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鳥 - 나무위키

とり

최근 수정 시각:
5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96574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 (AS7524) ITEC Hankyu Hanshin Co.,Ltd.
토론역사
とり
새 조
부수
나머지 획수
とり, 0획
총 획수
11획
중학교
준4급
-
일본어 음독
チョウ
일본어 훈독
とり
표준 중국어
niǎo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00px-鳥-order
획순

1. 개요2. 상세
2.1. 부수
3. 자형4. 용례5. 유의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7. 여담

1. 개요[편집]

とり'새 조'라는 한자로, 를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niǎo
niu5
감어
nyieu3
tiâu / niâu
진어
niau2
niǎu
cēu / nēu
chiáu / niáu
tiau (T2); 'nyau (T2)
장어
diau3 / nyiau3
음독
チョウ
훈독
とり
điểu
새의 모습을 본떠서 만든 상형자이다. 설문해자에서는 꼬리가 짧은 새의 총칭인 ふるとり(새 추)에 대비하여 꼬리가 긴 새의 총칭이라고 했다. 하지만 ふるとり 항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틀린 설명인 듯하다. 갑골문에서 일반적으로 새의 의미로는 ふるとり를 사용했다. とり는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한데 이를 미루어 보면 사실 갑골문의 とり는 특정한 종류의 새를 각각 나타내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인지 고문자에서는 ふるとり로 구성된 글자가 とり로 구성된 글자보다 훨씬 많다. 지금 とり로 구성된 글자들은 비교적 늦게 만들어진 글자들이다. 아마 ふるとり자가 다른 의미로 가차되면서[1] 혼동이 일어나기 쉬웠기 때문에 새를 의미할 때는 とり를 사용하기 시작한 듯하다.

유니코드에는 U+9CE5[2]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ㄋㄧㄠˇ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たけぼく(HAYF)[3]로 입력한다.

がらす(까마귀 오)와 혼동하기 매우 쉽다. とりにち부분이 까마귀 오에서는 くち로 바뀌어 있다.[4] 획수는 겨우 1획 차이라서 디스플레이의 해상도가 낮으면 둘의 구분이 쉽지가 않은데, 일례로 윈도우 기본 글꼴크기 중 하나인 돋움체 10pt 상에서는 단 1픽셀 차이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새가 산 위에 앉아있는 모양의 しま(섬 도)와도 혼동에 주의할 것.

とり중고음은 /teu/, 반절みやこりょうきり음경을 뜻하는 屌[diǎo]와 발음이 같아 영 안 좋은 뜻으로 쓰이자, '새'라는 뜻으로는 속음인 niǎo가 대체하게 되었고 이것이 현재의 표준 발음이 되었다.[5] 혹은 아예 とり가 屌의 어원이 되었으리라고 추측하는 의견도 있는데, 음경의 모양새가 새의 머리 혹은 아기새의 모습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라고 한다. 근데 발음만 바뀌었지 문자가 바뀐 건 아닌지라 여전히 중화권은 とり를 욕으로 사용한다.
 [  214 부수  ] 
1획
1 いち 2 3 4 丿 5 おつ(乚) 6
2획
7 8 9 ひと(𠆢, 亻) 10 11 いれ 12 はち 13 14 15 16 17 18 かたな(刂) 19 ちから 20 21 22 23 24 じゅう 25 ぼく 26 (㔾) 27 28 29 また
3획
30 くち 31 32 33 34 35 36 ゆう 37 だい 38 おんな 39 (孑) 40 41 すん 42 しょう 43 (尣) 44 しかばね 45 46 やま 47 (かわ) 48 こう 49 おのれ 50 はば 51 52 53 广 54 55 56 57 ゆみ 58 (彑, ⺕) 59 60
4획
61 しん(忄, ⺗) 62 ほこ 63 64 (扌) 65 ささえ 66 (攵) 67 ぶん 68 69 きん 70 ほう 71 (旡) 72 73 74 つき 75 76 かけ 77 とめ 78 (歺) 79 80 81 82 もう 83 84 85 みず(氵, 氺) 86 (灬) 87 つめ(爫, ⺥) 88 ちち 89 90 (丬) 91 へん 92 きば 93 うし(牜) 94 いぬ(犭)
5획
95 げん 96 たま(おう) 97 ふり 98 かわら 99 あま 100 せい 101 よう 102 103 (⺪) 104 105 106 しろ 107 かわ 108 さら 109 (罒) 110 ほこ 111 112 いし 113 しめせ(⺬, 礻) 114 115 116 あな 117 だて
6획
118 たけ(⺮) 119 べい 120 いと(糹) 121 かん 122 (罒, 罓, 㓁) 123 ひつじ(⺶, ⺷) 124 はね 125 ろう(耂) 126 127 128 みみ 129 130 にく(つき, ⺝) 131 しん 132 133 いたり 134 うす(𦥑) 135 した 136 ます 137 ふね 138 うしとら 139 いろ 140 そうこう(⺿, 艹, 䒑) 141 142 むし 143 144 くだり 145 ころも(衤) 146 (覀)
7획
147 148 かく 149 げん(訁) 150 たに 151 まめ 152 いのこ 153 154 かい 155 あか 156 はし 157 あし(𧾷) 158 159 くるま 160 からし 161 たつ 162 (⻍, ⻌) 163 (⻏) 164 とり 165 166 さと
8획
167 きむ(釒) 168 なが 169 もん 170 (⻖) 171 172 ふるとり 173 あめ(⻗) 174 あお 175
9획
176 めん 177 かわ 178 179 にら 180 おと 181 ぺーじ 182 ふう 183 184 しょく(𩙿, 飠) 185 くび 186 こう
10획
187 うま 188 ほね 189 こう 190 191 192 193 194 おに
11획
12획
201 202 きび 203 くろ 204
15획
211
13획
16획
14획
17획
214
 [  위치별 주요 부수  ] 
 [  수록자 보기  ] 
1획
1 いち 2 3 4 丿 5 おつ(乚) 6
2획
7 8 9 ひと(𠆢, 亻) 10 11 いれ 12 はち 13 14 15 16 17 18 かたな(刂) 19 ちから 20 21 22 23 24 じゅう 25 ぼく 26 (㔾) 27 28 29 また
3획
30 くち 31 32 33 34 35 36 ゆう 37 だい 38 おんな 39 (孑) 40 41 すん 42 しょう 43 (尣) 44 しかばね 45 46 やま 47 (かわ) 48 こう 49 おのれ 50 はば 51 52 53 广 54 55 56 57 ゆみ 58 (彑, ⺕) 59 60
4획
61 しん(忄, ⺗) 62 ほこ 63 64 (扌) 65 ささえ 66 (攵) 67 ぶん 68 69 きん 70 ほう 71 (旡) 72 73 74 つき 75 76 かけ 77 とめ 78 (歺) 79 80 81 82 もう 83 84 85 みず(氵, 氺) 86 (灬) 87 つめ(爫, ⺥) 88 ちち 89 90 (丬) 91 へん 92 きば 93 うし(牜) 94 いぬ(犭)
5획
95 げん 96 たま(おう) 97 ふり 98 かわら 99 あま 100 せい 101 よう 102 103 (⺪) 104 105 106 しろ 107 かわ 108 さら 109 (罒) 110 ほこ 111 112 いし 113 しめせ(⺬, 礻) 114 115 116 あな 117 だて
6획
118 たけ(⺮) 119 べい 120 いと(糹) 121 かん 122 (罒, 罓, 㓁) 123 ひつじ(⺶, ⺷) 124 はね 125 ろう(耂) 126 127 128 みみ 129 130 にく(つき, ⺝) 131 しん 132 133 いたり 134 うす(𦥑) 135 した 136 ます 137 ふね 138 うしとら 139 いろ 140 そうこう(⺿, 艹, 䒑) 141 142 むし 143 144 くだり 145 ころも(衤) 146 (覀)
7획
147 148 かく 149 げん(訁) 150 たに 151 まめ 152 いのこ 153 154 かい 155 あか 156 はし 157 あし(𧾷) 158 159 くるま 160 からし 161 たつ 162 (⻍, ⻌) 163 (⻏) 164 とり 165 166 さと
8획
167 きむ(釒) 168 なが 169 もん 170 (⻖) 171 172 ふるとり 173 あめ(⻗) 174 あお 175
9획
176 めん 177 かわ 178 179 にら 180 おと 181 ぺーじ 182 ふう 183 184 しょく(𩙿, 飠) 185 くび 186 こう
10획
187 うま 188 ほね 189 こう 190 191 192 193 194 おに
11획
12획
201 202 きび 203 くろ 204
15획
211
13획
16획
14획
17획
214

とり의 부수형태로는 변, 방, 발 등이 있다.[6] 새조부는 강희자전에 196번째로 분류되어있는 부수로, 그것을 부수로 삼는 한자는 750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새'라는 의미를 가진 한자답게, 조류에 속하는 동물을 뜻하는 한자에 부수로 자주 등장한다. にわとり(닭 계), ばと(비둘기 구), 鳯(봉황 봉), 䲨(기러기 홍), かも(오리 압) 등등..

3. 자형[편집]

120px-鳥-oracle.s...
鳥-bronze.svg
120px-鳥-seal.svg
갑골문
금문
소전체

4. 용례[편집]

5. 유의자[편집]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7. 여담[편집]

  • とり를 두 개 합치면 𪅝[⿰とりとり](조), 세 개 합치면 𪈼[⿱とりとりとり](새이름 뇨)가 된다.
[1] ふるとり자는 왕왕 ちぇおもんみ(현재는ただ로 쓴다)의 의미로 가차되었다.[2] 鸟는 U+9E1F[3] 鸟는 こころぼくしかばねいち(PYSM)[4] 이러한 사실도 고문자에서 とり자가 각각 특정한 새를 나타냈다는 것을 증명한다. 대부분 특정 새를 나타내는 글자들은 형성자를 새로 만들어 사용했지만 がらすとり에서 독립하여 살아남은 것이다.[5] 그 경위는 다르지만 Oh my God → Oh my Gosh와도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6] 방으로 쓰이는 부수가 가장 많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