 고제취 색론 중 색상품(たい聚色ろんちゅう色相しきそうひん)
    14. 색명품(いろ名品めいひん)
    15. 사대가명품(四大しだい假名がなひん)
    16. 사대실유품(四大しだいじつゆうひん)
    17. 비피증품(かれしょうひん)
    18. 명본종품(あきらほんむねひん)
    19. 무견상품(けんしょうひん)
    20. 유견상품(ゆうけんしょうひん)
    21. 사대상품(四大しだいしょうひん)
  4. 제4권
    1. 근가명품(假名がなひん)
    2. 분별근품(分別ふんべつひん)
    3. 근등대품(とうだいひん)
    4. 근무지품(無知むちひん)
    5. 근진합이품(ちりあいはなれひん)
    6. 문성품(聞聲ひん)
    7. 문향품(聞香ぶんこうひん)
    8. 각촉품(さとしさわしな)
    9. 의품(ひん)
  5. 제5권
    1. 근불정품(不定ふていひん)
    2. 색입상품(いろ入相いりあいひん)
    3. 성상품(こえしょうひん)
    4. 향상품(こうしょうひん)
    5. 미상품(あじしょうひん)
    6. 촉상품(さわあいしな)
    7. 고제취 식론 중 입무수품(たい聚識ろん中立ちゅうりつ無數むすうひん)
    8. 입유수품(たて有數ゆうすうひん)
    9. 비무수품(無數むすうひん)
    10. 비유수품(有數ゆうすうひん)
    11. 명무수품(あきらすうひん)
    12. 무상응품(相應そうおうひん)
    13. 유상응품(ゆう相應そうおうひん)
    14. 비상응품(相應そうおうひん)
    15. 다심품(しんひん)
    16. 일심품(一心いっしんひん)
    17. 비다심품(しんひん)
    18. 비일심품(一心いっしんひん)
    19. 명다심품(あきらしんひん)
    20. 식잠주품(識暫じゅうひん)
    21. 식무주품(識無住むじゅうひん)
    22. 식구생품(識俱生品なましな)
    23. 식불구생품(識不俱生ひん)
  6. 제6권
    1. 고제취 중 상음품(たい聚中そうかげひん)
    2. 고제취 수론 중 수상품(たい聚受ろんちゅう受相ひん)
    3. 행고품(くだりひん)
    4. 괴고품(壞苦ひん)
    5. 변삼수품(べんさん受品)
    6. 문수품(とい受品)
    7. 오수근품(受根ひん)
    8. 고제취 행음론 중 사품(たい聚行かげろんちゅうおもえひん)
    9. 촉품(さわしな)
    10. 염품(ねんひん)
    11. 욕품(よくひん)
    12. 희품(ひん)
    13. 신품(しんひん)
    14. 근품(つとむひん)
    15. 억품(憶品)
    16. 각관품(さとしかんひん)
    17. 여심수품(こころすうひん)
  7. 제7권
    1. 불상응행품(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ひん)
    2. 집제취 업론 중 업상품(しゅうたい聚業ろん中業ちゅうぎょうしょうひん)
    3. 무작품(作品さくひん)
    4. 고불고품(しな)
    5. 경중죄품(輕重けいちょうざいひん)
    6. 대소이업품(大小だいしょうぎょうひん)
    7. 삼업품(三業さんぎょうひん)
    8. 사행품(よこしまぎょうひん)
    9. 정행품(正行まさゆきひん)
    10. 계업품(繫業ひん)
  8. 제8권
    1. 삼보업품(さんほうぎょうひん)
    2. 삼수보업품(さん受報ぎょうひん)
    3. 삼장품(さんさわしな)
    4. 사업품(よんぎょうひん)
    5. 오역품(五逆ごぎゃくひん)
    6. 오계품(五戒ごかいひん)
    7. 육업품(ろくぎょうひん)
    8. 칠불선율의품(なな不善ふぜん律儀りちぎひん)
    9. 칠선율의품(ななぜん律儀りちぎひん)
    10. 팔계재품(八戒はっかいときひん)
    11. 팔종어품(はちしゅひん)
    12. 구업품(きゅうぎょうひん)
    13. 십불선도품(じゅう不善ふぜんどうひん)
  9. 제9권
    1. 십선도품(十善じゅうぜんどうひん)
    2. 과환품(患品)
    3. 삼업경중품(三業さんぎょう輕重けいちょうひん)
    4. 명업인품(あかりぎょういんひん)
    5. 집제취 중 번뇌론 초 번뇌상품(しゅうたい聚中煩惱ぼんのうろんはつ煩惱ぼんのうしょうひん)
    6. 탐상품(むさぼあいしな)
    7. 탐인품(むさぼいんひん)
    8. 탐과품(むさぼしな)
    9. 단탐품(だんむさぼしな)
    10. 진에품(瞋恚しんにひん)
    11. 무명품(無明むみょうひん)
  10. 제10권
    1. 교만품(憍慢ひん)
    2. 의품(うたぐしな)
    3. 신견품(ひん)
    4. 변견품(邊見へんみひん)
    5. 사견품(邪見じゃけんひん)
    6. 이취품(しな)
    7. 수번뇌품(ずい煩惱ぼんのうひん)
    8. 불선근품(善根ぜんこんひん)
    9. 잡번뇌품(ざつ煩惱ぼんのうひん)
    10. 구결품(きゅうゆいひん)
  11. 제11권
    1. 잡문품(ざつといひん)
    2. 단과품(だんしな)
    3. 명인품(あきらいんひん)
    4. 멸제취 초 입가명품(めつたい聚初りつ假名がなひん)
    5. 가명상품(假名かめいしょうひん)
    6. 파일품(やぶ一品いっぴん)
    7. 파이품(やぶしな)
    8. 파불가설품(やぶ不可ふかせつひん)
    9. 파무품(やぶ無品むほん)
    10. 입무품(たて無品むほん)
    11. 파성품(やぶこえひん)
    12. 파향미촉품(やぶ香味こうみさわしな)
    13. 파의식품(やぶ意識いしきひん)
    14. 파인과품(やぶ因果いんがひん)
    15. 세제품(たいひん)
  12. 제12권
    1. 멸법심품(滅法めっぽうしんひん)
    2. 멸진품(滅盡めつじんひん)
    3. 도제취 정론 중 정인품(みちたい聚定ろんちゅうていいんひん)
    4. 정상품(じょうしょうひん)
    5. 삼삼매품(さん三昧ざんまいひん)
    6. 사수정품(よんおさむじょうひん)
    7. 사무량정품(よん量定りょうていひん)
    8. 오성지삼매품(せいえだ三昧ざんまいひん)
    9. 육삼매품(ろく三昧ざんまいひん)
    10. 칠삼매품(なな三昧ざんまいひん)
    11. 팔해탈품(はち解脫げだつひん)
    12. 팔승품(はちしょうひん)
    13. 초선품(はつぜんひん)
  13. 제13권
    1. 이선품(ぜんひん)
    2. 삼선품(さんぜんひん)
    3. 사선품(よんぜんひん)
    4. 무변공처품(無邊むへんそらしょひん)
    5. 삼무색정품(さん無色むしょくじょうひん)
    6. 멸진정품(滅盡めつじんじょうひん)
    7. 십일체처품(じゅう一切いっさいしょひん)
    8. 무상상품(無常むじょうそうひん)
    9. 고상품(そうひん)
    10. 무아상품(無我むがそうひん)
  14. 제14권
    1. 식염상품(しょくいやそうひん)
    2. 일체세간불가악상품(一切いっさい世間せけん不可ふか樂想がくそうひん)
    3. 불정상품(不淨ふじょうそうひん)
    4. 사상품(そうひん)
    5. 후삼상품(さんそうひん)
    6. 정구중초오정구품(じょうちゅうはつていひん)
    7. 악각품(あくさとしひん)
    8. 선각품(ぜんさとしひん)
    9. 후오정구품(ていひん)
    10. 출입식품(出入でいりいきひん)
    11. 정난품(じょうなんひん)
  15. 제15권
    1. 지관품(止觀しかんひん)
    2. 수정품(おさむじょうひん)
    3. 도제취 지론 중 지상품(みちたい聚智ろんちゅうさとししょうひん)
    4. 견일제품(いちたいひん)
    5. 일체연품(一切いっさいえんひん)
  16. 제16권
    1. 성행품(ひじりこうひん)
    2. 견지품(さとしひん)
    3. 삼혜품(さんとしひん)
    4. 사무애품(よん無礙むげひん)
    5. 오지품(五智ごちひん)
    6. 육통지품(ろくつうさとしひん)
    7. 인지품(しのぶさとしひん)
    8. 구지품(きゅうさとしひん)
    9. 십지품(じゅうさとしひん)
    10. 사십사지품(よんじゅうよんさとしひん)
    11. 칠십칠지품(ななじゅうななさとしひん)

내용

[편집]

《성실론》에서는 우주의 모든 현상은 가(かり)로 존재하는 것이므로 결국 (そら)에 돌아가는 것이라고 논정(論定ろんてい)하고, 이러한 (かん)을 통해 사성제(四聖しせいたい)의 참된 뜻을 체달하며, 팔정도(はち正道せいどう)에 의하여 온갖 번뇌를 멸하고 무여열반(涅槃ねはん)의 경지에 이른다고 논술한다.[3]

평가

[편집]

《성실론》에는 대승(大乘だいじょう) 일반에게 설교되는 "인법2공(ひとほうそら)"이나 "제법(諸法しょほう)은 세속제(俗諦ぞくたい)에서는 공(そら)이다"라는 이제설(たいせつ)을 주장하는 등 대승적인 교리해설이 이루어져 있다.[1] 때문에 중국 양나라법운(ほうくも: 467–529) · 승민(僧旻そうみん: 467–527) · 지장(さとしぞう: 458–522)의 3대법사는 《성실론》을 대승서(大乘だいじょうしょ)로 간주했다.[1][3] 그러나 수나라 시대에 이르러 천태종지의(さとし顗: 538-597)나 삼론종길장(吉藏よしぞう: 549-623) 등은 《성실론》을 소승서(小乘しょうじょうしょ)로 단정하였다.[1][3] 도선원조는 《성실론》을 분통대승서(ぶんどおり大乘だいじょうしょ)라고 하였다.[3]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중국불교의 종파 > 성실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 고익진 (1989). 《한국 고대 불교 사상사》, 동국대학교 출판부, p. 100.
  3. 운허 & 동국역경원. "なりろん(성실론)"[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불교 사전》. 2011년 3월 12일에 확인.
  4. "성실론(なりろん)"[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네이버 백과사전》. 2011년 3월 12일에 확인.
  5. 구마라습역. 《성실론(なりろん) Archived 2009년 2월 26일 - 웨이백 머신》, 대정신수대장경, T32 No.1646. 2011년 3월 12일에 확인.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