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사상 (불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사상 (불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4상에서 넘어옴)

불교 용어로서의 사상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사상(事相じそう)은 현상계의 차별상 또는 현상계의 차별적 존재들을 말한다. 속제(俗諦ぞくたい· 진소유성(つき所有しょゆうせい: 다함이 있는 성질) · 진소유(つき所有しょゆう: 다함이 있는 것)라고도 한다.[1][2]
  2. 4상(よんそう, 산스크리트어: catvāri lakṣaṇāni, 티베트어: mtshan nyi bzhi, 영어: four marks of existence)은 생멸(生滅しょうめつ)하는 존재, 보다 정확히는 생멸변천(生滅しょうめつ變遷へんせん)하는 존재로서의 모든 유위법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4가지 성질(せい· (じゅう· (こと· (めつ) 또는 (せい· (じゅう· (ろう· 무상(無常むじょう)을 말한다.[3]구사론》에 따르면 이 4가지 성질유위법으로 하여금 유위법이게 하는 유위법본질적 성질로서 어떤 이 이 4가지 성질을 갖추고 있으면 그것은 유위법이다. 그리고 이 4가지 성질이 없으면 그 무위법이다.[4][5] 유위상(有爲ゆういしょう· 4유위(よん有為ゆうい· 4유위상(よん有爲ゆういしょう· 유위4상(有爲ゆういよんそう) 또는 4본상(よんほんしょう)이라고도 한다.[6][7]
    4유위상 또는 유위4상설일체유부5위 75법법체계유식유가행파5위 100법법체계에서 심불상응행법(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에 속한다.[6]
    4유위상 또는 유위4상찰나유위상(剎那有爲ゆういしょう)과 분위유위상(ぶん有爲ゆういしょう)으로 나뉜다. 찰나유위상은 모든 유위법에서 매 찰나마다 일어나는 생멸변천으로서의 (なま: 생겨남) · (じゅう: 유지됨) · (こと: 달라짐) · (めつ: 소멸됨)을 말하며, 세유위상(ほそ有爲ゆういしょう) 또는 승의제유위상(勝義まさよしたい有爲ゆういしょう)이라고도 한다. 분위유위상유정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의 한 기간[一期いっき] 즉 한 생애 동안 겪는 생멸변천으로서의 (なま: 태어남, 유년기) · (じゅう: 성장과 장성, 소년기부터 장년기) · (ろう: 노쇠함, 노년기) · 무상(無常むじょう: 죽음)을 말하며, 조유위상(有爲ゆういしょう) 또는 세속제유위상(俗諦ぞくたい有爲ゆういしょう)이라고도 하며 이것은 1기상속(一期いっき相續そうぞく) 즉 유정의 한 생애 동안의 5온상속에 의거하여 유위상을 세운 것이다. 한편, 《북본열반경》 제12권에서는 (なま: 탄생) · (ろう: 늙음) · (やまい: 병듦) · (: 죽음)를 1기4상(一期いっきよんそう)이라 말하고 있다. 1기4상은 과보4상(果報かほうよんそう) 또는 조4상(よんそう)이라고도 한다.[6][7]
  3. 4상(よんそう)은 5온 즉 심신(心身しんしん: 마음과 몸, 정신과 육체)에 대해 실아(じつ, 아트만), 즉 '실재하는 나[]'라고 그릇되이 집착하는 4가지 유형의 잘못된 견해아상(しょう· 인상(人相にんそう· 중생상(衆生しゅじょうしょう· 수자상(ことぶきしゃしょう)을 말한다. 아인4상(我人われひとよんそう· 식경4상(識境よんそう) 또는 4견(よん)이라고도 한다.[3][6][7]
    아인4상의 이치에 대한 깨달음의 정도에 깊고 옅음의 차이가 있는데 옅은 상태에서 깊은 상태의 순서로 아상(しょう· 인상(人相にんそう· 중생상(衆生しゅじょうしょう· 수자상(ことぶきしゃしょう)이라고 하고 이 4가지를 통칭하여 4상(よんそう)이라고 하며 지경4상(さとしさかいよんそう)이라고도 한다.[7][8]

4유위상[편집]

[편집]

[편집]

이·노[편집]

멸·무상[편집]

1기4상[편집]

[편집]

[편집]

[편집]

[편집]

아인4상[편집]

아상[편집]

인상[편집]

중생상[편집]

수자상[편집]

지경4상[편집]

아상[편집]

인상[편집]

중생상[편집]

수자상[편집]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각주[편집]

  1.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97, 제1권. p. T31n1597_p0321a18 - T31n1597_p0321a21. 진소유성(つき所有しょゆうせい)과 여소유성(如所有性ゆうせい)  しょやぶところさわかげくら  つき所有しょゆう所有しょゆう
      諸法しょほう真俗しんぞくかげちゅう  妄執もうしゅうきおいきょう異見いけん
      斯由ながはなれしょ分別ふんべつ  無垢むく清淨せいじょうさとし光明こうみょう
      獲得かくとくさいかちさん菩提ぼだい  惑障并習だん常住じょうじゅう
  2.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 K.594, T.1597, 제1권. p. 1 / 297. 진소유성(つき所有しょゆうせい)과 여소유성(如所有性ゆうせい)
      소지장(ところともさわ)1)의 어둠을 모두 깨뜨리니2)
      그 있는 바를 다함이며3) 있는 바 그대로이네.4)
      제법의 진속이체(眞俗しんぞくたい)의 그림자 중에
      망령되이 집착하여 다투어 다른 견해들을 일으키네.5)

      이에 영원히 모든 분별을 떠나고
      번뇌 없는 청정한 지혜 광명으로써
      가장 뛰어난 삼먁삼보리를 증득하시고
      미혹의 장애와 습기를 끊어 상주하시네.6)

    1) 소지장은 지장(さとしさわ)이라고도 하며, 탐욕ㆍ성냄ㆍ어리석음 등의 번뇌가 객관의 진상(眞相しんそう)을 바로 알지 못하게 하는 장애가 됨을 말한다. 여기서 소지장만을 들고 번뇌장을 거론하지 않은 것은, 잘못된 견해들을 논파하기 위해 이 논서를 저술하기 때문이다.
    2) 이하 여덟 게송은 삼보에 귀의함을 나타내는 귀경서(かえりけいじょ)이다. 세친(おや)이 삼보에 귀의 예배하고 스승의 가르침을 받아서 이 석론(しゃくろん)을 짓는 인연을 밝힌다. 먼저 네 게송은 부처님[ふつたから]께 귀의하고 부처님의 덕을 찬탄한다.
    3) 진소유성(つき所有しょゆうせい), 즉 속제(俗諦ぞくたい)인 현상계의 차별상[事相じそう]을 말한다.
    4) 여소유성(如所有性ゆうせい), 즉 진제(しめ)의 이체(たい)를 가리킨다.
    5) 붓다가 세상에 출현하는 연유를 밝힌다.
    6) 붓다가 미혹을 끊고 불과를 증득함을 서술한다.
  3. 고려대장경연구소, "사상 よんそう". 2013년 1월 30일에 확인
    "사상 よんそう:

    ⓣmtshan nyi bzhi
    ⓢcatvāri lakṣaṇāni
    ⓔthe four marks of existence
    [원]사유위상(よん有爲ゆういしょう).
    ⇒ 생로병사(生老しょうろ病死びょうし).
    1]생멸 변화하는 네 가지 양상. 생겨남(せい), 존속함(じゅう), 변화함(こと), 사라짐(めつ).
    2]금강경에서 설하는 중생의 네 가지 그릇된 관념. 5온의 요소들 속에 자아라는 나의 본체가 있고 나의 것이 있다고 생각하는 아상(しょう), 자아가 인간이 된다고 생각하는 인상(人相にんそう), 자아는 5온에 의해 생긴다고 생각하는 중생상(衆生しゅじょうしょう), 자아는 어느 시기 동안 수명을 갖고 머문다고 생각하는 수자상(ことぶきしゃしょう).
    3]4고()와 같은 말."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고려대장경연구소"[httpkbsutrarekrritkservicedictiondicViewdopopupYnYdicId4301 사상 よんそう]". 2013년 1월 30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4.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5권. p. T29n1558_p0027a12 - T29n1558_p0027a17. 유위4상(有爲ゆういよんそう)
    "諸相しょそうしゃなに。頌曰。
      あいいいしょ有為ゆうい  なまじゅうめつせい
    ろん曰。よしよんしゅ有為ゆうい相法そうほうわかゆう此應有為ゆういあずか相違そうい無為むいほう。此於しょ法能ほうのうおこりめいせいのうやすめいじゅうのうおとろえめいことのう壞名めつせいたい。"
  5.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5권. p. 240 / 1397. 유위4상(有爲ゆういよんそう)
    "온갖 상(そう)이란 무엇인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상(そう)이란 말하자면 온갖 유위가
      생(なま)·주(じゅう)·이()·멸(めつ)하는 성질이다.
      あいいいしょ有爲ゆうい せいじゅうめつせい
    논하여 말하겠다. 이러한 네 가지 종류가 바로 유위의 상(そう)이니,90) 법으로서 만약 이러한 상을 갖은 것이라면 응당 마땅히 유위라고 해야 할 것이며, 이와 상위되는 것이라면 바로 무위법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상 가운데] 제법을 능히 일어나게 하는 것을 '생(なま, jāti)'이라 이름하고, 능히 안주하게 하는 것을 '주(じゅう, sthiti)'라고 이름하며, 능히 쇠퇴하게 하는 것을 '이(こと, anyathātva)'라고 이름하고, 능히 허물어지게 하는 것을 '멸(ほろび, anityatā)'이라고 이름한다. 그리고 [본송에서 말한] '성질'이란 바로 체(からだ)의 뜻이다.91)
    90) 이는 유위를 유위이게 하는 네 가지 특징적 근거[そう, lakṣaṇa]로서, 유위제법을 생성·지속·변이·소멸하게 하는 원리를 추상화시켜 얻은 개념이다. 따라서 이러한 네 가지 상을 갖지 않은 것이 무위이다.
    91) 범본이나 『석론(しゃくろん)』에는 이 구절이 없다. 참고로 『현종론』 권제7(대정장29, p. 808하 ; 한글대장경200, p. 185)에서는 " [이러한 유위의 상은 바로] 유위의 성질을 나타낸 것이기 때문에 그것의 상이라는 명칭을 얻게 되었다(あらわかれせいとくかれ相名あいな)"고 논설하고 있다."
  6. 星雲せいうん, "よんそう". 2013년 1월 29일에 확인
    "よんそう: (いち)ゆび顯示けんじ諸法しょほう生滅しょうめつ變遷へんせんなまじゅうことめつとうよんそうまたさくよん有為ゆういよん有為ゆういしょうよんほんしょうぞく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
     (いち)小乘しょうじょうせつ一切いっさいゆうせつよりどころはつさとしろんまきだい毘娑すなろんまきさんじゅうはちまきさんじゅうきゅう、俱舍ろんまきとう,一切有為法均為無常,雖由於因えんりょくしたがえ未來みらいせいいたりげん在位ざいいしか瞬間しゅんかんそくほろび,而成ため過去かこ。此種なりため過去かこ現象げんしょうしょうため落謝、しゃめつ。此生滅しょうめつ變遷へんせん有為ゆういほう流轉るてん於未らい現在げんざい過去かことうさんせいちゅう
     (1)せい(梵 jāti),またさくせいしょうそく有為ゆういほうしたがえ未來みらいせいいたりげん在位ざいい。(2)じゅう(梵 sthiti),またさくじゅうしょうそく有為ゆういほう安住あんじゅう於現在位ざいい。(3)こと(梵 anyathātva),またさく異相いそうそく有為ゆういほう於現在位ざいい變異へんいおとろえそん。(4)めつ(梵 anityatā),またさく滅相めっそうそく有為ゆういほうしたがえげん在位ざいいめつてんいたり過去かこしかふえ一阿含經卷十二、經卷きょうかん一等いっとうのり僅說せいおいとうさん有為ゆういしょう
     一切有為法皆具上記之四相,而此四相之自體亦為有為法,須另ゆうれい其生、じゅうことめつほうそく生生せいせいじゅうじゅうことめつめつよんしゃしょうためずいしょうしょうしょう相對そうたい於此,なまじゅうことめつそくしょうほんしょうだいしょうぶた有為ゆういほう生成せいせい必須ひっす具有ぐゆうきゅうほうそくほう自體じたい,及よんほんしょうよんずいしょう,此九ほう同時どうじ俱起,かけいち不可ふか。其中,よんほん相之あいの作用さようかくわたる於除本身ほんみがいはちほう;而四ずい相之あいの作用さようのり僅及於各個かっこほんしょう一法いっぽうしょうためはちいち有能ゆうのうはちいちこうのう。此作よう交互こうご相續そうぞく而永あやま
     ゆう主張しゅちょう剎那生滅しょうめつ四相於一剎那間俱有,またそくろくいんよんえん因緣いんねん和合わごうとう生起せいきせいしょう乃至ないし滅相めっそうしか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さんじゅうはち,就上記じょうき四相而稱為剎那有為相、ほそ有為ゆういしょう勝義まさよしたい有為ゆういしょうはんこれ,就いち相續そうぞく有為ゆういしょうしょうためぶん有為ゆういしょうほぼ有為ゆういしょう俗諦ぞくたい有為ゆういしょうそくゆびじん初生しょせいなましょう少壯しょうそうじゅうしょう諸根もろねおとろえそんおいしょう死時しにどき死相しそうまた北本きたもと涅槃ねはん經卷きょうかんじゅう,以生、おいやめよんしょうためいちよんそうよんそう。〔法華ほっけ經卷きょうかんいち序品じょぼんじゅんせい理論りろんまき十三じゅうざおもね達磨だるま顯宗けんそうまきなな
     ()小乘しょうじょうけいせつよりどころ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さんじゅうはちまきさんじゅうきゅう、俱舍ろんまきとうけい就諸ほう相續そうぞく而假りつよんそう主張しゅちょうよんそう假立かりだち否定ひていゆう有體ありていよんそうじつゆうせつなみ駁斥於生相之あいのがい,藉因えん生起せいき諸法しょほうせついい諸法しょほう生起せいき僅藉因緣いんねんりょく
     (さん)小乘しょうじょう其餘もろせつよりどころ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さんじゅうはちたとえ喻者いいよんそう假立かりだち分別ふんべつろんしゃいいよんそう無為むいほうみつ以生、じゅうこととうまえさんそういい有為ゆうい,以滅しょういい無為むい相似そうじ相續そうぞく沙門しゃもんいいしょくよんそうためしょくしんよんそう為心いしんせいりょうそく以色ほうためいち相續そうぞくこえこうあじさわとうしんしんしょほうため剎那生滅しょうめつほう上部じょうぶけんかぶと、犢子密林みつりん山部やまべひとし說法せっぽうあずかせいりょうしょうどうおもんみ其內ようしょう。〔ことむねろん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まきなななりろんまきなな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ひん十唯識述記卷上、まき
     (よん)大乘だいじょう法相ほうしょう宗之むねゆきせつよりどころ瑜伽ゆがろんまきよんじゅうろくまきじゅういちまき八十八やそはち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まきとう記載きさい法相ほうしょうむねまた主張しゅちょうよんそう假立かりだち無體むたい」。就剎而言,有為ゆういほう因緣いんねんちからゆかりほん而今ゆう,乃屬暫有かえしゃため表示ひょうじ無為むい而假りつよんそう。以本こんゆうしょうゆうためせい」,暫停於生そくたたえじゅう」,じゅう前後ぜんこう變異へんいそくしょうこと」,以暫ゆうかえしょうめつためめつ」。其中,なまじゅうさんしゃためゆう」,同屬どうぞく現在げんざいめつため」,のりぞく過去かこ。就いちぶん而言,はつゆうしょうためせいしょうためめつやめなま相似そうじ相續そうぞくしょうためじゅうじゅう相續そうぞく轉變てんぺんしょうためことまた無論むろん剎那あるいちみな以前いぜんさんそうため現在げんざい滅相めっそうため過去かこしかゆう主張しゅちょう未來みらい有體ありていとげ以生しょうため未來みらい滅相めっそうため現在げんざい
     ()さんろん宗之むねゆきせつ:僅立せいじゅうめつ さんそういい萬物皆各有其有為相。〔じゅうもんろん觀相かんそうもん
     (ろく)大乘だいじょうおこりしんろんまき中之なかのせつため顯示けんじはじめさとしかえめつこれぶんひとし,而將不覺ふかく流轉るてんもん順序じゅんじょ寄與きよよんそうそく於三ほそろくあらきゅうそうちゅう,以業しょう寄與きよせいしょう,以見しょうさかいしょうさとししょう相續そうぞくしょう寄與きよじゅうしょう,以執あいけい名字みょうじしょう寄與きよ異相いそう,以起業きぎょうしょう寄與きよ滅相めっそう此而顯示けんじ其粗ほそこれしょう
     (なな)しゃく訶衍ろんまき三之さんのせつ:(1)なましょう根本ねもと無明むみょう薰染くんせんほんさとししょ生起せいきどく力業ちからわざしょう獨力どくりょくずいしょう、俱合どう相等そうとう三種細相稱為生相。(2)じゅうしょうなましょうしょ三相之住位稱為住相,ゆうてんしょうげんそうさとししょう相續そうぞく相等そうとうよんしゅ。(3)異相いそう於住しょう而起,其行しょうややどん生起せいき我執がしゅうどう口之くちのぎょうゆうあいけい名字みょうじしょう。(4)滅相めっそう於異しょう而起,ぎょうしょうさいあらのうづくりもろぎょう而受はてゆう起業きぎょうしょうごう繫苦しょう
     此外,ちゅうかん學派がくはそく以不せい不滅ふめつそうやぶ一切いっさいほうみとめため所謂いわゆる生滅しょうめつしゃひとしがかり虛妄きょもう分別ふんべつためおどけろん產物さんぶつ。(まいり閱「有為ゆうい」2445 )
     ()たい有為ゆういほうよんしゅ觀相かんそう。(いち)自性じしょうしょうかん有為ゆういほう其自せいこれしょうたいさかい如翳,能見のうみ如星,識體如燈,みなまどかいき幻滅げんめつ。()ちょしょじゅうあじしょうたいしょじゅううつわ世間せけんあじちょあい,此為顛倒てんとうちょ顛倒てんとうさかいかん其如まぼろし。(さん)隨順ずいじゅん過失かしつしょう隨順ずいじゅん無常むじょう受等過失かしつこれしょうかん其畢竟如朝露あさつゆ如水にょすいあわ。(よん)隨順ずいじゅん出離しゅつりしょうかん過去かこ現在げんざい未來みらいさんせい所有しょゆう,如夢、如電じょでん、如雲,而隨順ずいじゅん無我むが出離しゅつりどう。〔きむつよし般若はんにゃろんまききむつよしけい疏論纂卷きむつよしけい纂要かんじょうまきなな
     (さん)ゆびばと什譯金剛こんごう般若はんにゃ波羅蜜はらみつけい所說しょせつ,眾生たい個體こたい心身しんしんしょ錯執よんしゅしょうまたさくよん我人われひとよんそう、識境よんそうそく:(いち)しょういい眾生於五蘊ごうんほうちゅう,妄計わがわが所為しょいじつゆう。()人相にんそういい眾生於五蘊ごうんほうちゅう,妄計わがなま於人どうためじん,而異於其あまり諸道しょどう。(さん)眾生しょういい眾生於五蘊ごうんほうちゅう,妄計わがいろ、受、おもえくだり、識五蘊ごうん和合わごう而生。(よん)ことぶきしゃしょういい眾生於五蘊ごうんほうちゅう,妄計わがいちしたがえなまいたり壽命じゅみょう長短ちょうたん不一ふいついんじん而異。"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せいうん"[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7722DTITLEA57CACDB よんそう]". 2013년 1월 29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7. 운허, "よんそう(사상)". 2013년 1월 30일에 확인
    "よんそう(사상): (1) 일기사상(一期いっきよんそう). 또는 과보사상(果報かほうよんそう). 생(せい)ㆍ노(ろう)ㆍ병(やまい)ㆍ사(). ① 생은 출상(しょう)이니, 5종이 있다. 초출(初出しょしゅつ)ㆍ지종(いたりおわり)ㆍ증장(增長ぞうちょう)ㆍ출태(胎)ㆍ종류생(種類しゅるいせい). ② 노는 쇠변상(おとろえへんしょう)이니, 4종이 있다. 염념로(念念ねんねんろう)ㆍ종신로(終身しゅうしんろう)ㆍ증장로(增長ぞうちょうろう)ㆍ멸괴로(めつ壞老). ③ 병은 신병(びょう)과 심병(しんびょう)이 있다. 신병이 5종. 인수(いんすい)ㆍ인풍(いんふう)ㆍ인열(いんねつ)ㆍ잡병(ざつびょう)ㆍ객병(きゃくびょう). 심병이 4종. 용약(おどりおど)ㆍ공포(恐怖きょうふ)ㆍ우수(憂愁ゆうしゅう)ㆍ우치(愚癡ぐち). ④ 사는 명진사(いのちつき)ㆍ외연사(外緣がいえん)가 있다. 명진사에 3종, 비명진 시복진(非命ひめいつきぶくつき)ㆍ비복진 시명진(ぶくつきいのちつき)ㆍ명복구진(いのちぶく俱盡). 외연사에 3종, 비분자해사(非分ひぶん自害じがい)ㆍ횡위타사(よこため)ㆍ구사(俱死). 횡위타사에 방일사(放逸ほういつ)ㆍ파계사(破戒はかい)ㆍ괴명근사(壞命)가 있다. (2) 4유위상(有爲ゆういしょう)이니, 생(せい)ㆍ주(じゅう)ㆍ이(こと)ㆍ멸(めつ). 사물이 변천하는 것을 설명하는 명목으로 온갖 법의 유위(有爲ゆうい)임을 표시. ① 소승 유부(ゆう)는 이 4상을 실재한 것이라 하여 모든 법이 생ㆍ주ㆍ이ㆍ멸함은 이 4상에 말미암은 것이라 함. ② 경부(けい)ㆍ대승부(大乘だいじょう)에서는 이 4상은 가(かり)로 이름한 것이요, 실체가 없다고 하니, 곧 색(いろ)ㆍ심(しん)의 온갖 법은 스스로 생ㆍ주ㆍ이ㆍ멸하는 변화가 있으며, 그 변화의 분위(ぶん)에 이름한 가법(かりほう)이니, 현재에 있는 위()를 생(せい), 생의 위()에 잠깐 머무는 위를 주(じゅう), 주하는 것이 앞 뒤가 다른 것을 이(こと), 아무 것도 없는 데 돌아간 위()를 멸(めつ)이라 이름. (3) 아인사상(我人われひとよんそう)이니, ① 아상(しょう). 5온(蘊)이 화합하여 생긴 몸과 마음에 실재의 아()가 있다고 하고, 또 아()의 소유(所有しょゆう)라고 집착하는 소견. ② 인상(人相にんそう). 아()는 인간이어서 축생취(畜生ちくしょうおもむき) 등과 다르다고 집착하는 소견. ③ 중생상(衆生しゅじょうしょう) 아()는 5온법으로 말미암아 생긴 것이라고 집착하는 소견. ④ 수자상(ことぶきしゃしょう). 아()는 일정한 기간의 목숨이 있다고 집착하는 소견. (4) 지경사상(さとしさかいよんそう)이니, 아()ㆍ인(ひと)ㆍ중생(衆生しゅじょう)ㆍ수명(壽命じゅみょう). 중생이 깨달은 경계에 대하여 잘못 알아 집착하는 것. ① 아상. 오(さとる)를 집착하여 아()라 하는 것. ② 인상. 집착하지 않는다는 데 집착하여 아()가 오(さとる)하였다는 마음이 있는 것. ③ 중생상. 아상ㆍ인상을 여의었으면서도 오(さとる)의 상(そう)에 집착하는 것. ④ 수명상. 중생상의 위에 한 걸음 나아간 것이나, 아직도 능각(のうさとし)의 지혜를 갖는 것. ⇒사상(死相しそう)"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59B9BE79BB8rowno1 よんそう(사상)]". 2013년 1월 30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8. 星雲せいうん, "さとしさかいよんそう". 2013년 1월 30일에 확인
    "さとしさかいよんそう: いい眾生於佛所說しょせつゆうしょ證取しょうとりしか於心有我ありがひと、眾生、壽命じゅみょうとうよんしゅあさふかこれしょう。其中,三相皆基於我相而立。そく:(いち)しょういい眾生於涅槃ねはんゆうしょしょうさとるしか其所しょうこころしる而不忘,みとめこれため。()人相にんそういい雖不ふく認證にんしょうためわがしかなおそんわがさとるこれこころ。(さん)眾生しょういい雖已超越ちょうえつわがひとこれしょうしかなおそんりょうしょうりょうさとるこれこころ。(よん) 壽命じゅみょうしょういいこころあきら清淨せいじょうやめさとしちょうこしりょうさとるこれこころしかなおそんのうさとしさとしなお如命せんぞく於內。〔まどかさとし經略けいりゃく疏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