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德 - 나무위키

とく

최근 수정 시각:
7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96574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 (AS7524) ITEC Hankyu Hanshin Co.,Ltd.
토론역사
다른 뜻 아이콘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고자에 대한 내용은 とく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국명·지명 한자 약칭
[ 펼치기 · 접기 ]
국가
과거의 국가
지역 및 도시

[A] 1.1 1.2 1.3 1.4 1.5 げん 대한민국[B] げん 러시아독립국가연합 [C] げん 독일 [D] 8.1 8.2 げん 일본
とく
큰 덕
부수
나머지 획수
, 12획
총 획수
15획
중학교
とく
일본어 음독
トク
일본어 훈독
-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とく'큰 덕' 또는 '덕 덕'이라는 한자로, '덕(とく)'을 뜻한다.

2. 상세[편집]

갑골문에서 이 글자는 (조금걸을 척) 자와 じき(곧을 직) 자가 합쳐진 형태로 나온다. 彳 자는 '가다' 또는 행위의 뜻을 나타내고, ただし 자는 '곧다', '바르다'와 같은 뜻을 나타낸다. 따라서 회의자로 볼 수 있고, 만약 ただし 자가 소리를 나타낸다면 형성자로 볼 수 있다. 이후 금문에서는 ただし 자 아래에 しん(마음 심) 자가 추가되면서 현재 글자의 모든 요소를 갖추게 되었다. 그런데 전서에서 ただし 자와 달리 (눈 목) 자에 해당하는 부분이 90도 회전하지 않고 罒의 형태로 남았으며, 이 형태가 지금에 이른다.

그래서 오늘날 이 한자의 뜻은 '크다', '덕' 등의 뜻으로 쓰인다. 실제로는 후자의 뜻이 많이 쓰인다. (예: 도덕 道德どうとく)

일본 신자체로는 마음 심(しん) 위의 한 일(いち)이 빠진 형태를 쓴다.[1] 예컨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한자로 표기하면 'とくかわ家康いえやす'인데 이를 한국 한자음으로 읽으면 '덕천가강'이다. 다만 1946년 이전에는 일본에서도 정자체를 썼기 때문에 살던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살던 시기에는 'とくかわ家康いえやす'으로 표기했다. 복잡한 자형인데 단 한 획 차이라 크기가 작으면 같아 보인다.
とく
とく
정체자
신자체

とく이 '크다'는 뜻으로 쓰인 대표적인 예로는 '덕용'(德用とくよう)이라는 낱말이 있다. 덕용 문서 참고.

한국 한정으로는 오타쿠를 뜻하는 한자로도 쓰인다. 본래 '오타쿠'의 어원은 'おたく'이지만 이 낱말이 한국으로 넘어오면서 사람들이 한국식으로 바꾸어 오덕후를 만들었고 이것에 '五德ごとくあつし'라는 그럴듯한 한자어로 끼워 맞춘 것에서 유래하였다.

독일을 뜻하는 음역자로 쓰이기도 한다. 본래 '독일'이라는 이름은 일본에서 도이쓰(ドイツ; ←Deutschland)를 한자로 음차한 '独逸どいつ(← 獨逸どいつ)'을 그대로 들여와서 한국 한자음으로 읽은 것이고[2] 중국에서는 이를 とく意志いし(déyìzhì)로 음차해서 앞에 있는 とく을 떼어 とくこく/とくこく이라고 부른다. 한국 한자음으로 읽으면 덕국.

이 글자는 とく(큰 덕) 자와 얽히고는 한다. 자세한 내용은 とく 문서 참조.

3. 용례[편집]

4.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들을 청)

[1] とく의 이체자 중 하나로, 일본에서만 쓰였던 것이 아니라 비공식 형태로 한중일 모두 쓰이던 글자이다. 대신 정식 형태로 인정한 것은 일본이 유일하다. [2] 이와 같은 경우로 '불란서'(佛蘭西ふらんす)가 있다. 마찬가지로 프랑스(フランス)를 일본 한자음으로 음차한 仏蘭西ふらんす를 그대로 한국 한자음으로 읽은 것.[3] 여기서 쓰인 とく은 음역자로 쓰였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