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심불상응행법 (대승아비달마집론·잡집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심불상응행법 (대승아비달마집론·잡집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의 주요 논서인 《대승아비달마집론(大乘だいじょうおもね達磨だるましゅうろん)》과 그 주석서인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だいじょうおもね達磨だるまざつしゅうろん)》에서 설명하고 있는 심불상응행법(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에 대해 다룬다. 심불상응행법에 대한 전체적 · 일반적 내용은 '심불상응행법 문서'에서 다루고 있다.

대승아비달마집론》은 미륵과 함께 인도불교유식학의 총 3기 가운데 제1기의 논사인 무착(ちゃく)이 저술한 논서이고,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은 인도불교유식학의 제3기의 논사인 안혜(あんとし)가 무착의 동생이자 제자인 사자각(さとし)의 주석을 《대승아비달마집론》의 내용과 함께 편찬한 논서이다.[1][2][3]

대승아비달마집론》과 《대승아비달마잡집론》에서는 '심불상응행법(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이라는 낱말의 의미에 대해서는 해설하고 있지 않으며, 그것에 속한 법들을 나열함으로써 심불상응행법을 정의하고 있다.[4][5][6][7] 무착안혜가 '심불상응행법(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이라는 낱말의 의미에 대해 해설하지 않은 이유는 '심불상응행법'이라는 이름 그 자체가 이미 충분히 '마음상응하지 않는, 행온에 속한 '이라는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고 본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무착안혜심불상응행법에 속한 으로 (とく· 무상정(想定そうてい· 멸진정(滅盡めつじんじょう· 무상이숙(無想むそうじゅく· 명근(いのち· 중동분(しゅうどうぶん· (せい· (ろう· (じゅう· 무상(無常むじょう· 명신(めい· 구신(· 문신(文身いれずみ· 이생성(せいせい· 유전(流轉るてん· 정이(ていこと· 상응(相應そうおう· 세속(いきおいそく· 차제(次第しだい· (· (かた· (かず· 화합(和合わごう)의 23가지를 들고 있다.[4][5][6][7][8]

정의[편집]

인도불교유식학의 총 3기 가운데 제1기의 논사인 무착(ちゃく)의 《대승아비달마집론》에서는 '심불상응행법(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이라는 낱말의 의미에 대해서는 해설하고 있지 않으며, 다음 인용문에 나온 바와 같이 그것에 속한 들을 나열함으로써 심불상응행법을 정의하고 있다.

何等なんらめい為心いしん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いいとく想定そうてい滅盡めつじんてい無想むそうじゅくいのち眾同ぶん生老しょうろじゅう無常むじょうめい文身いれずみことせいせい流轉るてんてい異相いそうおうぜいそく次第しだいかたすう和合わごうとう

— 《대승아비달마집론》, 제1권. p. 665b. 한문본

어떠한 것을 심불상응행법(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이라 이름합니까? 득(とく· 무상정(想定そうてい· 멸진정(滅盡めつじんじょう· 무상이숙(無想むそうじゅく· 명근(いのち· 중동분(しゅうどうぶん· 생(せい· 노(ろう· 주(じゅう· 무상(無常むじょう· 명신(めい· 구신(· 문신(文身いれずみ· 이생성(せいせい· 유전(流轉るてん· 정이(ていこと· 상응(相應そうおう· 세속(いきおいそく· 차제(次第しだい· 시(· 방(かた· 수(かず· 화합(和合わごう) 등을 가리킨다.

— 《대승아비달마집론》, 제1권. 17쪽. 한글본

무착이 '심불상응행법(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이라는 낱말의 의미에 대해 해설하지 않은 이유는 '심불상응행법'이라는 이름 그 자체가 이미 충분히 '마음상응하지 않는, 행온에 속한 '이라는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고 본 것으로 여겨진다.

대승아비달마집론》에서 무착은 위와 같이 그 소속된 들을 나열함으로써 심불상응행법을 정의하기 전에 행온(くだり蘊)에 대해 설명하면서, 수온(受蘊)과 상온(そう蘊)을 제외한 심소법(しんしょほう, 마음작용)과 심불상응행법을 총괄하여 행온이라 이름한다고 말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촉소생사(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 이촉소생사(みみ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 설촉소생사(した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 신촉소생사(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 의촉소생사(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의 6사신(ろくおもえ)과, 6사신에 연유해서 (おもえ)의 마음작용이 짓는 갖가지 (ぜん)과 번뇌[ざつしみ]와, 그리고 6사신에 연유해서 (おもえ)의 마음작용(분위차별과 관련하여서는 모든 행온을 대표하는 의미로서의 사의 마음작용을 말함, 이하 동일)이 짓는 갖가지 분위차별(ぶん差別さべつ)이 행온을 구성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 진술에서 무착은 심불상응행법이 '사(おもえ)의 마음작용이 짓는 갖가지 분위차별' 또는 '사(おもえ)의 마음작용의 갖가지 분위차별'일 수 있다는 것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는데, 그러나 아주 명시적으로 그렇다고 언급하고 있지는 않다.[9][10]

うんなん建立こんりゅうぎょう蘊。いいろくおもえ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みみ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はな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した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よし此思おもえづくしょぜんおもえさくざつしみおもえさくぶん差別さべつまたそく此思じょ受及おもえあずかしんしょほう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そうぎょう蘊。

— 《대승아비달마집론》, 제1권. p. 664a. 한문본

어떻게 행온을 건립하게 됩니까?

6사신(ろくおもえ), 즉 안촉소생사(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 안촉에서 생겨난 사(おもえ)의 마음작용) · 이촉소생사(みみ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 이촉에서 생겨난 사의 마음작용) · 비촉소생사(はな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 비촉에서 생겨난 사의 마음작용) · 설촉소생사(した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 설촉에서 생겨난 사의 마음작용) · 신촉소생사(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 신촉에서 생겨난 사의 마음작용) · 의촉소생사(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 의촉에서 생겨난 사의 마음작용)와, 이 같은 6사신[此思]에 연유해서 사(おもえ)의 마음작용이 짓는 갖가지 선(ぜん)과, 이 같은 6사신[此思]에 연유해서 사(おもえ)의 마음작용이 짓는 번뇌[ざつしみ]와, 이 같은 6사신[此思]에 연유해서 사(おもえ)의 마음작용이 짓는 분위차별(ぶん差別さべつ)을 말한다. 달리 말하면[またそく], 이 같은 6사신[此思]과, 수온과 상온을 제외한 그 밖의 다른 심소법(しんしょほう)과, 심불상응행(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을 총괄해서 행온이라 이름한다.

— 《대승아비달마집론》, 제1권. 7쪽. 한글본

하지만, 《대승아비달마집론》의 주석서로, 인도불교유식학의 제3기의 논사인 안혜(あんとし)가 무착의 동생이자 제자인 사자각(さとし)의 주석을 《대승아비달마집론》의 내용과 함께 편찬한 논서인 《대승아비달마잡집론[2]에서는 심불상응행법은 (おもえ)의 마음작용이 짓는 분위차별(ぶん差別さべつ: 상태 · 양태 · 단계 또는 국면의 차별, 즉 여러 가지 상태 · 양태 · 단계 또는 국면)이라고 명확히 진술하고 있다. 즉 (おもえ)의 마음작용(즉 모든 행온)에서 발생하는 갖가지 행위(くだり: 작용 상태, 작용 양태, 작용 단계 또는 작용 국면)를 마치 실재하는 별도의 인 것처럼 삼아서 심불상응행법으로 가설(假設かせつ)한다고 말하고 있다.[11][12]

うんなん建立こんりゅうぎょう蘊。いいろくおもえ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乃至ないし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よし此思おもえづくしょぜんおもえさくざつしみおもえさくぶん差別さべつまたそく此思じょ受及おもえあずかこころ所有しょゆうほう并心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そうぎょう蘊。



雖除受想。一切心所有法及心不相應行。みなぎょう蘊相。しかおもえさいかつ與一よいちきり行為こういしるべくびへんせつためあらわ此義ゆえせつよしおもえづくりぜんほうとうぜんしゃいいとうせつしんとうざつしみしゃいいとうせつむさぼひとし根本こんぽん煩惱ぼんのう及貪とう煩惱ぼんのうぶんしょうぶん煩惱ぼんのうぶん差別さべつしゃいい於思しょはつ種種しゅじゅぎょう假設かせつしん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

—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1권. p. 697a. 한문본

어떻게 행온을 건립하게 됩니까?

6사신(ろくおもえ) 즉 안촉소생사(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 내지 의촉소생사(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와, 이 같은 6사신[此思]에 연유해서 사(おもえ)의 마음작용이 짓는 갖가지 선(ぜん)과, 이 같은 6사신[此思]에 연유해서 사(おもえ)의 마음작용이 짓는 번뇌[ざつしみ]와, 이 같은 6사신[此思]에 연유해서 사(おもえ)의 마음작용이 짓는 분위차별(ぶん差別さべつ)을 말한다. 달리 말하면[またそく], 이 같은 6사신[此思]과, 수온과 상온을 제외한 그 밖의 다른 심소유법(しん所有しょゆうほう)과, 심불상응행(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을 총괄해서 행온이라 이름한다.

수온과 상온은 제쳐놓고 보더라도, 일체의 심소유법과 심불상응행은 모두 '행온의 상[くだり蘊相: 행온에 속한 법이나 성질]'이다. 그러나 사(おもえ)의 마음작용이 가장 뛰어나서 '모든 행온의 상[一切いっさいゆき: 즉 一切いっさいあるき蘊相]'의 으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사(おもえ)의 마음작용만 들어서 말하는 것이다[へんせつ]. 이같은 이치[즉, 사(おもえ)의 마음작용으로 모든 행온을 대표하는 이치]를 명확히 밝혀 드러내기 위해서, [대승아비달마집론에서는] '6사신[おもえ]에 연유하여 짓는 선법[よしおもえづくりぜんほう]' 등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대승아비달마집론에서 언급하는] '선(ぜん)'은 뒤에서 설명할 신(しん) 등의 마음작용을 말한다. [대승아비달마집론에서 언급하는] '번뇌[ざつしみ]'는 뒤에서 설명할 탐(むさぼ) 등의 근본번뇌와 탐(むさぼ) 등의 번뇌에서 분화된[ぶん] 소분번뇌(しょうぶん煩惱ぼんのう: 즉 수번뇌)를 말한다. [대승아비달마집론에서 언급하는] '분위차별[ぶん差別さべつ]'은 '사(おもえ)의 마음작용[즉, 여기서는 모든 행온]에서 발생하는 갖가지 행위(くだり: 작용 상태, 작용 양태, 작용 단계 또는 작용 국면)[於思しょはつ種種しゅじゅぎょう]'를 말하는 것으로 [이것들을] 심불상응행(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으로 가설(假設かせつ)한다.

—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1권. 15-16쪽. 한글본

분류[편집]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2권에서는 23가지 심불상응행법 각각에 대해 해설하고 있다. 그런 후 이들 23가지 심불상응행법들이 어떠한 종류의 분위차별(ぶん差別さべつ)인지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

분위차별은 어떤 분위(ぶん)를 차별(差別さべつ)한다는 것으로, 분위(ぶん, 영어: aspect, phase)는 해당 의 측면 · 상태 · 양태 · 단계 · 국면을 뜻한다. 차별(差別さべつ)의 원래 뜻은 다른 두 가지 이상의 들을 서로 비교하여 그 차이를 구분짓는 것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한 가지 에 대해 말하는 것이므로 그 의 여러 가지 측면 또는 국면 등의 차이를 구분짓는 것 또는 유전하면서 전변할 때 나타내는 여러 가지 상태, 양태 또는 국면 등의 차이를 구분짓는 것, 또는 그렇게 구분지어서 인식하게 된 상태 또는 국면 등을 말한다.

따라서 분위차별(ぶん差別さべつ)은 어떤 의 여러 가지 측면 · 상태 · 양태 · 단계 · 국면들 즉 분위(ぶん)들을 구분짓는 것 또는 그러한 구분에 의해 인식하게 된 측면 · 상태 · 양태 · 단계 · 국면들 즉 분위(ぶん)들을 말한다.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2권에 따르면, 23가지 심불상응행법들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13][14]

  1. 불선증감의 분위차별: - 1가지
  2.  · 심소법의 분위차별: 무상정, 멸진정, 무상이숙 - 3가지, 누적 개수 4가지
  3. (じゅう: 머뭄)의 분위차별: 명근 - 1가지, 누적 개수 5가지
  4. 유사성[相似そうじ]의 분위차별: 중동분 - 1가지, 누적 개수 6가지
  5. [そう: 유위상]의 분위차별:  ·  ·  · 무상 - 4가지, 누적 개수 10가지
  6. 언설[言說げんせつ, 언어]의 분위차별: 명신 · 구신 · 문신 - 3가지, 누적 개수 13가지
  7. 부득(とく)의 분위차별: 이생성 - 1가지, 누적 개수 14가지
  8. 인과(因果いんが)의 분위차별: 유전 · 정이 · 상응 · 세속 · 차제 ·  ·  ·  · 화합 - 9가지, 누적 개수 23가지

如是にょぜとう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ただぶん差別さべつ建立こんりゅう當知とうちみなかりゆういい於善不善ふぜんとう增減ぞうげんぶん差別さべつ建立こんりゅういちしゅ。於心しんほうぶん差別さべつ建立こんりゅうさんしゅ。於住ぶん差別さべつ建立こんりゅういちしゅ。於相似そうじぶん差別さべつ建立こんりゅういちしゅ。於相ぶん差別さべつ建立こんりゅうよんしゅ。於言說げんせつぶん差別さべつ建立こんりゅうさんしゅ。於不得分とくぶん差別さべつ建立こんりゅういちしゅ。於因果いんがぶん差別さべつ建立こんりゅうあまりしゅ

—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2권. p. 701a14-a20. 한문본

이와 같은 심불상응행법은 오직 분위차별(ぶん差別さべつ)에 근거해서 건립되기 때문에 모두가 가유(かりゆう)임을 숙지해야 한다. 선법과 불선법 따위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에 대한 분위차별은 한 종류만을 건립하고, 심법 · 심소법에 대한 분위차별은 세 종류를 건립하고, 주(じゅう)에 대한 분위차별은 한 종류를 건립하고, 상사(相似そうじ)에 대한 분위차별은 한 종류를 건립하고, 상(そう)에 대한 분위차별은 네 종류를 건립하고, 언설에 대한 분위차별은 세 종류를 건립하고, 부득(とく)에 대한 분위차별은 한 종류를 건립하고, 인과에 대한 분위차별은 그 밖의 다른 종류로써 건립한다.

—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2권. p. 38. 한글본

위의 분류 중 8번째의 '인과(因果いんが)의 분위차별'에서, '인과'(因果いんが, 산스크리트어: hetu-phala)는 《대승아비달마잡집론》에 따르면, 일체(一切いっさい)의 유위법 즉 모든 유위법을 통칭하는 말이자 개별 유위법을 가리키는 말인데, 즉 여기서의 (よし)은 모든 유위법이 자신을 제외한 다른 모든 유위법을 낳게 하는 원인이 된다는 의미이고, (はて)는 모든 유위법이 자신을 제외한 다른 모든 유위법으로 인해 생겨난다는 것을 의미한다.[15][16] 즉, 불교의 인과법연기법을 그 최대한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즉 우주의 모든 존재가 상의상대(あいころもしょうまち) 또는 상의상의(あい倚相)하는 관계 즉 서로 의존하는 관계에 있다는 관점에서 바라볼 때의 모든 유위법 전체 또는 개별을 인과(因果いんが)라고 명명한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바라보는 관점을 전통적인 불교 용어로는 인과이시(因果いんがあやとき) 또는 이시인과(あやとき因果いんが)가 아닌 인과동시(因果いんが同時どうじ) 또는 동시인과(同時どうじ因果いんが)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라고 한다. 즉 여기서 말하는 인과인과동시(因果いんが同時どうじ)의 관점에서의 모든 유위법을 말한다.

그리고, 부파불교설일체유부4연(よんえん· 6인(ろくいん· 5과(はて)의 인과설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4연(よんえん· 10인(じゅういん· 5과(はて)의 인과설의 용어로는, 여기서의 (よし)은 4연 가운데 증상연(ぞうじょうえん)[17] 또는 6인 가운데 능작인(のうさくいん)[18] 또는 10인 가운데 불상위인(相違そういいん)[19]으로서의 유위법을 뜻하고, 여기서의 (はて)는 5과 가운데 증상과(ぞうじょうはて)[20]로서의 유위법을 뜻한다.

개별 법의 설명[편집]

대승아비달마집론》과 《대승아비달마잡집론》에서는 23가지 심불상응행법을 들고 있는데, 이들에 대한 두 논서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4][5][6][7]

(1) 득(とく)[편집]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따르면, (, 산스크리트어: prāpti)은 선법(ぜんほう· 불선법(不善ふぜんほう· 무기법(記法きほう)이 증가[ぞう]하거나 혹은 감소[げん]하는 것을 획득(獲得かくとく)과 성취(成就じょうじゅ)로 가립(假立かりだち)한 것이다.[21][22]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의 해설에 따르면, '선법 · 불선법 · 무기법[ぜん不善ふぜん記法きほう]'은 가립(とく)이라는 심불상응행법의 의처(しょ: 의지처, 소의, 어떤 법의 작용이 일어나는 곳 또는 발견되는 곳)를 나타낸다.[23][24]

'증가하거나 혹은 감소하는 것[わかぞうわかげん]'은 (とく)의 자체(自體じたい) 즉 본질적 성질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しん: 믿음)이 증가한 것을 상품(上品じょうひん)의 (しん: 믿음)을 성취했다고 말하고, 또한 (しん: 믿음)이 감소한 것을 하품(上品じょうひん)의 (しん: 믿음)을 성취했다고 말한다.[23][24]

'획득성취로 가립한 것[假立かりだち獲得かくとく成就じょうじゅ]'이라는 것은 (とく)이 실재하는 실법(じつほう)이 아니라 가설적으로 설정한 가법(かりほう)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とく)과 마찬가지로, 심불상응행법에 속한 나머지 들도 그 해당하는 바에 따라 가립된 법들이다.[23][24]

(2) 무상정(想定そうてい)[편집]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따르면, 무상정(想定そうてい, 산스크리트어: asaṃjñi-samāpatti)은 변정천(あまねきよしてん)의 욕망은 떠났으나 아직 그 상위의 하늘[てん] 또는 경지[]의 욕망은 떠나지 못한 상태에서 출리상을 작의[出離しゅつりそう作意さくい]하는 것을 우선으로 삼음으로써, '불항행(恒行つねゆき)의  · 심소[恒行つねゆき心心こころごころしょ]' 즉 '항상 현행하지는 않는 부류에 속한 마음마음작용'이 소멸되는 것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다.[25][26]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의 해설에 따르면, '변정천욕망을 이미 떠난 것[やめはなれへんきよしよく]'은 색계제3정려(むさぼ)을 이미 벗어난 것을 나타낸다.[27][28]

'아직 그 상위의 하늘 또는 경지욕망은 떠나지 못한 것[はなれじょうよく]'은 제4정려와 이보다 상위의 하늘 또는 경지(むさぼ)을 벗어나지 못한 것을 나타낸다.[27][28]

'출리상을 작의하는 것을 우선으로 삼는 것[出離しゅつりそう作意さくいためさき]'은 해탈상(解脫げだつそう)을 작의(作意さくい)하는 것을 전방편(前方ぜんぽう便びん: 작전(さくまえ)의 방편, 즉 어떤 결과를 일으키는 직접적인 수단)으로 삼는 것을 나타낸다. 즉, 무상정과보로서 획득되는 무심(無心むしん)의 경지무상천해탈이라고 여기고 성취하고자 의지하고, 또한 그것을 성취할 수 있게 하는 직접적인 수행을 행하는 것을 뜻한다.[27][28]

'불항행(恒行つねゆき)' 즉 '항상 현행하지는 않는 부류'는 전식(てん識), 즉 전6식(ぜんろく識)을 뜻한다.[27][28]

'소멸되는 것[めつ]'은 선정에 든 마음[ていしん]이 끌어당긴 불항현행(つね現行げんこう) 즉 전6식(ぜんろく識)과 이 6가지 마음들과 상응하는 마음작용들에서 모두 잠시 동안 '소의위의 차별[ところくらい差別さべつ]'이 소멸되는 것을 뜻한다. 즉 아뢰야식전변하여 현행전식(てん識)으로서의 지위와 또 그렇게 아뢰야식과는 구분되는 상태를 잠시 동안 상실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선정에 든 마음[ていしん]이 전6식(ぜんろく識)의 마음마음작용을 모두 소멸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불항행(恒行つねゆき)의 심 · 심소[恒行つねゆき心心こころごころしょ]가 소멸되는 것[めつ]'이라고 표현한 것이다.[27][28]

(3) 멸진정(滅盡めつじんじょう)[편집]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따르면, 멸진정(滅盡めつじんじょう, 산스크리트어: nirodha-samᾱpatti)은 무소유처천(所有しょゆうしょてん)의 욕망[よく]을 이미 떠난 상태에서 다시 유정천(有頂天うちょうてん) 즉 비상비비상처천(そうそうしょてん)을 초월하여 잠시 동안 식상을 작의[いきそう作意さくい]하는 것을 우선으로 삼음으로써, '불항행(恒行つねゆき)의 모든  · 심소[恒行つねゆきしょ心心こころごころしょ]'와 '항행(恒行つねゆき)의 일분의  · 심소[恒行つねゆきいちふん心心こころごころしょめつ]', 즉 '항상 현행하지는 않는 부류에 속한 모든 마음마음작용'과 '항상 현행하는 부류에 속한 마음마음작용의 일부'가 소멸되는 것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다.[29][30]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의 해설에 따르면, 무상정의 경우와는 달리 상계의 욕망[よく]을 떠나지 못한 것을 언급하지 않는 것은 무소유처천(所有しょゆうしょてん) 보다 상위에 있는 3계 중 가장 높은 하늘[てん]인 유정천(有頂天うちょうてん) 즉 비상비비상처천(そうそうしょてん)의 욕망[よく]을 떠난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것은 아라한 등이 하는 선정, 즉, 4향4과 중 최소한 아라한향에 도달한 성인들이 하는 선정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달리 말해, 멸진정아라한부처들이 하는 선정이다.[31][32]

'항행의 일부[いちふん恒行つねゆき]' 즉 '항상 현행하는 부류에 속한 마음마음작용의 일부'는 염오의(しみけがれ)에 속한 마음마음작용을 나타낸다. 즉, 제7 말나식에 속한 마음마음작용을 나타낸다.[31][32]

(4) 무상이숙(無想むそうじゅく)[편집]

대승아비달마집론》과 《대승아비달마잡집론》에 따르면, 무상이숙(無想むそうじゅく, 산스크리트어: asaṃjñika)은 무상유정천(無想むそう有情うじょうてん)에 태어난 것을 말한다. 이 세계에서 '불항행(恒行つねゆき)의  · 심소[恒行つねゆき心心こころごころしょ]' 즉 '항상 현행하지는 않는 부류에 속한 마음마음작용'이 소멸되는 것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다.[33][34][35][36][37]

(5) 명근(いのち)[편집]

대승아비달마집론》과 《대승아비달마잡집론》에 따르면, 명근(いのち, 산스크리트어: jīvitendriya)은 중동분(眾同ぶん)의 수명(壽命じゅみょう)을 말하는 것으로, 태어난 세상에 머무는 시간이 과거의 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다.[38][39][40][41][42]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의 해설에 따르면, '중동분(眾同ぶん)'은 일생 동안 온갖 (蘊)이 상속하는 것을 나타낸다.[40][41]

'태어난 세상에 머무는 시간이 결정되는 것'은 에 의해 견인된 공능(こうのう)의 차별에 따라 중동분(眾同ぶん: 5온의 상속, 곧 유정의 몸과 마음)이 안정되게 머무는 기간에 있어서 예를 들어 백 년 혹은 천 년 식으로 제한이 있는 것을 나타낸다.[40][41]

(6) 중동분(しゅうどうぶん)[편집]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따르면, 중동분(しゅうどうぶん, 산스크리트어: nikāya-sabhāga)은 유정들이 부류에 따라 그들의 자체(自體じたい: 본질적 성질 즉 몸과 마음)가 서로 비슷한 것[自體じたい相似そうじ]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다.[43][44][45]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의 해설에 따르면, '부류에 따라[於種種類しゅるい]'는 인간[ひと]과 천인[てん]과 같은 부류의 차이를 의미한다.[46][47]

'자체가 서로 비슷하다[自體じたい相似そうじ]'는 각 부류별로 같은 종류의 성질[いち種類しゅるいせい]을 가진 것을 나타낸다.[46][47]

(7) 생(せい)[편집]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따르면, (なま, 산스크리트어: jāti, 태어남, 나타남)은 중동분에서 갖가지 (くだり)이 본래 없다가[ほん] (인연화합에 의해) 지금 존재하게 된 것[いまゆう]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다.[48][49] 한편, (せい)은 (せい· (じゅう· (こと· (めつ) 또는 (せい· (じゅう· (ろう· 무상(無常むじょう)의 유위4상(有為ゆういよんそう) 또는 유위상(有為ゆういしょう) 가운데 하나로, 생상(なましょう)이라고도 한다.[50][51]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의 해설에 따르면, 외계의 (いろ) 등에도 생상(なましょう) 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동분에 대해서만 생상 등을 거론하는 이유는 유정상속하는 것에서 유위상(有為ゆういしょう)을 건립하려는 의도에서이다. 이것은 외적인 (いろ) 등의 유위상은 형성[なり, 이루어짐]되고 괴멸[壞, 무너짐]되는 것에서 그 모습이 나타나 보이는 데 비해, 내적인 (くだり)의 유위상은 태어나고[せい] 늙는[ろう] 것 등에서 그 모습이 나타나 보이기 때문이다.[52][53]

(8) 노(ろう)[편집]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따르면, (おい, 산스크리트어: jarā, 늙음)는 중동분에서 갖가지 (くだり)이 상속하면서 변이(變異へんい)하는 것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다.[54][55][56][57] 한편, (ろう)는 (せい· (じゅう· (こと· (めつ) 또는 (せい· (じゅう· (ろう· 무상(無常むじょう)의 유위4상(有為ゆういよんそう) 또는 유위상(有為ゆういしょう) 가운데 하나로, 이상(異相いそう)이라고도 한다.[58][51]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의 해설에 따르면, 외계의 (いろ) 등에도 이상(異相いそう) 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동분에 대해서만 이상 등을 거론하는 이유는 유정상속하는 것에서 유위상(有為ゆういしょう)을 건립하려는 의도에서이다. 이것은 외적인 (いろ) 등의 유위상은 형성[なり, 이루어짐]되고 괴멸[壞, 무너짐]되는 것에서 그 모습이 나타나 보이는 데 비해, 내적인 (くだり)의 유위상은 태어나고[せい] 늙는[ろう] 것 등에서 그 모습이 나타나 보이기 때문이다.[52][53]

(9) 주(じゅう)[편집]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따르면, (じゅう, 산스크리트어: sthiti, vivartasthāyin, 머뭄, 불변괴)는 중동분에서 갖가지 (くだり)이 상속하면서 변이[へん]하거나 소멸[壞]되지 않는 것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다.[59][60][61][62] 한편, (じゅう)는 (せい· (じゅう· (こと· (めつ) 또는 (せい· (じゅう· (ろう· 무상(無常むじょう)의 유위4상(有為ゆういよんそう) 또는 유위상(有為ゆういしょう) 가운데 하나로, 주상(じゅうしょう)이라고도 한다.[63][51]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의 해설에 따르면, 외계의 (いろ) 등에도 주상(じゅうしょう) 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동분에 대해서만 주상 등을 거론하는 이유는 유정상속하는 것에서 유위상(有為ゆういしょう)을 건립하려는 의도에서이다. 이것은 외적인 (いろ) 등의 유위상은 형성[なり, 이루어짐]되고 괴멸[壞, 무너짐]되는 것에서 그 모습이 나타나 보이는 데 비해, 내적인 (くだり)의 유위상은 태어나고[せい] 늙는[ろう] 것 등에서 그 모습이 나타나 보이기 때문이다.[52][53]

(10) 무상(無常むじょう)[편집]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따르면, 무상(無常むじょう, 산스크리트어: anitya, 죽음, 소멸, 없어짐)은 중동분에서 갖가지 (くだり)이 상속하면서 변괴(へん壞: 변하여 무너짐, 변하여 소멸됨, 변하여 없어짐)하는 것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다.[64][65][66][67] 한편, 무상(無常むじょう)은 (せい· (じゅう· (こと· (めつ) 또는 (せい· (じゅう· (ろう· 무상(無常むじょう)의 유위4상(有為ゆういよんそう) 또는 유위상(有為ゆういしょう) 가운데 하나로, 멸상(滅相めっそう)이라고도 한다.[68][51][69][70]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의 해설에 따르면, 외계의 (いろ) 등에도 멸상(滅相めっそう) 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동분에 대해서만 멸상 등을 거론하는 이유는 유정상속하는 것에서 유위상(有為ゆういしょう)을 건립하려는 의도에서이다. 이것은 외적인 (いろ) 등의 유위상은 형성[なり, 이루어짐]되고 괴멸[壞, 무너짐]되는 것에서 그 모습이 나타나 보이는 데 비해, 내적인 (くだり)의 유위상은 태어나고[せい] 늙는[ろう] 것 등에서 그 모습이 나타나 보이기 때문이다.[52][53]

마찬가지로,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의 해설에 따르면, 무상(無常むじょう)에 대한 위의 정의에서 '상속하면서 변괴하는 것[相續そうぞくへん壞]'이란 유정수명이 마치는 때를 가리킨다. 즉, (せい· (じゅう· (こと· (めつ) 또는 (せい· (じゅう· (ろう· 무상(無常むじょう)의 유위상(有為ゆういしょう)은 찰나상속(剎那相續そうぞく)이 아닌 1기상속(一期いっき相續そうぞく: 유정의 한 생애 동안의 상속)에 근거하여 세운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66][67]

(11) 명신(めい)[편집]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따르면, 명신(めい, 산스크리트어: nāmakāya)은 갖가지 (ほう)의 자성(自性じしょう)에 대한 증언(ぞうごと: 의 다른 말로, 명사, 명사적 개념 또는 개념을 뜻함)들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다.[71][72][73]

명신(めい)에서 ()은 의 의미가 아니며 집합 또는 복수를 뜻하는 복수형 접미사 '~들'의 의미이다.[74][75][76] 증언(ぞうげん)은 문자 그대로는 '뛰어난[ぞうじょう] [げん]'이라는 뜻인데 증어(ぞう)라고도 한다. 증언증어(: 명사, 명사적 개념, 개념)의 다른 말인데, (: 즉 개념)은 반드시 자신의 의미를 드러내는 말[かたり]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말[かたり]보다 뛰어나므로[ぞうじょう] 또는 단순한 소리로서의 말[かたり]보다 뛰어나므로 증언(ぞうげん) 또는 증어(ぞう)라고 한다.[77][78][79]

이러한 취지에서 《대승아비달마잡집론》에서는 '자성에 대한 증언[自性じしょうぞうげん]'이란 '천상도[てん· 인간도[ひと· 안근[· 이근[みみ] 등의 사물[こと]에 대해 해설[せつ]하는 것을 말한다[いいせつ天人てんにんみみとうごと]'고 설명하고 있다.[80][81]

(12) 구신()[편집]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따르면, 구신(, 산스크리트어: padakāya)은 갖가지 (ほう)의 차별상에 대한 증언(ぞうごと: 의 다른 말로, 명사, 명사적 개념 또는 개념을 뜻함)들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다.[82][83]

구신()에서 ()은 의 의미가 아니며 집합 또는 복수를 뜻하는 복수형 접미사 '~들'의 의미이다.[84][75][76] 증언(ぞうげん)은 문자 그대로는 '뛰어난[ぞうじょう] [げん]'이라는 뜻인데 증어(ぞう)라고도 한다. 증언증어(: 명사, 명사적 개념, 개념)의 다른 말인데, (: 즉 개념)은 반드시 자신의 의미를 드러내는 말[かたり]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말[かたり]보다 뛰어나므로[ぞうじょう] 또는 단순한 소리로서의 말[かたり]보다 뛰어나므로 증언(ぞうげん) 또는 증어(ぞう)라고 한다.[77][78][79]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의 해설에 따르면, 갖가지 의 '차별상에 대한 증언[差別さべつぞうげん]'이란 '제행은 무상하다[諸行無常しょぎょうむじょう]' 또는 '모든 유정은 반드시 죽는다[一切いっさい有情うじょうとう]' 등과 같이 문장으로 그 뜻하는 바를 해설[せつ] 또는 진술[せつ]하는 것을 말한다. 즉, 무상이라는 증언(즉 명사)을 사용하여 '제행은 무상하다'는 뜻을 진술함으로써 모든 이 가지는 무상이라는 차별상 즉 특정한 상태, 양태 또는 국면을 밝히거나, 유정죽음이라는 증언(즉 명사)을 사용하여 '모든 유정은 반드시 죽는다'는 뜻을 진술하는 함으로써 모든 유정이 가지는 죽음이라는 차별상 즉 특정한 상태, 양태 또는 국면을 밝히는 것 등을 말한다.[85][86] 간단히 말하자면, 구신()이란 갖가지 의 성격을 밝히는 데 사용되는 문장들이다.

(13) 문신(文身いれずみ)[편집]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따르면, 문신(文身いれずみ, 산스크리트어: vyañjana)은 갖가지 명신(めい)과 구신()의 소의(ところ: 의지하는 바)가 되는 모든 음소[, 글자]들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다. 그리고 (ぶん, 산스크리트어: vyañjana)은 (あらわ)이라고도 하는데, (ぶん)이 ()과 ()가 뜻하는 바[よし]를 나타내는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ぶん)은 (, 음소)라고도 하는데, 달라지거나 하지 않기[てん] 때문이다.[87][88]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의 해설에 따르면, '달라지거나 하지 않는다[てん]'는 것은 다음과 같은 것을 뜻한다: 예를 들어, []에 대해서는 []이라는 명칭[]도 있지만 조료도(あきらりょうしるべ)라는 명칭도 있다. 그런데 이라는 명칭이 조료도라는 명칭으로 달라진다고 해서, 이나 조료도가 뜻하는 개념[そう]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이유로 명신(めい)은 달라져도 그것이 가리키는 대상이 변하지 않는 한 명신의 달라짐[てん]은 아무런 문제도 일으키지 않는다. 반면, (ぶん, 음소)의 경우, 예를 들어, 이라는 낱말을 구성하는 'ㄴ'이 어느 순간에 'ㅁ'으로 바뀌었다가 다시 어느 순간에 'ㅇ'으로 바뀐다면, '눈'이 어느 순간에는 '문'이 되었다가 다시 어느 순간에는 '운'이 된다. 이렇게 되면, 명신(めい)과는 달리 문신(文身いれずみ)의 경우에는 가리키는 대상이 변해버리는 일이 일어난다. 그런데 실제로는 이러한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ぶん)은 '달라지거나 하지 않는다[てん]'고 말하며 (ぶん)을 다른 이름으로 (, 음소)라고 칭할 때는 이러한 무이전(てん: 달라짐이 없음, 달라지지 않음)의 뜻을 담아서 칭하는 말이다.[89][90] 참고로, 이러한 견해는 음소낱소리에 대한 현대 언어학의 견해와도 일치한다 (참고: 낱소리 문서). 즉, 현대 언어학에서는 낱소리 또는 음소(Phoneme, 音素おんそ)를 소리내는 언어낱말을 구분시켜주는 이론적인 낱낱의 소리로 정의하며, 한 낱말에서 음소가 바뀌면 그 낱말 자체가 다른 뜻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의 해설에 따르면, 자성(自性じしょう: 자상· 차별(差別さべつ: 차별상· 자성증언(自性じしょうぞうげん, 즉 명신· 차별증언(差別さべつぞうげん, 즉 구신)의 4가지를 합하면 일체(一切いっさい) 즉 우주 전체만법(まんほう)이 된다. 그리고, 명신 · 구신 · 문신의 3가지는 일체(一切いっさい)를 능히 전표(かいひょう: 가리키고 설명하고 표시함)하는 수단이 된다. 간단히 말하자면, 언어만법을 능히 가리키고 설명하고 나타낼 수 있는 수단이라고 《대승아비달마잡집론》에서는 말하고 있다.[89][90]

(14) 이생성(せいせい)[편집]

대승아비달마집론》과 《대승아비달마잡집론》에 따르면, 이생성(せいせい, 산스크리트어: pṛthag-janatva)은 성법(きよしほう, 산스크리트어: ārya-dharma: 성스러운 법 또는 성인의 법, 즉 무루혜)의 부득(とく) 즉 성법(とく)하지 못한 것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다.[91][92][93][94]

(15) 유전(流轉るてん)[편집]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따르면, 유전(流轉るてん, 산스크리트어: pravṛtti)은 인과상속이 끊임이 없는 것 즉 상속부단(相續そうぞく不斷ふだん)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다.[95][96]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의 해설에 따르면, 유전상속이 끊어지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만 적용하여 가립하는 으로, 한 찰나[いち剎那]나 간단(間斷かんだん: 잠깐 끊임, 쉴 사이[97])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않는다.[98][99]

(16) 정이(ていこと)[편집]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따르면, 정이(ていこと, 산스크리트어: pratiniyama)은 인과(因果いんが)의 종종차별(種種しゅじゅ差別さべつ)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다.[100][101]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의 해설에 따르면, '인과종종차별[因果いんが種種しゅじゅ差別さべつ]'이란 가애과(可愛かわいはて: 좋아하고 즐길 만한 결과)의 원인은 묘행(みょうゆき, 즉 선행)이고 불가애과(不可ふかあいはて: 좋아하거나 즐길 수 없는 결과)의 원인은 악행(惡行あくぎょう)인데, 이와 같이 원인에 따라 결과가 전개됨에 있어  · 등에 따른, 변동없는 차별(差別さべつ)이 있는 것을 말한다.[102][103]

(17) 상응(相應そうおう)[편집]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따르면, 상응(相應そうおう, 산스크리트어: samprayukta, 팔리어: sampayutta)은 인과(因果いんが)의 상칭(相稱そうしょう: 문자 그대로의 뜻은 '서로 일컬음', 주전자와 뚜껑처럼 서로 맞아떨어지는 것, 즉 서로 계합함)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다.[104][1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의 해설에 따르면, '인과상칭[因果いんが相稱そうしょう]'은 ( ·  · 무기3성의 관점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원인결과가 서로 순응[そうじゅん]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의 성질의) 보시(布施ふせ)에 연유하여 (무기의 성질인 즐거운 느낌의) 부유함[とみざい]을 초감[かん]하는 것 등을 말한다.[106][107] 즐거움괴로움은 그 느낌으로 인해 이차적으로 또는 을 일으킬 수 있으나 그 자체로는 도 아닌 무기이다.

유가사지론》 제81권에 따르면, 상칭(相稱そうしょう)은 중회(眾會: 무리가 모임) · 응공(おうきょう: 정당히 응하여 대접받음) · 칭법(しょうほう: 법에 계합함[108]· 인의(引義: 뜻을 끌어옴) · 순시(じゅん: 때가 적절함)의 의미가 있다.[109][110]

(18) 세속(いきおいそく)[편집]

대승아비달마집론》과 《대승아비달마잡집론》에 따르면, 세속(いきおいそく, 산스크리트어: java)은 인과(因果いんが)가 신속하게 유전(流轉るてん)하는 것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다. [111][112][113][114] 달리 말하면, 유전(流轉るてん) 즉 '인과 상속이 끊임이 없는 것'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다.

(19) 차제(次第しだい)[편집]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따르면, 차제(次第しだい, 산스크리트어: anukrama)는 인과(因果いんが)가 하나하나씩 유전하는 것[いちいち流轉るてん]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다. 달리 말하면, 유전(流轉るてん) 즉 '인과 상속이 끊임이 없는 것'이 하나하나씩 차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다.[115][116]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의 해설에 따르면, '인과가 하나하나씩 유전하는 것[因果いんがいちいち流轉るてん]'이란 (인과를 이루는 요소()들이) 동시에 전개 또는 전변하지 않는 것[俱轉]을 말한다.[117][118]

(20) 시()[편집]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따르면, (, 산스크리트어: kāla, 시간)는 인과(因果いんが)가 상속하면서 유전하는 것[相續そうぞく流轉るてん]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하여 '시간[]'으로 삼은 것이다.[119][120] 달리 말하면, 유전(流轉るてん) 즉 '인과 상속이 끊임이 없는 것'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하여 '시간[]'이라 명명한 것이다.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의 해설에 따르면, 인과상속하면서 전개 또는 전변하는 일[因果いんが相續そうぞくてん]이 있음으로 인해, 인과'이미 생겨난 후 다시 이미 소멸것[やめなまやめめつ]'과거[過去かこ]라고 명명하고, 인과'아직 생겨나지 않은 것[未生みしょう]'미래[未來みらい]라고 명명하고, 인과'이미 생겨났지만 아직 소멸되지 않은 것[やめなまめつ]'현재[現在げんざい]라고 명명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과거 · 현재 · 미래3세(さんせい)로 이루어진 시간가립할 수 있다.[121][122]

(21) 방(かた)[편집]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따르면, (かた, 산스크리트어: deśa, 방위, 방향, 공간[123])은  ·  ·  · 4방(四方しほう)과 동북 · 동남 · 서북 · 서남4유(よん維)와 (うえ· (した)의 10가지 방위[十方じっぽう]에서 인과(因果いんが)를 차별(差別さべつ)하여 마치 이들 방위 또는 공간들이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다.[124][125]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의 해설에 따르면, '인과(因果いんが) 즉 원인으로서의 이건 결과로서의 이건 (여기서는 색법만을 뜻함)은 10가지 방위[十方じっぽう: 공간 전체]에서 두루 존재하는데[於じゅうぽう因果いんがあまね滿まん]' 즉 입체성을 가지는데, 이에 의거하여 10가지 방위[十方じっぽう]로 차별하여 방위[かた]를 가립한다. 그리고 방위는 오직 색법(いろほう: 물질적 사물)에 속한 인과에 대해서만 세운다. 무색의 법[無色むしょくほう]에 대해 방위[かた]를 세우지 않는 것은 무색의 법이 [그것 자신의] 처소(しょしょ: 공간)에 두루 존재하기는 하지만 방위차별할 만한 공능(こうのう: 능력, 속성, 즉 여기서는 입체성)이 없기 때문이다.[126][127]

달리 말하면, 물질적 사물은 입체적이어서 공간적으로 여러 방향에서 쳐다볼 수 있는데, 그 방향을 10가지로 세워서  ·  ·  ·  · 동북 · 동남 · 서북 · 서남 ·  · 명명하여 생긴 것이 방위 · 방향 또는 공간(무위법인 절대 공간 즉 허공을 말하는 것이 아님)이라는 개념이라고 《대승아비달마잡집론》에서는 말하고 있다.

(22) 수(かず)[편집]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따르면, (かず, 산스크리트어: saṁkhyā, 개수, 수량, 숫자)는 갖가지 (くだり)을 '하나씩 하나씩 차별하는 것[いちいちべつ]'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다.[128][129]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의 해설에 따르면, '하나씩 하나씩 차별하는 것[いちいちべつ]'이란 '1'이란 수량 또는 숫자가 없다면 '2'나 '3' 따위의 수량 또는 숫자를 구별하는 일은 이치에 맞지 않다는 것을 뜻한다.[130][131]

(23) 화합(和合わごう)[편집]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따르면, 화합(和合わごう, 산스크리트어: sāmagrī)은 인과(因果いんが)의 여러 가지 원인[しゅうえん]이 모이는 것[集會しゅうかい]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다.[132][133]

대승아비달마집론》의 해설에 따르면, '인과(因果いんが)의 여러 가지 원인이 모이는 것[因果いんがしゅえん集會しゅうかい]'이란 예를 들어 (識)의 경우처럼 ()이 아직 무너지지 않은 상태에서 [境界きょうかい]이 현전하면  ·  · 3사화합이 있게 되고 그러면 (識)에서 작의(作意さくい: 경각)라는 마음작용이 곧바로 일어나는 것과 같은 것을 말한다. 즉 인과상속하는 중에 여러 가지 원인[しゅうえん]이 화합하여 모이는 것이 일어나야만 비로소 어떤 결과(앞의 의 예에서 작의)가 성립되는데 이와 같은 여러 원인들[しゅうえん]의 화합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 '화합(和合わごう)'이라는 가법(かりほう)이다.[134][135]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각주[편집]

  1. 황욱 1999, 16–17쪽
    "유식학에서는 그 학설의 내용에 따라 인도의 유식학을 3기로 나누어 설명하기도 한다. 제1기는 미륵과 무착의 유식학을 말하고, 제2기는 세친의 유식학을 말하며, 제3기는 護法ごほう[Dharmapāla]과 あんとし[Sthitamati] 등 じゅうだいろん들의 유식학을 의미한다. 한편 제1기와 제2기를 합쳐서 初期しょき唯識ゆいしきがく이라고도 부른다.45)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처음으로 유식학의 이론적 체계를 세운 무착이 유식학에 끼친 공헌은 실로 대단한 것이다. 그것은 미륵이 실존인물인지 아니면 무착 자신인가에 대한 논란과는 별개로 그가 유식학의 주창자로 자리매김 되어도 조금도 부족함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식사상은 신앙적인 면에서 볼 때에는 미륵이 始祖しそ이지만, 실제적이고 역사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무착이 시조라 해도 틀림이 없는 것이다.
    45) とおる, 「初期しょき唯識ゆいしきこころ意識いしき思想しそうはち思想しそう 硏究けんきゅう」, 《唯識ゆいしきこころ思想しそう 硏究けんきゅう》(서울: 佛敎ぶっきょう思想しそうしゃ, 1989), pp.14~15 참조. 이에 의하면 “제1기의 유식학은 초창기의 유식학으로서 후세의 발달된 유식학에 비하여 원시적인 학설로 취급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시대의 유식학을 原始げんし唯識ゆいしき라고도 하며 이때의 주요 논서는 《유가사지론》과 《섭대승론》·《현양성교론》과 《대승아비달마집론》 등을 들 수가 있다. 다음 제2기의 유식학은 세친논사가 무착과 미륵의 유식학을 잘 정리하고 조직화한 것을 말하는데 이때의 유식학을 組織そしき唯識ゆいしきがく이라고도 한다. 이 組織そしき唯識ゆいしきがく의 대표적인 논서는 《대승백법명문론》과 《유식삼십론송》을 들 수가 있다. 그리고 다음 제3기의 유식학은 세친논사 이후에 호법과 안혜 등 십대논사들이 세친의 《唯識ゆいしきさんじゅうろん》을 훌륭한 이론으로 주석하여 유식학을 크게 발달시킨 시기로 이때의 유식학을 發達はったつ唯識ゆいしき라고 한다. 이때의 대표적인 저술로 《유식삼십론송》을 주석한 《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을 들 수 있으며, 《성유식론》은 중국에서 번역되어 法相ほうしょうむねそうまなぶ에 크게 이바지한 논서이기도 하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2. 곽철환 2003, "사자각(さとし)". 2013년 1월 12일에 확인
    "사자각(さとし): 산스크리트어 buddhasiṃha 5세기경, 인도 출신의 승려로, 무착(ちょ)의 제자. 현장(げん奘)이 번역한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だいじょうおもね達磨だるまざつしゅうろん)은 무착이 지은 대승아비달마집론(大乘だいじょうおもね達磨だるましゅうろん)과 그에 대한 사자각의 주석서를 안혜(あんとし)가 혼합하여 편찬한 것임."
  3. 星雲せいうん, "さとし". 2013년 1월 12일에 확인
    "さとし: 梵名 Buddhasijha。音譯おんやくさく佛陀ぶっだそう訶。印度いんどちょ菩薩ぼさつ門人もんじん通達つうたつ密行みっこう,以高ざい聞名於世。げん奘所やくおもね達磨だるまざつしゅうろんじゅうろくかん,乃合もめちょ大乘だいじょうおもね達磨だるましゅう論及ろんきゅうさとししゃくしゃためじゅうささえろんいちだいから西域せいいきまき五阿瑜陀國條載,さとしあずかちょ親等しんとう嘗互いいだいいちはちきゅうろく):「凡修行しゅぎょうぎょうねがい覲慈わかさき捨壽,とくとげ宿やどしんとうそうほう,以知しょいたり。」其後さとしさき捨命,しかさんねん未見みけん其報。後世こうせいしたしまた捨壽,けいろくがつまたところほうときしょことがくみなそしこれ,以為さとしおや流轉るてん惡趣あくしゅれい鑒。其後ちょ菩薩ぼさつ於夜はつぶんぽうため門人もんじん教授きょうじゅ定法じょうほうゆう一天人乘虛而降,つげちょ:「したがえ此捨壽命じゅみょう,往睹てん,慈氏內眾蓮華れんげちゅうせい。(中略ちゅうりゃく)旋繞纔周,そく來報らいほういのち。」またつげちょ:「わが旋繞さとし在外ざいがい眾中,ふけしるほしらくひましょう顧,詎能來報らいほう?」推知すいちさとしがくかい深奧しんおうしかとおる高齡こうれい。〔佛祖ぶっそ歷代れきだいどおりまきよん〕"
  4.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b28 - T31n1605_p0665c02. 심불상응행(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
    "なんとうめい為心いしん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いいとく想定そうてい滅盡めつじんてい無想むそうじゅくいのち眾同ぶん生老しょうろじゅう無常むじょうめい文身いれずみことせいせい流轉るてんてい異相いそうおうぜいそく次第しだいかたすう和合わごうとう。"
  5.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7 / 159. 심불상응행(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
    "어떠한 것을 심불상응행법(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이라 이름합니까? 득(とく)ㆍ무상정(想定そうてい)ㆍ멸진정(滅盡めつじんじょう)ㆍ무상이숙(無想むそうじゅく)ㆍ명근(いのち)ㆍ중동분(しゅうどうぶん)ㆍ생(せい)ㆍ노(ろう)ㆍ주(じゅう)ㆍ무상(無常むじょう)ㆍ명신(めい) ㆍ구신()ㆍ문신(文身いれずみ)ㆍ이생성(せいせい)ㆍ유전(流轉るてん)ㆍ정이(ていこと)ㆍ상응(相應そうおう)ㆍ세속(いきおいそく)ㆍ차제(次第しだい)ㆍ시()ㆍ방(かた)ㆍ수 (かず)ㆍ화합(和合わごう) 등을 가리킨다."
  6.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0a16 - T31n1606_p0700a22. 심불상응행(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
    "なんとうめい為心いしん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いいとく想定そうてい滅盡めつじんてい無想むそうじゅくいのち眾同ぶん生老しょうろじゅう無常むじょうめい文身いれずみことせいせい流轉るてんてい異相いそうおうぜいそく次第しだいかたすう和合わごうとう如是にょぜしん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おう以五もん建立こんりゅう差別さべついいしょ自體じたい假立かりだち作意さくいゆえ無心むしんてい具足ぐそくもん無想むそうてんじゅくじょ作意さくいただはつさん。"
  7.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 33 / 388. 심불상응행(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
    "어떠한 것을 ‘심불상응행법(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이라 이름합니까? 무 상정(想定そうてい)ㆍ멸진정(滅盡めつじんじょう)ㆍ무상이숙(無想むそうじゅく)ㆍ명근(いのち)ㆍ중동분(しゅうどうぶん)ㆍ생(せい)ㆍ노(ろう)ㆍ주(じゅう)ㆍ무상(無常むじょう)ㆍ명신(めい) ㆍ구신()ㆍ문신(文身いれずみ)ㆍ이생성(せいせい)ㆍ유전(流轉るてん)ㆍ정이(ていこと)ㆍ상응(相應そうおう)ㆍ세속(いきおいそく)ㆍ차제(次第しだい)ㆍ시()ㆍ방(かた)ㆍ수 (かず)ㆍ화합(和合わごう) 따위를 가리킨다. 이 같은 심불상응행은 마땅히 오문(五門ごもん)으로 그 차별을 건립하는 것이니, 의처(しょ)에 기인하기 때문이고, 자체적인 바탕에 기인하기 때문이고, 가립(假立かりだち)에 기인하기 때문이고, 작의에 기인하기 때문이고, 지(もち)에 기인하기 때문이니, 두 가지 무심정(無心むしんじょう)에서 5문이 구족된다. 무상천(無想むそうてん)의 이숙에서는 작의가 제외되나 나머지는 오직 초선과 제3선뿐이다."
  8. 星雲せいうん, "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 2013년 1월 11일에 확인
    "しん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 梵語ぼんご citta-viprayukta-sajskāra,ともえとし citta-vippayutta-dhamma。乃俱しゃ唯識ゆいしきとうたい於一切諸法所立五位分類中之第四位。またつく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蘊、いろしん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いろ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蘊、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ほう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不相應ふそうおうゆびぞく於色、しんほうあずか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有為ゆういほう聚集。小乘しょうじょうせつ一切いっさいゆうよしざいいろこころ及心しょそと,另有あずか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じつほう,其體がかり有為ゆういほうまたため五蘊中之行蘊所攝,しょうしん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けい唯識ゆいしきとうのり主張しゅちょう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乃於しょくこころこれぶんしょ假立かりだちしゃなみほう
     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かずだい小乘しょうじょうひとしゆう異說いせつ小乘しょうじょう俱舍舉出どうぶん無想むそうはて想定そうてい滅盡めつじんじょういのちなまじゅうことほろびめい文身いれずみとうじゅうよんしゅ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じゅんせい理論りろんまきじゅうじょう和合わごうせい而立じりつじゅう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これせつしなるいあしろんまき一則かずのり舉出想定そうていめつじょう無想むそうごといのち、眾同ぶんことしょなまおいじゅう無常むじょうせいめい文身いれずみとうじゅうろくほう。此外,分別ふんべつ及犢とうはたずいねむまたけいため不相應ふそうおうほう大乘だいじょう唯識ゆいしきちゅう瑜伽ゆがろんまきさん舉出想定そうてい滅盡めつじんじょう無想むそうじゅくいのち、眾同ぶんなまおいじゅう無常むじょうめい文身いれずみせいせい流轉るてんていこと相應そうおういきおいそく次第しだいときかたかず和合わごう及不和合わごうとうじゅうよんしゅ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大乘だいじょうおもね達磨だるましゅうろんまき一除去不和合而立二十三不相應行法之說。大乘だいじょう五蘊論則舉出得、無想むそうとういたり滅盡めつじんとういたり無想むそう所有しょゆういのち、眾同ぶんなまおいじゅう無常むじょうめい文身いれずみせいせいとうじゅうよんほう。〔俱舍ろんまきよんまきじゅうきゅうにゅうおもね達磨だるまろんまきじょう顯揚けんよう聖教せいきょうろんまきまきじゅうはち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卷一けんいちまき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じゅうまきよんじゅう大乘だいじょうおもね達磨だるまざつしゅうろんまき、俱舍ろんひかりまきよん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えんじまきまつ〕(まいり閱「ななじゅうほう」089、「ひゃくほう」)"
  9.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4a13 - T31n1605_p0664a17. 행온(くだり蘊)과 심불상응행법(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
    "うんなん建立こんりゅうぎょう蘊。いいろくおもえ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みみ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はな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した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よし此思おもえづくしょぜんおもえさくざつしみおもえさくぶん差別さべつまたそく此思じょ受及おもえあずかしんしょほう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そうぎょう蘊。"
  10.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7 / 159. 행온(くだり蘊)과 심불상응행법(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
    "어떻게 행온을 건립하게 됩니까? 6사신(おもえ)을 말하는 것이다. 안촉에서 생겨난 사(おもえ)심소법이고, 이촉에서 생겨난 사심소법이고, 비촉에서 생겨난 사심소법이고, 설촉에서 생겨난 사심소법이고, 신촉에서 생겨난 사심소법이고, 의촉에서 생겨난 사심소법이다. 이 같은 사심소법에 연유해서 사심소법이 갖가지 선업을 짓게 되고, 사심소법이 잡염(ざつしみ)하게 되고, 사심소법에서 분위차별(ぶん差別さべつ)을 짓게 되는 것이다. 또 이 같은 사심소법이 수온과 상온을 제외한, 그 밖의 다른 심소법(しんしょほう)과 심불상응행(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과 함께 하는 것을 총괄해서 행온이라 이름한다."
  11.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1권. p. T31n1606_p0697a05 - T31n1606_p0697a14. 행온(くだり蘊)과 심불상응행법(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
    "うんなん建立こんりゅうぎょう蘊。いいろくおもえ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乃至ないしさわ所生しょせいおもえよし此思おもえづくしょぜんおもえさくざつしみおもえさくぶん差別さべつまたそく此思じょ受及おもえあずかこころ所有しょゆうほう并心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そうぎょう蘊。雖除受想。一切心所有法及心不相應行。みなぎょう蘊相。しかおもえさいかつ與一よいちきり行為こういしるべくびへんせつためあらわ此義ゆえせつよしおもえづくりぜんほうとうぜんしゃいいとうせつしんとうざつしみしゃいいとうせつむさぼひとし根本こんぽん煩惱ぼんのう及貪とう煩惱ぼんのうぶんしょうぶん煩惱ぼんのうぶん差別さべつしゃいい於思しょはつ種種しゅじゅぎょう假設かせつしん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
  12.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1권. pp. 15-16 / 388. 행온(くだり蘊)과 심불상응행법(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
    "어떻게 ‘행온’을 건립하게 됩니까? 여섯 가지 사신(おもえ)을 말하는 것이다. [しゃく] 안촉에서 생겨난 사(おもえ)심소법이고, 이촉에서 생겨난 사심소법이고, 비촉에서 생겨난 사심소법이고, 설촉에서 생겨난 사심소법이고, 신촉에서 생겨난 사심소법이고, 의촉에서 생겨난 사심소법이다. 이 같은 사심소법에 연유해서 사심소법이 갖가지 선업을 짓게 되고, 사심소법이 여러 가지로 물들게 되고, 사심소법에서 분위차별(ぶん差別さべつ)을 짓게 되는 것이다. 또 이 사(おもえ)심소법이 수온과 상온을 제외한, 그 밖의 다른 심소법(しんしょほう)과 심불상응행(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과 함께 하는 것을 총괄해서 ‘행온’이라 이름한다. 비록 수온과 상온을 제외하더라도 일체의 심소법과 심불상응행은 모두 ‘행온의 모양’이다. 그러나 사심소법이 가장 뛰어나기에 일체행과 더불어 그 으뜸이 된다. 그리하여 따로 항목을 나누어 해설하는 것이니, 이같은 이치를 드러내고자 사심소법에 연유하여 선법 따위가 조작된다고 해설하는 것이다. 여기서 ‘선법’은 신 따위의 심소법에서 설명하기로 하고 ‘잡염’은 탐 따위의 심소법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근본번뇌와 탐 따위의 번뇌분은 소분(しょうぶん)의 번뇌에 해당한다. 여기서 ‘분위차별’이란 사심소법에서 발휘되는 갖가지 행의 지위에서 심불상응행을 가설하는 것이다."
  13.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1a14 - T31n1606_p0701a22. 심불상응행법의 분류
    "如是にょぜとう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ただぶん差別さべつ建立こんりゅう當知とうちみなかりゆういい於善不善ふぜんとう增減ぞうげんぶん差別さべつ建立こんりゅういちしゅ。於心しんほうぶん差別さべつ建立こんりゅうさんしゅ。於住ぶん差別さべつ建立こんりゅういちしゅ。於相似そうじぶん差別さべつ建立こんりゅういちしゅ。於相ぶん差別さべつ建立こんりゅうよんしゅ。於言說げんせつぶん差別さべつ建立こんりゅうさんしゅ。於不得分とくぶん差別さべつ建立こんりゅういちしゅ。於因果いんがぶん差別さべつ建立こんりゅうあまりしゅ因果いんがしゃいい一切有為法能生餘故名因。したがえ餘生よせい名果めいか。"
  14.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 38 / 388. 심불상응행법의 분류
    "이와 같은 심불상응행법은 오직 분위차별(ぶん差別さべつ)에 근거해서 건립되기 때문에 모두가 가유(かりゆう)임을 숙지해야 한다. 선법과 불선법 따위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에 대한 분위차별은 한 종류만을 건립하고, 심ㆍ심법에 대한 분위차별은 세 종류를 건립하고, 주(じゅう)에 대한 분위차별은 한 종류를 건립하고, 상사(相似そうじ)에 대한 분위차별은 한 종류를 건립하고, 상(そう)에 대한 분위차별은 네 종류를 건립하고, 언설에 대한 분위차별은 세 종류를 건립하고, 부득(とく)에 대한 분위차별은 한 종류를 건립하고, 인과에 대한 분위차별은 그 밖의 다른 종류로써 건립한다. 여기서 ‘인과’란 일체의 유위법이 능히 그밖에 다른 것을 생기게 하는 까닭에 인이라 이름하고, 또 그 밖의 다른 것에 따라 생겨나기 때문에 과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15.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1a20 - T31n1606_p0701a22. 인과(因果いんが)
    "因果いんがしゃいい一切有為法能生餘故名因。したがえ餘生よせい名果めいか。"
  16.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 38 / 388. 인과(因果いんが)
    "여기서 ‘인과’란 일체의 유위법이 능히 그밖에 다른 것을 생기게 하는 까닭에 인이라 이름하고, 또 그 밖의 다른 것에 따라 생겨나기 때문에 과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17. 운허, "ぞうじょうえん(증상연)". 2013년 2월 9일에 확인
    "ぞうじょうえん(증상연): 【범】 adhipati-pratyaya 4연의 하나. 다른 것이 생겨 나는 데 힘을 주어 돕는 여력증상연(與力よりきぞうじょうえん)과 다른 것이 생겨 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부장증상연(さわぞうじょうえん)의 2종이 있다. 예를 들면 곡식에게 적당한 온도와 비를 주는 것은 여력증상연, 폭풍이 불지 않는 등은 부장증상연."
  18. 운허, "のうさくいん(능작인)". 2013년 2월 9일에 확인
    "のうさくいん(능작인): 【범】 kāraṇa-hetu 6인(よし)의 하나. 모든 만물이 날 적에, 그 자체를 제하고 다른 모든 것들이 능작인(のうさくいん)이 되는 것을 말함. 이것에는 여력(與力よりき)과 부장(さわ)의 2종이 있다. 여력능작인이란 만물이 생기는데 힘을 주는 것이므로 직접 결과를 내는 힘은 없으나, 간접적으로 나게 하는 힘이 있는 것을 말한다. 부장능작인이란 결과가 생기는 것을 돕지는 못하나 그 생기는 것을 방해하지는 않는다는 뜻."
  19. 운허, "じゅういん(십인)". 2013년 2월 9일에 확인
    "じゅういん(십인): 또는 십종인(じゅうしゅよし). 유식종에서 인과 관계에 대하여 세운 4연(えん)을 다시 분석하여 10종으로 나눈 것. (1) 수설인(ずいせついん). 언어(言語げんご)를 말함. 우리가 견문각지(見聞けんぶんさとし)함에 따라 그 뜻을 말하기 때문임. (2) 관대인(かんまちいん). 몸과 마음이 낙(らく)을 구하여 수용할 적에 그 얻은 데 대하여, 구하는 원인이 된 것을 관대인이라 하니, 고()는 낙(らく)의 관대이고, 기갈(飢渴きかつ)은 음식의 관대. (3) 견인인(牽引けんいんいん). 습기(習氣)를 말함. 물(もの)ㆍ심(しん)의 온갖 법은 견문각지할 때마다 아뢰야식에 훈습(熏習)하며, 이것이 원인이 되어서 장차 연(えん)을 만나면 물ㆍ심의 온갖 현상을 내거니와, 이것이 야뢰야식 중에 있어서 아직 현실로 특수한 과를 끌어오지 아니하였을 적에, 벌써 그 자체에 어떤 결과를 인생(引生)할 정성(定性ていせい)이 있으므로, 종자를 견인인이라 함. (4) 생기인(なま起因きいん). 위에 말한 종자가 진정한 자과(はて)를 내는 편에서 종자를 말하는 것. (5) 섭수인(受因). 유루법ㆍ무루법이 성립하는데 섭수(受)하는 것을 말하니, 무간멸(あいだめつ)ㆍ경계(境界きょうかい)ㆍ근()ㆍ작용(作用さよう)ㆍ사용(よう)ㆍ진실견(實見じっけん)의 여섯을 말함. (6) 인발인(引發いん). 아뢰야식 중의 종자와 현행(現行げんこう)이 선ㆍ악ㆍ무기()의 세 성질을 갖추어, 자기의 동류(同類どうるい)나 자기 이상으로 수승한 힘이 있는 온갖 법을 인발(引發)하는 것. (7) 정이인(ていいん). 정별인(じょうべついん)이라고도 함. 온갖 법의 자성공능(自性じしょうこうのう)의 차별성을 말함. 곧 선인(ぜんいん)은 선과(善果ぜんか)를, 악인(惡因あくいん)은 악과(あくはて)를, 물(もの)은 물(もの), 심(しん)은 심(しん), 이와 같이 각자가 다른 것과 다른 결정된 자성이, 자성의 원인인 것을 말함. (8) 동사인(どうこといん). 제1을 제하고, 제2 관대인에서 정이인까지의 여러 인(よし)과 같이 과(はて)를 끌어오며, 과(はて)를 이루기 위하여 화합하여 일을 함께 하는 인(よし)을 말함. (9) 상위인(相違そういいん). 과(はて)를 내는 것과 과를 내는 데 장애(障礙しょうがい)가 되는 것. (10) 불상위인(相違そういいん). 과(はて)를 내며, 과(はて)를 이루는 데 그것을 순익(じゅんえき)하는 것을 말함. ⇒인발인(引發いん)"
  20. 운허, "ぞうじょうはて(증상과)". 2013년 2월 9일에 확인
    "ぞうじょうはて(증상과): 【범】 Adhipati-phala 어떤 유위법이 생길 때에 자기 이외의 다른 일체법이 직접으로 힘을 주거나, 또는 방해하지 않거나 하여 이같은 도움을 받는 관계로 생기게 되는 것. 곧 다른 일체 것이 능작인(のうさくいん)이 되어서, 그 증상력(ぞう上力じょうりき)에 의하여 생긴 결과."
  21.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c02 - T31n1605_p0665c03. 득(とく)
    "何等なんらためとくいい於善不善ふぜん記法きほうわかぞうわかげん假立かりだち獲得かくとく成就じょうじゅ。"
  22.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7 / 159. 득(とく)
    "어떠한 것이 득(とく)입니까? 선법(ぜんほう)ㆍ불선법(不善ふぜんほう)ㆍ무기법(記法きほう)이 늘어나거나 또는 줄어든다고 임시로 세워서[假立かりだち] 그 성취를 일으키는 것이다."
  23.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0a23 - T31n1606_p0700a28. 득(とく)
    "とくしゃいい於善不善ふぜん記法きほうわかぞうわかげん假立かりだち獲得かくとく成就じょうじゅぜん不善ふぜん記法きほうしゃあらわしょわかぞうわかげんしゃあらわ自體じたいなに以故。よしゆうぞうせつめい成就じょうじゅ上品じょうひんしんじとうよしゆうげんせつめい成就じょうじゅ下品げひんしんじとう假立かりだち獲得かくとく成就じょうじゅしゃあきら假立かりだち如是にょぜ於餘ずい其所おう建立こんりゅう當知とうち。"
  24.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p. 33-34 / 388. 득(とく)
    "어떠한 것이 ‘득(とく)’입니까? 선법(ぜんほう)ㆍ불선법(不善ふぜんほう)ㆍ무기법(記法きほう)이 늘어나거나 또는 줄어든다고 가립(假立かりだち)하여 그 성취를 일으키는 것이다. 선법ㆍ불선법ㆍ무기법에서 늘어나거나 또는 줄어든다고 가립(假立かりだち)하여 획득이라 하는 것이다. [しゃく] ‘선법ㆍ불선법ㆍ무기법’이란 의처를 드러내는 것이고, ‘늘어나거나 또는 줄어든다는 것’은 그 자체적인 바탕을 드러내는 것이다. 왜냐하면 늘어나는 것에 연유하는 까닭에 상품의 신(しん) 따위를 ‘획득’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획득을 가립한다는 것’이란 가립을 드러내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그 밖의 다른 것에 있어서도 그 상응하는 바에 따라 건립됨을 숙지해야 한다."
  25.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c03 - T31n1605_p0665c05. 무상정(想定そうてい)
    "何等なんら想定そうていいいやめはなれへんきよしよくはなれじょうよく出離しゅつりそう作意さくいためさきゆえ。於不恒行つねゆき心心こころごころしょめつ假立かりだち想定そうてい。"
  26.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7 / 159. 무상정(想定そうてい)
    "어떠한 것이 무상정 불상응행법입니까? 변정천(あまねきよしてん)의 욕을 이미 여의었으나 그 상계(うえかい)의 욕을 미처 여의지 못했기에 그 출리상(出離しゅつりそう)을 작의 심소법에 앞세우는 까닭이다. 그 불항행(恒行つねゆき)의 심ㆍ심소가 소멸되는 것을 임시로 세워서 무상정이라 한다."
  27.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0a29 - T31n1606_p0700b06. 무상정(想定そうてい)
    "想定そうていしゃいいやめはなれへんきよしよくはなれじょうほっ出離しゅつりそう作意さくいためさきゆえ。於不恒行つねゆき心心こころごころほうめつ假立かりだち想定そうていやめはなれへんきよしよくしゃやめはなれだいさんしずかおもんばかむさぼはなれじょうほっしゃはなれだい四靜慮已上貪。出離しゅつりそう作意さくいためさきしゃ解脫げだつそう作意さくいため前方ぜんぽう便びんつね行者ぎょうじゃてん識所めつしゃいいていしんしょ引不つね現行げんこうしょ心心こころごころほう暫時ざんじあいだめつしょくらい差別さべつ。以能ほろびめいめつ。"
  28.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 34 / 388. 무상정(想定そうてい)
    "어떠한 것이 ‘무상정(想定そうてい)불상응행법’입니까? 변정천(あまねきよしてん)의 욕을 이미 여의었으나 그 상계(うえかい)의 욕을 미처 여의지 못했기에 그 출리상(出離しゅつりそう)을 작의(作意さくい) 심소법에 앞세우는 까닭이다. 그 불항행(恒行つねゆき)의 심ㆍ심소가 소멸되는 것을 가립하여 무상정이라 한다. [しゃく] ‘변정천의 욕을 이미 여읜 것’이란 이미 제3정려의 탐을 여읜 것이다. ‘그상계의 욕을 미처 여의지 못했다는 것’이란 제4정려 이상의 탐을 미처 여의지 못한 것이다. ‘그 출리상을 작의 심소법에 앞세운다는 것’이란 해탈상(解脫げだつそう)의 작의를 작전(さくまえ)의 방편으로 삼는 것이다. ‘불항행’이란 전식(てん識)에 수렴하는 것이다. ‘소멸된다는 것’이란 정심에 끌려진 불항행이 현행해서 모든 심ㆍ심법이 잠시동안 의존하는 지위의 차별을 소멸시키는 것이니, 능히 소멸하는 까닭에 ‘소멸’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29.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c05 - T31n1605_p0665c08. 멸진정(滅盡めつじんじょう)
    "何等なんら滅盡めつじんじょういいやめはなれ所有しょゆうしょほっ超過ちょうかゆういただき暫息そう作意さくいためさきゆえ。於不恒行つねゆきしょ心心こころごころしょ及恒ぎょういちふん心心こころごころしょめつ假立かりだち滅盡めつじんてい。"
  30.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7 / 159. 멸진정(滅盡めつじんじょう)
    "어떠한 것이 멸진정 불상응행법입니까? 무소유처의 욕을 이미 여의고서 유정천을 초월하되 그 잠식상(暫息そう)을 작의 심소법에 앞세우는 까닭이다. 모든 불항행의 심ㆍ심소와 항행(恒行つねゆき)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심ㆍ심소가 소멸하는 것을 임시로 세워서 멸진정이라 한다."
  31.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0b07 - T31n1606_p0700b11. 멸진정(滅盡めつじんじょう)
    "滅盡めつじんじょうしゃいいやめはなれ所有しょゆうしょほっ超過ちょうかゆういただき。暫息そう作意さくいためさきゆえ。於不恒行つねゆきしょ心心こころごころほう及恒ぎょういちふん心心こころごころほうめつ假立かりだち滅盡めつじんじょう。此中所以ゆえん不言ふげんはなれじょうほっしゃためあきらはなれゆういただきほっ阿羅漢あらかんとうまたとく此定ゆえいちふん恒行つねゆきしゃいいしみ污意しょ。"
  32.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 34 / 388. 멸진정(滅盡めつじんじょう)
    "어떠한 것이 ‘멸진정(滅盡めつじんじょう)불상응행법’입니까? 무 소유처의 욕을 이미 여의고서 유정천을 초월하되 그 잠식상(暫息そう)을 작의심소법에 앞세우는 까닭이다. 모든 불항행의 심ㆍ심소와 항행(恒行つねゆき)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심ㆍ심소가 소멸하는 것을 가립하여 멸진정이라 한다. 여기에서 그 상계의 욕을 미처 여의지 못한 것을 언급하지 않은 이유는 유정천의 욕을 여읜 것을 드러내려는 것이니, 아라한 따위도 역시 이 같은 정을 획득하기 때문이다. [しゃく] ‘항행의 일부분’이란 염오의(しみけがれ)에 수렴된 것을 말한다."
  33.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c08 - T31n1605_p0665c10. 무상이숙(無想むそうじゅく)
    "何等なんら無想むそうじゅくいいやめなま無想むそう有情うじょうてんちゅう。於不恒行つねゆき心心こころごころしょめつ假立かりだち無想むそうじゅく。"
  34.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8 / 159. 무상이숙(無想むそうじゅく)
    "어떠한 것이 무상이숙 불상응행법입니까? 무상(無想むそう)의 유정천(有情うじょうてん)에 이미 태어난 것을 가리킨다. 불항행의 심ㆍ심소가 소멸하는 것을 임시로 세워서 무상이숙이라 한다."
  35.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0b12 - T31n1606_p0700b13. 무상이숙(無想むそうじゅく)
    "無想むそうじゅくしゃいいやめなま無想むそう有情うじょうてん。於不恒行つねゆき心心こころごころほうめつ假立かりだち無想むそうじゅく。"
  36.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 34 / 388. 무상이숙(無想むそうじゅく)
    "어떠한 것이 ‘무상이숙(無想むそうじゅく)불상응행법’입니까? 무상(無想むそう)의 유정천(有頂天うちょうてん)에 이미 태어난 것을 가리킨다. 불항행의 심ㆍ심소가 소멸하는 것을 가립하여 무상이숙이라 한다."
  37. 星雲せいうん, "無想むそうはて". 2013년 1월 29일에 확인
    "無想むそうはて: 梵語ぼんご āsajjñika。ゆびおさむ想定そうてい死後しごますにゅう無想むそうてんいちしゅ果報かほうまたさく無想むそうむくい無想むそうごと無想むそうじゅく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いちいいせい無想むそうてんしゃ,其心、しんしょ悉滅,而呈無意識むいしき狀態じょうたい外道げどういい此為涅槃ねはんかい現世げんせいおさむ想定そうてい死後しごのりせい於彼てんぶた以無想定そうていためいん感得かんとく一種非色非心之境界,使つかいしんしんしょせい,此非しょくしん境界きょうかい,乃無想定そうていじゅくはてしょう無想むそうはておもね毘曇毘婆すなろんまきよんじゅうよんだいはちさんさんさんちゅう):「凡夫ぼんぷじんいれ想定そうていとく無想むそうはて。」〔俱舍ろんまき〕"
  38.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c10 - T31n1605_p0665c11. 명근(いのち)
    "何等なんらいのちいい於眾どうぶんさきぎょうしょ引。じゅう決定けってい假立かりだちいのち。"
  39.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0 / 159. 명근(いのち)
    "어떠한 것이 명근 불상응행법입니까? 중동분에 있어서 예전의 업에 감득(感得かんとく)하는 것이니, 그 머무는 때의 결정을 임시로 세워서 명근이라 하는 것이다."
  40.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0b14 - T31n1606_p0700b17. 명근(いのち)
    "いのちしゃいい於眾どうぶんさきぎょう所感しょかんじゅう決定けってい假立かりだち壽命じゅみょう。眾同ぶんしゃ。於一せいちゅうしょ相續そうぞくじゅう決定けっていしゃひとしなんじしょれい眾同ぶんつねとく安住あんじゅうあるけいひゃくねんあるせんねんとうよしぎょうしょ引功のう差別さべつ。"
  41.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p. 34-35 / 388. 명근(いのち)
    "중동분(しゅうどうぶん)에 있어서 예전의 업에 감득(感得かんとく)하는 것이니, 그 머무는 때의 결정을 가립하여 수명이라 한다. [しゃく] ‘중동분’이란 일생 동안 여러 온이 상속하는 것이다. ‘머무는 때가 결정된다는 것’이란 시간적으로 제한받는 바가 평등하게 중동분에 처해서 언제나 안정되게 머무를 수 있는 것이니, 백 년이나 천 년 동안 그 수명이 이어지는 것도 업에 인도된 공능의 차별에 연유하는 것이다."
  42. 星雲せいうん, "いのち". 2013년 1월 29일에 확인
    "いのち: 梵語ぼんご jīvitendriya。そく有情うじょう壽命じゅみょう。俱舍むね唯識ゆいしきむね以之為心いしん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いちまたため俱舍ななじゅうほういち唯識ゆいしきひゃくほういちよし過去かここれぎょうしょ引生,有情うじょう身心しんしんざいいちしたがえ受生此世以至死亡しぼう相續そうぞくあいだ維持いじ煖(體溫たいおんあずか識者しきしゃ,其體ためことぶき換言かんげん煖與識而維持いじいちあいだしゃそくしょうためいのち
     佛教ぶっきょう各派かくはたいいのちかりじつほういち佛教ぶっきょうせつ一切いっさいゆう」以命ためじつゆうけい大乘だいじょう佛教ぶっきょう以命ためかりほう,而非じつゆう。如成唯識ゆいしきろんまきいち於第はち識之「名言めいげん種子しゅしじょうよし過去かここれぎょうしょ牽引けんいん而可よりゆき以執、維繫此世身命しんめいしゃ,其功のう具有ぐゆう決定けっていしょくしんとうじゅう長短ちょうたん差別さべつゆかりとげ假立かりだちためいのち。〔しなるいあしろん卷一けんいちはつさとしろんまきじゅうよん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いちろく、俱舍ろんまき〕(まいり閱「ことぶき」5770)"
  43.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c11 - T31n1605_p0665c12. 중동분(しゅうどうぶん)
    "何等なんら眾同ぶんいい如是にょぜ如是にょぜ有情うじょう。於種種類しゅるい自體じたい相似そうじ假立かりだち眾同ぶん。"
  44.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8 / 159. 중동분(しゅうどうぶん)
    "어떠한 것이 중동분 불상응행법입니까? 이러이러한 모든 유정들이 종류에 따라 그 자체가 서로 비슷한 것을 임시로 세워서 중동분이라 한다."
  45. 星雲せいうん, "眾同ぶん". 2013년 1월 29일에 확인
    "眾同ぶん: 梵語ぼんご nikāya-sabhāga。略稱りゃくしょうどうぶん(梵 sabhāga)。俱舍ななじゅうほういち唯識ゆいしきひゃくほういち唯識ゆいしき、俱舍むね以其為心いしん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いちゆび眾生てきともせいあるきょういんそく眾多有情うじょう具有ぐゆう同類どうるいせいある使つかい有情うじょう眾生とく同等どうとう類似るいじ果報かほういんぶんそくいん
     どうぶん可分かぶんため有情うじょうどうぶん(梵 sattva-sabhāga)あずかほうどうぶん(梵 dharma-sabhāga)しゅ。(いち)有情うじょうどうぶんまたさく眾生どうぶん可分かぶんため:(1)使つかい一切有情眾生同等類似之同分,しょうため差別さべつ(梵 abhinna)どうぶん。(2)有情うじょう眾生ずいちょ三界さんがいきゅうおとこおんな畜生ちくしょうとう分別ふんべつ,而各なり一類いちるいしか於自るいとうちゅう,卻具有ぐゆう共同きょうどう性質せいしつ。此種かくべつどうぶんしょうためゆう差別さべつ(梵 bhinna)どうぶん。()ほうどうぶんゆび有情うじょうしょこれ五蘊ごうんじゅうしょじゅうはちかいとうほうるいほう相似そうじ。如色ほう相互そうご類似るいじ左右さゆう相互そうご類似るいじどうぶんまた於說一切いっさいゆう主張しゅちょうどうぶん具有ぐゆう實體じったいけい大乘だいじょうそく以為どうぶん乃假ほう。〔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じゅうななじゅんせい理論りろんまきじゅう、俱舍ろんまきよんまき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卷一けんいち、俱舍ろんひかりまきよんまき〕(まいり閱「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1396)"
  46.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0b18 - T31n1606_p0700b20. 중동분(しゅうどうぶん)
    "眾同ぶんしゃいい如是にょぜ如是にょぜ有情うじょう於種種類しゅるい自體じたい相似そうじ假立かりだち眾同ぶん。於種種類しゅるいしゃ。於人てんとう種類しゅるい差別さべつ。於自體じたい相似そうじしゃ。於一種類しゅるいせい。"
  47.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 18 / 388. 중동분(しゅうどうぶん)
    "어떠한 것이 ‘중동분(しゅうどうぶん)불상응행법’입니까? 이러이러한 모든 유정들이 종류에 따라 그 자체가 서로 비슷한 것을 가립하여 중동분이라 한다. [しゃく] ‘종류에 따르는 것’이란 인간이나 천상 따위의 종류를 차별하는 것이다. ‘그 자체가 서로 비슷하다는 것’이란 동일한 종류의 성품이다."
  48.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c12 - T31n1605_p0665c13. 생(せい)
    "何等なんらためせいいい於眾どうぶん諸行しょぎょうほんこんゆう假立かりだちためせい。"
  49.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8 / 159. 생(せい)
    "어떠한 것이 생 불상응행법입니까? 중동분에서의 제행에는 본래 금생의 유(ゆう)가 없으나 임시로 세워서 생이라 한다."
  50. 星雲せいうん, "せい". 2013년 1월 29일에 확인
    "せい: 梵語ぼんご jāta ある jāti,ともえとし jāti。ゆび生起せいきゆうれつ
     (いち)じゅう緣起えんぎだいじゅういちささえまたつくなまささえゆびよし過去かここれぎょうりょく而正かく結以ゆい當來とうらいはてよりどころ俱舍ろんまききゅうこれせつ,此係ゆびざい來世らいせたく胎結せいいち剎那。しか唯識ゆいしきむねさく廣義こうぎ解釋かいしゃくみとめためしたがえ中有ちゅうういたり本有ほんゆうなお老衰ろうすいあいだみなためせい支所ししょ。〔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まきろく〕(まいり閱「じゅう因緣いんねん」337)
     ()よんそういちそくせいしょう有為ゆういほうしたがえ未來みらいせい於現在位ざいいさい,此生ゆういち催生りょく,其力わかよし實體じったいらい理解りかいそくせいしょう。(まいり閱「よんそう」1732)
     (さん)よんゆういちそくなまゆう今生こんじょうたく胎受せい剎那生存せいぞん。受生しゃしょうため結生ゆき、受生;胎生たいせいしゃのりしょうたく胎、託生たくしょう。(まいり閱「よんゆう」1688)
     (よん)はちけいあずかはち相對そうたいいちためめつ對稱たいしょうはちけいそくなまほろびつねだんいちこと。(まいり閱「はち中道ちゅうどう」275)
     ()ゆび生存せいぞん生涯しょうがいとうそく反覆はんぷく生死せいしけい過多かたなましょうため多生たしょう現在げんざい生存せいぞんしょうため今生こんじょう過去かこ未來みらい生存せいぞんしょうため他生たしょう
     (ろく)ゆび眾生受生差異さい,而有各種かくしゅ分類ぶんるいれい如九るいせいそくゆび胎、たまごしめとうよんせいさいじょう有色ゆうしょく無色むしょくゆうおもえ無想むそうゆうおもえ無想むそうとうしゃ;而於此九しゃちゅう除去じょきょゆうおもえ無想むそうさいじょう有色ゆうしょく無色むしょくゆうおもえ無想むそうとうよんしゃのりしょうためじゅうるいせい。〔ほう蘊足ろんまきじゅうじゅんせい理論りろんまきじゅう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きゅうまきじゅうさん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まきろく〕"
  51. 星雲せいうん, "よんそう". 2013년 1월 29일에 확인
    "よんそう: (いち)ゆび顯示けんじ諸法しょほう生滅しょうめつ變遷へんせんなまじゅうことめつとうよんそうまたさくよん有為ゆういよん有為ゆういしょうよんほんしょうぞく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
     (いち)小乘しょうじょうせつ一切いっさいゆうせつよりどころはつさとしろんまきだい毘娑すなろんまきさんじゅうはちまきさんじゅうきゅう、俱舍ろんまきとう,一切有為法均為無常,雖由於因えんりょくしたがえ未來みらいせいいたりげん在位ざいいしか瞬間しゅんかんそくほろび,而成ため過去かこ。此種なりため過去かこ現象げんしょうしょうため落謝、しゃめつ。此生滅しょうめつ變遷へんせん有為ゆういほう流轉るてん於未らい現在げんざい過去かことうさんせいちゅう
     (1)せい(梵 jāti),またさくせいしょうそく有為ゆういほうしたがえ未來みらいせいいたりげん在位ざいい。(2)じゅう(梵 sthiti),またさくじゅうしょうそく有為ゆういほう安住あんじゅう於現在位ざいい。(3)こと(梵 anyathātva),またさく異相いそうそく有為ゆういほう於現在位ざいい變異へんいおとろえそん。(4)めつ(梵 anityatā),またさく滅相めっそうそく有為ゆういほうしたがえげん在位ざいいめつてんいたり過去かこしかふえ一阿含經卷十二、經卷きょうかん一等いっとうのり僅說せいおいとうさん有為ゆういしょう
     一切有為法皆具上記之四相,而此四相之自體亦為有為法,須另ゆうれい其生、じゅうことめつほうそく生生せいせいじゅうじゅうことめつめつよんしゃしょうためずいしょうしょうしょう相對そうたい於此,なまじゅうことめつそくしょうほんしょうだいしょうぶた有為ゆういほう生成せいせい必須ひっす具有ぐゆうきゅうほうそくほう自體じたい,及よんほんしょうよんずいしょう,此九ほう同時どうじ俱起,かけいち不可ふか。其中,よんほん相之あいの作用さようかくわたる於除本身ほんみがいはちほう;而四ずい相之あいの作用さようのり僅及於各個かっこほんしょう一法いっぽうしょうためはちいち有能ゆうのうはちいちこうのう。此作よう交互こうご相續そうぞく而永あやま
     ゆう主張しゅちょう剎那生滅しょうめつ四相於一剎那間俱有,またそくろくいんよんえん因緣いんねん和合わごうとう生起せいきせいしょう乃至ないし滅相めっそうしか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さんじゅうはち,就上記じょうき四相而稱為剎那有為相、ほそ有為ゆういしょう勝義まさよしたい有為ゆういしょうはんこれ,就いち相續そうぞく有為ゆういしょうしょうためぶん有為ゆういしょうほぼ有為ゆういしょう俗諦ぞくたい有為ゆういしょうそくゆびじん初生しょせいなましょう少壯しょうそうじゅうしょう諸根もろねおとろえそんおいしょう死時しにどき死相しそうまた北本きたもと涅槃ねはん經卷きょうかんじゅう,以生、おいやめよんしょうためいちよんそうよんそう。〔法華ほっけ經卷きょうかんいち序品じょぼんじゅんせい理論りろんまき十三じゅうざおもね達磨だるま顯宗けんそうまきなな
     ()小乘しょうじょうけいせつよりどころ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さんじゅうはちまきさんじゅうきゅう、俱舍ろんまきとうけい就諸ほう相續そうぞく而假りつよんそう主張しゅちょうよんそう假立かりだち否定ひていゆう有體ありていよんそうじつゆうせつなみ駁斥於生相之あいのがい,藉因えん生起せいき諸法しょほうせついい諸法しょほう生起せいき僅藉因緣いんねんりょく
     (さん)小乘しょうじょう其餘もろせつよりどころ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さんじゅうはちたとえ喻者いいよんそう假立かりだち分別ふんべつろんしゃいいよんそう無為むいほうみつ以生、じゅうこととうまえさんそういい有為ゆうい,以滅しょういい無為むい相似そうじ相續そうぞく沙門しゃもんいいしょくよんそうためしょくしんよんそう為心いしんせいりょうそく以色ほうためいち相續そうぞくこえこうあじさわとうしんしんしょほうため剎那生滅しょうめつほう上部じょうぶけんかぶと、犢子密林みつりん山部やまべひとし說法せっぽうあずかせいりょうしょうどうおもんみ其內ようしょう。〔ことむねろん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まきなななりろんまきなな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ひん十唯識述記卷上、まき
     (よん)大乘だいじょう法相ほうしょう宗之むねゆきせつよりどころ瑜伽ゆがろんまきよんじゅうろくまきじゅういちまき八十八やそはち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まきとう記載きさい法相ほうしょうむねまた主張しゅちょうよんそう假立かりだち無體むたい」。就剎而言,有為ゆういほう因緣いんねんちからゆかりほん而今ゆう,乃屬暫有かえしゃため表示ひょうじ無為むい而假りつよんそう。以本こんゆうしょうゆうためせい」,暫停於生そくたたえじゅう」,じゅう前後ぜんこう變異へんいそくしょうこと」,以暫ゆうかえしょうめつためめつ」。其中,なまじゅうさんしゃためゆう」,同屬どうぞく現在げんざいめつため」,のりぞく過去かこ。就いちぶん而言,はつゆうしょうためせいしょうためめつやめなま相似そうじ相續そうぞくしょうためじゅうじゅう相續そうぞく轉變てんぺんしょうためことまた無論むろん剎那あるいちみな以前いぜんさんそうため現在げんざい滅相めっそうため過去かこしかゆう主張しゅちょう未來みらい有體ありていとげ以生しょうため未來みらい滅相めっそうため現在げんざい
     ()さんろん宗之むねゆきせつ:僅立せいじゅうめつ さんそういい萬物皆各有其有為相。〔じゅうもんろん觀相かんそうもん
     (ろく)大乘だいじょうおこりしんろんまき中之なかのせつため顯示けんじはじめさとしかえめつこれぶんひとし,而將不覺ふかく流轉るてんもん順序じゅんじょ寄與きよよんそうそく於三ほそろくあらきゅうそうちゅう,以業しょう寄與きよせいしょう,以見しょうさかいしょうさとししょう相續そうぞくしょう寄與きよじゅうしょう,以執あいけい名字みょうじしょう寄與きよ異相いそう,以起業きぎょうしょう寄與きよ滅相めっそう此而顯示けんじ其粗ほそこれしょう
     (なな)しゃく訶衍ろんまき三之さんのせつ:(1)なましょう根本ねもと無明むみょう薰染くんせんほんさとししょ生起せいきどく力業ちからわざしょう獨力どくりょくずいしょう、俱合どう相等そうとう三種細相稱為生相。(2)じゅうしょうなましょうしょ三相之住位稱為住相,ゆうてんしょうげんそうさとししょう相續そうぞく相等そうとうよんしゅ。(3)異相いそう於住しょう而起,其行しょうややどん生起せいき我執がしゅうどう口之くちのぎょうゆうあいけい名字みょうじしょう。(4)滅相めっそう於異しょう而起,ぎょうしょうさいあらのうづくりもろぎょう而受はてゆう起業きぎょうしょうごう繫苦しょう
     此外,ちゅうかん學派がくはそく以不せい不滅ふめつそうやぶ一切いっさいほうみとめため所謂いわゆる生滅しょうめつしゃひとしがかり虛妄きょもう分別ふんべつためおどけろん產物さんぶつ。(まいり閱「有為ゆうい」2445 )
     ()たい有為ゆういほうよんしゅ觀相かんそう。(いち)自性じしょうしょうかん有為ゆういほう其自せいこれしょうたいさかい如翳,能見のうみ如星,識體如燈,みなまどかいき幻滅げんめつ。()ちょしょじゅうあじしょうたいしょじゅううつわ世間せけんあじちょあい,此為顛倒てんとうちょ顛倒てんとうさかいかん其如まぼろし。(さん)隨順ずいじゅん過失かしつしょう隨順ずいじゅん無常むじょう受等過失かしつこれしょうかん其畢竟如朝露あさつゆ如水にょすいあわ。(よん)隨順ずいじゅん出離しゅつりしょうかん過去かこ現在げんざい未來みらいさんせい所有しょゆう,如夢、如電じょでん、如雲,而隨順ずいじゅん無我むが出離しゅつりどう。〔きむつよし般若はんにゃろんまききむつよしけい疏論纂卷きむつよしけい纂要かんじょうまきなな
     (さん)ゆびばと什譯金剛こんごう般若はんにゃ波羅蜜はらみつけい所說しょせつ,眾生たい個體こたい心身しんしんしょ錯執よんしゅしょうまたさくよん我人われひとよんそう、識境よんそうそく:(いち)しょういい眾生於五蘊ごうんほうちゅう,妄計わがわが所為しょいじつゆう。()人相にんそういい眾生於五蘊ごうんほうちゅう,妄計わがなま於人どうためじん,而異於其あまり諸道しょどう。(さん)眾生しょういい眾生於五蘊ごうんほうちゅう,妄計わがいろ、受、おもえくだり、識五蘊ごうん和合わごう而生。(よん)ことぶきしゃしょういい眾生於五蘊ごうんほうちゅう,妄計わがいちしたがえなまいたり壽命じゅみょう長短ちょうたん不一ふいついんじん而異。"
  52.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0b21 - T31n1606_p0700b25. 생(せい)
    "生者しょうじゃいい於眾どうぶん諸行しょぎょうほんこん有性ゆうせい假立かりだちためせいといがい諸色しょしきとうまた有生ゆうせいしょう何故なぜただ舉眾どうぶん耶。こたえため有情うじょう相續そうぞく建立こんりゅう有為ゆういしょうゆえ所以ゆえんしゃなにそと諸色しょしきとう有為ゆうい相成あいな壞所あらわ。內諸ぎょう有為ゆういしょう生老しょうろとうしょあらわ。"
  53.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 35 / 388. 생(せい)
    "어떠한 것이 ‘생(せい)불상응행법’입니까? 중동분에서의 제행에는 본시 금생의 유(ゆう)가 없으나 가립하여 생이라 한다. 외부의 갖가지 색 따위도 역시 생겨나는 모양이 있는데, 어째서 중동분만을 거론합니까? 유정이 상속하는 것에서 ‘유위의 모양’을 건립하려는 까닭이다. 왜냐하면 외부의 갖가지 색 따위의 유위의 모양은 그 이루어지고 무너지는 것에서 나타나 보이지만 내부적인 모든 행의 ‘유위의 모양’은 생ㆍ노 따위에서 나타나 보이기 때문이다."
  54.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c13 - T31n1605_p0665c14. 노(ろう)
    "何等なんらためろういい於眾どうぶん諸行しょぎょう相續そうぞく變異へんい假立かりだちためろう。"
  55.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8 / 159. 노(ろう)
    "어떠한 것이 노 불상응행법이라고 합니까? 중동분에서 제행이 상속하여 다르게 변화하는 것을 임시로 세워서 늙는 것[ろう]이라 한다."
  56.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0b25 - T31n1606_p0700b26. 노(ろう)
    "ろうしゃいい於眾どうぶん諸行しょぎょう相續そうぞく變異へんいせい假立かりだちためろう。"
  57.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 35 / 388. 노(ろう)
    "어떠한 것이 ‘노(ろう)불상응행법’입니까? 중동분에서 모든 행의 상속이 변이하는 것을 가립하여 늙는 것이라 한다."
  58. 星雲せいうん, "ろう". 2013년 1월 29일에 확인
    "ろう: 梵語ぼんご jarā。唯識ゆいしきむねじゅうよん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いちいろこころ諸法しょほう相續そうぞく變異へんいしょうためろうせいおいじゅう無常むじょうしょうためよんそうろうのり相當そうとう於有異相いそうじゅう緣起えんぎだい十二支じゅうにしため老死ろうしまたなまろう病苦びょうくしょうためよん。(まいり閱「じゅう因緣いんねん」337、「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1396、「老死ろうし」2507)"
  59.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c15 - T31n1605_p0665c16. 주(じゅう)
    "何等なんらためじゅういい於眾どうぶん諸行しょぎょう相續そうぞく不變ふへん壞。假立かりだちためじゅう。"
  60.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8 / 159. 주(じゅう)
    "어떠한 것이 주 불상응행법입니까? 중동분에서 제행이 상속하여 파괴되지 않는 것을 임시로 세워서 머무는 것[じゅう]이라 한다."
  61.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0b26 - T31n1606_p0700b27. 주(じゅう)
    "じゅうしゃいい於眾どうぶん諸行しょぎょう相續そうぞく不變ふへん壞性。假立かりだちためじゅう。"
  62.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 35 / 388. 주(じゅう)
    "어떠한 것이 ‘주(じゅう)불상응행법’입니까? 중동분에서 모든 행의 상속이 변하여 소멸되지 않는 것을 가립하여 머무는 것이라 한다."
  63. 星雲せいうん, "じゅうしょう". 2013년 2월 1일에 확인
    "じゅうしょう:  ためよんそういちじゅう梵語ぼんご sthiti。ためせつ一切有部及法相宗心不相應行法之一。有為ゆういほう生滅しょうめつあいだ相續そうぞく不斷ふだん使つかい法體ほうたい於現ざい暫時ざんじ安住あんじゅう各行かくこうはてしゃしょうためじゅうしょう。〔俱舍ろんまき〕(まいり閱「よんそう」1732)"
  64.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c16 - T31n1605_p0665c17. 무상(無常むじょう)
    "何等なんら無常むじょういい於眾どうぶん諸行しょぎょう相續そうぞくへん壞。假立かりだち無常むじょう"
  65.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8 / 159. 무상(無常むじょう)
    "어떠한 것이 무상 불상응행법입니까? 중동분에서 제행이 상속하여 변하여 없어지는 것을 임시로 세워서 무상이라 한다."
  66.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0b27 - T31n1606_p0700c01. 무상(無常むじょう)
    "無常むじょうしゃいい於眾どうぶん諸行しょぎょう相續そうぞくへん壞性。假立かりだち無常むじょう相續そうぞくへん壞者。いい捨壽當知とうち此中相續そうぞく建立こんりゅうせいとう剎那。"
  67.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 35 / 388. 무상(無常むじょう)
    "어떠한 것이 ‘무상(無常むじょう)불상응행법’입니까? 중동분에서 모든 행의 상속이 변이하는 것을 가립하여 무상이라 한다. [しゃく] ‘변이한다는 것’이란 수명을 마치는 때를 가리키는 것이니, 여기에서 그 상속하는 지위에 의거하여 생 따위를 건립하는 것이지 찰나(刹那せつな)에 의거하지 않는 것임을 숙지해야 한다."
  68. 星雲せいうん, "滅相めっそう". 2013년 2월 1일에 확인
    "滅相めっそう: よん有為ゆうい相之あいのいちまたさく滅盡めつじん無常むじょういい有為ゆうい諸法しょほう於剎あいだ壞滅かいめつ而入於過去かここれしょうまたため真如しんにょさんそういち,俱舍ななじゅうほういち唯識ゆいしきひゃくほういち真如しんにょ寂滅じゃくめつ分段ぶんだんへんえきしゅ生死せいししょうため滅相めっそう法華ほっけ經卷きょうかんさん藥草やくそう喻品(だいきゅういちきゅうちゅう):「如來にょらい說法せっぽういちそう一味いちみ所謂いわゆる解脫げだつしょうはなれしょう滅相めっそう。」此外,有情うじょうまたたたえためめつよりどころなりろんまき七不相應行品之說,於有情うじょういち相續そうぞくじょうみとめ其生、じゅうことめつべつ,其死曰滅。〔ぞう一阿含經卷十二、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さんじゅうはちにゅうおもね達磨だるまろんまき〕"
  69. 星雲せいうん, "無常むじょう". 2013년 2월 1일에 확인
    "無常むじょう: 梵語ぼんご anitya,ある anityatā,ともえとし anicca。音譯おんやくおもね儞怛也。ため常住じょうじゅう對稱たいしょうそくいい一切有為法生滅遷流而不常住。一切有為法皆由因緣而生,なまじゅうことめつよんそう,於剎あいだ生滅しょうめつ,而為ほんこんゆうこんゆう總稱そうしょう無常むじょうよりどころ大智たいちろんまきよんじゅうさん舉出しゅ無常むじょうそく:(いち)念念ねんねん無常むじょうゆび一切有為法之剎那生滅。()相續そうぞく無常むじょうゆび相續そうぞくほう壞滅かいめつ,如人壽命じゅみょうつきのり死滅しめつ。另據べんちゅうあたりろんまきちゅうしょ舉,就遍、えんさんせい而有無性むしょう無常むじょう生滅しょうめつ無常むじょうあかきよし無常むじょうべつそく:(いち)あまねけいところせい,其體ぜんしょう無性むしょう無常むじょうもの無常むじょう。()おこりせいえんせい諸法しょほうゆう生滅しょうめつおこりつきしょう生滅しょうめつ無常むじょうおこりつき無常むじょう。(さん)まどかしげるせい,其位乃由あか轉變てんぺんなりきよししょうあかつき無常むじょうゆうあか無垢むく無常むじょう上述じょうじゅつせつ僅以えんせい有為ゆうい諸法しょほうため無常むじょう,且認ためえんなりせいほうまた含有がんゆう轉變てんぺん無常むじょうまたよりどころ顯揚けんよう聖教せいきょうろんまきじゅうよんなり無常むじょうひん,舉出無性むしょう無常むじょうしつ無常むじょううたて無常むじょう別離べつり無常むじょうとく無常むじょうとうゆう無常むじょうとうろくしゅ;另舉剎那もん相續そうぞくもんやまいもんろうもんもんしんもんうつわもん受用じゅようもんとうはちしゅ無常むじょうまた大乘だいじょうおもね達磨だるまざつしゅうろんまき六則明示十二種無常之相,そくゆうしょう壞滅かいめつしょう變異へんいしょう別離べつりしょう現前げんぜんしょうほうなんじしょう、剎那しょう相續そうぞくしょうやまいとうしょう種種しゅじゅしんぎょうてんしょう資產しさんきょうおとろえしょううつわなり壞相。另入楞伽經卷きょうかん七無常品中載有外道之八種無常。  此外,觀世かんぜ相之あいの無常むじょうしょう無常むじょうかん非常ひじょうかん說明せつめい無常むじょう旨趣ししゅ頌,しょう無常むじょう安置あんちびょうそうどういんしょう無常むじょういん無常むじょうどう延壽えんじゅどう。〔ざつおもね含經卷一けんいちまきじゅうまきよんじゅうなな北本きたもとだい涅槃ねはん經卷きょうかんじゅうよんほう經卷きょうかんじょう、維摩經卷きょうかんじょう大智たいちろんまきじゅうきゅうまきじゅうさん瑜伽ゆがろんまきじゅうはち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まきはち〕(まいり閱「つね無常むじょう」4530)"
  70. 星雲せいうん, "めつ". 2013년 2월 1일에 확인
    "めつ:  (いち)梵語ぼんご vyupaśama。寂滅じゃくめつ略稱りゃくしょうそく涅槃ねはんだつ生死せいし進入しんにゅう寂靜じゃくじょう無為むい境地きょうちしょうため入滅にゅうめつ。(まいり閱「涅槃ねはん」4149、「寂滅じゃくめつ」4505)  ()梵語ぼんご anityatā。滅盡めつじんまたさく滅相めっそう無常むじょうためよんそういちいい有為ゆうい諸法しょほうみな具有ぐゆう剎那あいだ壞滅かいめつ性質せいしつまた有情うじょうまたたたえためめつ。(まいり閱「無常むじょう」5109)  (さん)梵語ぼんご vinaya 意譯いやく音譯おんやくさく毘奈耶。そく律藏りつぞう、毘尼ぞうためけいりつろん三藏さんぞういち。乃佛しょせいゆうせき比丘びく比丘尼びくにきん戒。(まいり閱「毘奈耶藏」3850)  (よん)四諦したいいちめつたい(梵 nirodha-satya)略稱りゃくしょう。(まいり閱「四諦したい」1840、「めつたい」5510)"
  71.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c17 - T31n1605_p0665c18. 명신(めい)
    "何等なんらめいいい於諸ほう自性じしょうぞうげん假立かりだちめい。"
  72.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8 / 159. 명신(めい)
    "어떠한 것이 명신 불상응행법입니까? 제법의 자체적인 성품에서 그 언설이 늘어나는 것을 임시로 세워서 명신이라 한다."
  73. 星雲せいうん, "". 2013년 2월 1일에 확인
    "めい: 梵語ぼんご nāman。音譯おんやく為心いしん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いち。俱舍ななじゅうほういち唯識ゆいしきひゃくほういち通常つうじょう指名しめいしょう而言,しかざい佛學ぶつがくじょう解釋かいしゃくのりためずい音聲おんせいよび召物たい使つかいじん聞其めい心中しんちゅうの浮現物體ぶったいこれしょうのうれいじん生起せいきさとしとしよりどころ俱舍ろんまきめいさくそう;如說しょくこえこうあじとうそう。此係はたあずか主觀しゅかん印象いんしょうれん繫起らい而論,また稱名しょうみょうそうまたいんあずか事物じぶつそうじょう一致いっちまた稱名しょうみょうしょうわか就「含有がんゆう確定かくてい內容而言,のりしょうため名義めいぎ。另據俱舍ろんひかりまき舉出,「ゆうしたがえ、赴、召等しょそくのうずい音聲おんせいかえり赴於さかいよび召色とう事物じぶつ同書どうしょなみ舉出,「のうかいあらわよし」,而使人生じんせいさとしとし
     せき於名種類しゅるいよりどころ俱舍ろんひかりまき舉出めいめいめいさんしゅれい如,しょくあるこうとう單一たんいつしょうためめい色香いろか二字合併之複字,しょうためめい;而さん以上いじょう色香いろかあじある色香いろかあじさわひとしのりしょうためめい。此係就「いちせい」而論,わかためせいのり稱名しょうみょうよん稱名しょうみょう,六字以上稱多名身;わかためせいのりじゅん類推るいすい
     另就「」、「」、「ぶんさんしゃ關係かんけい而論:ぶん(梵 vyañjana,音譯おんやく便びんぜん),そくゆび,如阿、とうぶんためめいこれしょ,其自體じたいそくよしぶん連續れんぞく使用しようはじめ構成こうせい事物じぶつ名稱めいしょう此方こちらのう表示ひょうじ事物じぶつ個別こべつ意義いぎ(梵 pada,音譯おんやくばち陀),そく連結れんけつめいなりため一個完整意義之章句,如「はな紅色こうしょくてき一句いっく。此三者皆為心不相應行法之一。ぶん種類しゅるいあずかめいあいどうわかため兩兩りょうりょう並列へいれつしゃしょうため文身いれずみさん以上いじょう並列へいれつしゃしょうため文身いれずみ
     ゆう主張しゅちょうめいぶん自體じたいはなれごえためじつゆうしかけい唯識ゆいしきのり主張しゅちょうためかりゆう。此外,大乘だいじょう般若はんにゃがくあずか對立たいりつおこりらいはじめろん真空しんくうろんそくみとめためめいしょう概念がいねんがかり客體かくたい而非本體ほんたい,以其すんで不能ふのう反映はんえい客觀きゃっかん真實しんじつせいまた不能ふのうよう以表たちあずか把握はあく客觀きゃっかん真實しんじつせい以此否定ひてい客觀きゃっかん事物じぶつ實在じつざいせい。〔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じゅうよん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まき大乘だいじょうおもね達磨だるまざつしゅうろんまきなり唯識ゆいしき論述ろんじゅつまきまつ大乘だいじょう義章よしあきまきだい乘法じょうほうえんよしはやしあきらまき一本いっぽん〕(まいり閱「ぶん」1420、「」1625)"
  74. 星雲せいうん, "めい". 2013년 2월 1일에 확인
    "めい: 梵語ぼんご nāmakāya。為心いしん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いちゆびひょうかい自性じしょう名字みょうじ名目めいもくとうゆうせき聚之そくせきしゅうめい以上いじょうしゃしょうためめいよりどころ俱舍ろんひかりまきしょ舉,めい有名ゆうめいめいめいさんしゅまためいゆうそくいちせいせいせいゆびさんせい以上いじょうしゃ)。わか就「いちせい」而論,のりしょくあるこうとういちしょうためめい色香いろか二字合併之複字,しょうためめい;而さん以上いじょうしゃしょうためめいわか就「せい」而論,のり稱名しょうみょうよん稱名しょうみょう,六字以上者稱為多名身。わか就「せい」而論,のりさんせいさん稱名しょうみょうろく稱名しょうみょう,九字以上者稱為多名身。〔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じゅうよん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まき大乘だいじょう義章よしあきまき〕(まいり閱「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1396、「」2254)"
  75. 곽철환 2003, "신()". 2012년 9월 26일에 확인
    "신():
    ① 산스크리트어 kāya 몸. 신체.
    ② 산스크리트어 ātman 나. 자신.
    ③ 산스크리트어 janma 생존.
    ④ 산스크리트어 kāya 신근(身根しんこん)의 준말.
    ⑤ 산스크리트어 kāya 인식 주체. 인식 작용을 일으키는 주체.
    ⑥ 산스크리트어 kāya 모임·종류의 뜻으로, 어미에 붙어 복수를 나타냄."
  76. 星雲せいうん, "". 2012년 9월 27일에 확인
    ":
     (いち)梵語ぼんご kāya。音譯おんやく迦耶。ぞく六根ろっこんだいそく身根しんこんゆび觸覺しょっかく器官きかん皮膚ひふ及其機能きのうしかゆう主張しゅちょう身根しんこん乃眼しょ能見のみ精妙せいみょう物質ぶっしつきよししょく),またそくゆび勝義まさよし而言。しか通常つうじょう所說しょせつあずかこころ並稱へいしょうため身心しんしん與語よごあるくち)、並稱へいしょう語意ごいある身口意しんくいのりがかりゆび身體しんたい肉體にくたい而言。
     ()集合しゅうごうそく附加ふか語尾ごび表示ひょうじ複數ふくすうかたり,如ろく識身。
     (さん)梵語ぼんご śarīra。こつ遺骨いこつ。(まいり閱「舍利しゃり」3495)"
  77. 星雲せいうん, "ぞうさわ". 2013년 2월 1일에 확인
    "ぞうさわ:  ためゆうたいさわ對稱たいしょうゆびあずかだい六意識相應之意觸。さわ乃緣ぶつ」而予以分べつしょうぞうさわぞうゆうぞうじょう,乃無かいひょうこえ,其聲殊勝しゅしょうしゃいいしょう此名ためぞうえん此增所緣しょえん而稱ためぞうさわ。〔俱舍ろんまきじゅう〕"
  78.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10권. p. T29n1558_p0052c02 - T29n1558_p0052c13. 증어(ぞう)
    "そくぜん六觸復合為二。頌曰。
     相應そうおうゆうたい だいろく俱增
    ろん曰。とう五觸說名有對。以有たい為所しどころだい六意觸說名增語。所以ゆえんしかしゃぞういいめいめいさわ所緣しょえんちょうさかいへん就此めいぞうさわ。如說眼識がんしきただしのうりょうあおりょうあお意識いしきりょうあおまたりょうあおめいためちょうゆうたいさわめいしたがえしょぞうさわめい就所えんりつゆうせつ意識いしきためぞう上方かみがた於境てん五識ごしきしか意識いしきどくめいぞうあずか此相おうめいぞうさわゆうたいさわめいしたがえしょぞうさわめい就相おうりつ。"
  79.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10권. pp. 465-466 / 1397. 증어(ぞう)
    "바로 앞에서 논설한 6촉은 다시 종합되어 두 가지가 된다. 게송으로 말하겠다.
     다섯 가지와 상응하는 것은 유대(ゆうたい)이며
     여섯 번째와 구기하는 것은 증어(ぞう)이다.
     相應そうおうゆうたい だいろく俱增
    논하여 말하겠다. 안() 등의 5촉(さわ)을 설하여 유대촉(ゆうたいさわ)이라 이름하니, 유대의 근(공간적 점유성을 갖는 5근)을 소의로 삼았기 때문이다. 제6 의촉(さわ)을 설하여 증어촉(ぞうさわ)이라고 이름한다.29) 여기서 '증어'란 이를테면 명()을 말하는데, '명'은 바로 의촉이 소연으로 삼는 장경(ちょうさかい)이기 때문에 이것만을 따로이 설하여 증어촉이라고 이름한 것이다.30) 이를테면 마치 "안식은 단지 푸르다는 사실만을 능히 인식할 뿐 '푸른 것'[이라는 명 즉 개념]을 인식하지 못하지만, 의식은 푸르다는 사실도 인식할 뿐더러 '푸른 것'[이라는 명]도 역시 인식한다"고 설하는 것과 같다.31) 그래서 [증어촉의 소연을] '장경'이라 이름한 것이다. 따라서 유대촉의 명칭이 소의에 따라 설정된 것이라면 증어촉의 명칭은 소연에 근거하여 설정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어떤 이는 설하기를, "의식은 말을 증상(ぞうじょう : 즉 표준이 되는 근거)으로 삼아 비로소 경계로 전전(てんてん)하지만 5식은 그렇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의식만을 유독 '증어'라고 이름하였으며, 이것과 상응하는 촉을 '증어촉'이라고 이름하였다. 따라서 유대촉이라는 명칭은 소의에 따른 것이라면, 증어촉이라는 명칭은 상응에 근거하여 설정된 것이다"고 하였다.
    29) 증어촉(adhivacana-sa parsa)은 구역에서는 의언촉(げんさわ)이라고 하는데, 언어적 개념[, n ma]을 소연으로 삼는 촉이다. 즉 '증어'란 '명' 의 다른 명칭으로, 『광기』에 의하면 반드시 자신의 의미를 드러내는 '명'이 말[かたり]보다 뛰어나기 때문에, 말을 뛰어난 방편으로 삼아 비로소 그 의미를 드러내기 때문에, 명의 세력에 의해 말이 뛰어나게 되기 때문에 '증어'라고 이름하였다.
    30) 증어촉의 소연인 '명'은 전5촉 즉 유대촉의 그것(유대색)에 비해 탁월하고도 수승한 특장(特長とくちょう)의 경계이기 때문에 장경(ちょうさかい, adhikam lambana)이다.
    31) 즉 전자가 감성적 인식이라면 후자는 오성적 인식이다."
  80.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0c02 - T31n1606_p0700c03. 명신(めい)
    "めいしゃいい於諸ほう自性じしょうぞうげん假立かりだちめい自性じしょうぞうげんしゃいいせつ天人てんにんみみとうごと。"
  81.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 36 / 388. 명신(めい)
    "어떠한 것이 ‘명신(めい)불상응행법’입니까? 제법의 자체적인 성품에 처해서 그 언설이 늘어나는 것을 가립하여 명신이라 한다. [しゃく] ‘자체적인 성품에 처해서 그 언설이 늘어난다는 것’이란 천상과 인간의 눈ㆍ귀 따위의 일을 가리키는 것이다."
  82.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c18 - T31n1605_p0665c19. 구신()
    "假立かりだちめい何等なんらいい於諸ほう差別さべつぞうげん假立かりだち"
  83.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8 / 159. 구신()
    "어떠한 것이 구신 불상응행법입니까? 제법의 차별에서 그 언설이 늘어나는 것을 임시로 세워서 구신이라 한다."
  84. 星雲せいうん, "". 2013년 2월 2일에 확인
    ":  梵語ぼんご padakāya。ため唯識ゆいしきむねじゅうよん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いち,俱舍むねじゅうよん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いち,乃詮ひょう事物じぶつ義理ぎりしゃ集合しゅうごうわか集合しゅうごうしょ構成こうせいいちかんせい思想しそうそくしょうため。如「諸行無常しょぎょうむじょう諸法しょほう無我むが涅槃ねはん寂靜じゃくじょうとう,乃表たちかんせい思想しそうしょう。另有一說いっせついいわか集合しゅうごう以上いじょうしゃまたたたえ。如單うん諸行しょぎょう」、「諸法しょほうとうしょうためしかわかうん諸行無常しょぎょうむじょう」、「諸法しょほう無我むが」,のりがかり集合しゅうごうしょうまたいちまたしょう。如楞とぎ經卷きょうかんだいいちろくよんきゅうよんちゅう):「しゃいいゆう自性じしょう決定けってい究竟きゅうきょう名句めいく。」〔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じゅうよん、俱舍ろんまき、俱舍ろんひかりまき〕(まいり閱「」1625)"
  85.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0c04 - T31n1606_p0700c05. 구신()
    "しゃいい於諸ほう差別さべつぞうげん假立かりだち差別さべつぞうげんしゃいいせつ諸行無常しょぎょうむじょう一切有情當死等義。"
  86.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 36 / 388. 구신()
    "어떠한 것이 ‘구신()불상응행법’입니까? 제법의 차별에 처해서 그 언설이 늘어나는 것을 가립하여 구신이라 한다. [しゃく] ‘차별에 처해서 그 언설이 늘어난다는 것’이란 제행이 무상하기에 일체의 유정은 반드시 죽게 된다는 이치를 말하는 것이다."
  87.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c19 - T31n1605_p0665c21. 문신(文身いれずみ)
    "何等なんら文身いれずみいい於彼しょしょ假立かりだち文身いれずみ。此言文者もんじゃのうあきらかれゆえ。此又めいあらわのうあらわかれゆえ。此復名字みょうじてん。"
  88.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8 / 159. 문신(文身いれずみ)
    "어떠한 것이 문신 불상응행법입니까? 두 가지에 의지하는 각종 문자를 임시로 세워서 문신이라 한다. 이 문이란 그 두 가지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또 현(あらわ)이라고도 이름하니 능히 그 의미를 표현하기 때문이다. 이것을 또 명자(名字みょうじ)라고도 하니, 그 의미가 이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89.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0c06 - T31n1606_p0700c15. 문신(文身いれずみ)
    "[ろん] 文身いれずみしゃいい於彼しょしょ假立かりだち文身いれずみ
    [しゃく] かれしょしょしゃいい自性じしょう差別さべつぞうげんしょしょ如[褒-+]いち鄔等。また自性じしょう差別さべつ及此二言にごんそう一切いっさい如是にょぜ一切由此三種之所詮表。建立こんりゅうさんため名句めいく文身いれずみ
    [ろん] 此言文者もんじゃのうあきらかれゆえ。此又めい顯能あきよしあきらよし。此復名字みょうじてんゆえ
    [しゃく] 所以ゆえんしゃなに。如眼めいこと。此名がいさらゆうあきらりょうしるべとう異名いみょうあらためてんゆかりかれどうあらわ此想ゆえ[褒-+]いちとうはなれ[褒-+]いちとう差別さべつがいさらゆう差別さべつのうあらわ此字ゆえてんせつめいためてんしゃいい不流ふりゅうへん。"
  90.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p. 36-37 / 388. 문신(文身いれずみ)
    "어떠한 것이 ‘문신(文身いれずみ)불상응행법’입니까?
    그 두 가지에 의지하는 각종 문자를 가립하여 문신이라 한다. 이 같은 ‘문’이란 그 두 가지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또 나타내 드러낸다[あらわ]고도 이름하나니 능히 그 의미를 표현하기 때문이다. 이것을 또 명자(名字みょうじ)라고도 하니, 그 의미가 이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しゃく] ‘그 두 가지에 의지하는 각종 문자’란 자체적인 성품이나 차별에 처해서 그 언설이 늘어나는 것에 의지하는 각종 문자 즉 아(:a) ㆍ일(いち:i)ㆍ오(鄔:u) 따위이다. 또 자체적인 성품과 차별에 어우러진 이 두 가지의 언설이 일체를 모두 수렴하는 것이니, 이와 같은 일체가 이 세 가지에 연유해서 그 뜻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하여 이 세 가지를 건립하여 명신ㆍ구신ㆍ문신으로 삼는 것이다. 여기서 ‘문’이라고 말하는 것은 능히 그 두 가지를 표출하기 때문이다. 이는 또 ‘나타내 드러낸다’고도 이름하니 능히 이치를 내부적으로 드러내기 때문이다. 이는 다시 명자라고도 하니 그 의미가 이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어째서입니까?
    눈의 경우처럼 그 ‘눈’이란 명칭은 달라질 수 있으니, 이 같은 이름 외에 다시 유조(ゆうあきら)와 요도(りょうしるべ) 따위의 다른 이름으로 바꿔 부를 수 있으므로, 저것으로 인하여 이와 같은 상(そう)을 동일하게 표출하기 때문이다. 아( )ㆍ일(いち) 따위의 글자가 아ㆍ일 따위의 차별 이외의 것으로 벗어나지 않고 이 차별에 머물러 있어야만 이러한 뜻을 표출할 수가 있다. 따라서 글자로 인해 다른 것으로 이전되지 않는 것을 명자라고 설명하는 것이다.
    [しゃく] ‘글자 때문에 이전되지 않는 것’이란 변하여 달라지지 않는 것이다."
  91.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c21 - T31n1605_p0665c22. 이생성(せいせい)
    "何等なんらせいせいいい於聖ほうとく假立かりだちことせいせい。"
  92.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9 / 159. 이생성(せいせい)
    "어떠한 것이 이생성 불상응행법입니까? 성법(きよしほう)을 얻지 못한 것을 임시로 세워서 이생의 성품이라 한다."
  93.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0c16. 이생성(せいせい)
    "せいせいしゃいい於聖ほうとく假立かりだちことせいせい。"
  94.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 37 / 388. 이생성(せいせい)
    "어떠한 것이 ‘이생성(せいせい)불상응행법’입니까? 성법(きよしほう)을 얻지 못한 것을 가립하여 이생성이라 한다."
  95.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c22 - T31n1605_p0665c23. 유전(流轉るてん)
    "何等なんら流轉るてんいい因果いんが相續そうぞく不斷ふだん假立かりだち流轉るてん。"
  96.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9 / 159. 유전(流轉るてん)
    "어떠한 것이 유전 불상응행법입니까? 인과가 상속하여 끊어지지 않는 것을 임시로 세워서 유전이라 한다."
  97. "間斷かんだん", 《네이버 한자사전》. 2013년 2월 2일에 확인.
    "間斷かんだん 간단: ①잠깐 끊임 ②쉴 사이 "
  98.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0c17 - T31n1606_p0700c19. 유전(流轉るてん)
    "流轉るてんしゃいい因果いんが相續そうぞく不斷ふだん假立かりだち流轉るてん所以ゆえんただ相續そうぞく不斷ふだんりつ流轉るてんしゃ。於一剎那或於間斷。此言。"
  99.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 37 / 388. 유전(流轉るてん)
    "어떠한 것이 ‘유전(流轉るてん)불상응행법’입니까? 인과가 상속하여 끊어지지 않는 것을 가립하여 유전이라 한다. 그리하여 오직 상속이 끊어지지 않는 것에서 유전을 건립하는 것이지 찰라나 또는 간단(間斷かんだん)이 있는, 이러한 것을 말하지 않는다."
  100.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c23 - T31n1605_p0665c24. 정이(ていこと)
    何等なんらていこといい因果いんが種種しゅじゅ差別さべつ假立かりだちてい"
  101.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9 / 159. 정이(ていこと)
    "어떠한 것이 정이(ていこと) 불상응행법입니까? 인과의 갖가지 차별을 임시로 세워서 정이라 한다."
  102.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0c20 - T31n1606_p0700c22. 정이(ていこと)
    "ていことしゃいい因果いんが種種しゅじゅ差別さべつ假立かりだちていこと因果いんが種種しゅじゅ差別さべつしゃいい可愛かわいはてみょう行為こういいん可愛かわいはてあく行為こういいんしょ如是にょぜとう種種しゅじゅ因果いんがてんてん差別さべつ。"
  103.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 37 / 388. 정이(ていこと)
    "어떠한 것이 ‘정이(ていこと)불상응행법’입니까? 인과의 갖가지 차별을 가립하여 정이라 한다. [しゃく] ‘정이’란 인과의 갖가지 차별을 말하는 것으로, 가애과(可愛かわいはて)는 묘행(みょうゆき)이 원인이 되고, 불가애과(不可ふかあいはて)는 악행(惡行あくぎょう)이 원인이 되는, 이와 같은 갖가지 인과가 전전(てんてん)하는 차별이다."
  104.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c24 - T31n1605_p0665c25. 상응(相應そうおう)
    "何等なんら相應そうおういい因果いんが相稱そうしょう假立かりだち相應そうおう。"
  105.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9 / 159. 상응(相應そうおう)
    "어떠한 것이 상응 불상응행법입니까? 인과가 서로 대칭되는 것을 임시로 세워서 상응이라 한다."
  106.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0c22 - T31n1606_p0700c25. 상응(相應そうおう)
    "相應そうおうしゃいい因果いんが相稱そうしょう假立かりだち相應そうおう因果いんが相稱そうしょうしゃ。雖復異類いるい因果いんがしょうじゅんまためい相稱そうしょうよし布施ふせかんとみざいとう。"
  107.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 37 / 388. 상응(相應そうおう)
    "어떠한 것이 ‘상응(相應そうおう)불상응행법’입니까? 인과가 서로 대칭되는 것을 가립하여 상응이라 한다. [しゃく] ‘인과가 서로 대칭된다는 것’이란 비록 그 종류가 다른 인과 과가 서로 순응하는 것도 서로 대칭한다고 이름한다. 예를 들어 보시 따위에 연유해서 부유해지는 것과도 같다."
  108. 星雲せいうん, "しょう法界ほうかい". 2013년 2월 3일에 확인
    "しょう法界ほうかい: またさくしょうせいしょうほういい契合けいごう於法かい真性しんせい華嚴宗けごんしゅう華嚴經けごんきょう所說しょせつ契合けいごう於法かい真性しんせいいいたたえ法界ほうかい華嚴經けごんきょう傳記でんき卷一けんいちだいいちいちさんじょう):「此經毘盧遮那佛びるしゃなぶつ法界ほうかいくもざい蓮華れんげぞう莊嚴しょうごん世界せかいうみ,於海しるしさん昧內,あずかひろしけんとううみかいせい眾,ためだい菩薩ぼさつ所說しょせつ也;凡一言ひとこといち一品いっぴんいちかいみなへん十方虛空法界及一一微塵、もうはし、剎土,つきいん陀羅もう微細びさい世界せかいきゅう前後ぜんこうさい一切いっさいこううみ。(中略ちゅうりゃく)此乃圓滿えんまん法輪ほうりんしょう法界ほうかいだんみみ。」"
  109. 미륵 조, 현장 한역 & T.1579, 제81권. p. T30n1579_p0750c15 - T30n1579_p0750c16. 상칭(相稱そうしょう)
    "相稱そうしょうしゃ。如眾かいゆえおうきょうしょうほうゆえ。引義ゆえじゅん。"
  110. 佛門ぶつもんもう, "相稱そうしょう". 2013년 2월 3일에 확인
    "相稱そうしょう:

    出處しゅっしょ: しゅ芾煌《法相ほうしょう辭典じてん
    解釋かいしゃく: 瑜伽ゆがはちじゅういちかんよんぺーじうん相稱そうしょうしゃ:如眾かいおうきょうしょうほう,引義じゅんゆえ

    出處しゅっしょ: 佛教ぶっきょうかん梵大辭典じてん
    解釋かいしゃく: anurūpa, tad-upamāgama, pratirūpa, anupūrva
    ぺーじすう: P.2499"
  111.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c25 - T31n1605_p0665c26. 세속(いきおいそく)
    "なんとうぜいそくいい因果いんが迅疾流轉るてん假立かりだちぜいそく。"
  112.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37 / 159. 세속(いきおいそく)
    "어떠한 것이 세속 불상응행법입니까? 인과가 신속하게 유전하는 것을 임시로 세워서 세속이라 한다."
  113.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0c26. 세속(いきおいそく)
    "ぜいそくしゃいい因果いんが迅疾流轉るてん假立かりだちぜいそく。"
  114.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 37 / 388. 세속(いきおいそく)
    "어떠한 것이 ‘세속(いきおいそく)불상응행법’입니까? 인과가 신속하게 유전하는 것을 가립하여 세속이라 한다."
  115.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c26 - T31n1605_p0665c27. 차제(次第しだい)
    "何等なんら次第しだいいい因果いんがいちいち流轉るてん假立かりだち次第しだい。"
  116.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9 / 159. 차제(次第しだい)
    "어떠한 것이 차제 불상응행법입니까? 인과가 하나하나 차례대로 유전하는 것을 임시로 세워서 차제라고 한다."
  117.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0c27 - T31n1606_p0700c28. 차제(次第しだい)
    "次第しだいしゃいい因果いんがいちいち流轉るてん假立かりだちだいいんはて一一流轉者謂不俱轉。"
  118.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 37 / 388. 차제(次第しだい)
    "어떠한 것이 ‘차제(次第しだい)불상응행법’입니까? 인과가 하나하나 차례대로 유전하는 것을 가립하여 차제라고 한다. [しゃく] ‘하나하나씩 유전한다는 것’이란 함께 전변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119.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c27 - T31n1605_p0665c28. 시()
    "何等なんらためいい因果いんが相續そうぞく流轉るてん假立かりだちため。"
  120.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9 / 159. 시()
    "어떠한 것이 시 불상응행법입니까? 인과가 상속하여 유전하는 것을 임시로 세워서 시간[]이라고 한다."
  121.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0c29 - T31n1606_p0701a03. 시()
    "しゃいい因果いんが相續そうぞく流轉るてん假立かりだちためなに以故。ゆかりゆう因果いんが相續そうぞくてんゆえわか因果いんがやめなまやめめつりつ過去かこ。此若生立おいたつ未來みらいやめなまめつりつ現在げんざい。"
  122.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p. 37-38 / 388. 시()
    "어떠한 것이 ‘시()불상응행법’입니까? 인과가 상속하여 유전하는 것을 가립하여 시간이라고 한다. 어째서입니까? 유(ゆう)에 연유해서 인과가 상속하여 전변되기 때문이다. 만약 이 같은 인과가 이미 생겨났다가 이미 소멸하였다면, 이를 과거의 시간으로 건립하게 된다. 만약 아직 생겨나지 않았다면 미래의 시간으로 건립하고, 이미 생겨났으나 미처 소멸하지 않았다면, 현재의 시간으로 건립하게 된다."
  123. 星雲せいうん, "[1]". 2013년 2월 3일에 확인
    "かた: 梵語ぼんご diś。乃唯識宗じゅうよん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いちそくゆび方位ほうい空間くうかんいろほう物質ぶっしつてき存在そんざいあずかいろほう相對そうたい而生存在そんざい空間くうかんぶん關係かんけいけい有東うとう西にしみなみきたよん維(四隅よすみ)、うえ下等かとうじゅうぽう。〔大乘だいじょうおもね達磨だるまざつしゅうろんまき顯揚けんよう聖教せいきょうろん卷一けんいち瑜伽ゆがろんまきさん〕"
  124.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c28 - T31n1605_p0665c29. 방(かた)
    "何等なんらためかたいい於東おひがし西南せいなんきた四維上下因果差別假立為方。"
  125.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9 / 159. 방(かた)
    "어떠한 것이 방 불상응행법입니까? 동ㆍ서ㆍ남ㆍ북ㆍ사유(よん維)ㆍ상ㆍ하의 인과가 서로 차별적인 것을 임시로 세워서 방향[かた]이라 한다."
  126.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1a04 - T31n1606_p0701a07. 방(かた)
    "かたしゃいいそく於東おひがし西南せいなんきた四維上下因果差別假立為方。なに以故。そく於十方因果遍滿假說方故。當知とうち此中ただせつしょくほうしょ因果いんが無色むしょくほうへんぬのしょしょこうのう。"
  127.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 38 / 388. 방(かた)
    "어떠한 것이 ‘방(かた)불상응행법’입니까? 동ㆍ서ㆍ남ㆍ북과 네 간방[よん維]과 상ㆍ하의 인과가 서로 차별적인 것을 방향이라고 임시로 설립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열 가지 방위에 인과가 두루하게 존재하는 것을 방향이라고 가설하기 때문이다. [しゃく] 여기에서는 오직 색법에 수렴되는 인과만을 해설하고 있음을 숙지해야 한다. 무색의 법도 처소마다 두루하게 존재해 있으나 그 공능이 없는 까닭이다."
  128.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c29 - T31n1605_p0666a01. 수(かず)
    "何等なんらためすういい諸行しょぎょういちいち差別さべつ假立かりだちためすう。"
  129.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9 / 159. 수(かず)
    "어떠한 것이 수 불상응행법입니까? 제행을 하나씩 하나씩 차별하는 것을 임시로 세워서 수라고 한다."
  130.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1a08 - T31n1606_p0701a09. 수(かず)
    "すうしゃいい諸行しょぎょういちいち差別さべつ假立かりだちためすう。一一差別者於一無別二三等數不應理故。"
  131.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 38 / 388. 수(かず)
    "어떠한 것이 ‘수(かず)불상응행법’입니까? 제행을 하나씩 하나씩 차별하는 것을 가립하여 수라고 한다. [しゃく] ‘하나씩 하나씩 차별한다는 것’이란 ‘1’이란 숫자 없이 별도로 존재하는 ‘2’나 ‘3’ 따위의 숫자란 합리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132.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6a01 - T31n1605_p0666a02. 화합(和合わごう)
    "何等なんら和合わごういい因果いんが眾緣集會しゅうかい假立かりだち和合わごう。"
  133.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9 / 159. 화합(和合わごう)
    "어떠한 것이 화합 불상응행법입니까? 인과가 중연(しゅうえん)에 의해 모여지는 것을 임시로 세워서 화합이라 한다."
  134.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1a10 - T31n1606_p0701a13. 화합(和合わごう)
    "和合わごうしゃいい因果いんが眾緣集會しゅうかい假立かりだち和合わごう因果いんが眾緣集會しゅうかいしゃ。且如識法因果いんが相續そうぞく。必假眾緣和會かずえいい不壞ふえ境界きょうかい現前げんぜんのうなま此識作意さくいせいおこり如是にょぜ於餘一切いっさい如理おう。"
  135.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 38 / 388. 화합(和合わごう)
    "어떠한 것이 ‘화합(和合わごう)불상응행법’입니까? 인과가 중연(しゅうえん)에 의해 모여지는 것을 가립하여 화합이라 한다. [しゃく] ‘인과가 중연에 의해 모여지는 것’이란, 흡사 식법(識法)처럼 인과가 상속하되 거짓된 중연이 화합하여 모이는 것이니, 근()이 무너지지 않는 것에서 경계가 현전하여 이 같은 식이 생기면 작의가 바로 일어나는 것이다. 이처럼 다른 모든 것도 그 이치에 따라 숙지해야 한다."